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간안내] 『기측체의 역해』(최한기 지음·이종란 편역|동연출판사|(2025년 4월 24일) [한철연 소식]

『기측체의 역해』(최한기 지음·이종란 편역)

 

한철연 이종란 회원의 신간을 소개합니다. 이종란 회원은 박사학위논문 「최한기 윤리사상 연구 : 경험중시적 방법론을 중심으로」(1996) 이후로 최한기의 철학에 관련한 여러 연구 업적을 제출해왔습니다. 몇 년 전부터 한철연 <근현대 삶 사회 분과>에서 활발히 활동하고있으며 전통철학과 근대사상의 영역을 아우르는 연구와 저술에 몰두하고 있습니다. 최한기의 대표작 『기측체의』가 국내 처음으로 완역 출간됨에 따라 최한기와 한국의 근대 철학 연구에 새로운 지평이 열릴 것으로 기대합니다. 전공자 분들의 많은 관심 바랍니다.

아래는 『기측체의 역해』소개입니다.

『기측체의(氣測體義)』는 조선말 철학자 최한기(崔漢綺, 1803~1877)의 초기 사상을 이해할 수 있는 대표 저작이다. 그렇더라도 거기서 다룬 세계관과 인식론은 말기까지 크게 변하지 않는다. 이 책에서 다루는 철학 용어는 생소하고 내용은 독창성이 있다. 이것들은 원시 유학, 주희 성리학, 양명학, 제자백가 사상, 전통 의학, 무엇보다 기의 철학 등에서 합리적 내용을 바탕으로 삼아, 서양 과학과 종교 그리고 그 철학과 신학이 혼합된 서학의 장점과 서로 융합하면서 나온 저자 철학의 표면적 특징 가운데 하나이다.

이 책은 한국철학을 전공한 이종란(李鍾蘭)이 옮기고 주석과 해설을 덧붙여 『기측체의 역해』라는 이름으로 다시 우리 곁을 찾아왔다. 이 책을 옮기기 위한 옮긴이의 학문적 여정과 최한기 학문의 성격은 서문과 해제에 상세히 드러나 있다.

옮긴이가 밝힌 철학사적인 의의는 크게 세 가지로 압축된다. 하나는 19세기 우리 철학을 밝힘에 있는데, 옮긴이는 최한기(이하 저자)가 앞선 문헌에서 인용한 문장 하나, 낱말 하나하나를 일일이 추적하여, 원래의 맥락에서 이탈하여 어떻게 자기 철학의 맥락에 맞게 재구성하였는지 밝혔다. 곧 인용한 이전 문장 속의 글자를 삭제하거나 바꾸거나 글자를 보완하여 사상을 어떻게 자기화하였는지 밝혀냈다. 이러한 작업은 기준이 되는 저자의 주체적 철학이 없으면 불가능한 일이기도 하다.

다른 하나는 이렇게 우리 철학을 만들어 감에 있어서 이전의 사상자료를 섭렵하는 가운데 자연히 동서 철학이나 사상의 교섭이 이루어졌다는 점이다. 곧 서양 고대와 르네상스 시기까지의 과학이나 지리만이 아니라, 서학 서적 속에 녹아든 스콜라 철학과 신학, 그리고 그 속에 깃든 고대 아리스토텔레스의 영혼론과 인식론, 범주론, 목적론적 형이상학, 그리고 자연학 등이 숨어 있는데, 옮긴이가 해당하는 곳에서 일일이 밝혔다. 이는 당시 천주교 박해 때문에 드러내 놓고 논의할 수 없어서 낱말과 문헌의 전후 맥락을 면밀하게 검토해야 알 수 있는 사항이다.

마지막 하나는 형이상학과 비물질적 초월적 존재를 비판한 데 있다. 주희 성리학의 형이상학적 요소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실체와 속성의 범주를 활용해 태극(太極)인 리(理)의 존재를 비판하였고, 또 서학에서 말하는 초월적 신의 존재를 유학 특히 주희 성리학의 전통에서 따르는 방식을 적용하여 비판하였다. 이 과정에서 그가 따른 동서의 장점도 있다. 전통에서는 초월적 신을 거부하고 인도(人道)를 따르는 유학의 합리적 요소를 취하고, 서학에서는 과학적 사유와 경험과 추론〔추측〕을 중시하는 인식론의 수용과 강조에 있다.

옮긴이는 최한기 철학의 현대적 의의를 크게 두 가지로 말한다. 첫째로 새로운 상식으로 기존의 상식을 파괴하는 철학이며, 둘째로 비판과 거부의 철학이자 적어도 사상적 저항이라 보았다. 그리하여 말기 증세를 보인 조선 사회에 새로운 세계를 전망하고 맞이하려 하였다. 그리고 그 철학의 해석이 시의성과 적절성을 갖추면 현대 우리 철학이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 책 구매 사이트 안내

예스 24

교보문고

● 전체 목차

역해자 서문
기측체의 서문氣測體義 序
〈해제〉 『기측체의』와 최한기
최한기 연보
일러두기

신기통(神氣通) 권1

신기통 서문神氣通 序

체통體通
1. 자연과 인간의 기 天人之氣
2. 기의 작용 氣之功用
3. 감각기관은 기를 소통한다 諸竅通氣
4. 앎은 서로 응한다 通有相應
5. 보고 듣고 말하고 행동하는 일은 겸할 수 없다 視聽言動不可兼
6. 천지 만물을 아는 어려움과 쉬움 天地通難易
7. 앎과 추측은 모두 스스로 얻었다 知覺推測皆自得
8. 아는 데에 늦고 빠름이 있다 通有遲速
9. 앎에는 득실이 있다 通有得失
10. 심성과 이기의 변증 心性理氣之辨
11. 중첩된 관문을 거쳐 통과하다 歷通重關
12. 소통의 방해물 通有防害
13. 앎에는 근원과 말단이 있다 通有源委
14. 기질은 제각기 다르다 氣質各異
15. 앎에는 같지 않음이 있다 通有不同
16. 소통으로 온 세상이 한 몸 되다 通天下爲一體
17. 허황하고 망령된 설의 해로움 虛妄之害
18. 남과 나의 앎을 소통하다 通人我之通
19. 감각기관에는 보태거나 덜어낼 것이 없다 九竅無增減
20. 기는 통해도 안팎으로 드나든 적이 없다 氣通而未嘗出入
21. 몸의 여러 기관은 서로 반응하고 돕는다 氣質相應相援
22. 앎에는 알 수 있거나 알 수 없는 한계가 있다 通有可否之限
23. 앎에는 크기와 미치는 거리가 있다 通有大小遠近
24. 온 세상의 종교를 자연·인간에게 물어 바로잡다 天下敎法就天人而質正
25. 세계 문자의 변통 四海文字變通
26. 이치는 기를 통해서 안다 理由氣通
27. 기수의 학문 氣數之學
28. 여러 감각이 서로 간여하면 신기가 더욱 밝아진다 諸竅互通神氣益明
29. 남과 물건에서 나의 앎을 증험한다 物我證驗
30. 신기는 서로 감응한다 神氣相感
31. 글과 말 속의 신기 文言神氣
32. 앎에는 거짓과 바름이 있다 通有邪正
33. 앎과 모름의 극치 通不通極致
34. 옛날과 지금의 경험은 같지 않다 古今人經驗不等
35. 지구와 여러 별 地體及諸曜
36. 앎이 머물 곳과 형질통 추측통 通之所止及形質通推測通
37. 형질통과 추측통은 다르다 形質推測異通
38. 가르침을 소통함 通敎
39. 재물의 소통 通貨
40. 신기는 장부를 말미암으나 사람마다 차이가 있다 神氣由臟腑而有異
41. 네 가지 요소로 이루어진 하나의 신기 四一神氣
42. 눈과 귀와 신기의 만 가지를 통합하여 하나로 만든다 耳目神氣統萬爲一
43. 밖에서 거두어 와서 밖으로 드러내 쓰다 收入於外發用於外
44. 몸을 거쳐 신기를 통한다 自形質通神氣
45. 앎에 이르기 어려운 네 가지 사례 四者難通
46. 지식을 거두어들이는 것과 드러내 쓰는 데는 근원과 말단이 있다 收得發用有源委
47. 신기의 밝음은 신에서 힘은 기에서 생긴다 明生於神力生於氣
48. 앎의 우열은 신기를 따라 생긴다 知覺優劣從神氣而生
49. 알 수 있는 17가지 일 十七條可通
50. 널리 시험하고 증험하여 안다 廣試驗通
51. 신통 神通
52. 허황한 대상을 아는 일 通虛
53. 앎의 근원 知覺根源
54. 경험이 곧 앎이다 經驗乃知覺
55. 앎에는 등급이 있다 通有等分
56. 남의 앎을 취한다 取人之通
57. 경험은 속이기 어렵다 經驗難欺
58. 앎에는 처음·중간·끝이 있다 通有始中終
59. 서적과 앎의 표준 書籍準的
60. 표준과 습속의 사라짐과 자라남 準的習俗消長
61. 표준에도 크기가 있다 準的有大小
62. 수학은 기에서 생긴다 數學生於氣
63. 남의 변화를 알다 通人之遷移
64. 집대성 集大成
65. 몸이 소멸하면 의식도 사라진다 形滅則知覺滅
66. 사물을 체인하다 體認事物
67. 기에는 가벼움과 무거움이 있다 氣有輕重

