플라톤의 『국가』 강해 ㊵ [이정호 교수와 함께하는 플라톤의 『국가』]

플라톤의 <국가> 강해

 

 

1-2-1 시가 교육(376e-403c)

          1-2-1-1 무엇을 말해야 할 것인가 – 시인들이 지켜야할 규범(376e-392c)

          1-2-1-2 어떻게 말해야할 것인가(392c-398b)

          1-2-1-3 시가 교육의 목적(401b-403c)

 

[401b-401e]

* 소크라테스는 시가의 선법과 리듬에서 뿐만 아니라 그림 등 모든 기예, 나아가 인체 및 생물들의 본성에서도 용감하고 훌륭한 사람들이 닮고 모방해야할 좋은 성품ἦθος과 생각διάνοια이 가득 차 있어야 한다고 말한다. 그러므로 시인에 대해 좋은 성격의 상τοῦ ἀγαθοῦ εἰκόνα ἤθους을 시 속에 새겨 넣도록 강요하거나 장인δημιουργός들에 대해 동물들의 상이나 건물 그 밖의 어떤 제작물에도 나쁜 성격τὸ κακόηθες과 무절제ἀκόλαστος, 비굴ἀνελεύθερος, 꼴사나움ἄσχημον을 새겨 넣지 못하도록 감시해야 한다ἐπιστατητέον고 그는 말한다.(401b) 마치 나쁜 풀밭에서 매일 같이 조금씩 여러 군데서 풀을 뜯어 먹으면 결국 많은 것을 뜯어 먹게 되는 것처럼, 수호자들이 나쁨의 모상 속에서ἐν κακίας εἰκόσι 양육될 경우 수호자들의 영혼 안에도 하나의 큰 나쁨κακὸν μέγα이 형성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소크라테스는 아름답고καλός 우아한εὐσχήμων 본성을 추적하는데 타고난 능력이 있는 장인을 찾아야 한다고 말한다. 그렇게 해야 마치 건강에 좋은 곳에 살면 그곳에서 산들바람αὔρα이 건강을 실어 나르듯이, 아름다운 작품ἔργον으로부터 젊은이들οἱ νέοι의 시각이나 청각에 뭔가가 부딪혀 와서προσβάλῃ 모든 것에서 젊은이들이 이로움을 얻게 되고(401c) 자신들도 모르게 어려서부터 바로 아름다운 말에 동질감ὁμοιότης을 느껴 벗으로 삼고 일체감συμφωνία을 갖게 된다는 것이다.(401d)

* 이상의 논의에 기초해서 소크라테스는 드디어 시가교육μουσικῇ τροφή이 가장 중요한 이유가 다름 아니라 그것이 젊은이들의 혼에 미치는 심대한 영향력 때문임을 밝힌다. 우선 소크라테스는 장단ῥυθμὸς과 화음ἁρμονία이 영혼의 내부에εἰςτὸ ἐντὸς τῆς ψυχῆς 가장 잘 스며들고καταδύεται 우아함εὐσχημοσύνη을 실어 날라φέροντα 영혼을 가장 힘차게ἐρρωμενέστατα 사로잡는ἅπτεται 것임을 지적하고 있다. 그러므로 시가 교육을 제대로 받은 사람은 우아한 사람이 되고 그렇지 않은 사람은 그 반대의 사람이 되는 것은 당연하다.(401d) 그런데 무엇보다도 시가 교육을 제대로 받은 사람ὁ ἐκεῖ τραφεὶς은 아름답게 제작되지 못했거나 아름답게 성장하지 못한 것을 보면 그곳에서 무엇이 부족한지 가장 날카롭게 지각할 수 있다ὀξύτατ᾽ αἰσθάνοιτο ὡς ἔδει. 그래서 그것을 ‘이성으로 간취할 수 있는 능력이 있기 이전’πρὶν λόγον δυνατὸς εἶναι λαβεῖν, 즉 어려서부터 이미 그것을 제대로 비난하고ψέγοι 미워할μισοῖ 줄 안다는 것이다. 그리고 반대로 아름다운 것들에 대해서는 칭송하고 즐길 줄ἐπαινοῖ καὶ χαίρων 알며 그것을 영혼 안에 받아들여 그것들로부터 양육되어 스스로 훌륭하고 뛰어나게καλός τε κἀγαθός 된다는 것이다.(401e) 그리하여 그는 이렇게 양육된 사람인 까닭에 자라면서 그 논거를 접하게 되면ἐλθόντος τοῦ λόγου 그 친근성 덕에δι᾽ οἰκειότητα 그것을 바로 알아보고γνωρίζων서 제일 반기게ἀσπάζοιτ᾽ 된다는 것이다.

 

—————————-

 

* 플라톤은 시가의 선법과 리듬뿐만 아니라 기타 그림과 자수, 건축 등 기타 예술 영역 모두를 가릴 것 없이 용감하고 훌륭한 사람들이 닮고 모방해야할 좋은 성품과 생각으로 가득 차 있어야 한다고 말한다. 이 말은 앞에서 언급한 시가의 원칙들이 음악 이외의 다른 예술 분야 전반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는 것, 즉 원칙 적용의 확대와 일관성을 나타내는 말이지만, 우리는 이 말에서 플라톤 예술관의 가장 기본적인 특징을 간취할 수 있다. 즉 플라톤에게 예술은 근본적으로 인간의 성품과 생각의 반영으로서 결코 도덕과 분리해서 생각할 수 없다는 점이다. 좋은 예술은 좋은 성품을 만들고 좋은 성품은 좋은 예술을 만들며 그 반대의 경우 또한 마찬가지이다. 예술은 그 자체로 좋은 것도 나쁜 것도 아니다. 다만 예술의 좋음과 나쁨이 있다면 예술 자체가 갖는 특성 때문이 아니라 그 예술이 반영하거나 담고 있는 성품과 생각의 좋고 나쁨 때문이다. 이것은 예술의 문제는 곧 도덕의 문제임을 보여준다. 즉 예술은 본질적으로 도덕적 가치를 반영하고 도덕은 심미적 가치를 내포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좋은 성품과 생각으로 이끄는 좋은 예술과 그것을 가능하게 만드는 훌륭한 예술가와 예술 교육은 정의와 도덕이 살아 숨 쉬는 나라가 갖추어야 할 불가결의 조건이다. 그래서 플라톤은 시가 교육의 목표와 과정 일체를 법으로 제정하여 굳건한 제도로 확립하려고 하는 것이다.

* 그러나 예술과 예술 교육의 문제를 분별 있게 다루는 것은 결코 쉬운 문제가 아니다. 왜냐하면 예술은 맺고 끊음이 분명한 논리적 방식으로 드러나지 않고, 주관적 요인이 강한 감각을 통해 생동하는 감성에 작용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감각의 영역은 매우 주관적이고 경계가 불분명하며 그것을 받아들이는 감성 또한 민감하고 충동적이며 은밀하기까지 하다. 그것은 마치 나쁜 풀밭에서 매일 같이 조금씩 여러 군데서 풀을 뜯어 먹으면 결국 많은 것을 뜯어 먹게 되는 것처럼 그것이 좋은 것인지 나쁜 것인지 분별도 못한 채 자신도 모르게 그것에 빠져들게 만들고 특히 감성에 민감한 젊은이들의 혼속에 들어와 그들을 사로잡는다. 그래서 소크라테스는 아름답고 우아한 본성이 남긴 자취까지 추적해낼 수 있을 정도로 세심한 분별 능력이 있는 사람, 즉 예술적 감수성이 뛰어난 예술가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자못 실감나는 수사적 비유까지 들어가며 강조하고 있다. 그는 말하길, 그렇게 뛰어난 예술가들이 있어야 마치 건강에 좋은 곳에 살면 그곳에서 산들바람이 건강을 실어 나르듯이, 그들이 만든 아름다운 작품으로부터 젊은이들의 시각이나 청각에 뭔가가 부딪혀 와서 모든 것에서 젊은이들이 이로움을 얻게 되고 자신들도 모르게 어려서부터 바로 아름다운 말에 동질감을 느껴 벗으로 삼고 일체감을 갖게 된다는 것이다.

* 이처럼 플라톤에게 시각과 청각을 기초로 하는 예술과 예술 교육은 그 민감성의 크기만큼 정의로운 나라와 개인을 바르게 일으켜 세우는데 결코 소홀히 해서는 안 될 매우 중차대한 과제로 제시된다. 예술 교육은 눈과 귀를 통한 감성 교육이라는 측면에서 보면 그 자체로는 비록 낮은 단계의 교육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것이기는 하지만, 그것은 특성 상 아름다움에 대한 감수성 발달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고 그와 같은 감성 교육 단계에서의 감수성의 발달은 그 발달의 정도에 비례하여 이후 전개될 과학 교육과 철학 교육 과정에도 매우 심대한 영향을 미치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처럼 플라톤은 오늘날 정서 교육에서 시청각 교육이 갖는 중요성에 대한 평가 못지않게 감성 교육에서 시각과 청각이 갖는 중요성을 크게 강조하고 있다. 플라톤이 <티마이오스>에서 시각과 청각을 신의 선물로 언급하고 있는 것도 그것이 갖는 교육적 의미 때문이다. 즉 시각은 하늘에 있는 지성을 관찰하여 우리 안에 있는 사유의 회전으로 하여금 그것에 닮게 하는 것이고, 청각은 우리 안에 있는 혼의 회전이 조화를 이루어 자신의 질서를 찾기 위한 연합군으로서 무사 여신에 의해 주어진 것이다.(<티마이오스> 49a-d)

* 그런데 흥미롭게도 플라톤은 그러한 시가 교육 가운데에서도 무엇보다도 지금 다루고 있는 음악 교육 분야에 매우 특별한 관심을 표명하고 있다. 물론 이곳의 논의 주제가 시가라는 점에서 그럴 수밖에 없다고 말할 수도 있지만 설령 그렇다고 하더라도 그것은 예술과 관련한 다른 대화편의 내용들과 비교해도 매우 이례적인 것이 아닐 수 없다. 실제로 플라톤의 대화편 가운데 그림이나 조각, 건축 등 예술 분야와 관련한 내용 모두를 통틀어보아도 여기만큼 큰 비중과 분량을 가지고 음악이 다루어진 곳은 그 어디에도 없다. 이것은 우리로 하여금 플라톤이 여러 예술 분야 가운데 왜 그토록 유독 음악 분야를 강조하고 있는가에 대한 궁금증을 불러일으킨다. 우선 플라톤은 여기서 음악 자체가 가지고 있는 특성으로부터 그 이유를 밝히고 있다. 즉 시가에 붙는 장단과 리듬이야말로 그 어떤 다른 예술적 요소들보다 영혼 내부에 가장 잘 스며들고 우아함을 실어 날라 영혼을 가장 힘차게 사로잡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다시 말해 여러 예술들 가운데 감성에 작용하는 자극이 가장 강하다는 것이다. 시가의 원어 mousikē에서 나온 music이 오늘날 음악의 의미로만 쓰여 지고 있는 것도 어쩌면 가사에 비해 음악적 요소가 갖고 있는 감각적 직접성이 그만큼 더 컸기 때문인지도 모른다. 무엇보다도 시가에 붙는 장단과 리듬은 단순히 감각상의 자극만이 아니라 시가가 가지고 있는 내용, 즉 그리스인들이라면 가슴에 새겨 두어야 할 선조들의 생각과 행동들을 자극에 민감한 젊은이들의 영혼 속에다 모종의 직감적 세계관으로 강력하게 아로새겨 넣는 작용을 한다는 것이다. 플라톤의 음악관에 따르면 좋은 장단과 리듬은 혼에 가장 영향을 줄 수 있도록 그 자체로 조화를 구현하는 수학적 원리에 따라 배열되고 설계된 것이다. 이에 따라 시가는 장단과 리듬이 결합된 음송의 형식을 띠면서 시민 교육의 일환으로 적극적으로 채용되고 전승 발전되었고, 기원전 5세기에 들어와서는 당대 시문학의 발달에 힘입어 점차 합창 등이 결합된 연극이라는 종합적인 공연 예술로 발전하면서 마치 오늘날의 영화가 대중문화 영역에서 누리는 인기 그 이상으로 최고의 전성기를 구가하고 있었다. 그리하여 그것은 시민을 교육하거나 위무하는 최상의 수단으로 더욱 확고하게 인식되면서 급기야 나라의 재정적 지원을 받는 정례 공연으로까지 자리 잡게 되었던 것이다. 다시 말해 시가와 그 시가에 붙는 음악적 요소들은 아테네에서 젊은이들의 영혼에 가장 심대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예술인 동시에 아테네라는 도시국가를 이끄는 일종의 지배 이념 내지 세계관을 심어주는 가장 유효한 수단이자 토대이기도 했던 것이다. 그러나 기원전 5세기 말 아테네의 정치사회적 상황과 그러한 정황 속에서 수많은 연극 공연 및 시가 교육 그리고 그것을 이끄는 시인과 지식인들의 양태는, 그야말로 플라톤이 보기에 당대 아테네 시민과 젊은이들로 하여금 현실의 극복을 위한 올바른 세계관과 시민의식을 일깨우고 함양하기는커녕, 고통스런 현실에 대한 위무라는 미명하에 퇴폐적이고 감각적인 욕망을 부추겨 정치적 무관심과 이기적 개인주의, 성적 쾌락과 현실 도피를 조장하여 정치 영역에서 선동 정치가 판을 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 이런 까닭에 새로 세우는 정의로운 나라에서는 그야말로 어렸을 적부터 그러한 풍토를 정화하기에 충분할 정도의 올바른 시가 교육이 반드시 이루어져야 하고 그것을 위한 제도적 장치가 입법의 형식으로 마련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그렇게 제대로 된 시가 교육을 통해서만 올바른 감성 교육이 이루어지고 나중 이루어질 지성 교육에도 제대로 된 기초를 담보해주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제대로 된 시가 교육 내지 감성 교육을 통해서만 제대로 된 예술적 감수성이 길러지고 그렇게 형성된 예술적 감수성만이 이성적 능력이 발현되기 이전, 즉 어려서부터 참과 거짓을 직감하여 그것을 제대로 칭송하고 즐기거나 미워할 줄 알게 해주고, 아름다운 것들을 영혼 안에 받아들여 그것들로부터 양육되어 스스로훌륭하고 뛰어나게 해주며, 이후 아름다움의 논거를 접했을 때에도 그 친근성 덕에 그것을 바로 알아보고서 제일 반기게 만들어 준다는 것이다. 요컨대 시가를 통한 예술 교육은 감성 교육 차원에서 참과 거짓을 민감하게 직감하는 이른바 가치 감수성, 나아가 정의감 내지 도덕의식을 형성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함으로써 다음 단계에서 이루어질 과학교육과 철학 교육의 건강한 바탕이 되는 것이다. 이것이 곧 이제까지 많은 분량을 할애하여 플라톤이 언급하고자 한 시가 교육의 근본 목적이자 그 중요성인 것이다.

* <국가>의 논의 자체가 근본적으로 현실의 구제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는 한, 여기서 펼쳐지는 그의 예술과 음악에 대한 사유 또한 그가 살던 당대 아테네의 정치적 현실과 결코 분리해서 생각할 수 없다. 특히나 시가는 줄곧 이야기해왔듯이 단순히 노래나 시가 아니라 고대 아테네인들의 세계관을 반영하는 것이기에 더욱 그러하다. 실제로 앞서 살폈듯이 소크라테스와 플라톤뿐만 아니라 당대 지식인이나 정치가들은 모두 시가 자체가 아테네 사람들 모두가 숙지해두어야 할 기초적인 가치관을 담고 있는 것임을 받아들이고 있었고 그에 따라 그들 모두 시가 교육을 당대 아테네의 가치관을 유포하고 공유하기 위한 필수적인 장치로 여기고 있었다. 그러한 이유 때문에 시가를 내용으로 하는 연극과 합창 공연은 아테네에서 시민 교육의 일환으로 나라의 재정적 지원 혹은 부유층의 기부를 토대로 정기적이고도 지속적으로 시민들에게 제공되고 있었던 것이다. 다만 플라톤이 문제 삼고자 하는 것은 앞에서 우리가 수차 언급하였듯이 그와 같은 연극이나 시가의 내용을 짓거나 유포하는 당대 시인들과 지식인들의 사고방식과 행태였다. 플라톤의 눈에 그들의 행태는 위기에 빠진 아테네를 구제하기는커녕 더 위기를 가중시키는 것으로 철저하게 비판 극복되지 않으면 안 되는 것이었다. 이 점을 고려하면 여기서 플라톤이 정의로운 나라를 확립하는 일환으로 젊은이들을 위한 시가 교육에 왜 그토록 많은 논의를 할애하고 있는지, 그리고 내용적으로도 왜 그토록 단호하고도 엄격한 태도를 견지할 수밖에 없었는지를 어느 정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 아무려나 플라톤의 예술관은 비록 수호자 교육이라는 특수한 목적 하에 제시된 것이라 할지라도 현대 오늘날의 개인주의적 예술관에 비추어 보면 도저히 납득하기 힘들 정도로 일양적이고 지나칠 정도로 경직되어 있다. 특히 한 개인이 갖는 적합성을 아무리 그 나름의 소질이나 적성과 연관 지운다 해도 평생을 통해 다양한 예술적 경험이 가져다 줄 수 있는 이익까지도 철저하게 배제하고 있다는 점에서 더욱 납득하기가 힘들다. 에를 들어, 오늘날 아무리 군인정신이 투철한 사관생도일지라도 음악적 감수성은 각기 다를 수 있고 오히려 그와 같은 다양한 경험들이 훗날 지휘관으로서 자신의 역할을 위해서도 도움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예술과 예술 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플라톤의 인식 자체만은 오늘날과 비교해도 결코 뒤떨어지지 않는다. 플라톤은 비록 진리 인식과 관련하여 감각을 기반으로 하는 예술의 심급을 낮게 본 것은 사실이지만 결코 예술 자체의 중요성까지 낮게 본 것은 아니다. 플라톤의 예술관을 객관적으로 평가한다면 그것은 다만 기본적으로 최소한 현대의 자유주의적 예술관과는 거리가 멀다는 것이다. 특히 플라톤의 예술관이 내세우고 있는 예술과 인격 내지 도덕의 결합 그리고 나아가 정치적 현실과 현실의 결합은 분명 그의 예술관이 갖는 특징과 한계를 동시에 보여준다. 그러나 예술을 정치적 현실과 연관시키는 관점 자체를 20세기 전체주의 국가들이 저질렀던 오류, 즉 예술을 정치적 수단으로 전락시켰던 피폐한 경험들을 토대로 무조건 부정하거나 혐오하는 것도 문제가 있다. 실제로 오늘날 예술과 정치적 현실의 관계를 중시하는 모더니즘적 예술관이나 순수 예술지상주의는 비록 상반된 성격을 가지고 있지만 각각 현대 예술의 다양성을 구성하는 의미 있는 경향들 가운데 하나이다. 개인주의를 표방하는 현대 자유주의 예술관 역시 현대의 역사적 상황이 낳은 하나의 경향일 뿐 새로운 정황에 따라 언제든지 변화할 수 있고 비판될 수 있다. 중요한 것은 어떠한 것도 비판의 대상이 될 수 있다는 철학적 균형 감각과 비판 정신이라 할 것이다. 플라톤의 입장 또한 역사적 관점에서 보면 당대 아테네의 피폐한 현실을 주도하고 있었던 개인주의적 예술관에 대한 플라톤 나름의 비판적 균형 감각의 소산임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플라톤이 주목하고 있는 예술과 도덕, 예술과 정치의 문제는 예술 또한 본질적으로 인간 삶의 문제와 관련되어 있는 한, 결코 사라지거나 무시할 수 없는 부동의 주제로 예술사에 자리하고 있을 것이고 그 때마다 플라톤의 관점은 매우 의미 있는 토론의 토대와 출발점을 제공하게 될 것이다.

 

[402a-402d]

* 그리고 플라톤은 이것을 마치 글자들γράμμα을 충분히 읽을 줄 알게 될 때까지의 경우에 비유한다. 즉 소수의 요소 문자들τὰ στοιχεῖα이 그것이 결합된 단어들 속에 반복적으로 나타나는περιφερόμενα 경우 그것이 작게 쓰이건 크게 쓰이건 간에 상관없이 그것들 모두를 주목해가면서ἠτιμάζομεν 열심히 식별αἰσθάνεσθαι할 때 충분히 글을 읽을 수 있는 사람이 되는 것과 같은 이치라는 것이다.(402a) 글자들을 알기 전에는 글자들의 모상εἰκών이 물속이나 거울에 나타나더라도 그것을 알아보지 못하므로 글자를 익히는 기술τέχνη과 훈련μελέτη은 글자들의 모상을 익히는 기술이나 훈련과 따로 떨어져 있지 않다는 것이다.(402b) 우리가 수호자로 길러내려는 사람들, 즉 시가에 밝은 사람이 되는 것도 이와 마찬가지이다. 즉 절제σωφροσύνη, 용기ἀνδρεία, 자유로움ἐλευθεριότης, 고매함μεγαλοπρέπεια의 부류들εἴδη, 그리고 그것들과 반대되는 것들ἐναντία 모두가 시가 속 여기저기서 옮겨가며 반복되어 나타나는 것을 보면서 뭔가 그것들 안에 그것들 자체αὐτὰ와 그것들의 상들εἰκόνας αὐτῶν이 들어가 있음ἐνόντα을 깨닫고αἰσθανώμεθα 그것들이 작은 것에 있건 큰 것에 있건 무시하지 않고 식별하는 훈련을 반복하다보면 그것들 모두가 동일한 전문지식과 수련에 속한다는 것을 믿게 되면서 비로소 ‘시가에 밝은 사람’μουσικοὶ이 된다는 것이다.(402c) 그런데 흥미롭게도 소크라테스는 이와 같은 글과 글자 그리고 글자의 모상의 예를 사람의 혼에도 연결시킨다. 즉 사람의 혼(시가) 속에 훌륭한 성품ἦθος(어떤 글자)이 있고 그것과 합치하고 조화되는 것들이 외모(글자의 모상)에도ἐν τῷ εἴδει 있게 된다면, 그리고 이것들이 같은 원형τύπος(글자 자체)에 관여하고μετέχοντα 있다면 이는 이 ‘원형을 볼 수 있는 사람에게는’τῷ δυναμένῳ θεᾶσθαι 가장 아름다움 광경θέαμα이자 가장 사랑스러운 것ἐρασμιώτατον이라고 말하고 이런 사람들을 시가에 밝은 사람이 사랑할 것이라고 말한다.(402d)

 

—————————-

 

* 플라톤이 이곳에서 설명하고 있는 글자를 익히는 과정은 우리가 처음 글을 터득할 때의 모습과 크게 다르지 않다. 다만 여기서는 누구의 도움 없이 스스로 문자를 터득하고 글을 읽을 줄 알게 되는 과정을 담고 있다. 간결하게 언급된 이 부분의 내용을 좀 풀어 보면 아래와 같을 것이다. 우선 글들을 반복해 보면서 글이나 단어들이 몇 개의 한정된 요소 글자들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아차릴 것이다. 그리고 반복해서 그러한 글이나 단어들을 보거나 또 사람들이 그 글들을 어떻게 읽는가를 반복해서 접하면서 그 요소 글자들의 종류와 음가를 어렴풋이나마 식별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과정을 오랜 시간 반복해서 경험하며 글자를 식별하는 훈련을 거듭하다 보면 어느 시점에 이르러 어떤 글이나 글자가 물속이나 거울에 흐릿하게 또는 굴절되어 나타나더라도 그 요소 글자들의 종류와 음가가 각각 무엇이고 어떻게 발음이 되는지 분명하게 식별할 줄 알게 되고 종국에는 그것을 토대로 글을 읽을 줄 알고 글의 내용을 이해하게 될 것이다.

* 글자의 모상을 익히는 것에서 글자를 아는 것에 이르는 과정을 비유적으로 설명하고 있는 이 부분은 기본적으로 앞에서 예술적 감수성이 훗날 지적 감수성의 토대가 된다는 언급의 연장선상에서 지성 교육의 전단계로서 감성 교육이 갖고 있는 중요성을 다시 한 번 강조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그런데 이곳에서 플라톤이 끌어들이고 있는 비유의 내용을 잘 들여다보면 흥미롭게도 인간의 인식 능력의 발전과 관련한 인지심리학 내지 인식론적 흥미를 불러일으킴과 동시에 플라톤의 인식론과 관련한 몇 가지 토론 거리를 제공하고 있다. 우선 이곳에서 글자를 알게 되는 과정에 관한 플라톤의 언급을 근대 인식론적 용어로 풀어보면 아래와 같을 것이다. 즉 감각(글자에 대한 최초의 지각)은 모상 수준의 것을 지각하는데 불과하지만 그러한 개별적인 지각 과정에서 현상에 대해 비슷한 지각, 즉 비슷한 감각적 경험이 여러 번 반복해서 생기다 보면 일정한 경험적 관념이 형성되고(글이 요소 문자로 이루어졌음을 아는 단계) 그러한 경험적 관념은 다시 비슷한 현상을 접하면서 주어진 감각 소여(所與)에 더해져 그러한 현상에 대한 보다 더 선명한 경험적 관념을 형성하는데 기여한다.(요소 문자의 종류와 음가를 어느 정도 식별하고 익히는 단계) 그리고 다시 또 이와 같은 경험이 반복되면서 경험적 관념들과 새로운 감각 소여들 간의 상호 작용이 상승 반복하면, 비슷한 관념들은 모종의 동일한 현상으로 추상화되고 마침내 일반적인 경험적 관념들, 즉 그러한 현상들에 대한 개념지가 생겨나게 된다.(요소 문자의 종류와 음가를 식별할 줄 아는 단계) 그리하여 반복된 경험과 훈련을 통해 획득한 이러한 개념지를 토대로 비로소 물이나 거울 속 등에 그것들의 상이 보일 경우 그것이 어떤 글자인지도 분명하게 알아볼 수 있게 된다.(글자의 종류와 음가를 충분히 식별할 줄 아는 단계) 그리고 종국에는 이것을 토대로 글을 충분히 읽고 쓰는 것은 물론 글의 내용을 이해하는 단계에까지 이르게 될 것이다. 이것은 근대 인식론에서 경험지의 성립과 관련하여 흄(D. Hume)이 언급한 관념연합의 법칙을 연상하게 만들기도 하고, 그 추상화를 가능케 하는 것이 반복적인 경험 때문이 아니라 선천적인 오성 능력에 있다고 가정하면 경험지를 감성과 오성의 상호작용으로 설명하는 칸트(I. Kant)를 연상케도 한다. 다만 여기서의 플라톤의 비유에서 말하고 있는 글자는 그에 대한 내용적 인지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불가지의 물자체가 아닌 주관 바깥에 객관적으로 실재하는 실물 글자인데다 비유의 내용 역시 그 실물의 글자를 식별하여 개념지로 알게 되는 과정을 다루었다는 점에서 플라톤이 말하는 글자에 대한 앎은 칸트의 구성설적 개념지와도 근본적으로 차이가 있다할 것이다. 플라톤의 앎은 구성지가 아니라 일차적으로 모상에 대한 모사지로 시작하여 점차 영혼의 순수성을 회복하여 형상으로서의 완전한 참 그 자체를 알아볼 수 있는 직관지이다.

