섦 – 노래 위에 상인 [별과 달과 바람의 노래] -30

노래 위에 상인

김설미향(그림책 작가)

 

퍼석퍼석 모래 위로 나는 새는 바람이었다.

그래도 삶을 노래하고 사랑을 노래하고

구름 위에 핀 꽃을 노래하는 슬픔의 변명이 놀라워

그들은 꽃을 멀리하였다.

기억에 없는 기억을 떠올리며

악기를 연주하고 붉은 입술로 노래를 하고

익지 않은 푸른 사과는 아쉬워 바람에 춤을 춘다.

 

아직 낯선 사과에 겨울바람이 차곡차곡 쌓인다.

어디에서 왔을까? 어디로 가는 것일까?

삶은 너무 낯설고 익지 않아 항상 거칠다.

아무것도 자라지 않은 황무지에

노랗게 피어나는 나비의 향기가 그립고

아직 익지 않은 밤, 푸르게 익어가는

한 여름 밤의 녹색 바람이 그립다.

부슬부슬 알 수 없는 비를 그리며

갓 구은 듯 한 초승달 한 마리가 반짝반짝

창밖으로 떨어지는 밤을 그리워한다.

그는 수많은 밤을 모아 곧 시장을 열 것이다.

그 추억의 밤을 누군가는 곧 사서 모을 것이다.

 

2017.4.26

작가의 블로그 http://dandron.blog.me


작업노트 

우리가 살아가는 세상은 딱 경험한 만큼 보이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아직 덜 익고 푸릇한 사과처럼 모든 것이 그 크기만큼 낯설고 그 크기만큼 보이거나 보이지 않거나 알지 못하기도 합니다. 푸른 사과가 낯설지 않고 익숙해지는 것은 수많은 밤을 그 안에 담기 때문입니다.

 

익지 않은 열매는 많은 밤을 담을 것입니다. 푸르른 여름밤 풀냄새가 하늘에 가득하고 달빛에 반짝이는 빵 냄새가 나는 초승달과 수많은 별들과 뜨겁고 시원한 여름밤과 꽃이 피는 봄밤도 같이 담고 낙엽이 비처럼 쏟아지는 낯익은 가을밤도, 모든 것을 세상에 내던져 준 하얀 겨울밤을 차곡차곡 쌓은 사과의 낯설었던 밤은 누군가에게 달콤한 꿈이 됩니다. 상인은 수많은 밤을 팝니다. 작은 샘에 동그랗게 뜬 달을 떠서 누군가의 마음에 담는 것처럼 수많은 추억이 담긴 작은 우주를 경험하게 해주는 그 밤들을 함께 나눌 수 있는 삶들이 그리울 때가 있습니다. 보다 넓은 세계를 경험하고 보다 멀리 바라보는 삶을 때로는 갈망하며 삶은 항상 그리운 날이기도 합니다. 늘 꽉 찬 듯 부족한 것이 그리움입니다.

섦 – 나무숲 [별과 달과 바람의 노래] -25

 나무숲

김설미향(그림책 작가)

 

나는 언제나 없고 여기에도 없으면서 있으며

저기에도 있으면서 없고, 없으면서 있다.

내가 없는 곳에서 나무는 소리 없이 그곳에 있으면서

뿌리를 내려 하얀 눈이 될 때까지 슬픔을 잃지 않는다.

인간이 가장 힘들 때는 그 슬픔을 알지 못한다는 것이다.

인간에게 슬픔이 무엇인지 모르는 것처럼 서로는 알지 못한다.

다르지만 같은 무언가를 향해 닮아가고 있다.

 2017-2-15

 

 작가의 블로그 http://dandron.blog.me

 


작업노트

저는 세상의 모든 존재에서 가장 인간을 닮아있는 것처럼 느껴지는 것은 나무라고 생각합니다.