신기통(神氣通) 권2

목통目通
1. 물체의 색은 눈동자에 비친다 物色映眸
2. 기를 사이에 두고 와서 비친다 隔氣來照
3. 보이는 물체의 지름은 실물의 그것보다 작다 視徑小於眞徑
4. 눈동자는 안팎을 연결하는 목구멍이다 眸爲內外咽喉
5. 시선을 미루어 이용하다 視線推用
6. 서적을 보고 알다 見通書籍
7. 소견을 가려 세우다 擇立所見
8. 사람을 관찰하여 취한다 觀人取人
9. 눈으로 본 결과는 신기에 따라 차이가 있다 眼視隨神氣有異
10. 눈을 치료하는 약 治眼藥
11. 관상가와 의원의 신통한 눈 相人醫人之神眼
12. 땅의 모습을 알다 見得地形
13. 기물을 궁리하여 밝힌다 窮格器用

이통耳通
1. 천지와 인간과 만물의 소리 天地人物聲
2. 소리 무리와 거리 聲暈遠近
3. 온갖 소리를 미루어 안다 推通萬聲
4. 선천적 청각 장애와 신기의 청각 장애 天聾神氣聾
5. 말을 듣는 조리 聽言條理
6. 성률과 언어 聲律言語
7. 신기로 듣다 神氣聽
8. 말로 아는 깊이의 차이 言通有淺深
9. 통함과 막힘을 따라 말을 취사한다 隨通塞而取捨言論
10. 남의 말을 들을 때의 순함과 거스름 聽言順逆
11. 속이는 말의 청취 여부 欺言聽否
12. 상반된 말을 가려듣기 擇聽相反之言
13. 재판에서 참작과 증거 聽訟參證

비통鼻通
1. 몸의 기를 풀무질하다 ??身氣
2. 여러 냄새 가운데 순수하고 맑은 것이 최고다 諸臭中純澹爲最
3. 여러 냄새의 분별에 근본이 있다 諸臭分別有本
4. 향내는 순수하고 맑은 냄새만 못하다 香不如純澹
5. 냄새의 배어듦 臭氣染漬
6. 이로운 냄새와 해로운 냄새 臭有利害

구통口通
1. 말과 음식은 서로 호응한다 言與食相應
2. 혀는 순수하고 맑은 맛을 좋아한다 舌喜純澹之味
3. 청렴을 향하고 탐욕을 등지다 向廉背貪
4. 타고난 바탕과 음식의 청렴과 탐욕 稟質及飮食廉貪
5. 음식물의 훈증 飮食薰蒸
6. 굶주리고 배부른 현상은 누구나 같다 饑飽與人同
7. 안팎의 조화 內外調和
8. 말은 목소리를 따라 드러낸다 言語因聲音而發
9. 말이 통함 言語得通
10. 시비의 참과 거짓 是非誠僞
11. 어리석게 미혹된 사람을 깨우침 開?愚迷
12. 문자로 나타낸 말 文字之言語
13. 말의 핵심과 그 전달의 허실 要領虛實
14. 인사의 통함과 막힘 人事通塞

신기통(神氣通) 권3

생통生通
1. 낳고 낳은 일이 크게 이어짐 生生大通
2. 정기가 치밀어 발동함 精氣衝發
3. 예쁘거나 못생긴 여자가 낳은 아이 姸?所?
4. 색정과 견문 色情聞見
5. 낳아 기르는 일이 목표이다 ?育準的
6. 아내와 첩은 자식을 낳아 기르기 위함 妻妾爲?育
7. 태어남은 하늘에, 일은 인간에 달려 있다 生在天事在人
8. 사람의 자애 人物慈愛
9. 몸이 서로 통하다 形質相通

수통手通
1. 손은 공적과 재능이 가장 많다 功能最多
2. 귀천과 손의 쓰임 貴賤手用
3. 솜씨의 같고 다름 手法同異
4. 손가락으로 익혀 알다 指有習通
5. 크게 쓰임은 때가 있다 大用有時
6. 오래 널리 전파되는 서적 書蹟久遠

족통足通
1. 발의 힘이 감당하는 것 足力堪任
2. 발걸음이 다르다 踐履不同
3. 멀리 가는 일은 도보에 있지 않다 致遠不在足行

촉통觸通
1. 안팎이 서로 호응하다 內外相應
2. 촉각은 견문을 기다린다 觸待見聞
3. 말투의 저촉 辭氣之觸

주통周通
1. 서로 비교하여 증험한다 參互證驗
2. 인재를 알아보고 쓰는 일 知人用人
3. 주통에도 허실이 있다 周通有虛實
4. 불통·편통·주통 不通偏通周通
5. 주통의 처음과 끝 周通源委
6. 나가고 들어오고 나아가고 물러남 出入進退
7. 활동할 때와 고요할 때의 틈이 없다 動靜無間

변통變通
1. 변통의 조목 變通條目
2. 남과 나의 신기를 변통하다 人我神氣變通
3. 통하기 어려운 일을 변통하다 通其難通
4. 공명과 부귀의 변통 功名富貴變通
5. 기물은 변통할 수 있으나 기는 변통할 수 없다 器可變通氣不可變通
6. 인간과 만물이라는 기물의 쓰임 人物器用
7. 재물은 신기를 편안히 기르는 것 財所以安養神氣
8. 질병은 변통하기 어렵다 疾病難得變通
9. 문리의 이해는 변통에 달려 있다 文理究解在變通
10. 정교의 연혁 政敎沿革
11. 시(時)라는 글자는 기의 운행이다 時是氣運
12. 추측과 변통에는 껍데기와 알맹이가 있다 推測變通有虛實
13. 자기의 용의를 안다 知自己之容儀
14. 공부의 처음과 공사의 나뉨에 있는 변통 變通在初及公私之分
15. 선악과 이해 善惡利害
16. 불통을 제거하다 除?不通


저자 이종란(李鍾蘭)

서울교육대학교를 졸업, 성균관대학교 유학대학원에서 석사과정, 같은 대학교 대학원에서 박사과정을 수료하였다(철학박사). 교직에서 퇴직한 후 연구와 저술 활동에 전념하고 있다.

저서로는 『낯선 지연씨의 인생철학』, 『서양 문명의 도전과 기의 철학』, 『민족종교와 민의 철학』(공저), 『기란 무엇인가』, 『율곡의 마음공부』, 『미래를 향한 율곡의 가정교육』, 『의산문답』, 『최한기의 운화와 윤리』, 『전래동화·민담의 철학적 이해』 등이 있으며, 번역서로는 『기측체의 역해』, 『운화측험』, 『공제격치』, 『왕양명실기』, 『주희의 철학』(공역), 『왕부지 대학·중용을 논하다』(공역), 『율곡의 상소문』, 『동호문답』, 『만언봉사』 등이 있으며, 편역서로는 『뜻을 세워라』, 『배워서 사람 되기』가 있고, 그 외 여러 논문과 다수의 철학동화, 아동·청소년을 위한 저술과 번역서가 있다.

[신간안내] 『그대에게 가는 먼 길 1부』(이종철 지음|대양미디어|(2025년 4월 8일) [한철연 소식]

『그대에게 가는 먼 길 1부』(이종철 지음)

 

[이종철 선생의 에세이 철학] 코너에 올해 1월 2일부터 3월 20일까지 총 23회 연재한 이종철 회원의 연재소설 <그대에게 가는 먼 길>이 단행본으로 출간되었습니다. 현재 웹진에서는 단행본 출간으로 연재는 멈춘 상태입니다. 격동의 한국사회를 배경으로 쓴 자전적 소설로 이번에 출간된 1부는 1970년대 말부터 1990년대 중반까지 대학원과 교육계에 투신했던 한 철학자의 삶의 일부가 고스란히 담겨있습니다. 현재 집필 중인 2부는 1990년대 후반부부터 2020년대 전반부를 다룹니다. 특히 한국헤겔학회, 한국철학사상연구회의 태동과 관련한 경험적 정보들이 실려 있어 한철연 회원들에게는 좋은 자료가 될 것입니다. 관심있는 분들의 일독을 권합니다.

아래는 책 소개 기사입니다.

☞ 김동연 경기도지사, 이종철 박사 자전소설 구입 ‘인증사진 올려’ 화제

 

● 책소개

“철학자가 소설을 썼다! 생소한 일은 아니지만 한국처럼 영역과 경계를 많이 따지는 곳에서는 쉽지 않은 일이다. 작가 이 종철은 서양 근대 철학, 특히 근대 독일철학을 전공한 철학자로 오랫동안 활동을 해왔다. 지난 몇 년 전부터 그는 에세이철학에 심취해서 동서고금을 넘나드는 다양한 형태의 글을 써왔다. 이 소설은 이런 실험적 글쓰기의 산물이라 할 수 있다. 전공과 장르를 불문한 글쓰기가 드디어 소설 쓰기까지 발전한 셈이다. 서양에서는 이러한 시도가 흔하지 않다. 사르트르의 경우는 철학자로서 많이 알려져 있는데, 사실 그는 소설도 꽤 썼다. 덕분에 노벨 문학상을 수상했지만 철학자의 신념을 지키고자 그 상을 거부했다. 10여 년 전 영화로도 나온 『리스본행 야간열차』의 작가인 파스칼 메르시어의 본명은 피터 비에리(Peter Bieri)는 하이델베르크 대학 철학부 출신으로 독일의 여러 대학에서 강의를 한 철학교수이다.