* 그런데 이 비유에서 나타나는 글자와 관련된 존재론적 층위는 바로 뒤에 이어지는 절제와 용기, 자유로움 등과 관련하여 언급되는 개념들의 층위와 상호 맞물려지면서 이곳의 내용이 플라톤의 이데아론과 모종의 연관성을 갖는 것이 아닌가에 대한 의문과 논란을 불러 일으켰다. 즉 글자의 비유402a-b)(A)와 이어지는 덕들에 관한 언급(402c)(B)은 각기 글자와 덕들을 깨닫는 과정이 동일한 전문지식과 수련에 속한다는 플라톤의 말에 비추어 볼 때, 내용적으로 서로 상응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그 상응 관계가 분명치 않은 까닭에 이 내용을 이데아론과 결부시키는 데 많은 논란과 문제점을 노정시키고 있다. 우선 덕들에 관한 언급(B)에서는 덕의 부류들과 그것들 자체, 그리고 그것들의 상이라는 말도 나오고 이어서(402d) 그에 상응하여 혼 안의 성품들과 외모 그리고 그것들이 관여하는 원형이 나온다. 그리고 이러한 내용들을 존재론적인 층위로 구분해 보면, 다분히 실물과 모상, 그리고 이것들에 관여 내지 분유되어 있는 형상으로 이해하는데 크게 무리가 없어 보인다. 즉 이 부분을 이데아론의 관점에서 바라볼 수 있는 여지가 생기는 것이다. 그러나 글자 비유 부분(A)을 보면 여기(B)에서 언급되고 있는 만큼 분명하게 나타나 있지 않다. 굳이 A와 B 두 부분에서 존재론적 층위에 맞추어 같은 층위에 해당하는 개념들을 대응시켜 보면, 실제 쓰고 읽는 글자는 실물에, 물속이나 거울에 비친 그 실물 글자의 상은 모상에, 그리고 글자(요소 문자) 자체는 형상에 비교할 수 있다. 그러나 문제는 A에는 원형 내지 형상을 가리키는 ‘자체’라는 말이 나오지 않고 내용적으로도 형상으로서 글자 자체를 의미한다고 볼 수 있는 표현도 찾아볼 수 없다. 그러나 이러한 차이에도 불구하고 비교적 B에서는 존재론적 층위에 있어 이데아론에서 다루어지는 개념들이 다소 명시적으로 나온다는 점에서 B부분을 이데아론을 기초로 이해하려는 시도들이 지속적으로 있어 왔다. 즉 시가와 현실 여기저기에 구체적으로 나타나거나 경험되는 덕들은 그것과 반대되는 것들과 함께 거론된다는 점에서 덕들의 구체적인 양상들, 즉 덕의 모상들이고, 그렇게 반복되는 상들에서 추상된 일반적 덕목들은 개념지로서 덕목들이며, 그것들 자체는 일반적인 덕목들 배후에 있는 본질이자 형상으로서의 덕들이라는 것이다. 그리고 이것들은 이어지는 언급에서 나타나는 외모와 성품, 그리고 원형과도 큰 어려움 없이 짝처럼 서로 대응한다는 것이다. 즉 외모는 다양하고 변화무쌍한 무규정적 성격의 모상이고, 영혼의 성품은 살아있는 생명체를 구성하는 것으로서 모상의 운동성과 원형의 존재성을 동시에 가지고 있는, 즉 자기동일성을 가진 것이며, 원형은 그것에 관여되어 있지만 그 스스로 존재하는 것으로서 형상으로서의 자체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게다가 이 부분에서는 플라톤이 이데아를 설명할 때 많이 쓰고 있는 관여metexis라는 말까지 사용되고 있다는 점에서 더욱 그렇게 해석할 수 있다는 것이다.

* 그러나 B부분에서도 ‘덕들 부류’라는 표현에서 ‘부류들’eidē이 가리키는 것이 형상 자체를 가리키는 것인지 일반적인 ‘개념적 차원에서의 덕들’을 가리키는 것인지는 논란이 많다. 왜냐하면 원문에서 언급되고 있는 ‘그것들 자체와 그것들의 상들이 들어 있는 것’이 그 ‘부류들’을 가리키는 것인지 아니면 다른 것을 가리키는 것인지 해석이 갈리기 때문이다.(E. Zeller, 박종현 등은 부류들이 형상 자체를 가리키는 것으로 본다. 아예 부류라는 말을 형상이란 말로 번역하고 있지만 그에 이견을 갖는 사람들(J. Adam 등)도 많다. 이견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에 따르면 우선 이데아론이 본격적으로 다루어지는 제7권에 들어가기 한참 전인 이 부분에서 전후 맥락상 아무 시사도 없이 그 중대한 이데아론을 꺼내놓는다는 것이 뜬금이 없을 뿐만 아니라, 무엇보다도 그러한 주장은 이곳에서 말하는 ‘글자에 대한 앎과 글자의 상을 알아보는 것’ 그리고 ‘절제 등 그런 부류들에 들어 있는 그것들 자체와 그것들의 상을 깨닫는 것’이 모두 동일한 전문지식과 수련에 속한다는 플라톤의 언급(402b, 402c)과 내용적으로 상호 모순된다는 것이다. 왜냐하면 ‘자체’라는 말을 이데아를 가리키는 것으로 이해할 경우, 플라톤의 그 말은 플라톤 자신 어떤 대상의 이데아에 대한 인식이 다름 아닌 그 대상의 상에 대한 반복적인 식별 훈련 내지 경험을 통해 주어진다고 주장하는 것이나 다름없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주장은 플라톤의 주장이라고 볼 수 없다는 것이다. 왜냐하면 플라톤이 말하는 이데아에 대한 인식이란 감각적 지각의 반복적 경험과 수련에서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그것과는 전혀 다른 차원에서 그야말로 순수한 지성적 직관에 의해서만 주어지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이곳에서의 플라톤의 언급은 지성 교육의 전단계로서 감성 교육이 갖는 중요성과 그 상호 연관성을 강조하는 문맥으로만 이해해야 하며, ‘자체’라는 말도 그 연장선상에서 모상에 대비되는 실물의 의미 그 이상으로 해석하면 안 된다고 말한다. 그래야 또 B부분의 내용과 A부분의 내용이 플라톤의 의도대로 서로 모순 없이 서로 동일한 내용에 대한 다른 표현으로 이해할 수 있다는 것이다.

* 그러나 그들 말대로 감각적 지각의 반복적 수련과 이데아에 대한 인식이 비록 의미상 분명하게 구분되는 것이긴 할지라도, 인간의 인식 과정에서 하물며 플라톤에게서 조차 과연 그것들이 전혀 별개의 단계로 서로 단절되어 있는지는 그들 입장의 타당성 여부와는 별개로 논란거리가 될 수 있다. 마치 물을 끓이면 어느 순간 액체 상태가 기체로 변하듯이 그 상태 자체는 별개의 것으로 규정될 수는 있지만 그러한 현상이 드러나는 이행과정 자체는 하나의 연속을 이루고 있다. 이데아에 대한 인식 능력 역시 어느 순간 전후맥락 없이 별안간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마치 선승이 피나게 힘든 고행 끝에 어느 순간 깨달음에 이르듯이 끊임없는 경험적 지식의 축적과 피나는 사유와 성찰 그 마지막 단계에서 비로소 획득되는 것인지도 모른다. 글자의 비유와 그 다음에 이어지는 덕의 식별과 관련한 언급들을 같은 선상에서 풀어서 비교하자면, 절제, 용기, 자유로움, 고매함 등은 소수의 글자들(알파벳) 같은 부류들이고 시가 속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것들은 그것들의 모상이고 시가는 글(단어 혹은 센텐스)에 해당하는 것이라 말할 수 있다. 그렇다면 글자에 대한 앎은 점차 글로 이루어진 시가를 읽는 능력으로 발전하고, 시가를 읽으면서 내용에서 획득되는 개별 덕들에 대한 앎은 종국적으로 시가가 담고 있는 총체적인 세계관에 대한 깨달음으로 발전하는 것이라 할 것이다. 요컨대 글자의 모상을 익히는 것은 실물 글자에 대한 앎으로 이어지고 그것은 시가를 익히는 기초가 되면서 종국적으로 시가의 본질에 대한 앎으로 이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상-부류-자체 그리고 외모-성품-원형 등 세 가지로 구분하고 있는 것 역시 감성 교육 단계에 이어 앞으로 수행될 과학교육, 그리고 궁극적으로 요구되는 철학교육의 단계 및 그것들에 상응하는 교육 대상들을 함축하기 위해 끌어들인 구분이라는 것이다. 실제로 이러한 앎의 단계는 나중 선분의 비유와 동굴의 비유에서도 비슷한 구조를 드러내면서 본격적으로 다시 논의된다. 모상을 아는 것이건 원형을 아는 것이건 모두가 동일한 전문 지식과 수련에 속한다는 플라톤의 말은 아마도 참된 지식의 체득과 관련한 이러한 과정을 염두에 두고 한 말일 것이다. 이런 점에서 필자는 이 부분이 이데아론의 일단을 반영하고 있다는 해석에 동의한다.

* 아무려나 모상에 대한 지각과 원형 자체에 관한 인식은 근본적으로 차이가 있는 것임에도 플라톤 자신이 그것들을 동일한 전문지식과 기술적 수련이라고 말하고 있는 것은 다른 한편에서 보면 이론적인 영역에서건 실천적인 영역에서건 그의 철학 내지 철학함이 본질적으로 실천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라 하겠다. 그야말로 절제, 용기, 자유로움, 고매함의 부류들, 그리고 그것들과 반대되는 것들 모두를 식별하기 위해서는 글자를 익힘과 마찬가지로 그것들이 작은 것에 있건 큰 것에 있건 무시하지 않고 식별하는 훈련을 끊임없이 반복하지 않으면 안 된다. 그리고 이것은 논의 전개과정에서 점차 드러나겠지만 그가 설계한 교육의 단계와 그것들이 총체적 통일성을 함께 함축하고 있는 것이기도 하다. 다시 말해 플라톤은 교육의 단계를 감성 교육의 단계, 과학 교육의 단계, 철학 교육의 단계로 나누고 있는데, 그러한 과정에서 비록 감성 교육에 대한 과학 교육, 지성 교육의 우위를 주장하기는 하지만, 과학 교육이나 철학 교육 모두 감성 교육과 마찬가지로 기본적으로 식별을 위한 반복적인 수련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하는 것이다. 그런 점에서 ‘시가에 밝은 사람’μουσικοὶ이란 단순히 선천적으로 지성적 소질을 가진 사람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그것에 더해 크건 작건 모든 영역에서 끊임없이 기술적 수련을 반복하면서 공력을 쌓아가는 사람, 그렇게 해서 그야말로 자신의 삶 자체를 최상의 예술로 만들어 내는 사람들을 가리키는 것이라 할 것이다.

 

 

[402d-403c]

* 이에 글라우콘은 어떤 사람이 영혼에서 어떤 결함이 있다면ἐλλείποι 그는 사랑하지 않을 것이지만 그 결함이 신체적인 것τι κατὰ τὸ σῶμα이라면 그는 참고서ὑπομείνειεν 기꺼이 반기려 할 것이라고 말한다.(402d) 그러자 흥미롭게도 소크라테스는 그 말을 듣고 글라우콘에게 신체에 결함이 있는 소년 애인παιδικὰ이 있거나 있었던 것이라고 지레 짚어 말한 후 그의 말에 동감을 표하면서 절제σωφροσύνῃ와 과도한 쾌락ἡδονῇ ὑπερβαλλούσῃ 사이에 공통점κοινωνία이 있는지를 묻는다. 그러자 글라우콘은 쾌락이 고통λύπη 못지않게 사람을 얼빠지게ἔκφρων 만드는 것인데 무슨 말씀이시냐고 반문한다.(402e) 이에 소크라테스와 글라우콘은 쾌락과 그 밖의 덕ἀρετῇ들은 전혀 공통점이 없지만 오만함ὕβρις과 무절제(방종)ἀκολασία와는 아주 잘 어울리며 성적인 쾌락ἡδονὴν τῆς περὶ τὰ ἀφροδίσια보다 더 크고 짜릿하고ὀξύς 광적μανικός인 쾌락은 따로 없음을 서로 확인한다. 그러므로 올바른 사랑ὁ ὀρθὸς ἔρως이란 시가를 알고 절제를 갖춘 사람답게 단정하고κόσμιος 아름다운 것을 사랑하는 것인 한, 올바른 사랑을 그 어떤 광적이거나 무절제 같은 것에다 갖다 붙여선 안 된다고 말한다.(403a) 그러므로 사랑하는 자ἐραστής와 소년 애인παιδικὰ이 서로 올바르게 사랑하고 사랑받는다면 결코 그런 쾌락에 관여해서는 안 된다고 소크라테스는 말한다. 그리고 이에 따라 지금 수립되고 있는 나라에서는 아래와 같이 입법해야νομοθετέω할 것이라고 말한다. 즉 “소년을 사랑하는 자가 소년 애인을 설득할 때는ἐὰν πείθῃ 마치 자식을 대하듯 선의χάρις로 사랑하고φιλεῖν 같이 지내며συνεῖναι 어루만져야ἅπτεσθαι 하며 그밖에 다른 일로도 그 이상의 관계로 보이지 않는 선에서 상대와 사귀어야 한다ὁμιλεῖν.(403b) 그리고 이를 어길 경우 시가에 무지하고ἀμουσία 아름다움을 모르는 사람ἀπειροκαλία으로 비난ψόγος을 받게 해야 한다.” 소크라테스는 이로써 시가에 관한 논의ὁ περὶ μουσικῆς λόγος가 끝맺어야 할 곳에서 끝맺음을 본 것 같다고 말하고 아마도 ‘시가의 문제’τὰ μουσικὰ는 ‘아름다움에 대한 사랑의 문제’τὰ τοῦ καλοῦ ἐρωτικά로 끝나야만 할 것 같다는 말로 376e부터 시작된 시가 교육에 관한 긴 논의를 모두 마무리 한다.(403c)

—————————-

 

* 플라톤이 영혼 속에 있는 성품과 외모 그리고 원형에 대해 언급하면서 그것들이 원형에 관여하고 있다면 원형을 볼 수 있는 사람에게 이는 가장 아름다운 광경이자 가장 사랑스러운 것이고 시가에 밝은 사람이 사랑하는 사람이라고 말하자 글라우콘은 자기는 신체적 결함이 있더라도 영혼이 온전하면 참고 사랑할 것이라고 말함으로써 자신이 외모가 떨어지는 소년과 소년애 관계에 있음을 내비친다. 아마도 이것은 자신을 시가에 밝은 사람이라고 말한 소크라테스를 의식해서 지레 변명하듯 나온 고백일 것이다. 그런데 플라톤은 지금 수립되고 있는 나라에서 소년애와 관련하여 아래와 같은 내용을 입법해야한다고까지 말할 정도로 당시 육체적 관계를 당연시 했던 소년애에 대해 극히 비판적인 견해를 견지하고 있다. 즉, 플라톤에게 올바른 소년애란 육체적인 쾌락과 무관한 것이며 마치 자식을 대하듯 선의로 사랑하고 같이 지내며 어루만져야 하며 그 이상의 관계로 나아가서는 안 된다. <향연>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소크라테스는 알키비아데스의 구애를 철저히 물리치면서 오직 철학적 가르침으로 일관하고 있다. 실제로 <향연>에서 플라톤은 디오티마의 입을 빌려 지혜를 향한 에로스의 치열한 여정을 아주 깊이 있게 그려내고 있는데(205e-212a) 특히 마지막 단계에서 아름다움 자체를 알게 되는 과정은 앞서도 언급하였듯이 마치 불가의 수도승이 교(敎)와 선(禪)을 아우르며 치열하고도 고뇌에 찬 구도의 길을 걷다가 마침내 깨달음에 이르는 것과 같은 극적 희열과 감동을 우리에게 안겨 준다. 이곳에서 플라톤이 언급하고 있듯이 시가의 문제는 ‘아름다움에 대한 사랑’의 문제이고 그러한 사랑을 토대로 이루어지는 궁극적인 문제, 즉 철학의 문제는 ‘지혜에 대한 사랑’의 문제인 것이다.

* 한편 사람들은 종종 플라토닉 러브’(platonic love)의 의미를 이와 같은 소년애에서 육체적인 관계를 부정하는 태도를 일컫는 것으로 잘못 한정하여 이해하고 있다. 그러나 ‘플라토닉 러브’는 육체적 관계 자체를 부정하느냐 않느냐에 상관없이 다만 사랑은 어떤 형태의 사랑이건 간에 ‘지혜에 대한 사랑’에 바탕을 두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플라토닉 러브는 앞서 ‘지혜를 열망하는 에로스’ 즉 철학인 것이다. 지혜를 열망하는 에로스는 진정으로 그것을 열망하는 한, 육체적 쾌락조차 절제의 덕과 조화를 이루면서 지혜를 고양하는 동력의 하나로 승화된다.

* 이로써 제법 많은 분량을 할애하여 전개되었던 시가 교육에 관한 논의가 시가 교육의 목적과 관련한 논의를 끝으로 모두 마무리 되고 이어서 체육 교육에 대한 논의가 새롭게 시작된다.

 

<참고> 이 글은 3월 19일 새벽에 처음 올린 글의 일부를 고쳐 3월 19일 밤에 다시 올린 것이다.


 

내가 자본론을 공부하는 이유(자본론 에세이1) [내가 읽는 『자본론』]

사회학과 철학을 공부하는 세 명의 대학생이 『자본론』을 읽기 위해 모였다. 지금까지 살면서 보고 느끼고 생각한 것들이 『자본론』을 읽으며 더 선명해지고 확실해졌다. 앞으로 『자본론』을 읽으며 읽은 내용이나 이들에게 남은 살아있는 얘기들을 자유로운 형식으로 남기려한다.

 

 

내가 자본론을 공부하는 이유

 

김보경(경희대 사회학과)

 

  모든 일은 내가 초등학교 5학년 때 시작되었다. 어린 시절을 독일에서 보낸 나는 2008년에 가족과 함께 한국으로 돌아왔다. 담임선생님께서는 교실 앞에 앉아 우리에게 동화책을 읽어주셨고, 우리의 시험은 우리만의 동화를 써서 내는 거였다. 이렇듯, 맨날 숲에서 뛰어놀고, 흙 놀이를 하며 나무를 타다가 한국의 초등학교에 적응하는 것은 만만치 않았다. 첫 중간고사 광경은 나한테 신기한 경험이었다. 시험을 볼 때 우리는 가림판을 책상 가운데에 세워놔야 했고, 옆 반 담임선생님이 우리 반 시험감독으로 들어오셨다. 시험은 아주 엄격한 일종의 경건함 속에서 이루어졌다. 중간고사가 끝나고 복도에서 쉬고 있는데, 그 당시에 제일 친하게 지냈던 지희가 내게로 왔다. 지희는 배실배실 웃으면서 “보경아, 우리 같이 63빌딩에서 뛰어내릴래?”하고 물어봤다. 깜짝 놀라 도대체 무슨 일이냐고 물었더니 중간고사를 망해서 그렇다고 한다. 농담처럼 웃으면서 했던 그 친구의 말과 표정은 아직도 쉬이 잊혀지지 않는다. 우리는 겨우 12살이었다. 우리 사회에 뭔가가 대단히 잘못되었다는 것을 알게 된 순간이었다.

 

  중학교에 올라와서는, 쉬는 시간에도 수학의 정석을 푸는 애들을 보면서 괴물이라고 생각했다. 나와 같이 어엿한 청소년기를 지나고 있는 독일의 친구들은 수영을 배우고, 숲으로 현장학습을 나가며 시 쓰는 법을 배우면서 한층 더 자유로워졌다. 하지만 한국의 나는 의자에 꼭 붙어서 떨어질 수가 없었다. 떨어지는 순간 엄청난 공포와 불안감이 엄습했기 때문이다. 사춘기의 불안함과 좋은 고등학교에 진학해야 한다는 조급함이 맞물리면서 친구들은 서로 경쟁하기 시작했다. 친구에게 노트필기 하나 보여주지 않는 치사함, 등수와 내신 등급에 대한 사소한 거짓말들, 그리고 질투가 다분했다. 제일 친했던 친구는 나한테 “너 그렇게 살다가 좋은 대학 못가.”라는 말을 밥 먹듯 했다. 나는 공부를 못해서 돈을 내고 방과 후 수업을 들어야했는데, 어떤 아이들은 ‘특별반’에서 심화 수업을 들었다. 창문 너머로 본 아이들은 지쳐있었지만, 다른 아이들과 섞이면 왠지 당당하고 반짝였다. 저렇게 똑똑해져만 가는 친구들을 언제 따라잡나 싶었다. 정말 내 인생은 망하게 될까? 전교 135등이라는 내 등수는 지지리도 나를 괴롭히고 우울 속으로 몰아넣었다. 초등학교 5학년 때 정신병원에 다녀야 했고, 고등학생이 되기 전까지도 불안증에 시달려야 했다. 어른들은 일하느라, 친구들은 공부하느라 바빴다. 모두들 삶을 살아가는 것이 아니라 살아‘내는’ 듯했다. 외로웠다.

 

  고등학교는 혁신학교에 다녔는데, 사실 학교가 나한테 큰 영향을 끼쳤다고 할 수 있다. 처음에는 혁신학교가 내가 원했던 고등학교가 아니어서(나는 독일어를 배우기 위해 외국어 고등학교나 ‘좋은 대학’에 가기 위해 자율형 사립고등학교에 가고 싶었다) 중학교 졸업식 날 배정표를 받을 때 친구들과 함께 엉엉 울고 난리를 쳤다. 거짓말 안 하고 그 학교에 배정받은 모든 아이들이 울음을 터뜨렸다. 졸업식 때는 슬퍼서 울어야 하는데, 우리는 중학교 3년이 끝나는 걸 아쉬워할 겨를도 없이 걱정만 했다. 그 당시 설립된 지 1년밖에 되지 않았던 혁신학교는 날라리들이 많고 공부 못하는 애들만 가는 학교라서 거길 가면 인생이 망한다는 소문이 자자했다. 그래서 실제로 많은 입학생들이 1년 내로 전학을 갔다. 하지만 첫 수업시간, 사회과목 선생님께서 박하사탕 한 봉지를 들고 오셨다. 사탕을 하나하나 까서 학생들 입에 넣어주셨다. ‘서로 사랑하는 사이가 되어보자.’라고 하셨던 것 같다. 그것은 좋은 징조였다.

 

  나는 혁신학교에 다니면서, 세상에는 종이 위에 찍히는 성적표 말고도 중요한 가치가 많다는 것을 차차 알게 되었다. NGO 동아리에 들어가서 공정무역과 시민단체에 대해 배우며 따뜻한 가슴을 배우지 못하면 학교에서 배우는 다른 모든 것들은 좋은 세상을 만드는데 별 소용이 없다는 걸 깨달았다. 대학이 삶의 전부가 되어서는 안 되며, 모든 사람은 자기만의 방식으로 예쁘다는 것도 배웠다. 학교에서 ‘날라리’라고 낙인찍어 소외시키는 애들은 그 누구보다 생각과 고민이 깊은 아이들이었다. 한 친구는 종이를 별모양으로 오리더니 “너는 별처럼 빛나는 사람이 될 거야.”라고 적어서 나에게 줬다. 그 별은 아직도 내 일기장에 붙어있다. 공부를 잘하든, 잘하지 못하든 선생님들께서는 우리를 사랑해주셨고, 한 학생이라도 뒤처지는 일이 없도록 정말 많이 노력해 주셨다. 그 덕에 학생들도 나뉘지 않고, 함께 어울려 생활하고 놀았다. 옆 학교가 소위 ‘좋은 대학’에 진학한 학생들의 이름만 현수막에 내걸 때, 우리 학교는 전교생의 이름이 적힌 거대한 무지개색깔 현수막을 달고 졸업식을 진행했다. 졸업식 때 하는 수상도, 전교생이 각자 하나의 상을 받을 수 있게끔 기획했다. 나는 ‘미스코리아상’을 받았다. 예뻐서가 아니라 세계를 평화롭게 하라고.

팽목항 세월호 리본, 출처: pixabay

  나의 학창시절이 이대로만 마무리되었다면 아마 『자본론』을 읽지 않았을 것이다. 하지만 불행하게도 내가 고등학교 2학년 때 세월호 사건이 발생했다. 2014년 4월 16일, 일과를 마치고 집에 와 뉴스를 보고 있었는데, 세월호가 침몰했으나 전원 구조됐다고 했다. 안심했었다. 하지만 다음 날 아침에 일어나보니 사실이 아니었다. 주로 희생된 사람들은 동갑내기 또래들이었다. 하지만 수많은 증거가 제시하듯 그 어떤 구조도 이루어지지 않았고, 통신내용 조작도 이루어졌으며 대통령은 7시간 동안 부재했다. 이마저 빙산의 일각일 뿐이었다. 어떤 사람들은 세월호 사건에 관심을 두고 분노하는 사람들을 좌파라고 하지만, 그 당시 나는 좌파도 우파도 아니었다. 사람들이 죽었기 때문에 슬펐을 뿐이고, 구조되지 못했던 게 아니라 구조되지 않았던 것이기에 분노했을 뿐이다. 가슴이 아픈 사람들이 좌파라면, 나는 기꺼이 한 명의 좌파가 되겠다고 생각했다.

 

  이 사건은 내 삶과 모든 가치관을 540° 뒤집어 놓았다. 그 이후로 나는 삐딱해져 제자리로 돌아오지 못했다. 세월호 사건은 내 마음에 일종의 공포심과 조급함을 심었다. 이것 때문에 때로는 숨을 제대로 쉬는 것도 힘들었다. 세월호 사건 이후에 정부가 보인 모습들, 그리고 사회의 일부가 취한 행동들(일베의 어묵 먹기나, 폭식 투쟁, 어버이 연합의 시위와 같은)은 17살 머리로 전혀 이해할 수 없는 것들이었다. 하루는 광화문 광장을 지나가다 한 무리가 작은 집회를 열고 있기에 ‘세월호 사건의 희생자들을 기리나보다’하고는 가까이 가서 봤는데 어버이 연합이었다. 그 사람들은 머리에 빨간 띠를 두르고 유가족들에 대해 차마 입에 담을 수 없는 말들을 하고 있었다. 그리고 그들은 일절 팔을 45도 위로 쭈욱 뻗더니(나치가 연상되었다), 함께 “대한민국 만세!”를 외쳤다. 눈에 보이는 걸 믿을 수가 없었다. 몸이 떨리고 가슴이 미어졌다. 자식이 있어 본 적 없는 나도 이렇게 아픈데 저 사람들은 도대체 왜 아프지 않은 걸까.

 

  아무도 믿지 않겠지만, 그 자리에 서 있었던 나는 순진했다. 지금이야 그런 장면들을 마주칠 때 그러려니 하고 말지만, 그때는 아니었다. 애니메이션 같은 데서 보면 푸르른 하늘과 녹음으로 둘러싸인 아름다운 성이 마녀의 저주에 의해 회색으로 변하고 식물들이 죽어 나가는 장면들이 있다. 나에게 세월호 사건은 그런 사건이었다. 삶이 사건 이전과 이후로 나뉘었다. 그리고 다시는 그 이전의 상태로 돌아갈 수 없다는 것을 알았다.

 

  이 사건을 겪으니까 그전에는 몰랐던 많은 것들이 눈에 들어오기 시작했다. 쌍용 자동차 부당해고 사건이 눈에 들어오기 시작했고, 월세를 못 내, 그것도 자기 피붙이들과 스스로 목숨을 끊는 사람들도 눈에 들어왔고 삼성 반도체 백혈병 피해자들도 눈에 들어왔다. 전쟁 난민과 아파도 치료비가 없어 치료를 받지 못하는 사람들, 수치화되는 중요한 모든 무형의 것들, 교육을 둘러싼 허무한 정치적 싸움들, 사회가 손을 잡아주지 못한 사람들을 봤다. 그리고 그런 사회를 정당화시키는 정치를 봤다. 자연스럽게 모든 것에 대해 ‘왜?’라는 질문이 내 머릿속을 후비고 다니기 시작했다. 왜 우리의 삶은 이 모양인가?