나무의 뿌리와 가지, 잎, 열매에는 봄, 여름, 가을, 겨울 4계절을 담고 있고 365일 12개월인 1년의 주기로 나눈 우주의 운행의 삶을 나무가 자연스럽게 담고 자연으로 살아가듯 인간은 그 자연의 구성원으로 나무의 4계절을 고스란히 담고 닮아 자연을 그대로 담아 닮아갑니다.

닮아가는 것보다 물질적인 형태는 다르지만 본성이 같은 나무의 삶이 곧 인간의 삶이라고 생각합니다.

인간의 삶의 시기 또한 새싹이 돋아나는 봄을 지나, 푸름과 뜨거운 열기가 가득한 여름을 만나고, 그 열정이 알록달록 무지개처럼 풍성한 열매 맺는 가을을 만나서 온 열정을 다해 지나온 과정을 혹독한 차가움으로 내면을 단단하게 다지고 끝과 시작을 알리는 겨울을 지나 새롭게 시작하는 나무의 일부가 됩니다.

그 과정 안에서 삶의 모든 관계는 함께 있지만 함께 없기도 하고 내가 이곳에 있지만 없기도 하고 나무와 인간이 서로를 알 수 없듯 닮은 듯 다른 듯 하며 서로를 담고 닮아있습니다.

각각의 나무 한그루가 모여 숲을 이루고 인간의 모습도 모여 사회가 되고 서로를 닮은 듯 다른 듯 살아가고 알 것도 같으면서 모르기도 하고 모를 것 같으면서 알 것 같지만 모르겠는 것, 그것이 나무의 삶과도 닮아 있습니다.

나무를 안다고 하지만 나무가 아닌 저는 나무를 사실 모릅니다. 한 그루의 나무도, 동산을 이루는 나무도 아름다운 것처럼 한 사람의 존재도 치열한 사회속의 사회도 아름답습니다.

살아있는 죽음 [퍼농유]

우쑵니다.

정치는 쑈라고 하지만 정치는 쇼이어야만 한다는 강고한 믿음을 가진 사람들의 쇼를 지켜보는 것만으로도 지겨움을 넘어 역겨울 지경입니다. 애덜의 쇼에는 그래도 천진난만함이라도 있지 이건 뭐 비열함만이 가득합니다. 어찌 헤쳐나가야할지 신의 가호가 아니라 신뢰의 연대와 냉정한 지혜가 있기를 ……. 물리적으로 너무 바쁜 10월입니다. 간단한 글하나 올립니다. 꾸뻑

82113073, 3/26/07, 2:55 PM, 8C, 4074x5354 (958+1512), 100%, Winogrand_11x1, 1/60 s, R78.0, G63.3, B72.6

82113073, 3/26/07, 2:55 PM, 8C, 4074×5354 (958+1512), 100%, Winogrand_11x1, 1/60 s, R78.0, G63.3, B72.6