『그대에게 가는 먼 길』은 총 2부작이다. 1부작은 1970년대에서 1990년대 중반에 걸쳐 있고, 2부작은 2010년대에서 2020년대 중반에 걸친 격동의 한국 사회를 배경으로 개인의 자전적 경험을 쓴 소설이다. 이번에 나온 책은 2부작 중 그 1부이다. 잘 알려져 있듯 이 시기에 한국인들은 유신 독재와 광주 항쟁, 민주화 투쟁과 1987년의 민주주의의 쟁취 등으로 점철된 고통스럽고 의미 있는 역사적 경험을 겪었다. 동시에 이 시기는 사회과학의 전성기이자 온갖 이론과 사상이 난무하던 지적 르네상스의 시기이기도 했다. 물론 특정한 세계관과 사상이 지배적 이기는 했지만, 이 시대는 그것들을 수동적으로 받아들이는 이상으로 한국 사회의 변혁운동과 맞물려 상호 피드백 하면서 백가쟁명을 이루기도 했다. 저자는 이 시기를 프랑스의 6.8 혁명 못지않은 시대라고 생각하고 있다. 하지만 프랑스인들은 6.8 혁명을 겪으면서 자신들의 이론과 사상을 정립해서 세계인들에게 내 보였던 반면, 한국인들은 그런 귀중한 역사적 체험을 그저 그런 과거의 기억으로만 간직하고 있을 뿐이다. 이 점을 안타깝게 생각한 저자는 우리가 겪은 이 시대의 체험을 철학적으로 반성하고 의미화하고 싶은 욕구를 소설의 형식을 빌려 표현했다.

저자는 이 소설의 형식을 통해 본업인 철학에 대해 반성하는 경험을 많이 했다. 철학자가 소설가들에게 배워야 것이 하나 있다. 철학자들은 허구한 날 남의 철학이나 사상을 끌어들여 해석하고 해설하는 일로 평생을 보내는 데 비해, 소설가들은 비록 3류라 해도 그들은 언제나 자신의 체험과 생각을 자신의 언어로 표현하려고 한다. 철학자들이 개념화된 사유를 하기 때문에 주관적 언어를 쓰기 어려운 면이 있지만, 한국의 철학자들은 그 정도가 심해서 남의 언어와 남의 철학을 가져오지 못하면 사유를 하지 못할 정도다. 그들이 안고 있는 고질적인 문제는 자신들의 체험을 바탕으로 자신들의 철학을 구성하기보다는 여전히 바깥의 수입 철학에 의존하고 2천 년도 넘은 공맹과 노장사상을 주석하는 수준에 머물러 있는데 있다. 이런 지적 식민성과 사대주의가 한국의 지성계를 지배하고 있기 때문에 자신들이 겪은 위대한 경험을 과거로 묻어 버린 채 그저 바깥에서 들어온 새로운 이론과 사상 혹은 오래된 사상에 목을 매달고 있을 뿐이다.

『그대에게 가는 먼 길』은 그저 과거를 기록한 한 권의 소설에 그치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현재 인문학이 처한 ‘문송의 시대’를 돌아보면서 새로운 돌파구를 마련하는 계기가 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인문학은 끊임없이 주어지는 위기의 잿더미 속에서 부활하는 피닉스와 같다. 인문학의 현실이 당장은 꺼져갈 듯 어려워 보이지만, 인문학은 새로운 환경의 변화를 숙지하면서 부활의 날갯짓을 할 것이다.

목차

  • 작가의변ㆍ4다시 찾은길ㆍ13
    서울의봄ㆍ22
    광주항쟁ㆍ31
    선택과 탐색ㆍ48
    인문학 수업ㆍ63
    다시 강의실로ㆍ76
    철학과 대학원ㆍ91
    헤겔 철학과나ㆍ106
    현실과 철학ㆍ125
    한국헤겔학회ㆍ143
    한국철학사상연구회ㆍ162
    결혼ㆍ174
    외출ㆍ198

저자 이종철 프로필

연세대 법학과를 졸업한 후 동 대학원 철학과에서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연세대, 교원대, 숙명여대, 서울여대 등에서 강의했고, 몽골 후레 정보통신대학 한국어과 교수와 한국학연구소장을 역임했다. 한남대 초빙교수를 마지막으로 대학에서 은퇴를 했고, 현재는 연세대 인문학연구원 전임연구원으로 재직하고 있다. 그는 <브레이크뉴스>와 <저널인뉴스>의 칼럼니스트로 활동하면서 ‘에세이철학’ 분야를 새로 개척하고 있고, NGO 환경단체인 <푸른아시아>의 홍보대사를 맡고 있다.

저서로 《철학과 비판 – 에세이철학의 부활을 위하여》와 《일상이 철학이다》가 있고, 공저로 《철학자의 서재》, 《삐뚤빼뚤 철학하기》, 《우리와 헤겔철학》, 《문명의 위기를 넘어》, 《사북항쟁 44주년》등이 있으며, J. 이폴리뜨의 《헤겔의 정신현상학》(1/공역, 2), A. 아인슈타인의 《나의 노년의 기록들》, S. 홀게이트의 《정신현상학 입문》, G. 루카치의 《사회적 존재의 존재론Ⅰ,Ⅱ》(2, 3, 4/공역), 《무엇이 법을 만드는가》(공역) 등 다수의 책들을 옮겼다.

[강좌안내] 최종덕의 <신유물론의 자연철학> ‘유럽인문아카데미 2025년 봄학기’ [한철연 소식]

현재 한철연 ‘신유물론분과’에서 활동하는 최종덕 회원(독립학자/상지대 명예교수)이 신유물론 공부의 성과를 강의로 풀어냅니다. 신유물론분과는 지난 2023년 겨울 연합학술대회에서도 신유물론 연구 성과를 활발히 제출하며 학술적 성과를 올리고 있는 분과입니다. 이번 강의에는 분과 내의 학술적 논의 내용도 포함되지 않을까 합니다. 관심있는 분들의 수강을 추천하며 주변에 알려주시면 좋겠습니다. 기대되는 강좌를 알립니다. 

 

♦ 자세한 내용과 수강신청은 유럽인문아카데미 홈페이지에서

유럽인문아카데미 홈페이지

▣강사 최종덕
▣정원 50명
▣수강료 90,000원
▣강의실 추후 공지 예정 (오프라인으로만 진행)
▣강좌일시 월요일 3교시 (19:30~21:20)

수강신청 기간2025. 3. 24.(월) 14:00 – 4. 7.(월) 10:00 / 취소 및 환불: 2025. 4. 14.(월) 14:00까지

 

● 강좌소개 :

1990년대 이후 신유물론 경향과 그 자연과학적 배경을 해명한다. 라투르, 마굴리스, 해러웨이, 스텡게흐스, 데란다, 드발, 버라드, 네일Nail 등이 해석한 물질론을 설명하면서, 인간-비인간 네트워크, 탈이분법, 능동성 물질의 의미를 해명한다. 신유물론의 물질론이 사회-정치-윤리적 의미와 생태-공생적 의미로 어떻게 연결되는지 검토한다. 많은 신유물론자들이 화이트헤드A.N.Whitehead를 자신들 이론의 원조로서 언급하는 이유를 설명한다. 신유물론이 인간중심주의에서 탈피한다고 했지만 과연 기존의 주체성(주체의 정도) 철학의 흔적을 깔끔하게 지울 수 있는지 질문하다. 이론지식에 그치지 않고 삶과 사회적 행위양식에 대한 공부가 왜 중요한지를 토의한다.

● 강사소개 :

최종덕 (philonatu@gmail.com) 독립학자 / 상지대학교 명예교수. 독일 Giessen대학 과학철학부 철학박사

『생물철학』(2023), 『의학의 철학』(2020), 『공백의 실재-라투르 존재양식 해제』(2024), 『이분법을 넘어서』 외 10여 권의 저서 출간 및 “화이트헤드의 관계성 개념에 관한 연구”와 “양자역학의 존재론 가능성”의 논문들

강사의 철학아카이브 philonatu.com 에서 모든 자료를 볼 수 있음.

● 교재 :

정해진 교재 없으며, 매주 강의 전 강의 PPT자료 배포

● 참고문헌 :

최종덕 2024, 『공백의 실재: 라투르의 존재양식 해제』 전자책-내려받기

최종덕 2023, 『생물철학』 씨아이알출판사

● 난이도 및 수강조건 :

형이상학적 개념들이 등장하지만 상식common sense 범주에서 설명하므로 인문학적 관심만 있으면 강좌에 참여할 수 있다. 다수 신유물론의 과학적 논증을 위해 생물학과 양자론이 등장하지만, 실제로 자연과학에 대한 심리적 거부감만 없으면 누구나 편안하게 이해할 수 있는 서술식 강의다. 이 강좌는 일반강의 유형이지만, 일반인과 대학생 그리고 박사후 과정생의 수준을 포괄하고 종합한다.