 

  어처구니없는 이 사회를 만들어낸 원인들은 여럿이 있겠지만, 초등학생 때부터 목격해 온 불행의 파편들에 대해 고민하면서 내가 어렴풋이 내린 커다란 결론은 ‘자본주의사회’였다. 그것 말고는 우리가 이토록 고독해지고 치열한 삶을 사는 이유를 찾을 수 없었다. 교육의 문제, 노동의 문제, 불평등의 문제, 복지와 권리의 문제, 심지어 인간의 외로움마저 모든 것은 결국 자본과 연결되었다. 화폐로 인해 우리 삶은 풍요롭고 간단해졌지만, 그것은 점점 거대해지면서 건드려서는 안 될 영역들을 침범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그것의 결과가 지금 우리의 세상이다.

 

  나는 어린 마음에 장밋빛 혁명을 꿈꾸기도 했다. 혁명은 쉬워보였다. 영화 ‘레미제라블’에서 나오는 것처럼 수천 명의 학생을 모으고 서울 시내에 바리케이드를 세우자. 대학에 들어가면 운동권에 들어가서 자본주의와 불평등 교육의 뿌리를 뽑고 사람이 아프지 않은 사회를 만들자! 이렇게 다짐했다. 정말 쉬울 줄 알았다. 물론 그때 내가 마르크스에 대해 아는 거라곤 사실 ‘자본’ 그리고 ‘혁명’과 같은 키워드뿐이었다. 하지만 그것만으로도 나는 벌써 마르크스를 사랑했고, 마르크스가 알고 보니 아주 추악한 사람이라는 것을 발견하게 되더라도 사랑해야겠다고 생각했다. —물론 마르크스는 스스로 자신은 ‘맑시스트’가 아니라고 했고, 대학에 다니면서 맑시스트라고 주장하는 사람들 대부분이 허세 가득한 얼간이라는 걸 알고 실망하긴 했지만— 문제가 있다고 생각되는 세상을 바꾸기 위해서는 먼저, 그 문제를 잘 파악하는 게 1순위라고 생각했다. 그래서 대학생이 되고 『자본론』을 정말 읽기 시작했다. 『자본론』을 손에 잡은 것은 가슴이 더는 아프지 않기 위한 발악이자, 이걸 읽으면 세상을 바꿀 수 있을 거라는 작은 믿음이었다.

 

  지금은 여느 사람과 마찬가지로 삶에 찌든 대학생일 뿐이다. 세상을 바꾼다고 대학에 왔지만 오히려 그 세상과 점점 괴리되는 아이러니도 겪는 중이다. 머리에 든 건 많아졌지만, 무기력도 그만큼 일상이 되었다. 배운 대로 살기란 쉽지 않다. 공부는 심지어 이가 알 낳듯, 마음에다가 얄궂은 오만을 낳는다. 게다가 무뎌진 탓에 ‘세상이 정말 그렇게 잘못됐나?’ 싶을 때도 있다. 하지만 이러한 생각들에 머물러서는 안 된다는 걸 잘 안다. 나와 이 글을 읽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가슴의 통증이 이젠 식었을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누군가가 진짜 사랑은 강렬했던 첫사랑 이후의 잔잔한 바다와 같은 사랑이라고 했다. 마르크스도 그렇다. 마르크스가 병적이라고 할 수 있을 만큼 치밀하게 분석했던 자본, 그런 그의 사투에서 나는 여전히 작은 희망을 본다. 고민조차 하지 않으면 정말로 아무것도 바뀌지 않을 것이다. 마르크스가 살았던 시대와 우리의 시대 사이에는 물론 많은 변화가 있었지만, 변하지 않은 것들도 있다. 자본이 증식하는 속도나 방법들은 변했지만, 그것이 우리의 삶을 비집고 들어와 일상을 미묘하게 지배하고 있는 방식은 비슷하다. 그 연결고리들을 찾기 위해 노력하며 『자본론』을 읽기 시작했고, 이것들을 알아가면서 비록 내가 혁명은 일으키지 못할지언정 나의 삶과 내 주변은 바꿔나갈 수 있길 희망한다. 뭉뚝하되 꾸준한 가슴으로.

열 번째 시간, 두려움: 어둠을 지날 때 [시가 필요한 시간]

열 번째 시간, 두려움: 어둠을 지날 때

 

마리횬

 

안녕하세요, 시가 필요한 시간입니다. 우리는 요즘 서로 거리를 두어야만 하고, 불필요한 외출도 삼가야만 하는 유례없는 시간을 살아내고 있습니다. 모두가 예민하고 불안하죠. 매일 TV와 신문을 뒤덮는 뉴스들에 촉각을 세우게 됩니다.

지금 우리가 가장 강하게 느끼고 있는 감정이 아무래도 ‘두려움’이 아닐까 생각되는데요, 두려움에 정복당하지 않고 그 두려움을 극복할 수 있는 힘이 될 시를 여러분과 함께 나눠보고 싶습니다. 바로 박노해 시인의 <그러니 그대 사라지지 말아라>라는 시입니다.

박노해 시인의 프로필을 찾아보시면 시인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 수 있는데요, 박노해 시인은 군사정권 때에 반국가단체 활동을 했다는 혐의로 수감되었다가, 1998년 김대중대통령의 특별사면을 통해서 석방된 시인입니다. 그 이후 시인은 시집 출간을 뒤로하고 약 12년 동안 아프리카, 중동 등 세계의 빈곤 지역과 분쟁 현장을 돌면서 사진과 시를 남기는 활동을 시작했고, 그 시들을 모아서 12년 만에 신작으로 출간한 시집이 바로 ‘그러니 그대 사라지지 말아라’라는 제목의 시집이었습니다. 오늘 소개해 드릴 시는 동명의 시집에 실린 시 <그러니 그대 사라지지 말아라>입니다.

 

그러니 그대 사라지지 말아라

                                          박노해

 

안데스 산맥의 만년설산
가장 높고 깊은 곳에 사는
께로족 마을을 찾아가는 길에

희박한 공기는 열 걸음만 걸어도 숨이 차고
발길에 떨어지는 돌들이 아찔한 벼랑을 구르며
태초의 정적을 깨트리는 칠흑 같은 밤의 고원

어둠이 이토록 무겁고 두텁고 무서운 것이었던가
추위와 탈진으로 주저앉아 죽음의 공포가 엄습할 때

신기루인가
멀리 만년설 봉우리 사이로
희미한 불빛 하나

산 것이다

어둠 속에 길을 잃은 우리를 부르는
께로족 청년의 호롱불 하나

이렇게 어둠이 크고 깊은 설산의 밤일지라도
빛은 저 작고 희미한 등불 하나로 충분했다

지금 세계가 칠흑처럼 어둡고
길 잃은 희망들이 숨이 죽어가도
단지 언뜻 비추는 불빛 하나만 살아 있다면
우리는 아직 끝나지 않을 것이다

세계 속에는 어둠이 이해할 수 없는
빛이 있다는 걸 나는 알고 있다
거대한 악이 이해할 수 없는 선이
야만이 이해할 수 없는 인간정신이
패배와 절망이 이해할 수 없는 희망이
깜박이고 있다는 걸 나는 알고 있다

그토록 강력하고 집요한 악의 정신이 지배해도
자기 영혼을 잃지 않고 희미한 등불로 서 있는 사람
어디를 둘러보아도 희망이 보이지 않는 시대에
무력할지라도 끝끝내 꺾여지지 않는 최후의 사람

최후의 한 사람은 최초의 한 사람이기에
희망은 단 한 사람이면 충분한 것이다

세계의 모든 어둠과 악이 총동원되었어도
결코 굴복시킬 수 없는 한 사람이 살아 있다면
저들은 총체적으로 실패하고 패배한 것이다

삶은 기적이다
인간은 신비이다
희망은 불멸이다

그대, 희미한 불빛만 살아 있다면

그러니 그대 사라지지 말아라

 

네, 박노해 시인의 시 <그러니 그대 사라지지 말아라> 들어봤습니다. 메시지의 울림이 큰 시죠. 시인이 직접 경험했던 사건을 시로 표현한 것이어서 그런지, 한 장면 한 장면이 눈 앞에 그려지는 것 같습니다.

 

칠흑 같은 어둠이 뒤덮인 산속을 혼자 가고 있다고 한 번 상상해 볼까요? 앞도 잘 보이지 않아 두려운 마음으로 발걸음을 천천히 내딛는데, 저 멀리서 작은 불빛이 하나 나타난다면..! 얼마나 반갑고 기쁠까요? ‘나는 이제 죽었구나..’ 하던 찰나에 나타난 불빛은, 아무리 작고 희미하더라도 그 순간 그 어떤 빛보다도 더 강렬하고 강력한 생명의 빛으로 다가올 겁니다.

우리의 인생에도 어둡고 두려운 때가 분명 있습니다. 지금 우리가 겪고 있는, 언제 끝날지 모르는 이 코로나19사태 뿐만 아니라, 그 동안 겪어왔던 어떤 인간관계의 문제, 학업의 문제, 취업, 경제상황, 가정문제 등 답답한 사건들 앞에서 ‘내 인생은 왜 이렇지?’ ‘난 어디에서부터 다시 시작해야 하는 거지?’ 하고 고민하는 분들이 있을 겁니다. 누군가는 돈이 없어서, 누군가는 나이가 너무 많아서 또 누군가는 자신감이 부족해서 등등, 각자 자신의 능력의 한계점을 만나고, 그것 때문에 한 걸음도 내딛지 못하는 암흑과도 같은 상황을 만날 때도 있을 겁니다.

그런데 이 시에서 시인은 당장 해결되지 않을 것만 같았던 어둠, 나를 짓누르는 그 커다란 두려움을 이기기 위해 내게 필요했던 것이 결코 거대한 어떤 것이 아니었음을, 그저 작은 불빛 하나만으로도 충분히 그 두려움을 이겨낼 수 있었음을 눈 앞에서 깨닫고 있습니다.

 

어둠 속에 길을 잃은 우리를 부르는
께로족 청년의 호롱불 하나

이렇게 어둠이 크고 깊은 설산의 밤일지라도
빛은 저 작고 희미한 등불 하나로 충분했다

 

그런데 우연히 등불을 들고 그 길에 있었던 케로족 청년은 자신의 등불이 누군가에게 이렇게 큰 의미가 될 줄 알았을까요? 아마 전혀 예상하지 못했을 겁니다.

청년의 불빛은 겨우 주변 1미터 반경 정도만 밝힐 법한 희미한 호롱불에 불과했죠. 호롱불을 가지고 숲의 어둠을 다 밝히기에는 턱없이 부족하니, 어쩌면 케로족 청년도 덜덜 떨면서 그 자리에 있었을지도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분명한 것은, 청년이 그 등불을 갖고 그 자리에 서 있었기 때문에 절망에 빠져있던 한 사람을 지켜낼 수 있었다는 것입니다.

 

지금 세계가 칠흑처럼 어둡고
길 잃은 희망들이 숨이 죽어가도
단지 언뜻 비추는 불빛 하나만 살아 있다면
우리는 아직 끝나지 않을 것이다

제가 이 시를 처음 읽었을 때가 2017년이었는데요, 한국에서는 국정농단 사건과 대통령 탄핵이 벌어지고 있었고, 당시 저는 호주에서 거주하고 있었습니다. 그렇지 않아도 호주와 비교되는 비효율적이고 공평하지 않은 우리나라의 사회 시스템을 보며 답답한 마음이 들던 차에, 국정농단 사건까지 터지면서.. ‘앞으로 우리나라는 어떻게 될 것인가’, ‘어디서부터 바로잡아야 할까’ 실망하고 절망했던 시기가 있었습니다. 그 때 이 시를 읽고 스스로 많은 힘을 얻었던 기억이 납니다. 그 때는 ‘결코 굴복시킬 수 없는 한 사람이 살아 있다면/저들은 총체적으로 실패하고 패배한 것이다’라는 메시지와 함께 ‘우리는 아직 끝나지 않을 것이다’라는 큰 메시지를 읽고 감동을 받았었죠.

여러분은 이 시에서 어떤 메시지를 읽으셨나요?

저는 이번에 다시 한 번 이 시를 읽으면서, ‘나의 등불’을 가지고 그 자리에 서 있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가 라는 것을 다시 생각해보게 되었습니다.

나의 ‘등불’이란 뭘까요? ‘내가 가지고 있는 어떤 것’이라고 생각해 볼 때, 나의 ‘지식’일 수도 있고, 내가 가진 ‘물적 재산’, 나의 ‘경험’, 혹은 나의 ‘능력’ 등이 될 수 있을 겁니다. 또 ‘내가 맡은 어떤 사명’이라고 생각해 볼 때, 각자가 맡은 직업이나 역할, 각자가 지켜야 할 규칙이 될 수도 있겠죠. 내 눈으로 볼 때는 그것이 보잘것없고 별 것 아닌 것으로 여겨질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그것을 가지고 내 자리에 서 있을 때, 케로족 청년의 ‘희미한 빛’이 박노해 시인에게 ‘희망의 빛’이 되어 준 것처럼, 나의 작은 ‘등불’이 어둠 속에 두려워하고 있을 누군가에게 생명의 빛이 되어줄 수 있지 않을까요?

 

그토록 강력하고 집요한 악의 정신이 지배해도
자기 영혼을 잃지 않고 희미한 등불로 서 있는 사람
어디를 둘러보아도 희망이 보이지 않는 시대에
무력할지라도 끝끝내 꺾여지지 않는 최후의 사람

최후의 한 사람은 최초의 한 사람이기에
희망은 단 한 사람이면 충분한 것이다

 

이 시의 표현처럼 어디를 둘러보아도 희망이 보이지 않을 때에, 만약 여러분이 희미한 등불로라도 자기 영혼을 잃지 않고 서 있는다면, 끝내 꺾여지지 않을 한 사람으로 존재해 준다면, 바로 여러분이 희망이 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리고 그렇게 모두가 각자의 자리에 서 있을 수 있다면, 우리의 희미한 등불은 어둠을 이길만한 넉넉한 빛이 될 겁니다. 그렇기에 시인은 말합니다. 그러니 그대 사라지지 말아라. 그대가 아무리 작은 불빛이더라도.

 

삶은 기적이다
인간은 신비이다
희망은 불멸이다

그대, 희미한 불빛만 살아 있다면

그러니 그대 사라지지 말아라

 

나의 등불이 희미해 보이나요? 그렇다고 해서 포기하거나 낙담하지 않으셨으면 좋겠고, 무엇보다도 여러분의 자리에서 나만의 등불을 밝히고 그 자리에 ‘서 있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다시 한번 생각해 봤으면 좋겠습니다. 오늘도 여러분의 등불을 밝히십시오. 여러분의 불빛이 어둠에 갇혀있는 누군가에게는 희망이요 생명의 빛이 될 수 있습니다.

지금처럼 모두가 힘들고 어려운 이 시기에, 서로를 향한 격려와 사랑의 말을 건네는 것도 칠흑 같은 어둠에서의 밝은 불빛이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해 봅니다. 이럴 때 일수록 직접 얼굴을 마주하지 못하는 만큼, 마음으로 서로에 대한 관심과 격려를 더 쏟아야 하지 않을까, 더욱 열심히 전화와 메시지로 서로의 안부를 물어야 할 때가 아닌가 생각이 됩니다.

삶은 기적이고, 인간은 신비이고, 희망은 불멸이다! 이 시의 메시지 기억하시면서, 요즘처럼 응원이 필요하고 격려가 필요한 시기에 곁에 있는 누군가와 함께 이 시를 나눠보면 어떨까요.

이 시와 함께 들으면 좋을 노래로 연주곡을 하나 가져왔어요. 제가 개인적으로 굉장히 좋아하는 밴드의 음악입니다. 레비 파티(Levi Party)의 <아픔을 지날 때>라는 곡인데요, 반노네온 연주자인 고상지 씨가 함께 협연한 곡이기도 합니다. 박노해 시인이 ‘어둠을 지날 때’ 만났던 작은 빛처럼, 지금 혹여 아픔을 지나고 계신 분들, 어둠을 지나고 계신 분들 계시다면, 이 곡이 그 분들께 작은 빛이 되었으면 좋겠다는 마음으로 함께 듣고 싶습니다. 그럼, 저는 2주 후에 또 다른 시와 음악으로 찾아오겠습니다. 힘내시고, 건강 유의하세요!

 

레비 파티 – 아픔을 지날 때https://youtu.be/qopL0sBi60g


필자 마리횬

아이폰 팟케스트 <마리횬의 시와 음악공간(2012)>에서 러시아의 시와 노래를 직접 번역하여 소개하는 방송을 진행하였고, 호주 퀸즐랜드주 유일의 한인라디오방송국에서 시를 읽고 생각을 나누는 <시가 필요한 시간(2016-2018)>을 진행하며 많은 사랑을 받았다. 연세대학교에서 노어노문학을 전공하였고, 현재 동대학원에서 러시아 문학을 공부하고 있다.  

벤야민과 만화 – 폐허 산책하기 1편: 서론. ‘유시민/진중권’과 ‘웹툰 <덴마>’라는 새해의 두 폐허와, 역사의 두 천사 [여기가 로도스다, 춤추자!]

벤야민과 만화 – 폐허 산책하기 1편: 서론.

‘유시민/진중권’과 ‘웹툰 <덴마>’라는 새해의 두 폐허와, 역사의 두 천사 2020.02.29.

 

이상하(한철연 회원)

 

1.

누구나 1월 1일 새해엔 또 좋은 일이 있을 거라 믿으며 ‘해피 뉴 이어’를 외치고 새해의 소원을 비는 신성한 제의를 하기 마련이다. 이제 2020년이라는 나름 기념비적인 새해가 찾아온 지도 벌써 두 달이 지나가고 있고, 이젠 운동이든 공부든 무엇이든 새해에 빌었던 소원과 결심이 다소 흐트러지거나 무너져도 이상하지 않을 즈음이 되었다. 하지만 나는 올해에 새해 소원이 무너지거나 포기할 일 자체가 없었다. 내가 마음을 굳건히 먹고 소원을 달성키 위해 온몸으로 실천해서가 아니라, 새해 첫날부터 황량한 두 폐허를 목격하게 되면서 새해에 대한 희망이나 소원 자체를 가지기 어려웠기 때문이다. 자칫 올해도 소원 따위 마음먹고 기대해봐야 마음만 다치고 작년과 비슷하게 뻔한 반복이 되는 건 아닐까 하는, 그런 공포심리가 악몽같이 나를 짓누른 것이다.

이렇게나 나의 마음을 피폐하게 만든 새해 첫날의 두 폐허란, 첫 번째로 새해기념 ‘100분 토론’이었다. 유시민과 진중권은 한때 나뿐만 아니라 스스로 진보를 자처하고 실천하려는 상당한 숫자의 사람들이 진보의 아이콘으로 여겼던, 아니 더 과격하게 말해서 진보적 시민들의 아이돌이었다. 유시민의 책 『거꾸로 보는 세계사』나 진중권의 『미학 오디세이』를 어린 시절에 읽고서 세상을 기존 시점과 좀 다르게 봐야겠다는 마음을 품기 시작했던 사람들이 한국에서 수십만 명 이상일 것이고, 그 사람들은 지속적으로 독서 시장에서도 유시민과 진중권의 신간을 소비해 왔다. 그러나 한때 같은 진보정당에 소속되어 노유진의 정치카페 같은 인기 팟캐스트를 진행하기도 했던 이 대중 지식인들은, 작년 조국 사태에서부터 완전히 갈라섰다. 물론 여기까지는 수많은 운동과 진보의 역사를 두고 보면 그리 특별할 일은 아니다. 같은 정당이어도 정파는 다를 수 있고 추구하는 노선은 당연히 더더욱 다를 수 있으니까. 분열은 어쩌면 진보가 살아 있다는 증거라고도 볼 수 있기에.

허나 이 유시민/진중권의 갈등이 극에 달해 폭발한 새해 토론은 이 둘의 갈등이 진보 운동의 노선 차이나 목표하는 이상의 차이와는 다른 것임을 명백히 드러냈다. 한때 자기 소속 정당의 보수성에 비판과 쓴소리를 아끼지 않았고, 국회에 정장이 아닌 청바지를 입고 입장하는 파격으로 신선했었던 정치인 유시민은 이제 죽었고, 남은 건 오로지 노무현-문재인 계파의 돌격대장 또는 대변인으로서 자기편에 불리한 건에 대해선 침묵하거나 감추기 급급하고 자기 외의 다른 편은 다 나쁜 놈이라는 진영논리의 함정에 빠져버린, 자기 자신의 표현대로 그야말로 어용 지식인의 한계를 유시민은 낱낱이 보여줬다. 진중권 또한, 10년 전에는 영화 <디 워>에 대한 비평 논란이나 황우석의 거짓 논문에 대한 폭로 국면에서 수많은 국민이 자신을 비난하더라도 결코 물러서지 않고 자신의 비판적 입장을 지속하는, 사르트르가 말한 ‘자기의 일이 아닌 일에도 옳지 않다며 참견하는 지식인’다운 일기당천의 모습을 보여준 바 있다. 하지만 이 새해기념 100분 토론에서 보여준 진중권의 모습은, 교수라는 직위와 기득권을 억울하게 빼앗겼다면서 자신을 비판한 대중을 그저 스스로 생각 못 하는 홍위병으로 몰아붙이고 비하하는 엘리트주의자의 실망스러운 모습이었다. 심지어 토론 도중에 상대방 말 끊기를 하는 등 기본적인 매너도 최악인, 그야말로 이게 토론인가 싶은 황량한 폐허를 새해 첫날부터 목격해버렸다. 그리고 이 첫 번째 폐허에서 난 평소 안식 또는 구원으로 여겨온 만화의 세계로 도피하려 했으나, 곧이어 네이버 웹툰에서도 또 하나의 망한 댓글의 잔해로 가득한 폐허를 보았다. 바로 10년간의 연재 끝에 완결 없이 완결 나버린 양영순의 웹툰 <덴마>에 대한 이야기다.

 

 

2.

나의 이 두 폐허라는 감상에 대해서 의문을 표하는 분들도 있을 듯하다. ‘유시민과 진중권은 한때 한국의 진보, 대중 지식인의 아이콘이라 할 수도 있겠지만, 양영순과 <덴마>가 무슨 한국의 문화 예술계의 상징도 아니고, 만화계의 대표라고 말할 정도의 위상인가?’라고 말이다. 90년대 한국에서 서태지를 문화 대통령이라 대중과 언론에서 호명하고, 2000년대 원더걸스와 소녀시대가 걸그룹 춘추전국의 시대를 연 것 같은 영향력과 대표성을 만화계에서 양영순이 가진 적이 있었던가? 물론 양영순의 <덴마>는 단 한 차례도 네이버 요일 웹툰 안에서도 1위를 한 적도 없고 단행본이나 신문연재 부수로 무슨 붉은매처럼 백만 권을 판 전적도 없다. 그러나 유시민과 진중권 또한 이 보수적인 한국 정치판에서, 최장집의 『민주화 이후의 민주주의』 책에서 말하듯 국가의 기원부터 오른쪽으로 기울어진 운동장에서 ‘진보’의 대중적 상징으로 성장하고 널리 활용되었듯이, 양영순도 데뷔작인 성인만화 <누들누드>부터 최근의 스페이스 오페라 <덴마>까지 마이너하고 파격적인 만화 분야에서 하나의 상징으로 기억될 수도 있지 않을까.

더 세게 말해 본다면, 일본 만화체의 아류 또는 표절작이거나 한번 보면 두 번 다시 볼 생각이 안 드는 진부한 학원물로 차고 넘치는 이 한국 만화-웹툰계에서, 스타워즈 시리즈같이 스페이스 오페라라는 마이너 장르로 무려 10년의 장기연재를 해온 양영순에게 나는 무조건적 지지와 응원이 필요하다고 생각해왔다. 방탄 소년단에게 팬덤 아미가 있듯이, 나는 열성적인 양영순의 팬덤, 이른바 ‘덴경대’란 이름의 열성적 독자 중 한 명이었다. <덴마> 작중에 등장하는 ‘백경대’라는 일종의 중세 유럽 영주의 기사 같은 경호원 집단을 패러디한 ‘덴경대’ 독자들은, 양영순 작가의 연재 지각이 계속되자 독자들 스스로 웹툰이 업로드되면 즉시 알려주는 덴경대 어플을 만들기도 하고, 연재 말기에 작가가 그리기 어려운 단체전투 액션 신을 스킵 해버리자 자신들이 직접 액션 신을 그려서 팬사이트에 올리기도 하는 등 단순한 소비자가 아닌 생비자(prosumer) 개념으로 진화하여 2차 창작을 즐기는 충성스러운 독자들이었다.

한국에서 보기 드물게도 웹툰계에서 일종의 컬트 집단이 된 덴경대는 괜히 다른 웹툰 댓글에 가서 이런 수준 낮은 만화 말고 깊이 있는 양영순의 <덴마>를 보라고 무리한 영업을 하는 등 흔한 팬덤의 부작용도 있었지만, 마치 BTS의 팬덤 아미가 단순 소비자가 아니라 2차 창작을 통해 방탄소년단의 음악과 메시지를 전 세계에 공유하고 전파하듯, 분명 한국의 웹툰 소비자들이 진화하고 있다는 명확한 풍경 중 하나였다. 하지만 양영순의 무리한 스토리 진행 및 그동안 깔아둔 수많은 떡밥, 복선에 대한 아무런 수습도 없는 무책임한 완결 덕분에 이 수많은 충성스러운 팬덤 백경대는 완전히 극한의 안티로 돌아서게 되었고, 이제 <덴마>의 댓글란은 그야말로 엉망진창, 댓망진창으로 가득하여 하나의 거대한 폐허더미가 되고 있다. 이 또한 단순히 마음에 들지 않는 상품에 대해서 그저 무시하거나 소비를 중단하는 것이 아닌, 더 적극적으로 소비 파업, 불매 운동을 펼치고 있다고 봐도 무방할 것이다. 추락하는 것에는 날개가 있다고 한 어떤 소설 제목처럼, 양영순과 <덴마>는 독자들에게 하나의 ‘물신’처럼 여겨지며 함부로 비판해서는 안 될 정도로 고평가되었던 만큼 퇴락도 끝이 없는 무저갱처럼 지하의 지하로 떨어졌다.

 

 

3.

지금 시대에 그다지 좋지 않은 비유일 수 있지만, 나에게 이 두 폐허의 풍경은 마치 한때 너무나 사랑했던 첫사랑을 사창가에서 스치듯 다시 만난 듯한 충격이었다. 하지만 이것이 과연 단순히 양영순 혼자만의 과실일까. 물론 양영순은 무책임한 작가로서 자신을 믿어준 독자들에게 백번 사죄해야 마땅하지만, 나는 이것이 단순히 개인의 문제라 생각하지 않는다. <덴마>의 이 형편없는 폐허 같은 완결은 현재 네이버 웹툰을 비롯해 퇴락하고 있는 한국 웹툰계에 대한 하나의 징후 또는 증상이 아닐까. 더이상 신선하면서도 깊이 있는 신작이 나오지 않기에 그저 수익을 위해서 기존의 인기작가를 휴재 후 미리보기 유료연재를 하라고 쥐어짜거나, ‘신과 함께’나 ‘치즈 인 더 트랩’ 같은 예전에 인기 있던 명작을 재연재하는 네이버웹툰. 이는 덩치만 공룡같이 커지고 전 세계로 수출 중이라 자랑하는 이 한국 웹툰계가 내부적으로 매우 부실해졌다는 상징적인 증상이 아닐까 나는 의심해본다. 그리고 이것이 과연 웹툰계만의 일이었나 거꾸로 생각해보게 된다. 영화나 음악 같은 문화 계열뿐만이 아니라 한국경제와 정치야말로 새천년의 지난 20년간 과연 무엇이 새로웠던가. 계속 재탕에 삼탕은 아니었나.