난 어릴 적 고생을 몰랐다. 아버지 덕택이다. 아버지는 2016년 2월 15일 응급실에서 돌아가셨다. 한밤중에 응급실에서 깨어났을 때 아버지의 “뭣 하러 왔어”라는 무심한 한마디에 “어서 주무세요, 아침에 다시 올께요”라고 했지만 아버지의 눈빛을 제대로 쳐다 볼 수가 없었다. 왜 그랬을까에 대한 답변은 알고 있는 듯 모르는 척하는 듯 말할 수 없지만 다시 새벽 병원 응급실에서 아버지는 이미 의식을 잃고 계셨다. 아버지는 이 자식의 작별 인사도 제대로 받지 못하고 너무 성급하게 떠나셨다.
죽음에 대해서 생각했던 그런 때가 있었다. 그때 우연치 않게 손에 들었던 책이 노베르트 엘리아스의 《죽어가는 자의 고독》이었다. 그때 깨달았다. 난 추상적인 죽음을 알고 싶었던 것이 아니었다. 오히려 구체적인 사람들의 죽음, 죽은 사람들, 그리고 죽어가는 사람들이 알고 싶었던 것이라는 사실을. 엘리아스는 이렇게 말한다.
“우리 시대에 죽어가는 사람들 곁에서 살아 있는 사람들이 느끼는 각별하다고 할 당혹감은 죽음과 죽어가는 사람이 사회생활로부터 최대한 배제되어 있다는 점, 그리고 죽어가는 사람들을 다른 이들로부터 철저히 격리한다는 사실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죽어가는 사람 앞에서 사람들은 마땅히 할 말을 알지 못한다.”
난 죽어가는 아버지에게 무엇을 말할 수 있었을까. 아니 난 죽어가는 아버지에게 무엇을 말할 것인가를 고민하지 말았어야 했다. 살아 있는 아버지께 무엇을 말할 것인지를 생각해야 했으며 살아 있는 아버지께 “어서 주무세요, 아침에 다시 올께요”라고 말해서는 안 되었던 것이었다.
엘리아스는 죽음의 병상에서 무덤으로 너무도 완벽하게 처리되는 죽어가는 사람들의 고독을 말하고 있지만, 사실 죽어가는 사람들은 병원에만 있는 것은 아니다. 이 사회 그 어딘가에는 이 사회가 철저히 배제해버린 살아있으면서도 죽은 듯이 살아가는 사람들이 있다.
죽음은 은폐되고 삶은 전시되고 있다. 죽어가는 자들은 음침한 뒷골목으로 내몰리고 산 자들은 양양한 대로를 뻔뻔하게 거닐고 있다. 하여 자신은 이 양양한 대로를 뻔뻔하게 걸을 생각만을 하면서 죽어가는 사람들에게 “어서 주무세요, 아침에 다시 올께요”라고, 나는 어쩌면 우리는 그런 무심한 말을 죽은 듯 살아있는 사람에게 해서는 안 되는지도 모른다.

%ec%9e%84%ec%a2%85

섦 [별과 달과 바람의 노래] -20

빈집

김설미향(그림책 작가)

비우고 비운 곳에 있고
있지 않은 곳에 비어 있다.
있는 것은 비어 있고
채워진 것은 비어 있다.
비어 있는 곳에 채운다.
채울 수 있어 비울 수 있다.
비울 수 있어 채울 수 있다.

비우고 비운 그 곳에 그것이 있고
있지 않은 그 곳에 그것은 비어 있다.
있는 곳에 그것은 비어 있다.
채워진 곳에 그것은 비어 있다.
비어 있는 곳에 그것은 채운다.
채울 수 있어 비울 수 있다.
채울 수 있어 비운다.

2016-9-30

작가의 블로그 http://dandron.blog.me

%ec%9d%b4%ec%8b%9c%eb%8c%80%ec%99%80%ec%b2%a0%ed%95%992016-9-30-%eb%b9%84%ec%9b%80


작업노트

살아가면서 나의 공간, 나의 정신에 많은 것을 채우고 살아갑니다.
비우는 것보다 채우는 것이 보다 더 익숙해지는 삶인 것 같습니다.
여백으로 채워진다는 것은 비어있지만 비어있음 그 자체가 채워져 있는 것,
그것은 삶의 여유가 되고 편안해지기도 합니다.
이 세상을 살아가는데 필요한 것은 많지만 그리 필요하지 않은 것이기도 합니다.
몸과 마음에 무언가를 채우면 많은 것에 얽매이게 되고
물질적 풍요가 정신적,육체적 풍요로 이어지진 않는 것 같습니다.
비어있는 허무함을 때로는 견디기 어려워하고 허무 자체를 무의미하고 무가치하게
여기며 살아가기도 하고 비어있기보다 채워지기를 바라고 채우기를 갈망하기도 합니다.
아무것도 없는 텅 비어 있음, 때로는 허무를 있는 그대로 바라보는 것은
삶의 여유와 풍요를 가져오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