● 강의계획 :

1주차
4월 7일(월) 3교시 (19:30-21:20)

(1강) 라투르: 근대성과 이분법 비판

물질에 대한 전체 조망- 기입, 절합의 네트워크

2주차
4월 14일(월) 3교시 (19:30-21:20)

(2강) 마굴리스: 공생의 자연철학 기초,

스텡게흐스: 비평형 소산구조에서 카오스의 코스모폴리틱스로

3주차
4월 21일(월) 3교시 (19:30-21:20)

(3강) 해러웨이: 통진화와 공진화,

공-산sympoiesis의 에코진화발달생물학적EcoEvoDevo 배경

“자식 대신 친척”의 생물학적 배경

4주차
4월 28일(월) 3교시 (19:30-21:20)

(4강) 해러웨이: 영장류 연구

버틀러와 영장류학자 프란스 드발의 관점 차이 비교

반영reflection에서 회절diffraction로

5주차
5월 5일

휴강 (어린이날)
6주차
5월 12일(월) 3교시 (19:30-21:20)

(5강) 버라드: 얽힘의 양자역학 – EPR 해석과 내부작용과 행위실재론
7주차
5월 19일(월) 3교시 (19:30-21:20)

(6강) 버라드: 맞닿음touch의 양자장론, 상호 섭동의 물질세계
8주차
5월 26일(월) 3교시 (19:30-21:20)

(7강) 화이트헤드 : 자연의 이분화에서 현실체와 합생으로

버라드의 현상과 화이트헤드의 현실태

9주차
6월 2일(월) 3교시 (19:30-21:20)

(8강) 네일T. Nail의 움직이는 객체, 존재의 운동성
10주차
6월 9일(월) 3교시 (19:30-21:20)

(9강) 평평한flat 신유물론에서 평등 포스트휴머니즘으로

신유물론의 생태정치철학

 

[신간안내] 『들뢰즈의 영화철학 – 『시네마』를 넘어서』(이지영 지음|이학사|(2025년 2월 28일) [한철연 소식]

『들뢰즈의 영화철학 – 『시네마』를 넘어서』(이지영 지음)

 

『BTS 예술혁명』(2018)에서 사회, 정치 영역을 아우르는 대중문화에 대한 철학적 해석을 제시했던 이지영 한철연 회원(한국외대)이 들뢰즈의 영화철학을 주제로 새로운 책을 출간했습니다. 저자는 책의 머리말에서 “이 책은 들뢰즈의 『시네마』에 대한 해설서가 아니다. 들뢰즈의 영화철학이 어떻게 형성되어 어떻게 진행되는가를 다루는 친절한 책도 아니다. 오히려 들뢰즈를 사다리로 삼아 들뢰즈의 영화철학에 기어오르고, 올라타보고, 사다리를 변형시키려 했던 시도”라고 밝히고 있습니다. 들뢰즈 영화철학에 대한 연구를 통해 ‘다른 사유’가 가능할 수 있도록 독자를 이끄는 책이라고 하겠습니다. 기존의 인식과 통념을 넘어서는 창조적 역량이 요구되는 2025년 봄, 여러분에게 일독을 권합니다~

 

◆ 출판사 제공 책소개(출처: 이학사 홈페이지)

영화를 통해 “다르게 사유하라!”

이 책은 영화를 통해 새로운 사유의 가능성을 연 철학자 들뢰즈의 영화철학을 이해하고, 적용하고, 넘어서기 위한 시도를 담고 있다. 들뢰즈의 영화철학을 중심으로 영화와 인접 영상 예술을 연구해온 철학자 이지영 교수는 이 책에서 들뢰즈를 사다리로 삼아 들뢰즈의 영화철학에 기어오르고, 올라타고, 사다리를 변형시키고자 한다. 들뢰즈의 영화철학이 사변적인 영화 존재론 내지 아트하우스 영화만을 위한 난해한 미학 이론이 아니라 지금보다 더 좋은 삶, 지금보다 생의 생성적, 창조적 역량을 더 상승시킬 수 있는 삶을 사유하기 위한 도구가 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이 책은 영화에 대한 기존의 인식과 통념을 전복하고 ‘다르게 사유’할 수 있도록 독자들을 이끈다.

 

영화적 사유의 탈영토화를 통한 새로운 사유와 시각의 창조

들뢰즈의 영화철학이 집대성된 두 권의 대작 『시네마 1: 운동-이미지』와 『시네마 2: 시간-이미지』는 운동ㆍ시간 등의 개념, 베르그손ㆍ니체 같은 철학자들의 사상, 유럽 예술영화를 비롯한 영화사의 수많은 영화 그리고 여러 영화이론 등이 복잡하게 직조되어 있는 다양체로서 예술과 철학이 공명하는 영화적 사유의 진수를 보여준다. 이 책은 들뢰즈가 『시네마』에서 수많은 영화와 철학적 논의들을 통해 무엇을 말하고자 했는지, 그 기초적인 방향을 제시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들뢰즈가 『시네마』를 통해 말하고자 하는 것은 ‘영화를 통해 사유하라’는 것이다. 영화란 모름지기 시청각적 쾌락을 주는 이미지들이 재미있고 흥미로운 이야기를 통해 주어지는 것이어야 하고 어떤 관객이라도 기본적으로 이해하기 어렵지 않은 오락거리여야 한다는 통념을 전복하고, 그러한 인식이 지배적인 힘을 발휘하고 있는 영토에서 벗어나 탈영토화하라는 것이다. 주어진 것에서 빠져나와 그것을 전복하고 새로운 것을 창조하는 부단한 운동으로서의 탈영토화는 인간의 자연적인 보수적 경향성과는 반대되는 방향을 가리킨다. 탈영토화는 이미 주어진 안전하고 편안한 것 속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위험하고 불편함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영역을 창조함으로써 끊임없이 스스로를 초월할 것을 요구하는 운동 경향이다. 영화에서 다르게 보고 다르게 사유한다는 것은 기존의 영토화된 시각과 사유로부터 탈영토화하여 새로운 사유를 창조한다는 것이며, 그러한 생성과 창조는 생의 역량을 상승시킨다고 들뢰즈는 주장한다.

들뢰즈의 영화철학을 이해하다

이 책은 3부로 이루어져 있다. 들뢰즈 영화철학의 기초적인 방향을 보여주는 서론에 이어 1부는 들뢰즈 영화철학을 이해하려는 글들로 이루어져 있다. 들뢰즈의 영화철학이 어떤 위상을 가지고 있는지, 운동-이미지는 어떤 다층적인 의미들을 함축하고 있는지, 영화에서의 숏(플랑)은 어떤 철학적 의미를 가지는지, 『시네마』 1권과 2권은 어떤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지를 살펴본다. 1부를 통해 독자들은 실천으로서의 철학에 대한 들뢰즈의 입장이 영화라는 영역에서 구체적으로 어떤 형태를 취하고 있는지 이해함과 동시에 들뢰즈 영화철학의 전제이자 출발점인 운동-이미지 개념의 의미를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난해하기로 유명하지만 예술에 관한 들뢰즈의 저작 중에서도 특별한 지위를 차지하는 『시네마』가 어떤 새로운 사유의 실천을 보여주는지 보다 명확하고 엄밀한 이해에 도달할 수 있을 것이다.

들뢰즈의 논의를 생산적으로 확장하다

2부는 들뢰즈의 영화철학이 그가 본 적 없는 현대 아시아 영화들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를 제시한다. 이를 위해 박찬욱 감독의 <올드보이>, 봉준호 감독의 <살인의 추억>과 <마더>, 아피찻퐁 위라세타쿤 감독의 <정오의 낯선 물체>, 박찬경 감독의 <만신>을 살펴본다. ‘이미지의 평면성’으로 특징지어지는 <올드보이>의 시각적 미는 비재현성을 통해 관객에게 모호하면서도 강렬하게 다가오는 현실화되지 않은 감각들을 제공함으로써 자신만의 새로운 미적인 준거점을 제시하고, 봉준호 감독은 <살인의 추억>과 <마더>에서 관객에게 ‘받아들일 수 없음’이라는 불가능성을 직시하게 함으로써 이전과는 다른 사유를 하도록 강제한다. 아피찻퐁 위라세타쿤 감독의 <정오의 낯선 물체>의 낯선 구조적 특징이 갖는 미학적이고 정치적인 의미는 들뢰즈가 『시네마』에서 제시하는 ‘이야기 꾸며대기’라는 개념을 통해 설명되고, 굿이라는 애도의 형식을 통해 무당 김금화의 삶을 보여주는 박찬경 감독의 <만신>의 시간성은 들뢰즈의 영화철학을 통해 체계적으로 분석된다. 이러한 개별 작품에 대한 이 책의 탐구는 구체적 사례를 통해 들뢰즈의 논의를 생산적으로 확장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들뢰즈의 영화철학을 ‘해설과 적용’의 영토 바깥으로 탈영토화하다

3부는 들뢰즈가 논의하지 않았던 영역들로 그의 논의를 변형하고 넘어서려는 새로운 시도들을 담고 있다. 영화에서 역사의 문제, 비디오 설치 작업의 이해, 네트워크 플랫폼 시대의 영상예술의 이해, 영화 관객론 등 들뢰즈가 언급하지 않았거나 할 수 없었던 영역들에 대한 이론적인 실험들을 다룬다. 이러한 실험들은 들뢰즈의 시대적 한계와 그로 인한 이론적 한계를 극복함으로써 들뢰즈의 영화철학을 ‘해설과 적용’의 영토 바깥으로 탈영토화하려는 노력을 보여준다.