노무현이 권력은 시장으로 넘어갔다고 씁쓸하게 발언한 이후, 부동산 토건 귀족과 재벌 대기업 위주의 한국경제는 정말이지 구조적으로 전혀 변하지 않았고, 한국의 정치 또한 지역주의 정서와 구도는 여전하고 정치인-국회의원을 나를 잘먹고 잘살게 해주는 일종의 먹고사니즘 메시아로 보는 분위기가 팽배하다. 한국이라는 총체적 폐허 속에서 상념에 잠기다가 이쯤 되면 니체의 철학 개념 중 하나인 영원회귀에 대한 가장 비관적이고 악몽스러운 해석이 떠오른다. 수십만 년이 지나도 이 세계는 눈곱만큼도 변하지 않고 그저 어제와 같은 오늘이 내일도 영원히 반복될 것이라는, 삶이란 그저 반복일 뿐이고 어떠한 노력도 실천도 아무런 의미가 없고 미래를 바꾸지 못한다는 극한의 허무주의적 해석이 나를 새해 첫날부터 악몽처럼 짓눌렀다.

그래서 나는 이 반복되는 악몽으로부터 또 한번 도피했다. 새해 정치 토론쇼에서 나의 위안이자 구원이었던 만화의 세계로 도피했듯이, 또 다른 구원이었던 도서관, 독서의 세계로. 그 와중에 우연치 않게 새해의 첫 독서로 독일의 철학자 벤야민의 유언장이자 역사철학이 담겨 있는 『역사의 개념에 대하여』 등 몇 권을 읽었다. 물론 번역서였음에도 그 내용은 쉽지 않았다. 그렇기에 두 권의 해설서를 같이 읽게 되었다. 김진영 선생님의 『희망은 과거에서 온다』와 한상원 선생님의 『앙겔루스 노부스의 시선』 이 두 권의 해설서를 통해 벤야민 속을 이리저리 산책하고 방황하면서, 나는 그저 망해버린 폐허라고 생각했던 새해 첫날의 두 풍경이 그저 폐허나 악몽인 것만은 아니겠다고 다시금 생각해봤다. 이것이 이 글을 시작한, 씁쓸하나 희망적인, 매우 개인적 감상이 많이 첨가된 서론, 첫 시발점이다.

김진영 지음, 『희망은 과거에서 온다』, 포스트카드, 2019. 사진출처: https://image.aladin.co.kr/product/18013/59/cover500/k072534740_1.jpg

 

 

4.

“역사의 시간은 어디로, 어떻게 흘러가고 있는가.

근거없는 천박한 낙관주의와 공허하고 무책임한 허무주의를 넘어,

미래의 구원(희망)이라는 이름으로 과거를 정당화하고

망각하려는 시도들에 맞서 망각에 저항하고 과거를 기억함으로써

미래로 ‘도약’하려는 ‘몫 없는 자들’의 서사를 재구성하려는

역사철학의 가능성은 어디에서부터 찾아질 수 있는가.”

― 한상원 저 『앙겔루스 노부스의 시선』 뒤표지 중에서.

 

“역사가는 과거로부터 희망의 불꽃을 가져와 점화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사람입니다. 우리가 빼앗긴 전통을 회복하고 새로운 미래를 만들기 위해서는 미래의 내 아이들의 얼굴이 아니라 과거의 우리 아버지들과 어머니들의 얼굴을 기억해야만 합니다.”

― 김진영 저 『희망은 과거에서 온다』 뒤표지 중에서.

 

벤야민 같은 특유의 통찰력과 흡입력 있는 문장, 게다가 드라마틱한 인생 여정의 스토리텔링으로 인해 인기 많은 스타 철학자에겐 번역서 못지않게 한국의 해설서도 수십 권이 나와 있지만, 그 중에서도 이 두 권을 고르게 된 것은 이 뒤표지의 문구 덕분이다. 누구나 연말에는 자신을 자책하며 이제 과거는 잊자고 다짐하고, 연초 새해에는 미래엔 새로운 좋은 일이 있을 거라 쉽게 기대한다. 하지만 새해 첫날에 이제 뭔가 좋은 기대를 품으려고 하자마자 내가 보게 된 것은 한때 내가 10년 전부터 오래 아끼고 사랑했던 것이 몰락한 두 거대한 폐허였고, 난 그것들을 이젠 떠나보내고 잊어야 하는지 스스로를 책망하며 크나큰 실망으로 가득 찬 1월을 보냈다. 허나 그건 한상원이 꼬집듯이 근거 없고 천박한 낙관주의와 무책임한 허무주의라는 미래에 대한 두 극단을 내가 겨우 24시간 만에 왕복했을 뿐인지도 모른다. 진정 미래로 도약하기 위해서 필요한 것은, 미래를 위한다는 명분으로 과거를 그저 망각하는 것이 아니라 벤야민을 따라서 망각에 저항하는 회상의 기억 투쟁이 필요할지도 모르는 일이다. 바로 미래가 아니라 과거의 폐허 속에 우리가 잊고 살았던 희망의 불꽃이 잠재되어 있을지도 모르기에.

한상원은 이렇게 역사철학이라는 과거의 기억으로부터 희망을 불러오기 위해 『앙겔루스 노부스의 시선』의 서문 격인 ‘들어가며’에서 ‘역사의 두 천사’를 불러온다. 한 천사는 우리가 흔히 아는 불사의 존재이며 신과 인간을 매개하는, 아우구스티누스가 신국론에서 묘사한 ‘거룩한 천사들’이다. 세속 국가에 사는 인간은 언젠가 신의 왕국에 들어가기 위해서 영원한 미래를 향하는 거룩한 천사의 시선을 따라 현재의 고통과 수난을 끝없이 감내해야만 한다. 왜? 이 고통과 수난들은 신의 왕국이 지상에 도래하는 최후의 순간, 종말의 순간이 오면 모두 보상받거나 가혹한 심판을 받을 것이기에.

한번 지나간 사건은 다시는 역사 속에서 반복되지 않고 오로지 미래를 향해서 직선적으로 운동하는 이 기독교적 종말론의 시간관은, 천 년 전의 아우구스티누스가 정립해놓은 역사의 원칙이지만 2020년을 살아가는 지금의 우리들에게도 결코 낯설지 않은, 오히려 굉장히 친숙한 관점이다. 좋은 대학에 가야 하니까 힘든 지금의 수험생활을 참아야 하고, 좋은 직장에 가야 하니까 사랑도 취미도 접어둔 채 취업에 올인해야만 하고, 미래에 내 집 마련의 꿈을 위해 저축과 대출을 하고 뼈 빠지게 수십 년간 대출금을 갚아야 하는 대다수 한국인들의 시간에 대한 관점은 아우구스티누스와 매우 흡사하다. 그리고 딱 백 년 전 1920년에 그려진 또 하나의 새로운 천사, 앙겔루스 노부스와 그에 대한 벤야민의 해석은, 오히려 천 년 전 아우구스티누스의 관점보다 훨씬 지금의 우리들에게 낯설고 신선하며, 또한 두렵게도 느껴진다.

한상원 지음, 『앙겔루스 노부스의 시선』, 에디투스, 2018. 사진출처: https://image.aladin.co.kr/product/13141/90/cover500/k212532405_1.jpg

 

5.

“앙겔루스 노부스라고 불리는 파울 클레의 그림이 있다. 그림에는 한 천사가 묘사되어 있는데, 그는 그가 응시하는 것에서 멀어지려는 것처럼 보인다. 그의 눈은 찢어져 있고, 그의 입은 열려 있으며 그의 날개는 펼쳐져 있다. 역사의 천사는 그러한 모습을 하고 있음에 틀림없다. 그는 얼굴을 과거를 향해 돌린다. 사건들의 연쇄가 우리 앞에 나타나는 곳에서, 그는 폐허들로 뒤덮여 있으며 이 폐허들을 그의 발 앞에 쌓아놓는 유일한 파국을 본다. 그는 그 자리에 머물러 죽은 자를 깨우고 파괴된 것들을 모으고 싶어 한다. 그러나 천사의 날개를 사로잡은, 그가 날개를 닫을 수 없을 만큼 강한 폭풍이 천국으로부터 불어온다. 천사 앞에 있는 폐허의 더미가 하늘을 치솟을 정도로 쌓여가는 동안, 이 폭풍은 그의 등이 향하고 있는 미래로 그를 끝없이 몰아넣는다. 우리가 진보라고 부르는 것은 이러한 폭풍이다.”

― 벤야민 『역사의 개념에 관하여』 중에서, 『앙겔루스 노부스의 시선』 22∼23쪽, 한상원 번역.

파울 클레(Paul Klee)가 1920년에 그린 이 그림 앙겔루스 노부스, 새로운 천사를 벤야민은 뮌헨의 어느 갤러리에서 21년에 구입했다고 전해진다. 그리고서 그가 자살하기 직전에 남긴 최후의 글인 ‘역사의 개념에 관하여’에서 이 천사의 이미지에 대한 그의 고유한 사유, 시간관을 전개한다. 한상원의 설명에 따르면 이 새로운 천사는 진보라는 미래를 향해 부는 폭풍에 떠밀려서 ‘강제로’ 과거에서 미래로 운동하는 것이다. 이는 앞에서 말한 거룩한 천사가 인간을 신이 있는 영원한 미래로 인도하는 것과는 완전히 반대의 상황이다. 게다가 이렇게 미래로 떠밀리는 와중에서도 천사의 시선은 과거의 잔해를, 즉 과거 속에서 고통받고 억압받는 자들을 향해있다. 미래로 부는 진보라는 폭풍은 과거로부터 떠나가라고 천사를 압박하지만 천사는 이 폭풍의 망각하라는 압박에 저항하며 하나의 ‘망각의 탈압박’을 시도하고 있다고도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분명 우리가 흔히 아는 천사와는 다른 새로운 천사다. 과거의 불의와 수난으로 인해 희생된 자들을 그저 잊고 미래를 위해 나아가는 것이 아니라, 그들을 기억하며 추모하며 이 지옥같이 반복되는 현재를 중단시키기 위한 희망의 불꽃으로 삼는 과업이 바로 벤야민이 말하는 역사가의 일이다. 어떤 이는 이에 대해서 삼풍백화점이나 세월호 참사 같은 과거의 비극을 정치적으로 이용하는 것이 아니냐고, 이제 그들을 놓아주고 마음에 묻어 주는게 그들과 당사자들을 위한 게 아니겠냐고 되묻기도 할 것이다. 하지만 그 질문은 마치 지금의 ‘역사와 현실‘이 과거의 비극을 정치적으로 이용하지 않고 있다는 듯 현실을 은폐하려고 한다.

올해 초 경향신문에서 이슈로 제기한 것과 같이, 한국은 하루에 세 명씩 산업재해로 죽고 있지만 이에 대해선 당사자 가족 정도가 아니고선 모두 망각하고 관심을 두려고도 하지 않는다. 게다가 다들 알다시피 한국은 자살자가 OECD 국가 중 1위를 다투는 나라지만 언젠가부터 자살은 정말 극적인, 속된말로 팔리는 스토리가 아니고선 뉴스에서 아예 다뤄지지도 않는다. 어쩌면 바로 이렇게 망각 되는 과거에 대해 저항하고 과거를 제대로 기억하고 재구성하기 위해서 역사가의 기억 투쟁과 수집 투쟁이 필요하다고, 기자나 역사가, 학자 같은 지식-권력을 독점한 전문가만이 아니라 대중이 누구나 수집가, 역사가가 되어야 하고 진보라는 미래로 부는 폭풍에 맞서서, 자본주의 또는 경제성장이라는 폭주하는 열차의 비상 브레이크를 당겨야 한다고 벤야민은 말한 게 아닐까.

 

 

6.

흔히 독서란 책에 써진 것을 제대로 이해하는 것이라고 다들 생각하지만, 벤야민은 앞서 말한 새로운 천사에 대한 사유처럼 반대로 생각했다. 독서란 바로 써지지 않은 것을 이해하는 것이라고. 이는 흔히 말하는 행간을 읽어내는 좀 더 수준 높은 독서 만이 아니라, 과거를 망각하려는 폭풍에 천사가 저항하듯 텍스트 안에서 억압되고 고통받으며 망각 된 것들을 읽어내는 시선의 중요성에 대해서 말한 것은 아닐까. 기존의 역사 교과서에서 광개토대왕이 만주를 정복했다 같은 무슨 왕이 무슨 업적을 이뤄냈다는 그 기록 속에서 누가 희생되었는지 누가 망각 되었는지는 결코 교과서의 글 속에서 말해주지 않는다. 비단 고대사가 아닌 최근의 현대사를 따져보더라도 매우 대표적인 사례가 있지 않던가. 박정희의 경제개발 5개년 계획으로 가난을 극복했다고 가르쳐 왔으나 그 경제개발 속에 얼마나 많은 소년공, 여공들의 피땀 어린 희생이 망각 되었는지 우리는 여전히 알지 못한다. 오히려 그런 게 뭐가 그렇게 중요하냐고, 너도 지금보다 더 잘살아야 하지 않겠냐고, 한병철의 피로사회에서 하는 말처럼 더더욱 자기를 위해서 지금의 자신을 스스로 착취하라는 이른바 노-오력하라는 지상명령에 시달린다.

이렇게 스스로를 사람이라기보다는 ‘인적 자원’으로 여기고 더 높은 연봉, 더 안전하고 더 행복한 미래라는 꿈을 향해 폭주하는 기관차처럼 달려가는 대다수 한국인들은 IMF 사태 이후 지난 20년간 정말 끝없이 자기 계발을 하고 끝없이 노력하고 끝없이 힐링을 원한 끝에, 피폐해졌다. 지하철을 타든 버스를 타든 광장이나 거리로 나가든 삶의 기쁨으로 충만하고 행복해 보이는 한국인의 얼굴을 찾아내기란 남녀노소 나이 불문하고 스피노자가 『에티카』 마지막에서 영원한 행복에 대해서 말했듯이 참으로 드물고 어려운 일이다. 좀 과격하게 말하자면 지금 시대를 사는 대다수 사람들의 마음은 나뿐 아니라 이미 폐허나 다름없다. 이성복 시인이 이미 30년도 더 전에 ‘그 날’ 시에서 말한 구절을 패러디해보자면, 모두가 병들었는데 아무도 아프지 않았다고, 안 아픈 척 건강한 척 행복한 척만 하고 있느라 더욱 병들고 있는 사실이 엄혹한 한국인들의, 어쩌면 21세기 전 지구적 자본주의를 사는 세계인들의 내적 폐허나 다름없는 현실이 아닐까. 그래서 이 폐허가 된 마음에 새로운 신앙이, 종교가 침투한다.

그리고 폐허란 기본적으로 더이상 사람의 손길이 닿지 않는, 내다 버려진 공간이다. 글의 앞부분에서 말한 100분 토론 영상의 댓글이든 엉망으로 끝난 웹툰 <덴마>의 댓글이든, 그리고 서로에 대해 무관심한 태도가 삶의 최선이라 믿고 옆집 사람이 고독사해도 세 달 넘게 아무도 모르는 현대인들의 마음이든, 바로 이 폐허라는 말과 그리 멀리 떨어져 있다고 보기는 힘들 듯하다. 하지만 나는 한상원이 벤야민을 읽으며 아우구스티누스와 파울 클레라는 역사의 두 천사의 이미지를 상반된 것으로 날카롭게 구분했듯이, 유시민과 진중권의 토론 같지 않은 토론과 완결 없는 완결 웹툰 <덴마>라는 두 폐허의 이미지도 구분해서 다르게 접근하는 흉내를, 버려진 폐허들에서 잔해를 줍는 수집가의 태도를 이 연재 글을 통해서 모방해보려 한다. 어쩌면 유시민과 진중권이라는 한때 진보의 대중적 상징에 대해서도 어떤 이는 이미 조용히 차곡차곡 묘비를 새길 준비작업으로 산책과 수집을 하고 있을지도 모를 일이다. 아니 그들의 오랜 인기와 상당한 팬덤으로 볼 때 그건 재벌 걱정만큼이나 쓸데없는 걱정일 가능성이 크다. 그렇다면 나는 그쪽 걱정은 할 필요 없이 내가 사랑했던 폐허인 웹툰 <덴마>에 대해서 다시금 산책하고 수집해서 기억을 재구성해본다면 그 과정 자체가 의미가 있지 않을까. 벤야민이 남긴 유산, 사유-이미지라는 개념의 힌트에 근거해서 말이다.

 

 

7.

“벤야민은 사유가 이미지와 만나야 한다고 말합니다. 이미지가 가진 구체성, 즉 실제 생활들, 눈에 보이는 것들, 만지고 있는 것들, 바로 그것들을 동원하지 않으면 안 된다고 말합니다. 그는 사유 이미지가 학문이나 철학의 영역을 외부화시키는 것이 아니라 구체적 삶 속에서 행사되어야 하고 피를 얻어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 이것이 바로 시각적 자유, 사유 이미지, 이미지 사유이자 변증법적 이미지입니다. 메트로폴리스, 대도시에서는 이러한 이미지 사유가 구체적으로 총체화되어 나타납니다. 메트로폴리스는 근대성의 자유를 지배하고 있는 것은 자본주의인데, 그 경제 논리가 아무리 첨예하고 정확하다고 하더라도 구체적 육체성을 가지지는 못합니다. 우리는 육체성을 담지하고 있을 때에만 근본적으로 행동으로 옮겨갈 수 있습니다.”

― 故 김진영 선생님의 『희망은 과거에서 온다』 310쪽에서 인용.

분명 벤야민이 그렇게 강조한 대로 미래를 위해서 과거를 망각하라는 폭풍에 저항하며 고통받고 희생당한 자들의 과거를 기억하려는 과업은 고귀하고 가치 있는 일이다. 그러나 그러한 사유가 단지 사유로만 그친다면 육체를 정신의 감옥으로 보던 플라톤 시절과 그다지 큰 차이가 없을 것이다. 하지만 위의 인용에서 김진영 선생님이 말씀하시듯, 사유 이미지라는 개념을 통해 사진 같은 새로운 기술을 다뤄서 매체 철학의 선구자로 평가받기도 하는 벤야민은 바로 그런 한계에서 벗어난다. 이미지가 가진 구체성, 구체적 삶 속에서 사유가 행사되어야만 그 사유에 피가 돌고 살이 된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지금 시대에 사유가 이미지와 만나서 구체적으로 활동하는 변증법적인 이미지의 대표적 사례는 바로 수많은 터치를 통해 스마트폰으로 감상하고 터치로 나의 감상과 사유를 댓글로 남길 수 있으며 심지어 음악이나 영화와는 달리 수월하게 일상 속에서 2차 창작을 할 수 있는 웹툰이 아닐까.

그 수많은 웹툰 중에서도 분명 미래 우주적인 스페이스 오페라의 형식을 취하고 있지만, 내용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누가 보아도 비극적인 현대인과 현대 도시 문명에 대한 풍자로 가득한 양영순의 <덴마>가 벤야민이 말한 구체성을 가진 사유 이미지의 매우 적절한 사례가 아닐까 나는 감히 이 연재 글을 통해 해석하고 기억해보려 한다. 물론 양영순이 딱히 벤야민을 읽었거나 벤야민의 철학을 자기 작품 속에서 녹여내거나 외부화하려고 하진 않았을 것이다. 허나 이전 문단에서 벤야민이 말했듯이, 독서란 바로 써지지 않은 것을 읽어내는 일이 아니겠는가. 다음 달부터 매달 한편씩 <덴마> 에피소드와 벤야민의 역사철학을 연결 짓는 시도를 주로 한상원과 김진영을 참고하면서 기록으로 남겨보려고 한다.

 

  1. 덴마 만드라고라 에피소드와 아우구스티누스의 고난이라는 행복

      -도피한 삶에서 즐거움은, 행복은 있을 수 있는가?

  1. 덴마 야엘 로드 에피소드와 맑스의 해방서사라는 혁명.

      -해방된 미래가 약속되어 있다면 혁명은 더 추진력이 붙는가?

  1. 덴마 더 나이트 에피소드와 벤야민의 반복되는 현재를 중단시키는 지금시간.

      -도저히 탈출구가 보이지 않는 끔찍한 현재의 반복을 멈추는 힘은, 희망은 어디서 오는가?

 

이 세 편의 연재 글을 통해서 천천히 이야기할 테지만, 조금 성미 급한 사람들을 위해서 미리 연재 글의 결론을 스포일러 하자면, 두 책의 제목을 패러디해서 이렇게 말할 수도 있겠다…

 

어쩌면 희망은 과거에서, 앙겔루스 노부스-새로운 천사의 시선을 통해서 온다… 계속.

“차별철폐 동아시아 연대를 만들어갑시다” – 반인종주의정보센터(ARIC) 대표, 재일조선인 3세 량영성(梁英聖)씨 인터뷰 [나인당케의 단상들]

“차별철폐 동아시아 연대를 만들어갑시다”

– 반인종주의정보센터(ARIC) 대표, 재일조선인 3세 량영성(梁英聖)씨 인터뷰

 

(정리: 한상원/ 통역: 최성문)

 

량영성 씨는 1982년 일본 도쿄에서 태어났다. 그의 할아버지는 제주도 출신으로 일본 오사카에 정착하였으며, 그의 가족은 이후 3대째 일본에서 살고 있다. 량영성 씨는 초등학교부터 고등학교까지 ‘조선학교’에 다녔다. 조선학교는 재일교포 중, 국적을 ‘조선’으로 표기한 조선인들의 자치학교로, 아직도 일본에서는 다른 외국인학교와 달리 정식학교로 인가받지 못하고 있다. 일본 내 극우단체 재특회(在特会)의 조선인에 대한 헤이트 스피치가 극심해지고 그에 대항하는 카운터스 운동이 등장하던 2013년, 그는 반인종주의정보센터(ARIC)를 세워 40여 명의 활동가들과 함께 캠퍼스 내 헤이트워치 감시 등의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다. 동시에 그는 현재 히토쓰바시 대학(一橋大学) 언어사회연구 박사과정생이기도 하다. 한국에는 그의 책 『혐오표현은 왜 재일조선인을 겨냥하는가』가 번역되어 있다. 필자는 도쿄도 후추(府中)역 인근 카페에서 그를 만나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통역에는 요코하마 국립대학 사회학 박사과정생 최성문 선생이 수고해주었다. 그중 중요한 내용을 정리하여 옮긴다.

 

– 일본의 ‘헤이트 스피치 금지법’과 반인종주의 운동을 소개해주십시오. 한국에서도 혐오발언 문제가 심각하고 이를 규제해야 하는가 하는 논쟁이 진행 중인데, 일본의 헤이트 스피치 규제법안에 대해 관심이 많습니다.

제 생각에 2016년에 제정된 일본의 헤이트 스피치 해소법은 문제가 많은 법입니다. 한국이 참고한다면 미국이나 유럽의 50년 전에 기본적으로 차별을 정의한 이념법, 금지법을 참고해야 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일본은 선진국가들 중에서도 독특한 국가인데, 미국, 유럽 등 다른 선진국가들에서는 네이션의 중요한 요소로서 인권의 진보적 가치를 두지요. 프랑스는 군주를 처벌하기도 했지요. 하지만 일본이라면 혁명이나 민주화 운동이 한 번도 사회를 바꿔본 적이 없습니다. 그래서 인종주의와 관련해서도 근본적 규범이 존재하지 않는 것입니다.

반인종주의정보센터(ARIC) 대표, 재일조선인 3세 량영성(梁英聖)씨 출처: 필자

 

헤이트 스피치가 이렇게까지 창궐하는데 일본 정부가 어떠한 대처도 하고 있지 않은 것도 그래서입니다. 하지만 예컨대 프랑스는 루이 국왕을 죽이고 인권을 천명하는 공화주의 국가를 만들었습니다. 미국은 영국 식민지로부터 독립했고, 노예해방 내전을 벌였고, 공민권운동도 있었지요. 그러다 보니 이런 국가들에서는 ‘역시 차별은 안 된다’는 규범이 존재하는 것입니다.

그러한 규범이 일본에는 없습니다. 한국의 경우에는 일본 제국주의에 반대하는 투쟁과 그 이후의 독재정권 타도하는 투쟁 등을 거치면서, 이것이 내셔널리즘, 네이션이라는 한계는 있으나, 인권 개념을 국가가 보장하지 않으면 안 되는 것으로 이어지지 않았을까 싶습니다.

일본은 현재 전후 처음으로 재특회 등등 풀뿌리 극우 운동 등이 형성되는 상황입니다. 이것은 중요한 문제입니다. 독일의 경우, 국가가 나치즘을 부정하기 때문에 네오나치 운동은 반국가적인 경향을 가질 수밖에 없습니다. 반면 일본은 천황제가 여전히 존재하고, 전쟁 책임을 거의 지지 않고 있습니다. 반(反)차별 정책도 만들지 않았습니다. 1952년 샌프란시스코 조약이 발효되면서 조선인들의 국적도 박탈했습니다. 사실 이런 나라에서는 극우운동이 성립하기가 어렵습니다. 지금 보신 것처럼 국가가 이미 차별을 하기 때문이죠. 이런 상황에서 지난 10년간 극우가 발흥했습니다. 이것이 심각한 문제입니다.

아까의 질문으로 다시 돌아가 보겠습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한국이 일본의 2016 헤이트 스피치법을 참고로 하지 않는 편이 좋겠습니다. 악법입니다. 한국이 참고하려면 차라리 두 가지 측면이 중요하다고 봅니다. 하나는 ‘원칙적 측면’으로 기본적 차별금지법을 가능한 한 보편적인 것으로 만듦으로써 ‘이념법’을 제정하는 것입니다. 다른 하나는 ‘긴급적 측면’인데요. 당면한 차별을 멈추려면 어떻게 할 것인가 하는 물음입니다.

한국 상황을 잘 알지는 못합니다만, 동아시아가 처한 수준에서 EU가 제정한 것과 같은 차별금지법을 한국, 대만 등이 아시아의 선진국으로서 만들어주기를 바랍니다. 중장기적으로 그렇게 해주길 바라고 있습니다.

 

 

– 상당히 문제가 많지만, 어쨌건 재특회를 규제하려는 법인데…

규제하려는 법이 아닙니다. 최근에는 재특회 자체가 문제라기보다도, 사쿠라이 마코토(재특회 전 회장)가 일본제일당 만들어서 선거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재특회는 일본에서 평판이 나빠져서 옛날보다 인기가 없습니다. 옛 중심인물들이 재특회를 버리고 선거 활동을 통해서 차별적인 활동을 하는데, 그에 대해 일본 정부는 재특회에 대해서도, 일본제일당에 대해서 모두 방치하고 있습니다.

 

 

– 실질적으로는 규제하지 않는다, 그럼 일본 정부가 이걸 도입한 이유는 ‘보여주기식’인 건가요?