머리말

서론: 들뢰즈는 영화철학으로 무엇을 하고자 했는가

1부 들뢰즈 영화철학의 이해

1장 들뢰즈 영화철학의 철학적 위상
2장 운동-이미지의 다층적 의미
3장 플랑: 운동-이미지와 운동의 통일성
4장 『시네마』 1권과 2권의 구조 분석: 니체의 재발견

2부 들뢰즈 영화철학의 적용

5장 이미지의 평면성: <올드보이>의 이미지와 공간의 형식에 대한 분석
6장 영화 윤리학: 봉준호의 경우
7장 아피찻퐁 위라세타쿤의 <정오의 낯선 물체>의 현대 정치영화적 함의
8장 애도의 형식으로서의 영화: 박찬경의 <만신>

3부 들뢰즈 영화철학의 확장

9장 역사-이미지: 크리스 마커의 <태양 없이>에서 푸티지의 역할
10장 확장된 몽타주: 아피찻퐁의 비디오 설치 작업
11장 네트워크-이미지: 들뢰즈의 시간-이미지 너머
12장 관객-이미지

들뢰즈 저작 약어표
참고 문헌
수록 원고 출전
찾아보기

출처: 이학사 홈페이지


▷ 저자 이지영: 서울대학교 철학과에서 「H. Bergson의 지각이론」으로 석사학위를,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이론과에서 「영화 프레임에 대한 연구」로 예술전문사를 취득했으며, 서울대학교에서 「들뢰즈의 운동-이미지 개념에 대한 연구」로 철학박사학위를 받은 뒤 옥스퍼드대학교에서 영화미학으로 두 번째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옥스퍼드대학교, 한국예술종합학교, 서울대학교, 홍익대학교 등에서 강의했고, 세종대학교를 거쳐 현재 한국외국어대학교 세미오시스연구센터에서 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BTS 예술혁명』 및 영문본 BTS, Art Revolution을 출간했다. 함께 지은 책으로는 『디지털 혁명과 음악』, 『철학자가 사랑한 그림』, Deleuze in China, Nobody Knows When It Was Made and Why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 『푸코』, 『들뢰즈: 철학과 영화』 등이 있으며, 들뢰즈의 영화철학을 중심으로 영화와 인접 영상 예술들에 대한 다수의 연구논문을 발표했다.

[회원동정] 김정철 회원 <제6회 주역학술상> 수상(2025년 2월 14일) [한철연 소식]

한철연 연구협력위원으로 활동 중인 김정철 회원(숭실대 기독교문화연구원)이 지난 2025년 2월 14일 성균관대학교 퇴계인문관에서 거행된 2024년 한국주역학회(회장 이선경) 하반기 학술대회에서 <제6회 주역학술상>을 수상하였습니다.

수상 논문은 “『홍범황극내편보해(洪範皇極內篇補解)』의 판본과 이순(李純)의 상수역학 –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 소장 『홍범황극내편보해』를 중심으로 –”입니다. 동양철학연구회에서 발간하는 『동양철학연구』 제115집(2023년 08월 28일)에 게재되었습니다.

<주역학술상>은 한국주역학회에서 제정하고 백야학술장학재단 호전학술상위원회에서 출연한 재원으로 매년 수상작을 선정합니다. 주역학술상 심의위원회 심사에서 김정철 선생님의 논문이 최우수논문으로 선정되어 수상의 영광을 안았습니다.

학술상 수상에 축하의 말씀을 전하며 후속 연구가 기대됩니다.

아래, 김정철 선생님의 수상 논문과 수상 사진 및 해당 자료를 올립니다~

 

논문 다운로드 : 홍범황극내편보해의_판본과 이순(李純)의_상수역학, 김정철 2023

 

[신간안내] 『지금 무엇을 해야 하는가 : 불안한 인생에 해답을 주는 칸트의 루틴 철학』(강지은 지음|북다|(2025년 1월 31일) [한철연 소식]

『지금 무엇을 해야 하는가 : 불안한 인생에 해답을 주는 칸트의 루틴 철학』(강지은 지음)

 

강지은 한철연 회원의 신간을 소개합니다. 불확실한 미래를 전방에 둔 불안한 현실을 살아가는 사람들은 맹목적인 삶의 경로를 벗어나기 어렵습니다. 그 경로 조차 확실하지 않죠. 칸트 전공자인 저자는 칸트의 3대 비판서 『순수이성비판』, 『실천이성비판』, 『판단력비판』의 핵심 메세지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하여 우리 현실에서 알기 쉽게 전달합니다. ‘오늘을 어떻게 살아야 할까’, ‘어떻게 나를 바로 세울 수 있을까’, ‘어떻게 행동해야 할까’, ‘무엇을 추구해야 할까’ 이 질문에 대한 답을 각자가 얻어나갈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합니다. 지난해 말 국가적 위기로 불안하게 시작한 을사년, 우리 앞에는 칸트의 철학이 있습니다. 

 

♦ 칸트 전공자의 서평 (그림 클릭~)

♦ 출판사 서평

불안에서 벗어나고 싶은 오늘, 칸트가 필요한 시간

인생은 불안의 연속이다. 어제까지 평온했더라도 언제 어떤 일이 불시에 일어날지 모르기 때문이다. 이런 불안은 인간이라면 당연한 것이고, 일정 부분 자극제 역할도 하기에 삶에 도움이 된다고도 말한다. 머리로는 알지만 실제 불안을 마주 하게 되면 마음이 어려워지는 건 어쩔 수 없다. 불안은 생각하면 할수록 꼬리에 꼬리를 문다. 불안에 더 빠져들기 전에 칸트를 만나 보자. 불안을 잠재울 아주 간단하고 누구나 실천 가능한 방법이 그의 철학 속에 있다.

“매일 해야 할 일이 있으면 불안은 줄어든다!”
불안이 사라지는 마법, 칸트의 루틴

앞서 이야기했듯 인간 생애에 불안은 필수불가결이다. 다만 중요한 건 불안에 잠식당하지 않는 것이다. 곡절 많은 인생을 살았던 칸트가 평온함을 유지하며 유유히 자신의 길을 갈 수 있었던 건 자신만의 루틴이 있었고, 평생 이를 지킨 덕분이다. 뿌리가 깊고 단단한 나무는 잔바람에 흔들리지 않는다. 나의 하루가 바로 세워져 있으면 불안이 들어올 틈이 없고, 주변의 어떤 이야기에도 흔들림 없이 나아갈 수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먼저 나를 알아야 한다. 그리고 나에게 맞는, 내가 원하고 지킬 수 있는 하루를 설계해야 한다. 칸트는 늘 같은 시간에 일어나고, 산책하고, 글을 쓰고, 강의하는 루틴 속에 자신만의 여유와 즐거움을 담았기에 평생을 지킬 수 있었다. 매일 아침 4시 55분에 일어나는 아침형 인간이었지만 이불 속에서 5분의 여유를 즐긴 뒤 5시에 나와 꽃잎 차를 마셨고, 1일 1식을 했지만 그 한 끼만큼은 사람들을 초대해 와인을 곁들인 만찬으로 즐겼다. 각자가 가진 즐거움을 루틴에 녹이면 매일 지키는 일이 그리 어렵지만도 않다.

“알고, 행동하고, 추구하라!”
칸트의 3대 비판서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해 대중적으로 풀다

그러기 위해서는 우선 나를 알아야 한다. 칸트는 이것은 좋아하고, 또 저것은 좋아하지 않는 그 자체가 나라고 이야기한다. 이 책은 어렵기로 유명한 칸트의 3대 비판서 《순수이성비판》, 《실천이성비판》, 《판단력비판》이 함의하고 있는 핵심 메시지, 즉 ‘무엇을 알 수 있을까’, ‘어떻게 행동할 것인가’, ‘무엇을 추구할 것인가’를 2~4부에 걸쳐 다루며 이에 대한 답을 함께 찾아 나간다. 장별로 오늘날에 꼭 필요한 칸트의 문장들을 발췌해 서두에 소개하고, 그와 관련된 칸트 철학을 우리의 일상 속 예시들과 함께 쉽게 풀었다. 나를 이성적으로 바라보고, 자유롭게 행하되 반드시 도덕의 틀 안에서 하며, 더 높은 의미의 아름다움을 추구하라는 칸트의 메시지는 타인을 과도하게 의식하고, 자유라는 이름으로 방종하며, 물질적 아름다움에 현혹되는 시대에 정신이 번쩍 들게 한다. 다양성은 존중돼야 하고, 많은 사람이 이익을 얻는 것이 중요하다 하더라도 지켜야 기본은 분명 있다. 기본이 지켜지는 사회 안에서 개인도 행복할 수 있다.

자신만의 길을 간 앙리 루소의 그림과
칸트의 아포리즘

표지와 본문에 사용한 그림은 프랑스 화가 앙리 루소의 그림이다. 서양미술사에서 유례를 찾을 수 없을 정도로 어떤 유파에도 속하지 않고 자신만의 감수성을 보여 준 그의 그림은 칸트가 추구했던 흔들리지 않는 ‘나’와 어딘가 닮았다. 중간중간 삽입된 그의 그림들이 칸트의 아포리즘을 담은 책 속 문장들과 어우러져 더욱 와 닿는다. 필사하며 마음에 새기기에도 좋은 이 칸트의 아포리즘과 함께 인생의 방향 계획하고 또 실천해 보자.

 

♦ 책 목차

들어가는 말

1부 오늘을 어떻게 살아야 할까
1. 루틴은 불안을 잠재운다
2. 루틴에 행복을 담아라
3. 일상을 혁명적으로 전환하라

2부 어떻게 나를 바로 세울 수 있을까
4. 나를 이성적으로 바라보라
5. 내 방식대로 인생을 설계하라
6. 계획을 세웠다면 일단 실천하라
7. 경험 그 이상을 상상하라
8. 겉으로 보이는 게 결국 나란 걸 기억하라

3부 어떻게 행동해야 할까
9. 도덕 법칙에 따라 행동하라
10. 용서보다 정의를 수호하라
11. 쾌락을 통제하라
12. 주어진 일에 책임을 다하라
13. 도덕이 곧 행복이 되도록 노력하라

4부 무엇을 추구해야 할까
14. 아름다움을 내 안에서 찾아라
15. 사심을 버려라
16. 더 높은 숭고함으로 향하라
17. 마음을 공유하라
18. 타인을 사랑하라

나가는 말
참고문헌

 

♦  책 정보 더 알아보기

교보문고

출판사 북다 홈피(facebook)

 


저자 강지은: 건국대학교에서 〈칸트의 반성적 판단력과 의사소통의 가능성에 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칸트 철학을 기반으로 예술과 커뮤니케이션에 관해 지속적으로 관심을 갖고 논문을 발표하고 있으며 현재도 연구 중이다. 서울시립대학교, 건국대학교,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등에서 20여 년간 철학, 윤리, 토론, 글쓰기 강의를 해 왔고, 현재 건국대학교에서 강의초빙교수로 재직 중이다.
지은 책으로는 《칸트의 순수이성비판》, 《철학자의 서재》(공저), 《다시 쓰는 서양 근대 철학사》(공저), 《B급 철학》(공저) 등이 있으며 옮긴 책으로는 《고독을 잃어버린 시간》이 있다.

[내용 수정 재공지] (사)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24년 가을 제66회 정기 학술대회(12월 14일, 토, 오전11시~오후17시) 알림 [한철연소식]

(사)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24년 가을 제66회 정기 학술대회 <철학의 뉴페이스: 신진 연구자들의 목소리>를 안내합니다.

<알림>

안녕하세요.

한철연 학술 3부입니다. 학술 발표회 일정 조정에 대한 양해를 구합니다. 지난 12월 3일 우리는 대통령에 의한 내란 시도라는 초유의 사태를 겪었습니다. 다행히 1차 시도는 불발하였으나 내란을 일으킨 자가 여전히 대통령직을 수행하면서 국군 통수권을 비롯한 통제 권력을 유지하는 상황이라 마음을 놓을 수 없다는 점은 잘 아시리라 생각됩니다. 국민이 안심하기 위해서는 대통령 탄핵이 헌법이 보장한 유일한 수단이라는 점도 아실 것입니다.

이러한 이유로 한철연 연구협력위원회에서는 다음 주 국회에서 예정된 탄핵 가결 2차 투표에 힘을 모으기 위해 한철연 회원들과 함께 국회의사당 집회에 참여하자는 데 뜻을 모았습니다. 최초 공지한 일정을 앞당겨 오전 11시부터 오후 5시까지 학술대회를 마치고 집회에 참석한 후 저녁 즈음에 뒤풀이를 할 계획입니다. 참석 여부는 회원 각자의 자유의사에 맡기고자 합니다.

이에 먼저 발표자, 토론자, 사회자 선생님과 참석 예정이신 여러 선생님께 일정 단축에 대한 양해를 구하고자 합니다. 조정된 일정은 아래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선생님들께 미리 의논하지 않고 결정을 하여 대단히 죄송하게 생각합니다. 큰 실례인 줄로 압니다만 아무쪼록 너른 아량으로 이해해 주시기 바랍니다.

한철연 학술 3부장 한길석 올림.

 

이번 정기 학술대회는 한철연 신진 연구자들의 연구성과를 모아보는 자리를 마련했습니다.

데카르트, 칸트, 마르크스, 최제우, 레비나스, 빌렘 플루서까지

철학의 목소리가 들리지 않는 지금, 젊은 연구자들이 옛 철학자들의 사상을 다시 읽고 풀어냅니다.
이 자리의 목소리를 듣고 오늘날 철학한다는 것을 다시 생각해 보면 좋겠습니다.

주제: <철학의 뉴페이스신진 연구자들의 목소리>

일시: 2024년 12월 14() 11~17시

장소숭실대학교 진리관 522

 

 

[신간안내] 『슈티르너 비평가들』(막스 슈티르너 지음, 박종성 옮김·주석|알렙|(2024년 11월 25일) [한철연 소식]

『슈티르너 비평가들』(막스 슈티르너 지음, 박종성 옮김·주석)

 

웹진 <ⓔ 시대와 철학> 블로그진에 [유령(Spuk)을 파괴하는 슈티르너(Stirner)]를 연재하고 있는 박종성 회원(건국대)이 신간 번역서를 내놓았습니다.

이미 2023년 『유일자와 그의 소유』를 독일어 원전으로 최초 완역하여 발간(2023년 학술원 우수학술도서)했던 역자는  이번에도 역시 국내 최초로 막스 슈티르너의 『슈티르너 비평가들(Recensenten Stirner’s)』 독일어 원전을 완역하였습니다. 주요 구문에는 옮긴이가 충실히 주석을 달아 독서의 편의와 함께 역서의 가치를 높였습니다. 이 책은 19세기 철학사에서 가장 도발적이고 혁신적인 에세이로 손꼽히며 슈티르너 철학의 핵심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자료인 『유일자와 그의 소유』의 논쟁 지평을 확장하는 혁신적인 에세이이로 일컬어집니다. 

당대 주요 사상가들과의 논쟁을 담아내어 독일철학에 대한 이해의 지평을 확장하고 심화할 수 있는 책입니다. 유일자로서 인간다움이 곧 자기다움이라는 화두를 던져주는 책 『슈티르너 비평가들』(2024)입니다.

“모든 번역이 그러하듯이, 『슈티르너 비평가들』의 번역은 힘들었다. 하지만 그 일은 즐거운 일이었다.”(17쪽, 옮긴이 서문 중에서)

 

♦ 책 소개 (출판사 제공)

19세기 철학의 지각 변동을 일으킨 혁신적 에세이
『슈티르너 비평가들』의 국내 최초 독일어 원전 번역・주석본
 
철학적 혁명, 개인의 자유를 외치다!
막스 슈티르너의 통찰이 담긴
급진적 반박의 목소리를 만나다.
 
막스 슈티르너의 『슈티르너 비평가들(Recensenten Stirner’s)』이 국내 최초로 독일어 원전에서 번역되었다. 이는 슈티르너의 대표작인 『유일자와 그의 소유』에 대한 비판을 직접 반박하는 그의 사상적 핵심을 담고 있다. 이 책은 19세기 철학사에서 가장 도발적이고 혁신적인 에세이로 손꼽히며 슈티르너 철학의 핵심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자료인 『유일자와 그의 소유』의 논쟁의 지평을 확장하는 혁신적인 에세이이다.
 