재일조선인에 대한 헤이트 스피치는 특히 2009년부터 2011년 사이가 절정이었습니다. 교토의 조선고교 습격 사건, 필리핀인들의 자녀인 당시 14세 소녀 노리코 강제소환 촉구 시위 등 ‘습격형’ 헤이트 스피치가 심각해졌지만, 매스컴은 이를 거의 보도하지 않았습니다. 2016년에 해당 법안이 만들어진 것은 직접적으로는 2013년 2월 처음으로 <아사히신문>이 ‘헤이트 스피치’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재특회 데모를 비판한 데서 기인합니다. 이것이 2013∼2014년 사이 급속도로 문제시되어 2014년 즈음부터 야당이 인종차별금지법을 만들려 했습니다. 2015년 법안이 제출됐고, 결과적으론 아베 정권이 제정한 셈이죠. 그러나 실은 헤이트 스피치가 2013년부터 큰 사회적 문제가 된 것은 역사적 사건입니다. 그 최대 이유는 카운터(대항) 운동의 존재였습니다.

량영성씨의 저서 『혐오표현은 왜 재일조선인을 겨냥하는가』(2018) 출처: https://image.aladin.co.kr/product/16626/10/cover500/8990062861_1.jpg

 

종래 일본의 반차별운동은 기본적으로 자이니치 또는 피차별인종이나 소수자 당사자들이 그들의 조직이나 개인 차원에서 차별에 반대한다는 목소리를 내는 타입이었는데요. 사회운동은 그러한 운동을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즉 올드타입 운동은 ‘피해자를 케어’하는 운동이었으나 반면 카운터 운동은 ‘가해자를 억압하여 차별을 그만두게 한다’는 방식으로 전환됩니다. 이것은 획기적인 것이었습니다. 피해자가 (신분상 불이익 등으로) 차마 목소리를 내지 못하는 어쩔 수 없는 상황이라 할지라도, 그러한 ‘가해’ 자체가 범죄이자 악이라는 것을 공개적으로 선언하는 운동이었던 것입니다.

이러한 카운터 운동의 대대적인 성장이 <아사히신문>에 의해 보도가 되면서 2013년에 ‘사회악’으로서의 차별이 최초로 가시화된 것입니다. 정리하자면, 카운터 운동이 먼저 있고 나서, 그것을 보도하는 매스컴이 나오고, 그것이 또 사회문제화되어 겨우 야당이 법안제정에 나선 것입니다.

아베 정부는 야당에게 헤게모니를 주지 않으려 하면서도, 이 법안의 내용을 가능한 무력화하기 위해 2016년 법안을 제한된 범위 내에서 통과시킵니다. 차별받는 피해자의 범위를 ‘본국 외 출신자’로만 한정을 두어, 오키나와 출신자를 배제하는 효과를 냅니다. 또 구체적인 처벌 조항도 없습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일본 정부가 의지가 없다는 것이죠. 차별이 발생해도 그에 반대하는 행동을 취하지 않습니다.

어쨌거나 일본에서 차별금지법을 만들어낸 것은 한계는 있지만 분명 운동의 성과이기는 합니다. 카운터 운동에 참여한 시민들은 특히 도쿄나 관동지역의 경우에는 축구와 록 음악 등 서브컬처의 영향을 받았습니다. 그리고 서구의 ‘안티파(Antifa)’ 문화를 활용하기도 합니다. 그건 그것대로 좋은데 다만 문제가 있다면, 미국이나 독일의 안티파는 되지 못한 것이죠. 독일은 실제로 네오나치 집회를 저지하는 행동이 가능합니다. 반면 일본은 실질적인 극우 집회 저지는 불가능합니다. 사람 수가 적고 그런 역사가 없기 때문입니다.

그런 의미에서 카운터 운동을 ‘카운터’ 운동 이상으로 하는 것, 즉 카운터 운동을 발전시키는 한편 운동을 래디컬화하는 제3의 사회운동을 제안하고 싶습니다.

 

 

– 한국에서도 일본과 비슷한 시기 일베 등 극우 사이트의 혐오 표현이 사회적 문제가 되면서 이를 규제할 것인가를 둘러싸고, ‘표현의 자유’ 규제 논쟁이 제기되기도 했습니다. 학술적으로도 혐오 표현 규제에 반대하는 주디스 버틀러와 규제에 찬성하는 제레미 월드론의 저서가 나란히 번역되면서 논쟁이 촉발되기도 했지요. 반차별 운동에 참여하시는 선생께서는 이러한 논쟁을 어떻게 보십니까?

그 나라의 역사나 사회에 따라서 차별금지방식은 다양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독일 차별금지법 제정이 2006년으로 늦어진 이유는 이미 형법상 민중선동죄가 있었고, 역사교육을 통해 충분한 시민교육을 하고 있었으며, 국가에 의한 진상규명이 이미 존재했기 때문입니다. 독일에 반인종주의 법안 자체는 존재하지 않았지만, 가해자 나치 전범 처벌과 같은 개별 이슈들에 대해서는 투쟁이 존재했고 승리해왔습니다.

미국 같은 경우는 1964년의 공민권이 포괄적 차별금지를 규정합니다. 인종, 성, 연령, 장애 등이 포함되고, 흥미로운 것은 예비역을 차별금지 범주에 넣었다는 것인데, 이는 당시의 베트남전 반대운동을 억압하는 효과를 노린 것이었죠. 그 이후 블랙팬서당에 대한 학살과 탄압이 벌어지면서, 표현의 자유가 중요하다는 사고가 사회운동 쪽에도 널리 퍼지게 됩니다.

결국 (역사부정이나 혐오 표현을 처벌하는 독일식 모델과 표현의 자유를 중시하는 미국식 모델 중 어떤 것이 바람직한가에 대한) 이러한 논쟁 중에, 어느 쪽이 좋은가를 추상적으로 사고할 수는 없는 것 같습니다.

출처: https://image.aladin.co.kr/product/8833/79/cover500/8997779664_2.jpg

 

버틀러의 책 『혐오 발언』에 대해서도 한마디 하고 싶습니다. 일본에서 버틀러를 좋아하는 분들이 실천에는 관심이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일본 연구자들은 버틀러가 헤이트 스피치 규제를 거부한다고 생각하지만, 잘 읽어보면 버틀러는 ‘국가가 하는 것은 반대하지만 대학이 하는 스피치 규제는 찬성’합니다. 버틀러는 Gesetz[법률]를 통한 규제는 반대하지만, Recht[법/권리]를 대학, 기업, 지역사회에서 수행하는 것을 부정하지 않습니다.

마르크스가 얘기했듯 근대사회의 물상화는 공동체를 분열시킵니다. 사적 노동으로부터 사회 총노동을 성립시켜야 하는 모순이 노동생산물을 상품으로 물상화 시키므로, 인간도 부르주아/공민으로 분열시킵니다. 따라서 ‘시장의 인격’, ‘부르주아’로서의 권리에 대해 대항하면서, 국가 구성원의 공적인 인권 주체(공민)에도 반대하는 의미에서 시민권(Citizenship) 개념이 필요합니다. 일본, 한국에는 이 개념이 부재한 것 같습니다.

다시 말해, 상품 계약 주체도 아니고, 원자화된 물상화의 인격화로 승인된 국가의 구성원도 아닌, 공동체적 시민성의 자발적 연대, 결합, 투쟁 속에 형성되는 시민성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혐오 발언을 규제한다면, 어떤 차원으로부터인지가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시장 차원에서의 규제인지, 국가적 강제의 차원인지도 구분해야 하지만, 궁극적으로는 사회적, 자율적 규제, 즉 어소시에이션에 의한 규제가 필요하며, 운동 속에 반차별 규범을 국가가 시행하도록 만들고, 사회가 국가를 흡수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해보겠습니다. 아까도 설명했듯이, 일본형 반차별 운동의 특징은 피해당사자의 입에 의존하는 것입니다. 즉 어떤 행동이 차별로 됨은 피해자가 그것을 차별이라고 발언해야만 성립되는 것입니다. 이는 차별의 진의를 피해자에게 떠넘기는 방식이었습니다. 고립감, 두려움 등으로 피해자가 ‘그것은 차별이다’라고 공개 발언하지 못하면, 제3자는 나서지 말라는 이데올로기가 작동했습니다.

푸코의 말을 빌리자면, 무엇이 차별이고 차별이 아닌지에 대한 ‘진리’가 피해자의 ‘고백’에만 의존하는 것입니다. 이것은 시민권(citizenship)이 아닙니다. 그것은 피해자조차 ‘자신의 손실을 항의하는 시장의 부르주아적 주체’로 규정하는 부르주아적 인권(시장에서 물상화된 인격) 개념일 뿐입니다. 이것이 일본이라는 기업사회의 비밀입니다.

반면 시민권(citizenship)에 근거하여 차별에 반대한다는 것은, 가해자에게 가해자의 책임을 지게 하며, 가해자가 가진 자연권[표현의 자유]을 억제한다는 것, 그것이 포인트입니다. 기존의 일본형 반차별운동은 피해자의 입을 통한 발설로 차별을 규정하기 때문에 가해자의 자연권 억제까지는 나아가지 못하였습니다. 결과적으로는 피해자가 얼마나 요구하든지 간에, 가해자의 자발적 반성을 요구하는 것뿐, 그가 ‘차별할 자유’를 빼앗는다는 논리는 없었습니다.

이것은 푸코가 말한 (자유주의적 통치성 속에서) ‘인권의 공리주의’의 논리를 보여줍니다. 인권 개념을 공리주의적인 도구로 쓰는 발상, 다시 말해 정의를 오직 ‘개임의 룰’로만 이해하는 인권 개념 말입니다. 그것은 오로지 시장에서의 공정경쟁 외에 어떤 규범도 인정하지 않는 사고로 이어집니다. ‘평등’의 기준이 존재하지 않는 것입니다. 일본에서는 ‘동일노동 동일임금’ 규범이 없습니다. 노동에서의 차별이 당연한 것이 되는 것이죠. 이것도 일본형 기업사회의 문제를 보여줍니다.

 

 

– 한국의 진보진영조차 재일조선인 문제에 대해 큰 관심을 기울이지 않고 있습니다. 일본의 반인종주의 활동가로서 한국의 시민사회에 전달하고 싶은 메시지가 있습니까?

일본의 헤이트 스피치나 재일조선인 인권문제는 일본만의 문제가 아니며, 한국만의 문제도 아닙니다. 아시아 차원의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EU와 비교했을 때 아시아에는 지역 차원에서 전쟁이나 분쟁을 방지할 수 있는 국제관계가 없습니다. 현재의 국가 간 관계를 생각해본다면 일본의 위안부 부정이라던가 역사적 사실에 대한 부정 등이 국제적인 영토문제와 결부되어 지역분쟁을 일으킬 수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따라서 차별금지정책은 전후 세계에서는 반파시즘과 차별금지를 보장하여 국제평화 유지에 기여할 것입니다. EU의 기반에 있는 것은 ‘반차별=반파시즘’이라는 규범을 통한 평화 유지입니다.

일본의 전쟁 책임 문제도 일본 정부가 이를 거부하는 상황에서, 차라리 아시아 수준에서 차별금지를 국제적인 룰로 만들면 어떨까 싶습니다. 각각의 나라에서 시민권의 원칙을 성립하는 것이 가능하다면, 예컨대 위안부라는 역사적 사실 부정은 ‘차별금지’로써 억제할 수 있습니다. 위안부 부정 그 자체가 역사부정일 뿐만 아니라, 성차별을 선동하고 있으며 나아가 계급차별을 선동하고 있습니다.

비유를 해보겠습니다. 삼층집을 짓는다면 먼저 토대가 필요합니다. 제가 생각하기에 지금 역사갈등 문제를 직접 푸는 건 토대 없이 삼층집을 세우는 것과 같아요. 좀 먼 길이라고 보일 수도 있겠지만, 기본적으로 차별금지정책을 시행하고, 시민권의 원리를 각국에서 제정해서 아시아 각국의 공통언어로 ‘차별반대’를 제정하지 않으면 역사 문제를 말할 공통언어가 존재하지 않게 됩니다.

혐오는 국내 소수자의 문제만으로 보일 수 있습니다. 한국 여성차별(미소지니) 살인의 억제 등 긴급한 과제이기에 그것을 위해 혐오 표현의 규제가 필요한 것도 사실입니다. 나아가 이를 국제적인 파시즘 억제 전략으로 확대하여 차별금지법을 먼저 한국, 대만에 만들어놓는 것도 중요합니다.

역사부정이나 파시즘화를 넘어서는 동아시아의 관계를 사유하는데, 역사를 인식하는 패러다임의 측면이 아니라 차별금지라는 시민권의 관점에서 출발해야 다른 길이 보일 것입니다. 이것은 운동의 전략 차원에서 말씀드리는 것입니다. 동아시아에서는 민족주의를 넘어서는 공통언어로서 ‘시민권(citizenship)’과 ‘반차별’이 필요합니다. 반파시즘 위안부 문제 등에도 필요할 뿐만 아니라, 독도 문제 등 영토문제에도 민족주의 논리로만 반대하게 된다면 극우에 대한 비판을 제대로 할 수 없게 됩니다. 극우에 반대하는 데 있어서 ‘인권’은 소소해 보이면서도 가장 중요한 요소일 수밖에 없습니다. 시민권(citizenship)으로써 차별반대 논리, 이것을 지침으로 싸워나가야 할 것입니다.

일본 정부는 다가오는 올림픽에서 욱일기 응원을 허가했습니다. 그렇다면 이에 어떻게 반대할 것인가는 또 다른 문제로 제기됩니다. 이에 대해서는 서경덕 교수의 방식, 즉 역사 언어로 비판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그것은 그것대로 틀리지는 않지만, 약점을 말한다면 역사적으로 엄밀히 따질 때 지금의 히노마루(일본 국기)도 문제 삼아야 한다는 점에 있습니다.

저는 욱일기가 문제 되는 것도 차별금지 문제라고 봅니다. 실제로 10년 전부터 가두 연설방식의 헤이트 스피치에서 욱일기가 문제시되고 있는데, 역사적 이야기를 전혀 하지 않더라도 이 10년간에 걸친 ‘차별=욱일기’라는 연관 증거가 존재합니다. 따라서 ‘차별’의 상징으로 하켄크로이츠가 있는 것처럼 욱일기도 차별의 상징으로 규정할 근거가 있는 것입니다. 따라서 단지 역사 문제만이 아니라 현재 차별의 상징으로 욱일기를 금지하자고 주장하면 됩니다.

이처럼 역사 문제를 현실적으로 존재하는 차별의 논리로 풀어서 얘기합시다. 그게 아마 일본이 가장 싫어하는 방식일 것입니다. 또 한국 내 극우 반대 논리로도 써먹을 수 있습니다. 이영훈의 책 『반일종족주의』를 보면 한국 뉴라이트 특징은 민족주의 비판에 있는 듯합니다. 한국에서는 민족주의가 오히려 좌파에 의해 점령되었기 때문이겠지요. 극우는 아마도 시장원리에 근거하는 것 같습니다. 경제 성장 같은 것들 말입니다. 식민지 시기를 정당화하는 것도 경제, 독재정치 정당화도 경제입니다. 따라서 한국 뉴라이트를 비판할 때도 역사만으로는 한계가 있을 것입니다. 완전히 극우를 구석으로 몰아넣는 것이 어려운 이유는 뉴라이트가 ‘자본주의’ 경제 논리에 근거를 두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자본주의에 근거한 뉴라이트를 논박하려면 역시 시장을 넘어서는 논리, 시민권이라는 논거가 중요할 듯싶습니다.

 

플라톤의 『국가』 강해 ㊴ [이정호 교수와 함께하는 플라톤의 『국가』]

플라톤의 <국가> 강해

 

 

1-2-1-2-1 이야기 방식과 모방(392c-398b) (계속)

 

[397b-398b]

* 소크라테스는 이야기 방식λέξις과 관련하여 우선 서술 방식διήγησις을 기초로 두 가지 종류의 이야기 방식으로 구분하여 논의한 후, 이제 그에 이어 그 이야기 방식을 화음(선법)ἁρμονία과 장단(리듬)ῥυθμός을 기초로 논하고자 한다. 그런데 서술방식과 마찬가지로 이야기 방식을 구성하는 선법과 리듬 또한 변화들이 작고 한 가지로 이루어지는 경우와(397b) 온갖 형태의 변화를 갖는 것을 필요로 하는 경우로 구분된다고 말한다. 따라서 이야기 방식은 서술 방식에 의해서도 두 가지로 구분되었지만 선법과 리듬에 의거해서도 두 가지 유형으로 구분된다. 그래서 모든 시인은 앞서 말한 두 유형의 이야기 방식λέξις 중 전자나 후자 또는 양쪽을 혼합한συγκεραννύντες 어떤 것을 만나게 될 텐데,(397c) 이 나라에서 순수하게 훌륭한 사람ἐπιεικής ἄκρατος들이 받아들여야 할 것은 전자의 방식이지만 아이들과 이들의 교육을 돌보는 가복들 그리고 대다수 군중ὄχλος들은 반대로 후자나 혼합형이 월등하게 제일 즐거운 것이어서 그것을 받아들일 것이라고 말한다. (397d)그러나 이 나라에는 제화공이든 농부든 전사든 각자가 한 가지 일을 하는ἕκαστος ἓν πράττει 사람들만 있으므로, 다시 말해 양면적인 사람διπλοῦς ἀνὴρ이나 다방면적인 사람πολλαπλοῦς ἀνὴρ은 없기 때문에 그러한 유형은 우리의 정체πολιτείᾳ에 어울리지 않는다고 소크라테스는 말한다,(397e) 그리고 만일 온갖 것이 다 될 수 있고 또 온갖 것을 다 모방할 수 있는 사람은 이 나라에 없기도 하지만 생기는 것이 합당하지도 않으므로 거룩하고 놀랍고 재미있는 ἱερὸν καὶ θαυμαστὸν καὶ ἡδύν 분이라 추켜세워 준 뒤 다른 나라로 보내야 한다고 말한다. 결국 소크라테스는 이 나라에서는 우리의 이로움을 위해 한결 딱딱하고αὐστηροτέρός 덜 재미있는ἀηδής 시인과 설화 구술가μυθόλογος가 채용될 것이며(398a) 그들은 우리한테 훌륭한 사람의 이야기 방식λέξις을 모방해 보여주고 이야기도 군인 교육에 착수했을 때 법제화했던 규범τύπος에 의거하게 될 것이라고 말한다. 그런 연후 소크라테스는 이로써 시가에서 이야기λόγος 및 설화μῦθος와 관련된 부분에 대한 논의가 완전히 마무리되었다고 말한 후 이제 남은 것은 노래ᾠδή와 선율(서정시가)μέλη의 양식τρόπος과 관련된 부분이라고 말한다.(398b)

 

—————–

 

* 이야기 방식(말투)leksis과 서술 방식(이야기의 진행)diēgēsis이라는 말이 반복해서 나오는데 논의의 편의상 그 말들을 간단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이야기 방식은 앞서 다루었듯이 어떤 서술방식을 따르는가에 따라 규정되기도 하고 앞으로 다루어지듯이 어떤 선법과 리듬에 따르는지에 따라 규정되기도 한다. 요컨대 이야기 방식은 가사와 노래로 구성된 시가를 전하는 방식이다. 그리고 서술방식은 앞서 말한 대로 이야기 방식과 관련하여 시가를 구성하는 것 가운데 하나인데 노랫말 즉 시가 가사의 표현 방식으로서 ‘단순 서술방식’과 ‘모방을 통한 서술방식’으로 구분된다. 그리고 다시 그 가운데 모방을 통한 서술방식은 ‘한 가지만 모방하는 서술방식’과 ‘온갖 것을 모방하는 서술방식’으로 구분된다. 이에 따라 이전 강해에서 살폈듯 이야기 방식이 서술방식을 기준으로 아래와 같이 두 가지로 각기 구분되고 있다. 즉 1) 훌륭한 사람들의 이야기 방식 : 서술방식 중 최대한 모방을 통한 서술방식은 지양하되 모방을 할 경우라도 훌륭한 사람이나 훌륭한 것 한 가지만 모방하는 이야기 방식, 2) 훌륭하지 않은 사람들의 이야기 방식 : 단순 서술방식은 지양하고 대부분 모방을 통한 서술방식을 택하되 그것도 온갖 것을 모방하는 이야기 방식.

* 그리고 이제 서술방식에 기초한 앞선 논의에 이어 선법과 리듬에 기초한 이야기 방식이 논의된다. 앞서도 말했듯이 시가는 노래 내지 음송의 형식을 갖고 있으므로 가사와 관련된 서술방식에 대한 논의뿐만 아니라 그것에 붙여지는 선법과 리듬에 대한 논의 또한 반드시 필요한 것이다. 그런데 소크라테스는 리듬과 선법에 기초한 이야기 방식을 본격적으로 전개하기에 앞서 순수하게 훌륭한 사람들을 모방하는 이야기 방식이 견지해야 할 기본 원칙을 지금까지의 논의를 토대로 다시 한번 재확인하고 있다. 즉 순수하게 훌륭한 사람은 온갖 것을 모방하거나 이것도 저것도 아닌 혼합형의 이야기 방식을 받아들이지 않는다. 왜냐하면 우리의 정체politeia에 어울리는 사람은 각자가 한 가지 일을 하는 사람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이 나라에서는 이러저러한 일을 가리지 않고 모방하는 양면적이거나 다방면적인 사람은 발견되지 않고 제화공은 제화공으로, 농부는 농부로, 전사는 전사로 발견될 뿐이다. 만약 그런 사람이 있다면 다른 나라로 추방되어야 한다. 오히려 한결 딱딱하고 덜 재미있는 설화작가가 우리에게 더 이로움을 주므로 처음에 법제화했던 규범에 의거 이 나라에서는 그런 사람들을 채용해야 한다. 요컨대 소크라테스는 시가 교육과정의 일환으로서 이야기 방식과 관련한 논의를 하면서도 시가 교육을 통해 양성될 수호자가 다스리는 나라 즉 정의로운 나라의 정체가 지향해야 할 기본 원칙의 일단을 재차 강조하고 있다. 그것은 다름 아니라 소질과 적성에 기초한 한 사람 한 가지 일 즉 일인일기의 전문가주의와 그러한 전문가주의에 기초한 분업주의이다. 물론 이러한 기본 원칙은 아직 보다 일반적인 형태로 본격적으로 다루어지고 있지는 않다. 그러나 제2권의 서론적 논의(370b-c)에서도 그랬듯이 소크라테스는 이러한 방식으로 앞으로 다루어질 이상국가의 기본 틀과 문제의식이 무엇인지를 <국가> 내내 간단없이 일관되게 지속적으로 우리에게 환기시키고 있다.

* 소크라테스는 이로써 시가에 있어서 이야기 및 설화와 관련된 논의를 완전히 마무리했다고 말하고 바로 이어 노래와 선율의 방식에 대한 논의를 개시한다. 앞서도 언급했지만 지금까지의 논의는 이야기 방식에 관한 논의이되, 시가의 노랫말에 관한 논의 즉 이야기 내용과 그것의 서술방식에 기초한 논의이고 지금부터 개시되는 논의는 이야기 방식에 관한 논의이되, 가사에 붙여지는 음악적 요소들과 관련한 논의이다.

 

 

1-2-1 시가 교육(376e-403c)

            1-2-1-1 무엇을 말해야 할 것인가 – 시인들이 지켜야할 규범(376e-392c)

            1-2-1-2 어떻게 말해야할 것인가(392c-398b)

                1-2-1-2-1 이야기 방식과 모방(392c-398b)

                1-2-1-2-2 가사, 선법, 리듬(398c-401a)

 

[398c-399e]

* 소크라테스는 노래와 선율의 양식과 관련된 논의를 시작하면서 이에 관한 논의 또한 앞서 말한 것과 일치를 보려고 하는 한, 우리가 해야 할 말들이 무엇인지는 모두가 찾아냈다고 말을 한다. 글라우콘은 그 ‘모두’에서 자신은 제외되는 것 같다고 겸손해하자 소크라테스는 글라우콘도 능히 말할 수 있을 게 분명하다고 말한다.(398c) 실제로 소크라테스는 바로 뒤에서(398e) 글라우콘이 ‘시가에 밝은 사람’μουσικός이라고 말하고 있다. 그런 연후 소크라테스는 노래μέλος는 세 가지 즉 노랫말λόγος과 화음(선법)ἁρμονία, 그리고 장단(리듬)ῥυθμός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말하고 이제 본격적으로 그것들에 관해 이야기하기 시작한다.(398d)

* 소크라테스는 우선 노랫말이란 곡이 붙지 않은μὴ ᾀδομένος 말과 다를 것이 없고 화음(선법)과 장단(리듬)은 이 노랫말을 따라야 함을 밝힌 후 바로 글라우콘과 선법에 관한 이야기를 나눈다.(398e) 여기서 소개되는 화음의 종류와 특징은 아래와 같다. 1) 혼성 뤼디아 화음μιξολυδιστί ἁρμονία과 고음 뤼디아 화음συντονολυδιστὶ ἁρμονία, 2) 이오니아 화음ἰαστί ἁρμονία과 뤼디아 선법λυδιστὶ ἁρμονία, 3) 도리스 선법δωριστὶ ἁρμονία과 프뤼기아 화음φρυγιστί ἁρμονία. 이 중 1)은 비탄조θρηνώδης의 선법으로서 남자는 물론 훌륭해야만 되는δεῖ ἐπιεικεῖς εἶναι 여인들한테도 무용한 화음이고 2)는 유약하고μαλακός 게으름ἀργία과 주연(酒宴)에 맞는συμποτικός 화음으로서 수호자에게 가장 부적절한ἀπρεπέστατον 화음이다. 다만 나머지 3)의 화음만은 훌륭한 사람들의 어조φθόγγος와 억양προσῳδία을 적절하게 모방하게 될 화음으로서 남겨두어야 할 화음으로 제시된다.(399a) 이 과정에서 소크라테스는 용감하고 훌륭한 사람의 모습을 두 가지 상반되는 상황에서 그들이 대처하는 모습으로 각기 나누어 설명하고 있다. 즉 전투 행위나 강제적인 업무βίαιος ἐργασία 등 불가피하게 불운한δυστυχούντων 상황에 처했을 때의 모습과, 그 반대로 운 좋게εὐτυχούντων 평화로운εἰρηνικός 상황에서 자발적인ἑκούσιος 행위를 행할 때의 모습으로 나누어 훌륭한 사람이 갖추어야 할 모습들을 각각 설명하고 있는 것이다. 전자의 상황에서 훌륭한 사람이란 부상이나 죽음 등 역경에 처하더라도ἀποτυχόντος 자신의 불운을 꿋꿋하게παρατεταγμένως 참을성 있게καρτερούντως 막아내는 사람이다. 그리고 후자의 상황에서 훌륭한 사람이란 누군가에게 뭔가를 설득하며 요구를 할 때에는 신께는 기도εὐχή로써 하되 사람한테는 가르침διδαχή과 충고νουθέτησις로써 하고 반대로 남이 자신에게 요구를 해오며δεομένον 가르치려거나 변화를 설득하려μεταπείθω 하면 조신하게 귀를 기울이는(자신을 숙이는)ἑαυτὸν ἐπέχοντα 사람, 그래서 지성에 따라 행동하고πράξαντα κατὰ νοῦν 거만하지 않으며μὴ ὑπερήφανος 절제 있고σώφρων 금도 있게μέτριος 행동하며 결과τὰ ἀποβαίνοντα에 만족하는ἀγαπῶντα 사람이다.(399b-c)