슈티르너의 철학은 20세기에 개인주의적 아나키즘, 실존주의, 그리고 포스트모더니즘의 선구적 뿌리가 되었다. 그는 19세기 당시에는 헤겔 사상에 대한 우파와 좌파 모두의 해석을 무너뜨렸고, 자유주의의 철학적 기반도 지적으로 무너뜨렸다. 또한, 그는 사회주의와 공산주의에 대한 급진적 대안을 제시했다.
19세기 초반, 아직 사회주의도 자유주의도 이론적 지반이 형성되기 전에 출현했던 문제작 『유일자와 그의 소유』에 당시 독일 사상가들 모두 경악을 금치 못했다. 마르크스와 엥겔스는 『독일 이데올로기』 1부의 2/3가량을 슈티르너를 비판하는 데에 할애했고, 스첼리가, 포이어바흐, 헤스와 같은 저명한 사상가들은 그의 책에 신랄한 논평을 가했다. 주로 슈티르너의 ‘유일자’ 개념, ‘자기중심적 사람’, ‘자기중심적 사람들의 연합’이라는 문구들에 대해서였다. 슈티르너는 이미 『유일자와 그의 소유』라는 방대한 저서를 통해 이를 주장했음에도, 그의 책에 가한 논평과 논적들에 대적하여, 그의 ‘유일자’ 개념에 대한 오해를 바로잡고자 했다.
따라서 『슈티르너 비평가들』은 당대 주요 사상가들과의 논쟁을 담아냄으로써, 그의 철학적 입장을 더욱 깊이 탐구하고자 한 시도이다. 슈티르너는 무엇보다도 ‘보편적 인간’의 개념을 부정하고, ‘개인의 독창성’과 ‘자기 주체성’을 강조했다. 슈티르너의 비판은 개인주의적 아나키즘에서부터 실존주의에 이르는 다양한 사조를 예고했으며, 21세기에도 주목받고 있는 철학적 원천이다.
 
막스 슈티르너, 철학의 해체와 창조를 외친 사상가
 
막스 슈티르너(1806-1856)는 바이에른의 바이로이트에서 태어나 헤겔의 강의를 듣고 영향을 받으며 철학적 기초를 다졌다. 그는 『유일자와 그의 소유』를 통해 개인의 자유와 자기 소유를 주장하며 기존 철학과 사상에 근본적인 의문을 던졌다. 그의 철학은 사회주의와 공산주의, 자유주의의 철학적 기반을 비판하며, 개인주의적 아나키즘과 실존주의, 그리고 포스트모더니즘의 선구적 토대를 마련했다.
『슈티르너 비평가들』은 철학적 논쟁의 기록이다. 슈티르너는 이 책에서 포이어바흐, 헤스, 스첼리가의 비판에 응답하며, ‘유일자’라는 개념의 진의를 밝히고자 했다. 그가 말하는 ‘유일자’는 그저 공허한 단어가 아니라, 각 개인의 독립적 존재를 가리키는 이름이다.
“유일자는 단지 이름일 뿐이다. 그것은 그대가 그대 자신이라는 사실 외에는 아무것도 의미하지 않는다.”
슈티르너는 이러한 개념을 통해, 인간이 스스로를 추상적 개념이나 이상적 범주로 환원하지 말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인간은 자신만의 고유한 존재로 살아야 하며, 보편적 가치나 도덕으로부터 독립해야 한다는 그의 주장은 당시 철학계에 큰 충격을 주었다.
『슈티르너 비평가들』은 슈티르너를 비판했던 포이어바흐, 스첼리가, 헤스의 사상을 비판하기 위해 철학적 개념들을 체계적으로 설명하며, 다음과 같은 다섯 가지 주제에 초점을 맞춘다.
 
‘유일자’의 개념
슈티르너는 ‘유일자’를 모든 개인을 지칭하는 단순한 이름으로 정의하며, 이는 개인의 고유성과 자유를 강조한다. 그는 포이어바흐, 헤스, 스첼리가 등 동시대 비평가들이 유일자를 내용 없는 공허한 단어라 비판한 것에 대해, 유일자는 특정 개념이 아닌 개별적 존재를 지칭하는 비(非)개념적 이름이라고 응수했다. 유일자는 고정된 속성을 지니지 않으며, 오직 개인의 행위와 자각을 통해 규정된다. 그는 이러한 설명을 통해 종교적 관념이나 보편적 인간 개념이 개인의 독창성을 억압한다고 주장했다.
 
‘그대’가 유일자의 내용이다
슈티르너는 유일자가 ‘그대는 그대’라는 사실을 나타낸다고 주장한다. 이는 개인이 그 자체로 가치 있고 고유하며, 특정 속성이나 보편적 개념에 의해 정의될 수 없음을 의미한다. 포이어바흐가 주장한 보편적 인간 본질에 반대하며, 그는 인간의 개별성이야말로 인간다움의 핵심이라고 강조한다. 그는 모든 사람의 고유한 본질은 개념화될 수 없으며, 개인은 자기 자신을 통해서만 실재적 존재로 이해될 수 있다고 본다.
 
‘자기중심적 사람’은 세계의 중심이자 자기소유자이면서 신성모독자이다
슈티르너는 자기중심적 사람을 자기 세계의 중심으로 정의하며, 그들이 외부의 신성한 가치나 이상에 얽매이지 않고 스스로의 이익과 관심을 추구한다고 주장한다. 그는 기존 사회와 철학이 개인의 자기중심적 성향을 억압하며, 이를 죄악이나 혐오스러운 것으로 간주해 왔다고 비판했다. 신성한 양심과 같은 외부의 강제적 가치에 맞서 개인은 자기 자신의 관심과 욕망을 지키며, 이를 통해 자기소유자로서의 자유를 누릴 수 있다고 주장했다.
 
‘자기중심적 사람들의 연합’은 자기관심, 자기향유, 자기성취, 상호의존, 호혜주의이다
슈티르너는 개인들이 상호의존과 호혜주의를 바탕으로 자발적 연합을 형성할 수 있다고 보았다. 이 연합은 사회나 국가처럼 강제적 의무가 아닌, 각 개인의 자기 이익과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관계로 구성된다. 그는 연합이 고정된 체제가 되면 개인의 자유를 억압하는 사회로 변질될 위험이 있다고 경고하며, 연합은 자유롭게 형성되고 해체될 수 있는 관계이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나’와 ‘창조가 깃든 무’
슈티르너는 개인을 ‘창조가 깃든 무’로 정의하며, 인간은 자신을 끊임없이 창조하는 존재라고 보았다. 그는 인간을 개념적으로 정의하려는 모든 시도를 비판하며, “나는 나이다”라는 단순하지만 강력한 선언을 통해 개인이 자신의 존재를 주체적으로 창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는 외부의 관념이나 개념이 아닌, 오직 개인의 경험과 자기 자각에서 비롯된다.
 
슈티르너는 개인의 독창성과 자유를 최우선으로 강조하며, 보편적 개념, 종교적 관념, 사회적 이상이 개인의 자율성을 억압한다고 비판했다. 그는 ‘유일자’와 ‘자기중심적 사람’ 개념을 통해, 각 개인이 스스로의 존재를 정의하고 창조하며, 자발적 연합 속에서 타인과 관계 맺기를 통해 자기 이익을 추구할 것을 주장한다. 이러한 철학은 개인주의적 아나키즘과 실존주의, 포스트모더니즘에 영향을 미친 선구적 사유로 평가받는다.
『슈티르너 비평가들』은 단순히 철학적 논쟁의 기록이 아니다. 이 책은 기존의 관념을 해체하고, 각 개인이 자기 자신으로 살아갈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슈티르너의 도전적이고 독창적인 사유는 오늘날에도 깊은 울림을 주며, 철학적 자유의 의미를 재조명한다.
 
막스 슈티르너가 남긴 두 저작

슈티르너의 방대한 저작 『유일자와 그의 소유』가 철학적 주장과 체계를 제시한 텍스트라면, 『슈티르너 비평가들』은 이에 대한 구체적 반응을 분석하고 논박하는 실천적 논쟁 텍스트이다. 즉, 자신의 사상을 더욱 풍부하게 설명하는가 하면, 그에 대해 쏟아진 비판에 대한 견고한 방어 논리를 구축한다. 『슈티르너 비평가들』은 전작에서 생략된 설명이나 모호했던 부분을 구체화하기도 했다. 특히, 특정 비판자들의 논지를 직접 인용하고 반박하면서 자신의 입장을 재차 강조한다.
『유일자와 그의 소유』와 『슈티르너 비평가들』은 슈티르너 철학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으로 연결되는 저작들이다. 『유일자와 그의 소유』가 철학적 출발점이라면, 『슈티르너 비평가들』은 그것을 둘러싼 논쟁을 통해 슈티르너 사상을 더 깊이 탐구할 수 있는 창을 제공한다. 두 저작은 서로를 보완하며, 슈티르너의 사상을 비판적 맥락에서 더욱 명료하게 드러내는 역할을 한다.

 

♦ 알렙 출판사 블로그 책 소개

알렙 새 책 : 철학적 혁명, 개인의 자유! 막스 슈티르너의 <슈티르너 비평가들>

 

옮긴이 박종성 소개

박종성은 건국대학교 철학과에서 「슈티르너의 유일자 개념에 대한 비판적 고찰」(2014)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논문으로는 「슈티르너의 ‘변신’ 비판의 의미」(2020, 제8회 소송小松 학술상 수상, 한국철학사상연구회), 「유일한 사람의 사랑」(2021), 「식민지 조선에서 슈티르너 철학의 변용과 그 의미 및 한계―염상섭의 「지상선을 위하여」를 중심으로」(2022), 「철학자를 조롱하는 철학자」(2023) 등이 있다.
지은 책으로는 『코뮨의 미래』(2022, 공저), 『대화로 철학하기』(2023, 공저), 국내 첫 독일어 원전 번역 『유일자와 그의 소유』(2023년 대한민국학술원 선정 우수학술도서), 국내 첫 독일어 원전 번역 『슈티르너 비평가들』(2024) 등이 있다.
현재 건국대학교 강의초빙교수,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강사로 재직 중이고 사단법인 한국철학사상연구회 연구협력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책의 목차

옮긴이 서문

슈티르너 비평가들
스첼리가
포이어바흐
헤스

옮긴이 해제
찾아보기

출처: 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start=short&ItemId=353048010

책 속으로(옮긴이 서문 중)

[신간안내] 『정신과 표현 기호로서 예술-헤겔 미학 산책』(이병창 지음|먼빛으로|(2024년 8월 23일) [한철연 소식]

『정신과 표현 기호로서 예술-헤겔 미학 산책』(이병창 지음)

 

이병창 회원이 웹진 <이(e) 시대와 철학>의 [흐린 창가에서-이병창의 문화비평] 코너에 연재한 <헤겔미학산책>이 책으로 출간되었습니다.

책 제목은 『정신과 표현 기호로서 예술-헤겔 미학 산책』(2024)입니다.

<헤겔미학산책>은 2023년 11월 6일 1회를 시작으로 2024년 5월 12일 60회까지 이어진 웹진의 대표 연재물이었습니다. 상당한 분량의 연재 글이었습니다. 많은 독자들의 성원을 받았고 2024년 8월 23일 책으로 출간되어 이제 더 많은 독자들에게 다가갈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e) 시대와 철학> 입장에서는 매우 뜻 깊은 출간입니다. 오랫동안 헤겔 철학을 연구해 온 이병창 회원의 생동감 있으면서 명확한 전거를 제시하며 풀어가는 헤겔 미학의 세계로 함께 들어가 보시길 바랍니다.

 

♦ 책 소개

헤겔은 예술을 사랑했고 예술의 가치를 높이 평가한 미학자였다. 그의 저서 『미학 강의』는 예술에 관한 일반 이론에 그치지 않고 역사적으로 출현한 예술 형식을 구체적으로 탐구했으며, 예술 장르의 기본 개념을 확립하기 위해 분투해 마지않았다.

헤겔은 예술이 유희나 장식에 머무르지 않고 시대의 정신을 표현하는 하나의 형식이 되기를 소망했다. 그가 살았던 시대 독일은 분열되고 봉건적 억압 아래 있었으니, 그는 예술을 통해 민족의 자유로운 공동 의지가 형성되기를 기대했을 것이다.  

헤겔은 예술의 분석에서 현대의 기호학적인 방법론과 닮은 방법론을 사용했다. 그에게서 예술은 정신을 표현하는 기호이다. 그는 표현 기호라는 개념을 예술의 역사뿐만 아니라 예술 장르의 개념에도 적용했다.

저자는 헤겔 미학의 본질을 60개에 걸친 물음을 던지면서 분석한다. 저자가 던진 물음은 예를 들어 고전이냐 근대냐, 리얼리즘이나 표현주의냐, 상징이냐 현상이냐 가상이냐 등과 같은 물음이다.

저자는 이런 물음을 통해 헤겔 미학에 관한 다양한 오해를 제거하고자 한다. 흔히 헤겔은 고전주의자로 알려졌지만, 저자에 따르면 헤겔은 근대 낭만주의 의 가상 미학에 더 관심을 가졌다. 가상은 자기 부정을 통해 정신을 표현하는 예술 작품을 말한다. 헤겔에게서 근대 예술은 사실적 경향성을 가지면서도 정신적 생동성을 표현하며, 그 핵심 기법은 색채의 마법이나 음악적 방법에서 보듯이 사실을 재구성하는 것에 있다.

 

저자 소개

-저자 이병창
서울대학교 철학과 수학, 서울대학교 철학박사, 동아대학교 철학과 교수, 2011년 2월 명예퇴직, 현대 사상사 연구소 소장
헤겔철학과 정신분석학 및 마르크스주의를 연구하면서 문화철학 및 영화철학을 연구한다.

-박사학위 논문
헤겔의 정신현상학에서 정신 개념에 대한 연구, 서울대, 2000

-주요저서
『영혼의 길을 모순에게 묻다(헤겔 정신현상학 서문 주해)』, 먼빛으로, 2010
『반가워요 베리만 감독님』, 먼빛으로, 2011
『불행한 의식을 넘어(헤겔 정신현상학 자기의식 장 주해)』, 먼빛으로, 2012
『지젝 라캉 영화』, 먼빛으로, 2013
『청년이 묻고 철학자가 답하다』, 말, 2015
『우리가 몰랐던 마르크스』 , 먼빛으로, 2018
『정신의 오디세이-자유의지의 역사』, 먼빛으로, 2021
『헤겔의 정신현상학-EBS오늘의 클래식』, EBS BOOKS, 2022
『지적 대화를 위한 교양인의 현대철학』, 팬덤북스, 2024

-번역
프리드리히 슐레겔, 『그리스 문학 연구』, 먼빛으로, 2014
프리드리히 슐ㄹ겔, 『미학 철학 종교 단편』 , 먼빛으로, 2020
마르크스 엥겔스, 『독일 이데올로기』, 먼빛으로, 2018

 

책의 차례

들어가는 말 3
헤겔 미학 산책 1부 미의 일반 개념
1_미학이 가능한 것일까? 15
2_예술의 과거성 테제 21
3_고전이냐 근대냐? 33
4_절대정신이란 무엇인가? 43
5_예술과 종교, 철학의 등근원성 55
6_표현으로서 예술 65
7_기호와 표현 73
8_예술의 쾌활성과 목적 81

헤겔 미학 산책 2부 예술의 역사적 형식
9_예술과 시대 89
10_예술 형식 99
11_상징적 예술 형식 109
12_숭고에 관해 119
13_비유법 129
14_그리스에서 신과 인간 139
15_고전의 전형 페이디아스 149
16_고전적 예술 형식 161
17_신의 비애, 희극과 풍자 169
18_소외된 정신과 기독교 177
19_근대인과 파토스 189
20_가상과 추, 숭고 199
21_고딕 예술 213
22_중세 기사도 문학 223
22_개체적 특수성의 예술 237
24_성격 예술 247
25_모험 소설 253
26_낭만주의 해체기 예술 257
27_후마누스[Humanus]의 예술 269

헤겔 미학 산책 3부 예술 장르론
28_질료의 속성 281
29_예술가의 솜씨 291
30_모더니즘 미학의 선구 297
31_장르와 형식의 관계 307
32_이것은 건축인가 조각인가? 311
33_고대 건축과 고전 건축 321
34_고딕 건축 331
35_조각과 회화의 차이 339
36_조각의 형상화 345
37_조각의 회화화 351
38_낭만적 예술 장르가 가능한가? 359
39_색채론-괴테와 헤겔 367
40_색채의 음악, 색채의 마법 375
41_회화의 가상성 383
42_내밀성의 회화 391
43_심정의 예술로서 음악 401
44_화성과 선율 그리고 정신 411
45_수반 음악과 자립 음악 421
46_회화 음악 시문학 429
47_시와 산문의 차이 437
48_시문학의 삼각형 445
49_작가와 독자의 공동체 455
50_시문학의 장르 465
51_서사시적 슬픔 475
52_시민적 서사시냐 소설이냐? 483
53_서정시와 이비코스의 두루미 493
54_서정시와 종의 노래 503
55_연극이냐 극시이냐 513
56_극시의 구성 521
57_아리스토텔레스의 비극론과 헤겔 531
58_니체의 비극론과 헤겔 539
59_아리스토파네스의 희극과 헤겔 551
60_근대 극시와 헤겔 565
참고문헌 575

책 속으로

 

 

알렙 출판사 《서울리뷰오브북스》 서평 공모전 ‘우주리뷰상’(7월 1일~10월 4일) 개최 안내 [한철연 소식]

한철연과 인연이 깊은 ‘알렙출판사’ [http://alephbook.kr/]가 아래와 같이 서평 공모전을 열고 있습니다.

한철연 회원들의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자세한 사항은 첨부한 한글 파일과 웹페이지 링크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아래는 알라딘 홈페이지에 올라온 공모전 안내 글과 응모 페이지 링크, 보도자료 링크입니다.

관심있는 분들의 많은 응모 바랍니다!


서평을 통해 책과 독자를 잇고, 이를 통해 더 나은 지식 공론장의 창출을 지향하는 서평 전문지
《서울리뷰오브북스》가 서평 공모전 ‘우주리뷰상’(7월 1일~10월 4일)을 개최합니다.

독서 문화 확산, 인문학적 지평 확대를 통해 사회적 책무를 수행해 온 아모레퍼시픽재단과
인문·사회·과학·교양 독자들의 지식 보급 창구가 되어 온 알라딘과 함께 독서 및 서평 문화의 확산,
신진 서평가 발굴, 도서 시장의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독서 및 서평 문화의 정착과 확산에 동참할 서평가들의 성원을 기대합니다.

 

☞ 클릭! 우주리뷰상 안내(알라딘 홈페이지) – 총 상금 1,000만 원

☞ 클릭! 우주리뷰상 보도자료 0701 (pdf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