* 그래서 소크라테스는 우리의 노래ᾠδή와 선율μέλος에는 많은 현χορδία을 사용할 필요도 없고 모든 선법을 다 연주할 수 있는 악기ὄργανον도 필요 없고 그에 따라 삼각현τρίγωνος이나 펙티스πηκτίς 등 여러 현과 여러 화음(선법)을 이용하는 모든 악기의 연주자ποιός나 제작자를 양성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한다.(399d) 특히 현이 가장 많은 아울로스αὐλος가 그렇다. 온갖 화음(선법)παναρμόνια을 연주할 수 있는 악기들 자체가 아울로스의 모방물μίμημα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뤼라λύρα와 키타라κιθάρα 그리고 농촌에서 쓰는 쉬링크스(피리)σῦριγξ 정도만 남을 것이며 그런 까닭에 마르쉬아스Μαρσύας와 그의 악기보다 아폴론과 그의 악기를 선호하는 것이 전혀 새로운καινός 것이 아니라고 소크라테스는 말한다.(399e) 그리고 소크라테스는 흥미롭게도 앞서 372a에서 호사스럽게τρυφάω 산다고 말했던 나라가 우리도 모르는 새 다시 완전히 정화διακαθαίροντες되었다고 말하고 그 연장선 위에서 나머지 것들인 화음에 이어 장단(리듬)ῥυθμός(rythmos)에 관해 논의하자고 말한다. 장단과 박자βάσις(步格,basis) 역시 선법이 그러했듯이 현란하거나 다양해서는 안 되며(400a) 운율πούς(詩脚,pous)과 선율μέλος(melos) 또한 절도 있고κόσμιος 용감한 사람의 말(노래 말)λόγος을 따라가야 하며 그 반대가 되어선 안 된다고 말한다. 그런 연후 소크라테스는 글라우콘에게 리듬에 관해 묻는데 글라우콘은 음정φθόγγος에 네 가지가 있듯 운율에는 3종류가 있지만 어떤 리듬이 어떤 삶을 모방해내는 것인지는 모른다고 답한다. 이에 소크라테스는 그에 관해 다몬Δάμων에게 상의하겠지만 그에게서 들은 몇 가지 장단 즉 어떤 복합장단σύνθετος(복합적인 시각), 에노플리오스ἐνόπλιος(전쟁조), 닥틸로스δάκτυλος(장단단격), 이암보스ἴαμβος(단장격), 트로카이오스(장단격)τροχαῖος(400c) 등을 소개한 후 남겨야 할 박자(basis)와 장단(rythmos)과 관련하여 기본적으로 우아함εὐσχημοσύνη이 좋은 장단εὔρυθμος을 따르고 또 좋은 장단은 아름다운 이야기 방식καλός λέξις을 닮은 것이고, 꼴사나움ἀσχημοσύνη은 그 반대의 것을 따른다고 말한다. 그리고 장단ῥυθμός과 선법(화음)ἁρμονία이 말(노래 말)λόγος을 따르는 한 좋은 화음εὐάρμοστος 또한 아름다운 이야기 방식을 따르고 나쁜 선법은 그 반대를 따른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야기 방식은 영혼의 성품ἦθος을 따르고 나머지 것 즉 장단과 선법은 그 이야기 방식을 따른다고 말한다.(400d) 요컨대 좋은 말εὐλογία과 좋은 화음εὐαρμοστία, 우아함εὐσχημοσύνη, 좋은 장단εὐρυθμία은 단순함(좋은 성품, 순진함)εὐηθείᾳ을 따른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 단순함이란 어리석음ἄνοια을 좋게 부르느라 우리가 단순함이라고 부르는 그런 단순함이 아니라, 정말로 좋고 아름다운 성품을 갖춘 생각διάνοια을 말한다고 말한다. 그러므로 젊은이들이 자신들의 것을 행하게 되려면 어디서나 이것들을 추구해야 한다고 말한다.(400e) 그리고 장단과 선법 등 음악 관련해서만이 아니라 회화γραφικὴ나 그와 같은 모든 기예δημιουργία 즉 직조ὑφαντική, 자수ποικιλία, 건축οἰκοδομία을 위시하여 다른 살림살이들의 제작은 물론 우리 몸σῶμα의 본성φύσις과 다른 모든 생물φυτόν들의 본성도 이런 것들 즉 우아함, 좋은 성품과 단순함, 그러한 성품을 갖춘 생각들로 가득하다고 말한다. 그리고 이에 비해 꼴사나움과 나쁜 장단ἀρρυθμία과 나쁜 화음ἀναρμοστία은 나쁜 말κακολογία과 나쁜 성품κακοηθος의 형제ἀδελφή이고, 그 반대되는 것들은 절제 있고σώφρων 좋은ἀγαθός 성품의 형제이자 모방물μίμημα이라고 말한다.(401a)

 

——————-

 

* 선법과 리듬에 기초한 이야기 방식을 논하는 이 부분에는 고대 그리스의 음악 용어가 많이 나온다. 고대 그리스 음악과 근현대 음악이 갖는 차이 때문에 그 용어들을 어떻게 오늘날의 음악 용어로 번역할 것인가에 대해서도 많은 논란이 있고 그에 따라 동서양을 막론하고 역어들도 차이가 있다. 우리 말 역본들(박종현 역본, 천병의 역본, 학당 초고본)에서도 차이가 있다. 참고로 우리말 역본에서 차이가 나는 주요 역어들을 그리스어 원어와 병기하면 아래와 같다. 강해에서는 편의상 학당 초고본(아직 최종 역어는 아님)을 기준으로 표기했으나 그 역시 아직 최종 역어는 아니다. 약어 : 학초=학당 초고, 박=박종현 역본, 천=천병희 역본. 쪽수 표시는 최초 표기된 곳.

 

ἁρμονία(harmonia) 397b- 선법(박, 천), 화음(학초)

– 학당 초고는 일단 ‘화음’으로 옮겼지만 여기서 harmonia는 우리가 흔히 알 듯 고저를 달리하는 둘 이상의 음정들이 동시에 울리는 경우의 화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음계 즉 고저를 달리하는 음정들의 일정한 계열을 의미한다. 그런 점에서 오해를 피하기 위해 ‘선법’이라는 역어가 더 적합해 보인다.

ῥυθμός(rythmos) 397b 리듬(박, 천), 장단(학초)

ᾠδή(ōdē) 398c – 노래(박, 천, 학초)

μέλη(melē) 398c – 서정시가(박), 음악(천), 선율(학초),

μέλος(melos) 399e – 노래(박), 멜로디(천), 선율(학초),

βάσις(basis) 399e – 운율(천, 운각(韻脚)400a), 보격(步格)(박, 운율400a), 박자(학초)

πούς(,pous) 400a – 운율(천, basis와 동일하게 번역), 시각(詩脚, 박), 운율(학초),

φθόγγος(phthogos)400a – 소리(학초, 박, 천), 또는 음정(박)

εὔρυθμος(eurythmos) 400d – 좋은 리듬(박, 천), 장단이 맞는 것(학초),

εὐάρμοστος(euharmostos) 400d – 조화로움(박), 좋은 선법(천), 화음이 맞는 것(학초)

 

* 아래는 위의 내용과 관련하여 정암학당 해당 부분 역자 김주일 박사가 초고에 붙여 놓은 임시 각주들이다.

1) 399e 마르쉬아스 : 마르쉬아스는 상반신은 사람이고 하반신은 염소의 형상을 한 사튀로스들 중 하나로서, 아울로스 연주를 잘해서 뤼라를 즐겨 연주하는 아폴론 신과 대결을 벌였다는 신화적 존재이다.

2) 399d 아울로스 : 아울로스는 피리의 일종으로 관악기이기 때문에 사실은 현이 없다. ‘현이 가장 많다’는 것은 여기서 다양한 화음을 연주할 수 있다는 비유적인 의미로 사용되었다. 아울로스는 다양한 장치를 사용해 다양한 선율을 연주할 수 있었다. 그래서 399c-d에 나오는 ‘현이 많다’란 말도 ‘다양한 화음을 연주할 수 있다’란 뜻으로 이해할 수 있다.

3) 399e basis(박자, 운각) : 그리스 리듬에서 강음은 장음에 주어지고, 하박(basis, thesis) 역시 장음에 주어진다. 따라서 장음으로 시작하는 운각에서는 시작부분에 강음(ictus)과 하박이 떨어지고, 단음으로 시작하는 운각에서는 나중에 나오는 장음에 강음과 하박이 떨어진다. 문자에 충실해 보면 basis의 다양함이란 이런 강박의 위치의 다양성에 관한 것으로 보인다. <음악기초이론의 이해>를 보면 metre를 박자로 이해한다. 문제는 그리스 시가의 metre가 강약 중심으로 짜인 것이냐의 문제다(역시 같은 책에서 리듬을 장단의 배열로 이해한다). 엮어보면 박자는 기본적으로 첫 박의 장음에 강세가 가는 방식으로 짜인다. 리듬은 장음과 단음의 배열이다. 박자는 배경으로 규칙적으로 깔리고, 그것을 배경으로 리듬은 장단음을 기본 요소로 짜인다. 그런데 그리스 음악은 기본이 시가이기 때문에, 자연적 장단음을 가진 말로 짜인다. 따라서 기본 metre에 따라 박자는 정해져 있고, 리듬도 이것과 기본적으로 겹치는 체제이다. 그런데 이것을 인위적으로 쪼개거나 늘리는 것을 플라톤이 배제하는 것이 아닐까?

4) 399e-400a 리듬(박자) : 고대 그리스 음악의 리듬(rhythmos)은 시가의 운율에 기초를 두고 있다. 따라서 리듬(rhythmos)은 시가 운율의 장단음 배열을 기본적으로 따른다. 한편 시가 운율의 기본 단위는 장음과 단음의 혼합으로 이루어지는 운각(pous)으로서, 이것들이 모여 운율(metron)이 되며, 시가의 한 행은 한 운율이 된다. 다른 한편 하나의 마디에 들어가는 하나의 운각(운각을 박자와 같은 의미로 볼 때, 서양음악에서는 한 마디에 여러 박자가 들어간다고 생각하는 게 상식이지만, 고대그리스 음악에서는 기본적으로 한 박자를 한 마디로 잡는다)을 상박(upbeat)과 하박(downbeat)로 나누고 상박을 ‘arsis’라 부르고 하박을 ‘basis’ 또는 ‘thesis’로 불렀다. 상박은 단음 또는 단음들이고 하박은 장음이다.(Adam은 Westphal을 따라 두 개의 운각과 하나의 강음-ictus-이 하나의 basis를 이룬다고 보았다.) 따라서 박자(basis)는 원래 하박을 부르는 명칭이고 운각(pous)은 장단음이 결합 된 것으로, 운율의 기본 단위이지만 현재 맥락에서는 리듬과 큰 의미 차이 없이 쓰인 것으로 보인다. Ancient Greek Music(M.L.West, 1992), p.129~137 참고. 이런 취지에서 rhythmos, basis, pous를 뉘앙스는 살리고 정확성은 좀 약화하여 장단, 박자, 운율로 하고자 한다. 뉘앙스를 구별한다면 장단의 기본 단위는 운율(pous)이고, 이 운율은 박자(basis)에 의해 이분 되는데, 특히 basis는 강음을 포함하여 장단에 입체감을 주며, 장단은 운율들이 모여 변형을 이루는 것까지 포함되는 것으로 보인다.

5) 400a, 화음(선법)을 구성하는 4가지 : 화음을 구성하는 네 가지가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분명하지 않으나 기본적인 음정의 비율(2:1, 3:2, 4:3, 9:8)을 말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Adam 주석 참고). 박자를 구성하는 세 가지는 운각(pous)을 이루는 장음과 단음의 비율이 구성되는 방식으로 닥튈로스(장-단-단)나 스폰데이오스(장-장)처럼 장음과 단음의 비율이 2:2가 되는 경우, 이암보스(단-장)나 트로카이오스(장-단)처럼 2:1인 경우, 크레티코스(장-단-장)처럼 3:2인 경우가 있다.

6) ‘그런데 분명하지는 않지만 나는 다몬이 어떤 복합장단을 행진에 맞는(에노폴리온) 장단이며 닥튈로스라고, 심지어는 영웅적 장단이라고까지 부르는 것을 들은 것으로 생각하네’oimai de me akēkoenai ou saphōs enoplion te tina onomazontos autouῦ syntheton kai daktylon kai ērōon ge, .. 400b : 이 부분도 구문에 대한 이해에 따라 번역이 갈린다. 우선 남성 4격의 tina에 생략된 명사가 리듬rhythmos이나 아니면 운각metron이냐의 여부에 따라 syntheton의 번역이 갈린다. 일부(Griffith, Leroux, Shorey)는 생략된 명사를 중성임에도 metron으로 보거나 운율pous로 보고 있다. 아마도 이 맥락을 시가적이라고 본 듯하다. 그런데 리듬의 문제가 시가와 음악을 구분 짓기 애매하게 만들기는 하지만, 음악의 맥락에 더 가깝다는 점을 고려하면 리듬으로 보는 것이 더 나을 듯싶다. 그래서 syntheton을 ‘복합장단’으로 옮겼다. 그리고 이와 연동하여 tina를 syntheton에 거는 쪽(Waterfield)과 enoplion에 거는 쪽(Leroux, Sachs) 그리고 어느 쪽에도 걸지 않고, tina에 대한 이름으로 나머지 네 개를 보는 쪽(Shorey)이 있다. 또한 enoplion과 syntheton을 어떻게든 묶고, 나머지는 뒤의 분사구문의 목적어로 보는 방식(천, 박)도 있고, 이들을 묶고 tina에 대한 세 이름으로 보는 방식(Adam)도 있다. 문법적으로는 te tina에서 te를 enoplion에 붙는 te로 볼지, 그냥 te, ..kai로 볼지 양쪽으로 갈리는 듯하다. 전자는 어순이 자연스럽고 후자는 뜻에 더 맞아 보인다. 행진풍의 리듬을 복합적이라고 하기에는 복합적이라는 말이 더 넓기 때문이다.

그런 점에서 복합장단은 운율(pous)이 장단음의 혼합으로 이루어졌다는 말이고 영웅적이고 닥튈로스라고 한 것은 그리스의 영웅 서사시가 닥튈로스 운각의 6각운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닥튈로스나 스폰데이오스가 ‘장-단-단’ 또는 ‘장-장’으로서 두 개의 장음 또는 한 개의 장음과 두 개의 단음으로 구성된다면, 이암보스는 ‘단-장’, 트로카이오스는 ‘장-단’으로 장음 하나와 단음 하나로 구성되며, 앞의 것들이 위아래(arsis-basis)가 균등한데 반해 이것들은 불균등하다.

 

————————

 

* 위 같은 내용과 관련하여 몇 가지 추가 설명과 철학적으로 음미해볼 사안을 덧붙이면 아래와 같다.

 

1) 시가에 붙는 화음과 장단(선법과 리듬)에 관한 논의에서 소크라테스가 강조하는 것들은 앞서 시가 가사(말)의 서술방식과 관련한 논의에서 강조하고 있는 것들과 내용에서 크게 차이가 없다. 즉 그것들은 장차 용감하고 훌륭한 수호자가 되어야 할 젊은이들에게 적합해야 한다. 우선 시가에서 신들과 영웅들의 훌륭한 말과 행동을 모방하여 절제 있고 절도 있게 말하고 행동하려면 훌륭한 신들과 영웅들의 이야기에 밝아야 하듯이 시가에 붙는 선법과 리듬은 반드시 그러한 시가의 내용 즉 노랫말을 따라야 한다. 그리고 시가를 서술함에 우아한 것이건 추한 것이건 이것저것 가리지 않고 온갖 것을 모방하는 방식으로 서술하는 시인들이나 배우들과 달리 화음과 리듬을 구사하는데도 비탄과 한탄, 술취함과 유약함, 게으름 따위를 부추기는, 그래서 군중들이나 좋아하는 이러저러한 화음을 배제하고 절제 있고 절도 있게 행동하는 사람들에게 어울리는 화음을 선호해야 한다. 이를테면 도리스 화음이나 프뤼기아 화음과 같은 것들이다. 이에 따라 수호자를 위한 음악 교육에서 악기 또한 여러 현과 넓은 음역을 갖는 악기, 이를테면 아울로스 같은 악기는 제외되어야 하고 뤼라와 키타라 같은 악기 정도만 남겨두어야 한다. 장단과 박자, 운율과 선율 또한 마찬가지이다. 복잡 미묘하고 현란한 장단과 박자는 수호자가 지향할 우아함과 거리가 멀다.

2) 다양성을 추구하는 현대인의 시각에서 보면 이와 같은 음악 교육과 관련한 플라톤의 주장은 그야말로 터무니가 없을 정도로 경직되어 있고 일양적이다. 그러나 어느 시대이든 학교에서건 가정에서건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과정에서는 분야에 상관없이 나름의 일정한 교육 목표와 기준이 요구되어왔고 오늘날 보편화 된 대중문화를 생산 유포하는 방송 및 언론 기관에서조차 일정한 기준 아래 심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문제는 그러한 목표와 기준이 가지는 내용의 적합성과 그것을 결정하는 합리적 정당성이다. 플라톤의 주장은 오늘날 민주사회가 지향하는 합리적 정당성을 결여하고 있음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그러나 적합성과 관련해서는 일정 부분 귀담아서 들어야 할 부분이 있다. 우선 플라톤은 적합성의 기준을 다수의 결정에서 찾지 않고 소질과 적성이 다양한 사회 구성원 각각의 본성에서 찾고 있다. 그래서 다양한 본성만큼 적합성의 내용 또한 다양하다. 여기서는 나라의 수호자로서의 소질과 적성에 맞는 사람을 대상으로 시가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그들에게 적합한 절도와 절제가 강조되고 있고 그에 어울리는 음악 교육이 제시되고 있다. 그래서 내용 자체만 들여다보면 누가 보더라도 경직되고 단순하며 일양적이다. 그러나 그것이 나라의 수호자 즉 훌륭한 군인들을 길러내기 위한 교육과정에서 채택된 것임을 고려하면 나름의 적합성에서 벗어나 있다고 보기 힘들다. 단순하고 일양적이기는 하지만 내용 면에서 교육 대상과 교육 목표에 적합한 것일 수 있다. 오늘날에도 행진곡, 장송곡 등 경우와 상황, 대상에 따라 어울리는 음악이 따로 있다. 여기서도 그 적합성은 모든 경우 누구에게나 다 적용되는 것이 아니다. 플라톤에게 적합성은 수호자에게 어울리는 것으로 수호자에게 요구되는 것이지 결코 사회 구성원 모두에게 적합한 것으로 일양적으로 요구되지 않는다. 왜냐하면 플라톤에게 사회 구성원들은 각자 소질과 적성이 다르고 그에 따른 본성과 욕망 또한 다르고 그에 따른 그들의 일과 직무도 다르기 때문이다. 307d에서 보듯이 대다수 군중은 그와 반대되는 유형에 어울리고 오히려 그러한 유형이 그들을 월등하게 즐겁게 해 준다. 요컨대 플라톤에게 적합성과 관련하여 일관된 원칙이 있다면 다양한 사회 구성원들 각자의 본성과 욕망에 어울리는 적합성을 찾아 주는 것이다. 그들 각각에 적합한 것이 고유하다면 그들 각각은 일양적이지만 그 각각의 차이만큼 각각에게 어울리는 고유한 적합성의 종류는 다양하다. 이곳에서의 음악적 리듬의 일양성도 다만 늘 냉철함을 잊지 말아야 하는 수호자를 위한 음악 교육과정에서는 그와 같은 특정의 리듬이 가장 어울리고 그들의 수호자다운 성품의 형성에도 도움이 된다는 것이다. 그런 점에서 플라톤이 내세우는 특정 성향의 타당성을 일단 논외로 한다면 일반적인 관점에서 플라톤 주장의 요지는 다음과 같을 것이다. 즉 선법과 리듬 등 제반 음악적 요소들은 매우 다양한 차이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그것의 차이가 다양한 만큼 인간의 인격 내지 성품 형성에 미치는 영향 또한 다양하다. 그리고 그 차이는 리듬과 박자가 그러하듯 일정하고도 객관적인 규칙성과 특성이 있다. 그러므로 젊은이들을 위한 교육과정에서 그러한 음악적 요소들의 내적 연관성은 적합성 차원에서 반드시 분석되고 평가하지 않으면 안 된다.

3) 그런데 위와 같은 음악 관련 논의에서 플라톤이 제시한 음악적 일양성과 경직성이 과연 현대사회의 다양성과 얼마나 대치되는 것인가에 대해서는 몇 가지 생각해야 할 점이 있다. 이른바 자유주의 사회로 표징되는 현대사회를 들여다보면 우리가 다룬 음악 분야는 물론이고 그 밖의 모든 분야에서 과연 인간 욕망의 다양성이 담보되고 있는지 의심이 들지 않을 수 없다. 실제로 현대인들은 그들 각각의 소질과 적성, 성격과 성향에 상관없이 대체로 돈과 재물에 대한 욕망으로 획일화되어 있고 그에 따라 재화 획득 능력이야말로 가장 적합한 생존 능력과 가치로 인정받고 있다. 이렇게 보면 무한경쟁의 이름으로 그런 능력의 고양을 줄기차게 강조하고 있는 오늘날 신자유주의 사회야말로 오히려 개인들로 하여금 그들 각자에게 부합하는 고유한 적합성과는 무관하게 일양적이고도 획일화된 기준을 구조적으로 강요한다고 말할 수 있다. 실제로 오늘날 대중들의 음악적 관심사만 보더라도 그것은 하나같이 재물 획득의 효율성을 노리는 자본에 의해 지배되고 있고 그 다양성은 개인들의 주체적 욕망을 반영하기보다는 자본에 의해 기획된 구매 욕구의 반영으로서 상품화된 다양성에 불과하다. 게다가 그것은 자본의 지속적인 확대 재생산을 위한 수단으로서 유행과 개성이라는 미명으로 개인들의 소비 욕망을 부추겨 자연적·사회적 자원을 끊임없이 소모하고 있다. 자본에 의해 수단화되고 상품 가치로 획일화된 이러한 개인의 욕망을 각자의 소질과 적성에 따른 다종다양한 본래의 욕망으로 되돌리는 것이 자본주의 문명에 찌든 현대사회가 안고 있는 중대하고도 심각한 과제의 하나라면, 인간의 다양한 자연적 소질과 적성을 기본 전제로 깔고 그 위에 세워지는 플라톤의 정치철학이야말로 반(反)민주주의적이라는 오늘날의 비판을 넘어서 오히려 우리로 하여금 민주주의의 이념과 본질을 근본적으로 다시 되돌아보도록 촉구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4) 장차 수호자들은 전쟁이라는 불운한 상황에 처하여 불가피하게 강제적인 일도 해야 하고 평화 시에는 지도자다운 품성을 가지고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절제 있고 예절 바르게 행동해야 한다. 비록 반대적인 상황과 반대적인 일조차도 나라의 수호를 위해서라면 수호자는 자신의 생각과 행동 속에서 마치 씨줄과 날줄을 엮어 직물을 지어내듯 바람직한 하나로 조화를 이뤄내야 한다. 이곳에서도 플라톤의 반대적인 것들의τῶν ἐναντίων 조화와 균형의 원리가 하나같이 강조되고 있다. 반대적인 것들이 함께 있는 것이 무규정적 현실과 인간 욕망의 근원적 특성이지만 그것들을 영혼이 가지는 지성의 힘으로 헤아리고 분별하고 규정하여 그것들의 조화와 공존을 이끌어 내는 것이야말로 나라의 수호자이자 철학자들이 할 책무인 것이다.

5) 이에 따라 플라톤은 399b에서 바람직한 어조와 억양, 선법을 모방하여 위와 같은 상반된 상황을 가장 훌륭하게 넘어서는 사람들이 어떤 사람들인지를 제법 상세하게 언급하고 있다. 여기에서 묘사하는 인간상은 당연히 정의로운 나라를 이끌어 갈 바람직한 수호자 상이기는 하지만 내용 면에서 마치 플라톤 스스로 평소 자신의 마음을 다스리는 생활 지침을 되새기는 것처럼 비추어지면서 자못 우리에게 감동과 교훈을 안겨준다. 그리고 그것은 흥미롭게도 동양 유가의 군자상을 연상시키기도 한다. ‘누군가를 설득하며 요구할 때는 신에게는 기도로 하고 사람에게는 가르침과 충고로 하라’는 말은 ‘하늘을 받들고 타인을 사랑하고(敬天愛人) 천명에 따르고(待天命) 남을 자신에 비추어 생각하며(推己及人) 말을 삼가되(愼言) 남을 가르치는 일에 성심을 다하고(誠之) 게을리 하지 않는다.(敎不倦)’는 말과 상통하고 반대로 ‘남이 자신에게 요구를 해오며 가르쳐 주거나 변화하도록 설득을 해오면 귀를 기울이라’는 말 역시 공자의 가르침을 떠오르게 한다. 공자는 논어(論語)에서 ‘올바른 말로 일러 주는 것은 잘 따라 고치는 것이 중요하다’.(法語之言能無從乎改之爲貴)고 말하면서 ‘남이 은근하게 타이르는 말은 기쁘지 아니한가?(巽與之言能無說乎)’라고 반문하고 있다. 여기서 ‘귀를 기울인다’로 번역된 말의 원어는 ἑαυτὸν ἐπέχοντα(heauton epechonta)인데 사실 그 말을 직역하면 ‘조용히 입을 다물고 자신을 숙인다’라는 뜻으로 그야말로 공자가 강조하는 겸양(謙讓)의 미덕을 담고 있다. 그리고 ‘지성에 따라 행동하고 거만하지 않으며 절제 있고 금도 있게 행동하고 결과에 만족하는 사람’ 역시 ‘앎과 행동을 같게 하고(知行合一) 겸손(謙遜)하고 온유후덕(溫柔厚德)하며 스스로를 다스려 예(豫)를 세우고(克己復禮) 최선을 다하되 결과는 천명에 따르면서(盡人事待天命) 수분자족(守分自足)하는’ 동양의 군자상과 그대로 일치한다.

6) 결국 시가에서 음악적 요소 또한 시가를 이야기 하는 방식으로서 앞서 서술방식과 관련한 논의에서처럼 그 내용과 방식이 아름다워야 한다. 그러므로 좋은 리듬과 좋은 선법은 반드시 시가의 아름다운 이야기 내용 즉 노랫말(시가 가사)에 어울려야 하고 그것을 따라야 한다. 요즘에는 곡이 작곡된 후 그에 맞추어 가사를 쓰는 일도 있지만 플라톤의 경우에는 작곡은 반드시 노랫말 즉 가사에 맞춰서 이뤄져야 한다. 그리고 그 노랫말은 영혼의 성품을 따라야 한다. 그런데 플라톤은 흥미롭게도 여기서 이러한 좋은 말씨, 좋은 화음(선법), 좋은 리듬(박자), 좋은 모양(우아함)은 모두 단순함(순진함, 좋은 성격 euētheia)을 따르는 것임을 강조한다. 그리고 그 단순함이란 우리가 보통 어리석음anoia을 좋게 부를 때 쓰는 그런 단순함이 아니라, 정말로 좋고 아름다운 성품을 갖춘 생각διάνοια을 말한다고 한다. 그러므로 젊은이들은 자신들의 직분을 수행하려면 반드시 어디서나 이것들을 추구해야 한다고 말한다. 그러니까 시가와 관련한 이야기 방식에서 따라야 할 우선순위를 요약하면 선법과 리듬 즉 음악적 요소는 시가의 스토리 즉 말(노랫말)을 따라야 하고 그 말은 영혼의 성품에 따라야 한다. 그리고 단순함을 따라야 한다. 그런데 그 단순함이란 성품을 잘 훌륭하게 갖추고 있는 생각(사고)dianoia을 말한다. 즉 단순함은 영혼의 성품과 하나를 이루면서 그것의 본질을 구성하는 것이다. 요컨대 이야기 방식과 관련하여 음악은 감각에 작용하는 감성적 요소로서 말이라는 지적 요소에 의해 지배되어야 하고 그 지적 요소는 다시 영혼의 성품에 의해 지배되어야 한다. 그리고 지배관계의 최상위에 있는 영혼의 성품이란 그 성품을 보존하는 생각으로서 단순함을 그 내적 본질로 가지고 있다.

7) 그런데 여기서 플라톤이 말하고자 하는 근본 의도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가 말하는 단순함εὐηθείᾳ(euētheia)의 의미를 잘 이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그것의 원어 euētheia는 일차적으로 ‘좋은 성격’이나 ‘순진함’을 의미하지만 그렇다고 그 순진함은 제1권에서 트라쉬마코스가 빈정거리듯 정의를 ‘고상한 순진성’genaian euētheia으로 부를 때(348d)와 같은 의미에서의 순진함을 말하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오히려 아무런 편견이나 선입관 없이 사물을 있는 그대로 바라보는 어린이의 마음을 일컬을 때의 순진성에 더 가깝다. 소크라테스도 여기서 그 말을 어리석음anoia이 아니라 오히려 지적 사고로서의 dianoia와 연결 짓고 있고, 주석가인 아담(J. Adam) 역시 그 말의 진정한 어원을 hōs alēthōsῶς(truthfully)에서 찾고 있다. 실제로 우리는 생활 속에서 아주 복잡한 것을 아주 단순화하여 한마디로 명쾌하게 꿰뚫어보는 경우도 경험하고 반대로 아주 간단한 것도 선입견이나 편견에 휩쓸려 복잡하게 생각하거나 애매하게 만들어 버리는 경우도 종종 경험한다. 여기서 플라톤이 말하는 단순함이란 인식의 측면에서 말하자면 전자의 경우에 가깝다고 말할 수 있다. 요컨대 단순함은 사물과 사태의 내적 관계나 실체들을 아무런 편견 없이 있는 그대로 분명하고 온전하게 그야말로 명석판명하고 간명하게 드러낼 때의 영혼의 상태를 가리키는 것이라 할 것이다. 이처럼 인간은 그러한 진실을 간취하거나 인식할 수 있는 능력으로서 인간 고유의 인격적 요소 즉 영혼의 성품을 구유하고 있는 것이다. 마치 맑은 거울과도 같은 이와 같은 순수성이 영혼의 성품이 내적 본질로서 가지고 있는 단순함의 의미이다. 이런 점을 고려하여 이곳에서 ‘젊은이들은 이러한 것들 즉 단순함과 생각을 추구해야 한다’는 소크라테스의 말은 다소 개념적으로 풀이해서 말하면 이런 의미 즉 ‘장차 수호자들이 될 젊은이들은 반드시 순수하고 맑은 영혼의 성품을 보전하여 나라에서 일어나는 온갖 종류의 복잡한 일들을 진실의 관점에서 통일적으로 이해하고 그 문제의 핵심적인 내용과 해결 방안을 가장 명료하게 찾아내고 실천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을 말한다고 할 수 있다. 소크라테스가 이어서 설명하고 있듯이(401e-402a) 이처럼 청소년을 위한 시가 교육의 단계에서 예민하게 진실을 직감하는 젊은이들의 순수성 내지 초보적 단순성은 자라면서 이성적 논거 형성 능력의 민감성으로 발전하고 이후 고도의 철학적 추상 능력을 거쳐 궁극적으로는 변증법을 통해 진리 자체 즉 이데아에 대한 인식으로 승화되어 나가는 것이다.

 

8) 그리고 플라톤은 지금까지 이야기 방식과 관련한 논의 즉 말과 그에 수반되는 음악적 요소에 대한 시가 관련 논의 전체를 통해 드러낸 위와 같은 결론적 문제의식을, 단순히 시가 관련 분야에만 국한시키지 않고 그림 분야를 비롯한 모든 기예들 즉 직조술, 자수, 건축 등의 예술 영역은 물론 인체 및 생물들의 내적 구조와 본성 등 우아함과 관련한 모든 영역으로 확장 시킨다. 이것은 시가 관련한 논의를 수행하면서 논의된 문제의식과 일부 도출된 결론들이 앞으로 다루어질 정의로운 국가의 전반적인 문제 영역에서도 통일적이고도 일관되게 적용될 것임을 예고하고 있는 것이라 하겠다. 이로써 이야기 방식에서 음악적 요소와 관련한 논의가 마무리되고 지금까지 진행된 시가 교육이 왜 중요하고 그것이 목표로 하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한 논의가 끝으로 이어진다.

아홉 번째 시간, 친구 [시가 필요한 시간]

아홉 번째 시간, 친구

 

마리횬

 

안녕하세요, 시가 필요한 시간의 마리횬입니다. 2020년도 어느덧 1월이 지나고, 2월의 마지막 주를 맞게 되었습니다. 이번에는 굉장히 오랜만에 여러분을 만나는 기분이 드네요. 잘 지내셨어요? 요즘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때문에 온 나라와 세계가 긴장의 끈을 놓지 못한 채 하루하루 보내고 있는데요, 이럴 때 일수록 몸과 마음 잘 챙기시고, 모두 건강에 유의하시길 바랍니다.

오늘은 친구라는 주제로 이야기를 해볼까 해요. 예전에는 친구하면 주로 학교 친구, 동네 친구, 동아리 친구를 떠올리기 쉬웠는데, 요즘은 SNS를 많이 하다 보니 얼굴 한 번도 본 적 없는 사람과도 친구처럼 소통하게 되는 경우도 많고, 또 원데이 클래스’ 같은 다양한 모임들이 주변에 많이 생기다 보니, 그곳에서 알게 되는 다양한 사람들과도 친구가 되는 경우들을 적지 않게 봅니다. 과거에 비해 친구라는 개념이나 경계가 확실히 넓어지고 있는 것을 느낄 수 있어요. 그러다 보니 자연스레 나이의 개념도 과거보다는 덜 중요시되는 것 같고, 나이의 많고 적음을 떠나서 ‘마음이 통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든 친구가 될 수 있는 시대인 것 같습니다. 오늘은 친구란 무엇인가를 생각해보게 되는 시 한 편을 준비해 보았어요.

첫 번째로 여러분께 들려드릴 시는, 마종기 시인의 우화의 강이라는 제목의 시예요. ‘우화라는 말은 인격화한 동물 등을 주인공으로 하는 풍자와 교훈을 주기 위한 이야기라는 뜻의 우화(寓話, 이솝우화)도 있지만, 짝 우(偶)에 말 화(話)로 이루어진, 두 사람이 서로 마주보며 이야기 함이라는 뜻 우화(偶話)도 있더라구요. 마종기 시인의 시 제목은 이 두 번째 우화에서 왔습니다. ‘두 사람이 서로 마주보며 이야기하는 강이라는 뜻이라고 볼 수 있겠죠. 

시인은 이 시에서 사람과 사람이 만나는 것을 강과 강물에 비유하고 있는데요, 여러 번 읽을수록 정말 와 닿는 시라는 생각이 듭니다. 눈 앞에 넓은 강이 펼쳐져 있다고 생각하시면서 들어보시죠. 

 

偶話(우화)의 

                                마종기

 

사람이 사람을 만나 서로 좋아하면

두 사람 사이에 물길이 튼다.

한 쪽이 슬퍼지면 친구도 가슴이 메이고

기뻐서 출렁거리면 그 물살은 밝게 빛나서

친구의 웃음소리가 강물의 이 끝에서도 들린다.

 

처음 열린 물길은 짧고 어색해서

서로 물을 보내고 자주 섞여야겠지만

한 세상 유장한 정성의 물길이 흔할 수야 없겠지.

넘치지도 마르지도 않는 수려한 강물이 흔할 수야 없겠지.

 

긴 말 전하지 않아도 미리 물살로 알아듣고

몇 해쯤 만나지 못해도 밤잠이 어렵지 않은 강,

아무려면 큰 강이 아무 의미도 없이 흐르고 있으랴.

세상에서 사람을 만나 오래 좋아하는 것이

죽고 사는 일처럼 쉽고 가벼울 수 있으랴.

 

큰 강의 시작과 끝은 어차피 알 수 없는 일이지만

물길을 항상 맑게 고집하는 사람과 친하고 싶다.

내 혼이 잠잘 때 그대가 나를 지켜보아 주고

그대를 생각할 때면 언제나 싱싱한 강물이 보이는

시원하고 고운 사람을 친하고 싶다.

 

 

네, 마종기 시인의 <우화의 강> 들어보았습니다. 이 시를 들으면서 넓은 강을 한번 떠올려보자고 했는데요, 그 전에 먼저 작은 물줄기가 흐르고 있는 모래밭 어딘가를 상상해보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어느 한 쪽에서 다른 한 쪽으로 물이 흐르기 시작할 때, 그 부분에 흙이 조금씩 파이면서 작은 물길이 터지게 됩니다. 그리고 그 한 곳으로 물이 계속 흐르다 보면 점점 굵고 깊은 물길이 터지게 되죠.

 

이 시의 첫 시작이 그러한 비유로 시작하고 있습니다. 처음 물이 흐르기 시작하면서 평평했던 땅에 물길이 생기는 것 과 사람이 다른 사람을 만나 서로 마음이 통하게 되는 것을 함께 연결 지어 이야기하고 있어요. 

이쪽과 저쪽 사이에 처음 물길이 생겼을 때, 그 사이로 자주 물을 보내야 그 자리가 조금씩 깊게 파이면서 물길이 유지될 수 있죠. 그렇지 않으면 얕기만 한 물길은 깊게 파이기 전에 금방 사라지고 말 겁니다.

 

물길이 오가야 그 물길이 점점 깊어질 수 있는 것처럼, 사람과 사람도 서로 친해지려면 자주 만나고 이야기가 자주 오가야만 합니다. 물론 처음에는 어색할거예요. 아무리 친화력이 좋은 사람이라고 하더라도, 누군가와 처음 만나는 순간은 아무래도 조금 어색하기 마련이죠. 저도 그런 경험이 있습니다. 지금은 매우 친한 친구가 있는데, 처음 알게 되었을 때는 서로 존댓말도 썼고, 겉으로 내색은 안 하더라도 이 다음에 무슨 말을 해야 하나 고민했던 상황도 있었죠. 내 개인적인 얘기를 어디까지 꺼내야 될지도 잘 모르고 말이죠. 하지만 지금은 서로 말도 편하게 하고, 척 하면 착 알아듣고 많은 얘기를 나누는 사이가 되어 있습니다. 고민거리도 서로 얘기하고 들어주는 좋은 친구가 되어 있죠. 여러분도 아마 그런 친구 한 명씩은 있을 겁니다. 

시인은 처음 물길이 생기고, 물이 자주 오가고 서로 섞여야 하는 수고를 거친 후에는 넘치지도 않고 마르지도 않는 강물이 될 수 있다고 이야기하는데, 사람과 사람 사이도 마찬가지인 것이죠. 

그런데 가만히 생각해보면, 서로 전혀 모르던 사람이 어느 순간에 만나서 서로 친해지기까지는 쉽다손 치더라도, 거기에서 더 나아가 서로의 내면적 고민까지 진솔하게 나눌 수 있는 정도의 사이까지 된다는 것은 진짜 쉬운 일은 아닐 겁니다. 진실로 마음을 나눌 수 있는 친구를 만든다는 것은 결코 흔한 일이 아니죠.  

그래서 시인은 이야기 합니다. ‘유장한 정성의 물길이 흔할 수 있겠는가. 수려한 강물이 된다는 것이 어디 흔한 일이겠는가하고 말이죠.

 

처음 열린 물길은 짧고 어색해서

서로 물을 보내고 자주 섞여야겠지만

한 세상 유장한 정성의 물길이 흔할 수야 없겠지.

넘치지도 마르지도 않는 수려한 강물이 흔할 수야 없겠지.

 

넘치지도 마르지도 않는 수려한 강물이 되었다는 것은, 다시 말하면 그만큼의 물길이 오간 세월과 노력이 있었다는 것이고, 사람과 사람의 관계도 마찬가지로 그러한 노력이 있을 때에야 비로소 넘치지도 부족하지도 않은 관계가 될 수 있다고 시인은 말하고 있습니다. 여러분 곁에는 그러한 사람이 있나요? 

 

긴 말 전하지 않아도 미리 물살로 알아듣고

몇 해쯤 만나지 못해도 밤잠이 어렵지 않은 강,

아무려면 큰 강이 아무 의미도 없이 흐르고 있으랴.

 

긴 세월과 많은 노력을 통해 이제 큰 강이 되었다면, 물을 계속 보내거나 굳이 수고스럽게 섞이려고 애쓰지 않아도 그 자체로 계속 큰 강으로 존재할 수 있게 됩니다. 큰 강은 얕은 물길처럼 쉽게 사라질 수 있는 것이 아니니까요.

이 시를 거듭 읽을 수록, 강과 사람 사이의 관계가 참 비슷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우리도 정말 친한 친구와는 오랜만에 만나더라도 마치 며칠 전에 보고 다시 만나는 것처럼 전혀 어색하지가 않잖아요? 정말 친한 친구라면, 몇 해쯤 만나지 못해도 대화가 어색하지 않은 사이일 것이고, 긴 말을 전하지 않아도 눈빛만으로도, 친구의 한숨 하나만으로도 마음의 무게를 알 수 있는 그런 사이일 겁니다. 마종기 시인의 말의 표현을 빌면, 그러한 두 사람의 사이에는 긴 말 전하지 않아도 미리 물살로 알아들을 수 있는 강이 존재하는 것이겠죠.

그런데 한 편으로는, 이 만남이 언제 어떤 모습으로 끝나게 될지를 우리는 알 수 없습니다. 시인도 그 부분을 인정하고 있어요. 큰 강의 시작과 끝은 어차피 알 수 없는 일이라고 말이죠. 하지만 시인은 그 시작과 끝은 모를지라도, 물길을 항상 맑게 고집하는 사람과 친하고 싶다고 말합니다. 

 

 

큰 강의 시작과 끝은 어차피 알 수 없는 일이지만

물길을 항상 맑게 고집하는 사람과 친하고 싶다.

내 혼이 잠잘 때 그대가 나를 지켜보아 주고

그대를 생각할 때면 언제나 싱싱한 강물이 보이는

시원하고 고운 사람을 친하고 싶다.

 

이미 시작된 인연과 만남이라면 그 만남이 맑고 투명하기를, 시원하고 곱게 이어지기를 소망하고 있습니다. 이 시를 읽으면서, 저도 누군가에게 그런 맑은 친구가 되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친구가 힘들 때 곁에서 든든히 지켜봐 줄 수 있는 사람이었으면 좋겠고, 또 누군가가 나를 생각 할 때 마냥 답답한 사람이 아니라, 언제나 만나고 싶고 가까이 하고 싶은 그런 사람이었으면 좋겠다.. 그런 생각이 드네요. 

시원한 강가에 나가면 가슴이 탁 트이듯이, 저도 누군가에게 그런 사람이었으면 좋겠다고 소망해봅니다. 

이 시와 함께 들으면 좋을 노래로, 샘킴이 부른 <Your Song>이라는 곡 가져왔습니다. 이 곡은 샘킴과 K-Pop Star 방송동기이자 같은 회사 소속가수인 권진아 양을 위해 만든 곡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권진아 양이 매우 힘든 시기를 겪고 있을 때, 샘킴이 직접 만든 곡이라고 하는데요, 가사가 참 위로가 되는 노래입니다. 여러분과도 나누고 싶습니다.

 

샘킴 – Your Song https://youtu.be/pMT0hihnb4E

 


필자 마리횬

아이폰 팟케스트 <마리횬의 시와 음악공간(2012)>에서 러시아의 시와 노래를 직접 번역하여 소개하는 방송을 진행하였고, 호주 퀸즐랜드주 유일의 한인라디오방송국에서 시를 읽고 생각을 나누는 <시가 필요한 시간(2016-2018)>을 진행하며 많은 사랑을 받았다. 연세대학교에서 노어노문학을 전공하였고, 현재 동대학원에서 러시아 문학을 공부하고 있다.  

여덟 번째 시간, 가족 [시가 필요한 시간]

 여덟 번째 시간, 가족

 

 마리횬

 

오늘 시가 필요한 시간은 가족을 주제로 이야기 해볼까 합니다. 여러분은 평소 가족들과 시간을 많이 보내시나요? 얼마 전에 설 연휴도 있어서, 아마 오랜만에 친척들과 부모님들을 뵙고 온 분도 있을 것 같아요. 저도 평소에는 학업에, 직장에 바쁘기 때문에 시간적인 여유가 별로 없지만, 명절이나 연휴만큼은 가족들과 시간을 보내려고 노력하는 편입니다.

저는 2016년에 친척을 방문하러 호주에 갔다가, 약 2년간 호주 브리즈번에서 머물렀던 적이 있습니다. 그곳에서 느낀 것 가운데 한 가지는, 호주 사람들은 참 가족을 중요하게 생각한다는 거예요. 

호주에서도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퇴근시간 이후에 추가로 야근을 하면 추가수당을 받아요. 그리고 아르바이트를 하더라도 휴일이나 주말에 근무하면 기존에 받던 시급이나 주급의 몇 배를 추가로 받는 것이 법으로 제도화 되어 있습니다. 언뜻 생각해 볼 때, “기존 시급의 몇 배를 더 준다고 하면, 서로 휴일에 근무하려고 하지 않을까?라고 생각하기 쉬울 텐데요, 대부분의 호주 사람들은 돈을 좀 덜 벌더라도 그 일할 시간에 가족들과 함께 있는 것을 선택하는 것을 흔하게 마주할 수 있었습니다. 특별히 어린 자녀를 둔 부모의 경우, 아이들의 어린 시절은 다시 돌아오지 않는다고 하면서 너무도 당연하게 추가 근무 대신 집에서 아이들과 시간 보내는 것을 선택하더라구요. 호주 사람들에게 차지하는 가족에 대한 부분이 정말 크구나 하는 것을 많이 느꼈습니다. 물론 나라마다 복지의 조건과 상황이 다르겠지만, 호주 사람들의 그런 사고방식이 때론 부럽기도 했습니다.

우리의 부모님들도 사실은 결국 가족들을 위해서 야근도 하고, 가족을 위해서 나를 희생하는 것일 텐데, 그 희생이 당연하게 느껴질 때도 있고, 그 희생이 가족들에게 잘 전해지지 않을 때가 있는 것 같아요. 

오늘은 특별히 자녀들을 위해 애쓰고 수고하시는 어머니와 아버지가 생각나는 시를 각각 한  골라보았습니다. 이 시들을 읽으면서, 오랜만에 가족들을 좀 더 생각해보는 시간을 가져 보면 어떨까 싶어요.

첫 번째로 소개해드릴 시는 유안진 시인의 시 <배꼽에 손이 갈 때> 입니다. 우리가 알다시피 배꼽은 어머니의 뱃속에 있는 태아와 어머니의 자궁을 연결시켜주는 탯줄이 있던 흔적을 의미합니다. 

 

그 탯줄을 통해서 태아가 어머니로부터 영양분을 받아서 자라나죠. ‘배꼽은 아기가 태어나기 전까지 정말 중요한 역할을 했던 부분이지만, 우리가 태어난 이후로 자라나면서 또한 평소에 살면서는 그다지 의식하지 않고 살아가는 신체부위이기도 합니다. 

유안진 시인의 <배꼽에 손이 갈 때>는 과연 어떤 내용을 담고 있을까요? 기왕이면 배꼽 위에 손을 얹으시고 이 시를 한 번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배꼽에 손이 갈 때

                              유안진

 

생각할 게 있으면

가슴에 손을 얹는 이

이마를 짚거나 뒷머리를 긁는 이

손가락으로 귀를 후비는 이

엉덩이를 꼬집는 이도 있지만

나는 배꼽에 손이 간다

 

낯선 이들하고도 아무리 가족호칭으로 불러도

한 가족이 될 수 없고

한 가족끼리도 타인처럼 사니까

진실은 천륜의 그루터기에서 나온다 싶어서

어머니와 이어졌던 흉터만 믿고 싶어서

출생시의 목청은 정직하니까

배꼽의 말은 손으로만 들리니까

 

이만하면 배부르다

이만하면 따뜻하다

너무 생각 말거라

두 손바닥에다 거듭 일러준다

내 손 아닌 어머니의 손이 된다

 

 

유안진 시인의 시 <배꼽에 손이 갈 때들어보았습니다. 제목만 들어서는 무슨 시인지 감을 잡을 수 없었지만, 시를 읽고 나니 이 시가 어머니에 관한 시구나 하는 것을 알 수 있죠. 

시의 첫 부분에, 생각할 게 있으면 누군가는 가슴에 손을 얹기도 하고, 뒷머리를 긁는 사람도 있는데, 난 배꼽에 손이 간다라고 시작합니다. 그렇다면 이 시의 화자는 뭔가 생각할게 있었다는 이야기겠죠. 시의 화자가 생각하고 있는 게 뭘까요? 시를 끝까지 읽고 나면 이 사람이 어떤 생각을 하고 있었으며, 어떤 상황에 처해있었던 것인지 알 수 있습니다. 

낯선 이들과 가족 호칭으로 불러도 한 가족이 될 수 없다는 말, 한 가족끼리도 타인처럼 산다는 그 말을 한 번 생각해볼까요? 이 시의 화자는 어쩌면 지금 참 외로운 시간을 보내고 있을지도 모릅니다. 저도 외국에 나가서 가족들과 떨어져있었던 경험이 있다 보니까 공감이 되는 부분이었어요. 물론 외국에서도 좋은 분들을 만나서 외롭지 않게 가족같이 잘 지냈지만, 정말 결정적인 어느 순간에는 진짜 가족과는 다른 부분이 있을 수 밖에 없겠죠. 

회사나 학교에서도 거의 친언니나 친동생과 같을 정도로 많은 이야기를 터놓고 지내는 좋은 동료들이 분명히 있지만, 그렇더라도 실제 친언니와 친동생과 똑같을 수는 없을 겁니다. 아무리 친한 사이라고 해도 진짜 가족보다는 그래도 뭔가 조심스럽고 약간의 거리는 있을 수 밖에 없어요. 이 시의 화자도 가족들과 떨어져 있으면서 그런 감정을 느끼고 있는 상황인 것 같습니다.

이 시를 읽으면서, 지금 한국의 20-30대 청년들의 모습이 많이 떠올랐습니다. 제 주변에도 취업 때문에 혹은 고시나 진로 때문에 부모님 집을 떠나 홀로 서울이나 지방에 나와있는 친구들이 많은데, 처음에는 독립했다는 설렘이 앞서지만 점점 혼자 지내는 게 쉽지 않고 외로워하는 모습을 보게 됩니다. 아마도 현실의 끊임없는 경쟁 속에서 지치기도 하고, 다른 사람들과 나를 비교하면서 그들보다 성공하지 못한 자신의 모습에 실망하기도 하는 거겠죠. 그런데 어디에도 그런 고민을 허심탄회하게 얘기할 데가 없다면, 스스로를 더 외롭게 만들 수도 있을 겁니다. 

그렇게 생각이 많아지는 어느 날 밤, 가만히 배에 손을 올려놓고 있는데 어머니의 음성이 들리는 듯 한 거죠. 이 시의 마지막 연에 나오는 말들, 이만하면 배부르다이만하면 따뜻하다너무 생각 말거라’ 라는 말은 아마도 어머니의 말투였던 것 같습니다.

 

아마도 한 번쯤은 이런 기억이 다 있으실 겁니다. 어렸을 적에 배가 아프면 어머니가 엄마 손은 약손!하면서 배꼽 주변을 쓰다듬어 주고, 배를 만져주던 기억. 한 번쯤은 있으실 텐데, 사실 생각해보면 어머니의  자체는 아무 치료제도 아니고 그냥 일 뿐이죠. 하지만 어머니가 엄마 손은 약손!이라고 말하니까, 신기하게 무슨 약을 먹은 것도 아닌데 아팠던 배가 싹 나았던 기억이 있습니다. 어머니의 손에 무슨 힘이 있던 것일까요, 아니면 어머니의 말에 어떤 힘이 있던 것일까요? 

 

이만하면 배부르다

이만하면 따뜻하다

너무 생각 말거라

두 손바닥에다 거듭 일러준다

내 손 아닌 어머니의 손이 된다

 

이 시에서 화자는 어머니의 손과 말의 힘을 다시 한 번 느끼고 있습니다. ‘그만하면 배부르단다그만하면 따뜻하단다라는 어머니의 목소리는, ‘괜찮다라고, 너는 지금도 충분히 괜찮단다라고 위로하고 치유하는 음성으로 다가옵니다. 그리고 마지막 행에 와서, 배를 쓰다듬고 있는 손이 내 손이 아니라 어머니의 손이 된다는 이 표현에서, 시의 화자는 영원한 내 편인 어머니라는 존재를 통해 현재의 힘듦과 외로움을 견뎌낼 만한 위로를 얻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주변 누구의 말도 진심으로 들리지 않을 때, 어머니라는 존재, 나를 향한 그 어머니의 위로의 말이야말로 정말 진심 어린 격려와 충고가 되겠죠. 

 

어머니의 말이 때로는 잔소리로 들릴 때도 있죠. 사실은 그 모든 말들이 다 나를 위한 말일 텐데, 자녀들은 그걸 쉽게 놓칠 때가 있는 것 같아요. 이 시를 통해 영원한 내 편인 어머니의 존재를 다시 한 번 생각해보게 됩니다.

오늘 유안진 시인의 시 배꼽에 손이 갈 때와 함께 소개해드릴 곡은 양희은의 엄마가 딸에게라는 곡입니다. 예전에 TV방송에서 악동뮤지션과 양희은씨가 함께 부르면서 유명해졌던 곡인데요, 오늘은 그 곡의 원곡을 가져왔습니다. 우리가 평소에는 몰랐던 엄마의 속마음과 딸의 마음과 사랑을 느낄 수 있는 곡입니다. 함께 들어보시죠. 

♫ 양희은- 엄마가 딸에게 https://youtu.be/8rWuQI9ljsY

 

 

 

늘 가족을 주제로 소개해 드릴 두 번째 시는 아버지가 생각나는 시를 골라보았습니다. 그런데 이상하게도 아버지에 대한 시는 유난히 슬픈 내용의 시가 많이 있더라구요. 어머니에 관한 시도 물론 슬픈 시가 있었지만 그래도 잔잔한 감동이 느껴지는 시들이 많았는데, 아버지에 관한 시들은 유독 슬픈 내용들이어서 소개할지 말지 조금 망설여지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그래도 그 중에 한 편을 여러분과 나누기 위해서 가져왔는데요, 오늘 소개해드릴 시는 이상국 시인의 <혜화역 4번 출구>라는 제목의 시 입니다. 제목만 들어서는 아버지가 연상되지 않는 것 같죠. 저도 처음에 시를 읽을 때는 이 시가 아버지에 대한 시라고는 눈치를 채지 못했어요. 하지만 다 읽은 후에 뭔가 가슴 한 켠에 묵직한 감동이 있었던 시 입니다. 여러분께도 그 감동이 잘 전해졌으면 좋겠네요. 그러면 이상국 시인의 시 <혜화역 4번 출구> 먼저 들어보겠습니다.

 

혜화역 4번 출구 

                               이상국

 

딸애는 침대에서 자고

나는 바닥에서 잔다

그애는 몸을 바꾸자고 하지만

내가 널 어떻게 낳았는데……

그냥 고향 여름 밤나무 그늘이라고 생각한다

 

나는 바닥이 편하다

그럴 때 나는 아직 대지의 소작이다

내 조상은 수 백 년이나 소를 길렀는데

그 애는 재벌이 운영하는 대학에서

한국의 대 유럽 경제정책을 공부하거나

일하는 것보다는 부리는 걸 배운다

그애는 집으로 돌아오지 않을 것 같다

 

내가 우는 저를 업고

별하늘 아래서 불러준 노래나

내가 심은 아름드리 은행나무를 알겠는가

그래도 어떤 날은 서울에 눈이 온다고 문자메시지가 온다

그러면 그거 다 애비가 만들어 보낸 거니 그리 알라고 한다

모든 아버지는 촌스럽다

 

나는 그전에 서울 가면 인사동 여관에서 잤다

그러나 지금은 딸애의 원룸에 가 잔다

물론 거저는 아니다 자발적으로

아침에 숙박비 얼마를 낸다

나의 마지막 농사다

그리고 헤어지는 혜화역 4번 출구 앞에서

그 애는 나를 안아 준다 아빠 잘 가

 

네, 이상국 시인의 시 <혜화역 4번 출구> 들어보았습니다. 시의 한 줄 한 줄에서 아버지의 무뚝뚝함이랄까? 그 무뚝뚝함 속에 담긴 진심과 같은 것이 느껴지는 그런 시라는 생각이 듭니다.

앞서 첫 번째로 읽었던 시가 자녀의 입장에서 어머니의 사랑을 다시 기억하는 시였다면, 이 이상국 시인의 시는 아버지 입장에서 자녀를 향하는 사랑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이 시 속의 아버지도 그렇고, 우리 아버지들은 왜인지 모르지만 다 큰 자녀들에게는 사랑표현을 잘 못하는 것 같아요. 예전에 한 방송에서 개그맨 이경규씨와 당시 대학생이었던 이경규씨의 딸이 나오는 프로그램을 본 적이 있었는데, 아빠와 딸 모두 대화도 별로 없고 감정표현에 서로 서툰 서먹서먹했던 모습이 기억납니다. 

 

그런데 그 방송에서 자료화면으로 두 부녀의 옛날 모습이 함께 나왔는데, 이경규씨가 3-4살 된 딸을 너무 잘 안아주고, 계속 딸아이와 이야기도 하고 너무 잘 놀아주고, 뽀뽀도 해주는 장면이 있었어요. 지금의 대면 대면한 부녀 사이와는 비교도 할 수 없을 정도로 굉장히 친밀한 모습이었습니다.

모든 가정이 다 똑같다고는 볼 수 없겠지만, 위 방송에서처럼 예전에는 그렇지 않았음에도 현재는 자녀와 부모님 사이가 다소 서먹한 가정이 적지 않은 것 같아요. 생각해보면 우리의 아버지들도 예전에는 우리들에게 감정표현을 잘 하셨을 텐데, 왜 지금은 그렇게 못하실까요? 뿐만 아니라 우리 자녀들도, 어렸을 적에는 부모님께 애교도 부리고 모든 시시콜콜한 이야기를 다 했던 때가 있었을 텐데, 언제부터 다소 서먹한 사이가 되어버렸을까요? 아마도 자녀들이 크면서 사춘기도 오고, 또 각자 자기만의 활동영역이 생기다 보니 자연스럽게 부모님과 자녀 사이가 멀어졌던 게 아닐까 싶어요. 

 이 시에서도 그런 대목이 나오죠. 세 번째 연에서, 내가 우는 저를 업고 별 하늘 아래서 불러준 노래를 기억이나 하겠는가하는 대목에서, 여전히 변함없이 딸을 사랑하고 있는 아버지의 마음이 느껴집니다. 겉으로는 표현하지 못해도 마음으로는 옛날처럼 딸아이와 함께하고 싶은 아버지의 마음이겠죠.

 

또한 서울에 눈이 온다고 보낸 딸의 메시지에 그거 다 아빠가 만들어 보낸 거니 그리 알아라라고 답장을 보낸다는 그 대목 역시도, 보고 싶다는 말을 이렇게 돌려서 표현하고 계신다는 것을 느낄 수 있죠.

 

그래도 어떤 날은 서울에 눈이 온다고 문자메시지가 온다

그러면 그거 다 애비가 만들어 보낸 거니 그리 알라고 한다

모든 아버지는 촌스럽다

 

 모든 아버지는 촌스럽다.. 이 시를 읽으면서 미처 다 말하지 못한 아버지의 마음 속의 진심 같은 것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문득 저희 아버지가 생각이 났어요. 저희 아버지도 전화하면 늘 하시는 얘기가 있어요. “뭐하고 있었어? 밥은 먹었고? 피곤하지 않아? 너무 무리하지 말고, 밤에 너무 늦게 자지 말고” 등등, 안부를 묻는 이야기들이 오가고 나면 항상, 잠깐만 있어 봐, 엄마 바꿔줄게 하고 그것으로 아버지와는 통화가 끝납니다. 어머니하고는 기본 30분은 넘게 통화하는데, 아버지와는 늘 약 3분 정도 통화 했던 것 같아요. 지금은 조금 더 길어지긴 했는데, 그래도 여전히 잠깐만 기다려봐, 엄마 바꿔줄게로 통화가 끝이 나죠. 어렸을 때는, 하실 말씀도 없으신데 왜 전화 하시는 건가 싶기도 했었어요, 솔직히. 그런데 조금 크고 나니까 그 이유를 알겠더라구요. 

 

별 말씀도 안 하시고, 통화하는 시간도 짧음에도 이렇게 전화를 하시는 것 역시 다 아버지의 사랑의 표현인 것이고, 직접 말하지는 않지만 딸의 목소리를 듣고 싶다는 간접적인 표현이었던 것이죠. 이제는 그걸 다 알고, 제가 먼저 아버지께 전화 드리기도 하고, 아빠와 더 많은 이야기를 하려고 합니다.

이번에 이 글을 준비하면서 어느 인터넷 페이지에서 읽었던 에피소드가 생각이 났어요. 여러분께도 소개해드릴게요. 

한 교수가 수업시간에 학생들에게 두 가지 질문을 했다고 합니다. 첫 번째 질문은 다음과 같았습니다.

 

 [질문1]
사랑하는 남녀가 있는데, 여자는 누가 봐도 감탄할 만큼 아름다운 여자였다. 그런데 그녀가 교통사고를 당해 얼굴에 심한 흉터가 생기고 말았다. 남자는 그녀를 예전처럼 사랑할 수 있을까? 

 

라는 질문이었습니다. 그리고 학생들은 세 가지 답안 중에 하나를 골라야 했는데요, 

A. 당연히 예전처럼 사랑할 것이다.

B. 사랑하는 마음이 사라질 것이다.

C. 예전처럼 사랑할 수 있을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

 

여러분이라면 어떤 답을 골랐을까요? 이 [질문1]에 대한 학생들의 답변은, A 10%, B 10%, 그리고 C 80%였습니다. 압도적으로 C가 많았죠. 

 

그리고 두 번째 질문이 이어졌습니다.

 

[질문2]
사랑하는 남녀가 있는데, 남자는 사업에 크게 성공한 백만장자였다. 그런데 그의 회사가 파산해 남자는 하루아침에 빈털터리가 되어 버렸다. 여자는 그 남자를 예전처럼 사랑할 수 있을까?

 

A. 당연히 예전처럼 사랑할 것이다.

B. 사랑하는 마음이 사라질 것이다.

C. 예전처럼 사랑할 수 있을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

 

이 두 번째 질문에 대한 결과는, A 30%, B 30% 그리고 C 40%였습니다. 아까 첫 번째 질문보다는 예전처럼 사랑하겠다는 비율이 좀 늘어나긴 했지만, 여전히 사랑하는 마음이 사라질 것이라는 부정적인 대답과 사랑할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는 대답이 많은 것을 알 수 있죠. 

이 두 가지 질문을 마친 교수가 말했습니다. “모두 이 두 남녀를 ‘연인관계’라 생각했나?” 학생들은 그렇습니다.”, 사랑하는 남녀라고 해서 연인관계로만 생각했는데요?라고 대답했습니다.

교수가 잠시 말을 멈추더니 학생들에게 다시 말했습니다. 만약 첫 번째 질문의 남녀가 ‘부녀관계’이고두 번째 질문의 남녀가 ‘모자관계’라면, 어떻게 대답하겠나?” 순간 교실 안이 조용해지고 학생들 생각에 잠겼습니다. 

잠시 후 교수는 앞선 두 질문을 다시 한 번 되물었고, 그러자 이번에는 모든 학생들 전원 ‘A: 당연히 예전처럼 사랑할 것이다. 답변으로 선택하였습니다.

 

이 에피소드는 우리의 가슴에 잔잔한 감동으로 다가옵니다. 부모는 자식이 어떤 흉터를 갖게 되든 그 사랑을 포기할 수 없고, 자식이 어떤 실패를 겪더라도 내 자식이기 때문에 끝까지 사랑하는 존재라는 것을 말해주고 있죠. 

 

어느 인간관계가 이러한 무조건적인 사랑을 줄 수 있을까 싶습니다. 단순히 사랑하는 남녀관계에서는 쉽게 상상할 수 없고, 쉽게 잴 수 없는 깊이와 넓이의 사랑이 부모님에게 넘치게 있는 것을 다시 한 번 느끼게 됩니다.

오늘 유난히 부모님 생각이 많이 나는 날이네요. 오늘 가족을 주제로 함께 했는데요, 이상국 시인의 시 <혜화역 4번출구>와 함께 들려드릴 노래는 홍재목의 당신이 그대가입니다. 이 노래는 사실 남녀간의 사랑을 이야기하는 노래인데요, 저는 이 노래를 들으면서 부모님 생각이 많이 났어요. 시간이 점점 흐르고 나이를 먹으면서 다 기억하지 못하고 잊어버리게 되는 추억들, 그 아쉬움과 그리움을 노래한 곡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늘 곁에 계실 것만 같지만, 사실 인간의 삶과 시간, 기억은 유한합니다. 언젠가는 이별하게 될 테고, 그렇다면 지금 우리가 당연하게 받고 있는 이 사랑도 언젠가는 추억이 되겠죠. 이 노래 들으시면서 더 늦기 전에 우리 부모님과의 추억들을 되새겨보고, 다시 한 번 그 사랑에 감사하는 시간이 되었으면 합니다. 모두 건강 조심하시구요, 저는 2주 후에 다시 찾아올게요. 

 홍재목 – 당신이 그대가 : https://youtu.be/HcjgsIkXcl0 


필자 마리횬

아이폰 팟케스트 <마리횬의 시와 음악공간(2012)>에서 러시아의 시와 노래를 직접 번역하여 소개하는 방송을 진행하였고, 호주 퀸즐랜드주 유일의 한인라디오방송국에서 시를 읽고 생각을 나누는 <시가 필요한 시간(2016-2018)>을 진행하며 많은 사랑을 받았다. 연세대학교에서 노어노문학을 전공하였고, 현재 동대학원에서 러시아 문학을 공부하고 있다.  

2020 경자년 한철연의 새로운 출발(신년회 사진)

안녕하세요? 웹진 편집주간입니다.

2020년이 밝은지도 벌써 두 달째가 됩니다. 한철연은 2020년에 지난 6기 연구협력위원회가 2년간의 일을 마감하고 7기 연구협력위원회가 출범했습니다.

지난 1월 15일 한철연 신년회는 한철연의 새로운 출발을 알리면서 2년간 수고할 회장님과 연구협력위원들이 새롭게 포부를 다지는 자리였습니다.

앞으로 한철연의 새로운 사업이 순조롭게 진행되길 바라며 웹진도 새로운 동력을 얻어 좀 더 분발하겠습니다.

7기 한철연 회장 연효숙 선생님과 연구협력위원장 박지용 선생님을 위시하여 모든 연구협력위원들에게 격려의 박수를 보냅니다.

 

일곱 번째 시간, 안녕(이별과 만남) [시가 필요한 시간]

일곱 번째 시간, 안녕(이별과 만남)

 

마리횬

 

시가 필요한 시간, 일곱 번째 시간이 되었습니다. 오늘은 ‘안녕’이라는 주제로 이야기를 나눠볼까 하는데요, 여러분은 ‘안녕’이라는 말을 들으면, 어떤 ‘안녕’이 떠오르시나요? 우리는 친한 누군가와 만났을 때 ‘안녕’이라고 말하죠? 그리고 친한 누군가와 헤어질 때도 역시 ‘안녕’이라고 말합니다. ‘안녕’이라는 이 친근한 말 속에 만남도 있고, 헤어짐도 있는 것이죠. 여러분은 제일 먼저 어떤 안녕이 떠오르셨을까요?

제가 알고 있는 몇 개 나라의 언어만 살펴보아도, 만날 때의 인사와 헤어질 때의 인사가 같은 나라가 없었습니다. 영어는 ‘헬로(Hello)’와 ‘굿바이(Good bye)’로 서로 다르죠. 중국어로도 니하오(你好)와 짜이찌엔(再见)이 다르고, 일본어도 만났을 때 ‘사요나라(さようなら)’하면서 만나지는 않습니다.

러시아어로도 친구끼리 서로 만났을 때 “안녕?”하고 인사하는 말은 ‘쁘리벳(Привет)’이구요, 헤어질 때는 ‘빠까(Пока)’라고 인사합니다. 완전히 다르죠. 이렇게 몇 가지 예시만 찾아 봤는데도, 신기하게 우리나라만 ‘안녕’이라는 하나의 말로 다른 뉘앙스를 나타내며 사용하고 있는 걸 볼 수 있습니다.

편안할 안(安)에 편안할 녕(寧)이라는 한자로 구성되어 있는 이 ‘안녕’이라는 말 속에는, 서로 얼굴을 마주하고 만났을 때 ‘그 동안 편안했는가!’라고 안부를 확인하는 반가운 마음, 그리고 서로 헤어질 때 ‘다음에 만날 때까지 편안하고 편안하길 바란다!’는 다음 번 만남에 대한 소망까지 함축된 말인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저는 얼핏 헤어질 때에 말하는 인사로서만 생각했었는데, 만남과 헤어짐이 함께 깃들어 있는 말이라는 걸 알 수 있죠.

오늘 ‘안녕’이라는 주제로 이별에 대한 시를 두 편 준비 했는데요, 오늘 준비한 시 모두 완전한 이별을 노래한 시라기 보다, 방금 이야기했던 ‘안녕’이라는 두 가지 의미의 말처럼, 이별하지만 여전히 곁에 머무는 마음, 곧 다시 만나리라는 소망을 담아 이별을 노래하는 시로 준비해보았습니다.

첫 번째로 소개해드릴 시는 정호승 시인의 시 <이별 노래>입니다. 시를 들어보시면, 사랑하는 사람과의 이별을 앞두고 있는 시적 화자의 애잔한 마음이 잘 느껴지실 겁니다. 시 먼저 듣고 오겠습니다.

 

이별 노래

                               정호승

떠나는 그대

조금만 더 늦게 떠나준다면

그대 떠난 뒤에도 내 그대를

사랑하기에 아직 늦지 않으리

 

그대 떠나는 곳

내 먼저 떠나가서

그대의 뒷모습에 깔리는

노을이 되리니

 

옷깃을 여미고 어둠 속에서

사람의 집들이 어두워지면

내 그대 위해 노래하는

별이 되리니

 

떠나는 그대

조금만 더 늦게 떠나준다면

그대 떠난 뒤에도 내 그대를

사랑하기에 아직 늦지 않으리

 

 

정호승 시인의 시 ‘이별노래’ 들어보았습니다. 시 속의 화자는 사랑하는 누군가와의 이별을 앞두고 있어요. 상대방이 곧 떠날 사람이라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그 떠날 사람에게 조금만 더 늦게 떠나주기를 부탁하고 있는 것이죠.

 

떠나는 그대

조금만 더 늦게 떠나준다면

그대 떠난 뒤에도 내 그대를

사랑하기에 아직 늦지 않으리

 

조금만 늦게 떠나준다면 그대가 떠난 후에 그대를 사랑하겠다… 음… 이 시는 무슨 의미일까요? 누군가가 ‘떠난 후’에도 그 사람을 사랑할 수 있다면, 그건 어떤 사랑일까요? 시인은 그 사랑의 방식을 ‘노을이 되는 것’ 그리고 ‘별이 되는 것’으로 비유 합니다.

 

그대 떠나는 곳

내 먼저 떠나가서

그대의 뒷모습에 깔리는

노을이 되리니

 

옷깃을 여미고 어둠 속에서

사람의 집들이 어두워지면

내 그대 위해 노래하는

별이 되리니

 

떠나는 사람에게 조금만 늦게 떠나주기를 바라면서, 그 사이에 내가 먼저 그 곳에 가서 그대 뒷모습에 배경이 되는 노을이 되겠다고 말합니다. 그리고 옷깃을 여밀 만큼 추운 날, 주위가 어둡고 아무도 없는 것 같은 때에도 그대를 위해서 노래하는 밤하늘의 별이 되리라고 고백하고 있죠.

노을과 별은 모두 내가 인식하지 않는 순간에도 여전히 그 시간에 늘 그 자리에 있는 존재들이죠. 노을과 별처럼 그렇게 그대와 함께 하고 싶다고, 그렇게 늘 그 자리에서 그대를 사랑하리라고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이 ‘이별 노래’를 들은 사람은, 아마도 노을을 볼 때마다 이 사람을 생각하지 않을까요? 그리고 밤에 별을 보더라도 그냥 별이 아니라, 나를 사랑하겠다고 고백했던 그 사람이 왠지 생각날 것 같습니다.

이 시는 처음에 시작했던 연이 마지막에 한번 더 반복되면서 끝나고 있습니다.

 

떠나는 그대

조금만 더 늦게 떠나준다면

그대 떠난 뒤에도 내 그대를

사랑하기에 아직 늦지 않으리

 

어떤 이유에서 맞이하게 된 이별인지 시에 드러나있지는 않아요. 하지만 화자의 목소리를 통해서 느껴지는 것은, 어쩔 수 없이 헤어질 수 밖에 없는 상황, 물리적으로 멀리 떨어지는 이별을 해야만 하는 상황이었던 것 같습니다.

그러나 육체적으로는 서로 떨어져 있지만, 아마 마음으로는 늘 함께이지 않을까요? 주황빛의 노을과 밤하늘의 별을 볼 때마다, 노을이 되겠다고 고백했던, 그리고 별이 되어 노래하리라고 고백했던 그 상대방을 떠올리게 될 테니까요. 이 시야말로 헤어졌지만 그럼에도 함께 있는 그런 ‘안녕’이지 않을까 싶네요.

 

이번에 이 시를 여러 번 읽으면서 생각난 노래가 있습니다. 가야금 연주자인 정민아가 작사작곡하고 직접 부른 <무엇이 되어>라는 곡인데요, 실제로 가야금을 연주하면서 부른 노래입니다. 멜로디도 인상적이고, 가사도 독특해서 여러 번 듣게 되었던 곡이에요. 이 노래의 가사에는 “그대가 무엇이 되었어도 난 그대 가까이 있는 무엇이 되고 싶네”, 그리고 “그대가 무엇이 되었어도 난 그대와 나 사이 이별 안에 있네”라는 내용이 나옵니다. 역설적이면서도 반복되는 이 가사가 비록 헤어지지만 늘 함께 있겠다는 정호승 시인의 시를 생각나게 했습니다. 함께 들어보시죠.

 

♫ 정민아_무엇이 되어: https://youtu.be/eA2WhHHdDg0

 

네, ‘안녕’을 주제로 시가 필요한 시간 함께 하고 있습니다. 오늘 ‘안녕’을 주제로, 이별과 만남에 대해서 생각하면서 여러분께 들려드리고 싶었던 두 번째 시는 마종기 시인의 시 <바람의 말>입니다.

‘바람의 말’.. 뭔가 바람이 전하는 메시지가 있을 것 같은데요, 시를 먼저 듣고 이야기 더 나누겠습니다.

 

바람의 말

                       마종기

우리가 모두 떠난 뒤

내 영혼이 당신 옆을 스치면

설마라도 봄 나뭇가지 흔드는

바람이라고 생각지는 마

 

나 오늘 그대 알았던

땅 그림자 한 모서리에

꽃나무 하나 심어놓으려니

그 나무 자라서 꽃 피우면

우리가 알아서 얻은 모든 괴로움이

꽃잎 되어서 날아가버릴 거야

 

꽃잎 되어서 날아가 버린다.

참을 수 없게 아득하고 헛된 일이지만

어쩌면 세상 모든 일을

지척의 자로만 재고 살 건가

가끔 바람 부는 쪽으로 귀 기울이면

착한 당신, 피곤해져도 잊지 마,

아득하게 멀리서 오는 바람의 말을

 

이 시는 마종기 시인에게도 의미가 있는 시라고 합니다. 마종기 시인은 의사이면서 동시에 시인인데요, 어느 날 병원에서 예순 살 정도 되신 분이 자신의 사연을 적어 마종기 시인에게 편지 한 통을 보냈는데 바로 이 <바람의 말>과 관련이 있는 사연이었다고 합니다.

그 분은 1년전 사랑하는 남편을 폐암으로 떠나 보냈던 보호자였다고 해요. 긴 투병 기간 중 점점 쇠약해지던 남편이 어느 날 종이 한 장을 내밀면서, 아내에게 시간 날 때 읽어보라고 했대요. 그런데 그 때는 정신도 없고 피곤해서 ‘그러겠다’고 하고 잊고 지냈었는데, 얼마 후 남편이 죽고 장례를 치른 후 유품을 정리하던 중에, 남편이 죽기 전에 전해주었던 그 종이가 나온 겁니다. 그 종이에는 시 한편이 적혀 있었는데, 그 시가 바로 이 마종기 시인의 시 <바람의 말> 이었다고 해요. 이 사연을 듣고 다시 시를 보면, 이 시가 실제로 떠나는(혹은 이미 떠난) 누군가의 메시지로 들리기도 합니다.

바람은 나뭇가지도 흔들고, 꽃나무의 꽃잎도 날아가게 하는데, 시적 화자는 그게 그저 단순한 바람이 아니라 너의 곁에 머물고자 하는 나의 사랑의 마음이라는 것을 잊지 말기를 바라고 있죠. 두 번째 연에는 이러한 시 구절이 나옵니다.

 

나 오늘 그대 알았던

땅 그림자 한 모서리에

꽃나무 하나 심어놓으려니

그 나무 자라서 꽃 피우면

우리가 알아서 얻은 모든 괴로움이

꽃잎 되어서 날아가버릴 거야

 

그대를 알았던 자리에 꽃나무를 심고, 그 꽃나무가 자라서 꽃을 피우면, 우리가 얻은 모든 괴로움이 꽃잎이 되어서 날아가버릴 거다…. 이건 무슨 의미일까요?

내가 심었던 꽃나무가 꽃을 피울 때쯤엔, 우리가 서로 안다는 이유로 생겼던 괴로움들이 사라질 거라는 말인데… 그런데 한 번 생각해보세요. 괴로움이 사라지는 건 좋지만… 이제 막 꽃나무를 심었는데, 그 나무가 언제 자라서 언제 꽃을 피우겠어요? 그건 아주 오랜 시간이 걸리는 일입니다. 그렇다면 꽃이 피고 꽃잎이 날리게 될 때까지의 그 오랜 시간은 계속 괴로움을 안고 살아가라는 말일까요?

그 물음에 대한 답이 바로 세 번째 연에서 나옵니다. 시인은 마치 그 질문을 예상이라도 한 것처럼 이야기하죠.

 

꽃잎 되어서 날아가 버린다.

참을 수 없게 아득하고 헛된 일이지만

어쩌면 세상 모든 일을

지척의 자로만 재고 살 건가

 

이제 막 심은 나무에서 싹이 나고, 나무가 자라 꽃을 피울 날이 과연 언제 도래할 것인가.. 그게 참 아득한 일인 것 같지만, 시인은 말합니다. 세상일은 우리의 생각으로 다 알 수가 없다고…

어렸을 때는 이해하지 못했던 어떤 것이, 오랜 시간이 지나 내게 성숙의 시기가 찾아봤을 때, 즉 어떤 ‘때’가 되었을 때에 비로소 이해되는 것을 경험하기도 하죠. “왜 내게 이런 일이 일어났을까?” “왜 나는 이런 아픔을 겪어야 하는가?” “왜 우리는 헤어져야 하는가?” 등, 현재는 이해할 수 없는 것들이 많지만, 시간이 지나 내가 깨달을 수 있을 때가 되면, 이 시의 표현대로 나무에 꽃이 필 때가 되면, 그 때에는 그 이유를 알 수 있을 거다라고 위로합니다. 그 기다림의 시간에는 고통도 따르겠죠. 그럴 때, 시인은 귀 기울여 바람의 말을 들어보라고 이야기합니다.

 

가끔 바람 부는 쪽으로 귀 기울이면

착한 당신, 피곤해져도 잊지 마,

아득하게 멀리서 오는 바람의 말을

 

 ‘착한 당신’, 너무나 착하기 때문에 홀로 남아 이별을 괴로워하고 있을 사랑하는 사람에게, 마치 바람처럼 보이지는 않지만 늘 곁에 있을 테니 힘내라고 위로하고 있는 것처럼 들립니다.

저는 이 시를 읽고 또 듣는 동안에, ‘세월호 사건’으로 희생된 아이들하고 그 팽목항에 매여있던 노란 리본이 자꾸만 생각이 났습니다. 바람에 꽃잎이 날린다는 시 구절과, 바람에 날리고 있는 노란 리본의 이미지가 오버랩 되는 것 같았고, 시를 여러 번 읽으면서 왠지 모르게 세월호 아이들과 유가족들이 많이 생각이 났던 것 같습니다. 어쩌면 가장 아프고 괴로운 사람들이 아닐까.. 언제쯤 꽃잎이 되어 이 괴로움이 다 날아갈 수 있을까 싶습니다.

오늘은 만남과 헤어짐이 함께 있는 ‘안녕’이라는 말과 함께 생각해 볼 수 있는 두 편의 시 만나 봤습니다. 정호승 시인의 시가 노을과 별로 함께 머물겠다는 고백이었다면, 마종기 시인의 시는 이별하지만 여전히 ‘바람’으로 곁에 머물겠다고 고백하고 있는 시였습니다.

오늘 마무리하면서 마종기 시인의 <바람의 말>과 함께 들으면 좋은 곡 소개해드릴게요. 김효근이 작곡하고 뮤지컬배우 양준모가 부른 <내 영혼 바람 되어>라는 곡입니다. 아메리칸 인디언들에게 구전되던 작자미상의 시 ‘A Thousand Winds’라는 시를 김효근씨가 직접 번역하고 곡을 붙인 노래라고 해요.

저는 사실 이 노래를 2006-2007년쯤에 알게 되었는데, 양준모씨의 목소리가 너무 좋아서 즐겨 들었던 기억이 나요. 그런데 이 곡이 지금은 세월호 추모곡이 되어 있네요. 그 이유와는 상관 없이, 가사의 내용과 멜로디가 마종기 시인의 시와 너무 잘 어울리는 곡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그리고 한 편으로는 정호승 시인의 시와도 잘 어울리는 노래가 아닌가 생각됩니다.

요즘 추운 날씨 탓에 움츠러들기 쉬운데요, 따뜻한 시와 좋은 노래와 함께 포근한 하루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저는 2주 후에 돌아올게요.

 

♫ 양준모_내 영혼 바람 되어: https://youtu.be/Oa0cpu5N5a0

 


필자 마리횬

아이폰 팟케스트 <마리횬의 시와 음악공간(2012)>에서 러시아의 시와 노래를 직접 번역하여 소개하는 방송을 진행하였고, 호주 퀸즐랜드주 유일의 한인라디오방송국에서 시를 읽고 생각을 나누는 <시가 필요한 시간(2016-2018)>을 진행하며 많은 사랑을 받았다. 연세대학교에서 노어노문학을 전공하였고, 현재 동대학원에서 러시아 문학을 공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