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아무도 울지 않고 / 아무도 우리를 울리지 않고 / 이유운과 류휘석 [유운의 전개도 접기]

Spread the love

우리는 아무도 울지 않고

 

이유운

 

갑자기 모든 개가 말을 할 수 있게 된다면

다들 아프다고 말할 것이다

 

우리는 쏟아지는 빗속에서도 손을 바꾸어 잡아가며 걷고 있었다

 

영원히 내리는 비란 상상하기 어렵겠지만

우리는 사이좋게 사랑에 빠지고

 

네 옆얼굴에 빗물이

그림자처럼 흐르고 있었다

 

보도블럭의 금을 피해 밟으며

너는 노래처럼

“너와 있으면 이상한 규칙들이 너무 많아져.”

 

나는 네 제국이 되는 나를 상상한다

 

거꾸로 말하지 않아도 아비를 저주할 수 있는 마법의 세계가 있을지도 몰라

우리는 그 세계에서도 적당한 인사말을 배우려고 애쓰고들 있겠지

 

우리는 축일을 생각하며 타로카드를 던지기도 하고

죽은 비둘기를 보고도 고기를 먹었냐는 질문을 하기도 하면서 자랐으므로

선언하지 않고 안부를 묻는 법을 잘 모르지 않니

 

왜 우리는 침묵하면 사랑하지 않는다고 생각할까

 

귀를 막으려고 잡은 손을 풀면

너의 얼굴에 자라는 슬프고 무서운 표정

 

비에 젖은 횡단보도와 우리가

각자의 소음에 골몰하고 있었다

 

 

 

아무도 우리를 울리지 않고

                                               

류휘석

 

앞서 걷던 네가 뒤돌아

“벌써 끝인가 봐. 개가 돌아오고 있어.”

말하면서 규칙은 시작된다

 

“가는 길에 비 피할 곳이 있을까요?”

지친 개를 안아든 주인이

흘러넘친 얼굴을 닦으며 말을 걸자

 

너는 개를 쳐다보기 시작한다

나는 네 손을 꼭 잡고

 

“글쎄요. 저희는 방금 막 시작해서요.”

 

목줄이 길게 바닥을 긁으며 저녁을 죄다 끌고 가는 동안

그 틈으로 모인 짙고 어두운 빗물이 우리들의 발목을 세게 말아 쥐는 동안에도

너는 개가 사라진 곳을 보며 움직이지 않았다

 

아무도 우리를 울리지 않았는데

공원은 넘치려하고

 

나는 가만히 네 손바닥을 어루만졌다

단단하게 직조된

가늘고 의미 없는 인간의 형상 같은 것을

 

“괜찮아?”

 

움켜쥔 사랑을 마구 휘두르면서

우리를 우리라고 함부로 부르는 것을

 

“미안. 잠깐 다른 생각했어.”

 

사람들이

하나둘 도착하자

 

거짓말처럼 비가 그쳤다

 

“여기가 끝이에요?”

 

나는 손가락을 뻗어

공원의 안전표지판을 가리켰다

 

 

 

이유운과 류휘석

 

이유운과 류휘석은 놀랍게도 어떤 자음도, 어떤 모음도 공유하지 않는다. 동그란 이유운과 각진 류휘석. 나는 이름만큼이나 그와 다른 사람이다. 그도 이름만큼이나 나와 다른 사람이다. 진부한 표현이지만 우리는 시가 아니었으면 절대 만나지 않았을 사람들이다. 우리는 그러니까 아주 ‘극적’으로 만났다. 작년, 나는 집 옥상에서 ‘옥상낭독회’를 개최했다. 나는 갓 데뷔한 시인이어서 아는 사람도 없었고 그리 사교적인 성격도 아니면서 무슨 배짱이었는지 SNS에 옥상낭독회를 할 거니까 아무나 오라고 했다. 그리고 정말로 온, 이상한 아무나 중에 류휘석 시인이 있었다. 우리는 그때 처음 만났다. 류휘석 시인은 처음 만난 자리에서 아무렇지 않게 부끄러운 일들과 사랑의 불가능을 말하고 시를 읽고 술을 마시고 담배를 피웠다. 나는 그가 아무렇지 않게, 조금 더 뜯어보면 아무렇지 않은 척 하려고 하는 표정으로 시를 대하는 표정을 보면서 정말로 이상한 사람이라고 생각했다. 아마도 그도 나를 보면서 이상한 사람이라고 생각했을 것이다. 서로 이상한 우리는 그 후로 꽤 시간이 흐르고 여름의 초입에 만나서 술을 마시며 친해졌다. 어른이 되고 좋은 점은 바로 이런 것이다. 타인과 친해질 때 아무렇지 않게 제정신이 아닐 수 있도록 술을 마실 수 있다는 것.

시인들은 정말로 술을 마시면 시 얘기만 하는군요. 류휘석 시인과 술을 마시며 내가 웃었는데, 그 ‘정말로 시 얘기만 하는 시인들’ 무리에 나도 있었다. 시인 이상형 월드컵이나 데뷔작 밸런스 게임 같은, 어디 나가면 대체 무슨 소리 하는 거냐고 할 이야기들이 통용되는 사람들을 만나서 좋았다. 그래도 우리가 가장 많이 한 건 욕이다. 이 문학‘판’이 정말 별로라고, 다들 꼰대같다, 전부 쓰레기같다, 라고 말하면서 결국엔 무슨 시를 쓰고 싶은지 말하는 게 웃겼다. 시에 진심인 것 같으면서도 시가 아무렇지 않은 것처럼 대하고 인생의 전부가 시를 쓰는 것처럼 굴고선 바로 시를 언제든 버릴 수 있는 것처럼 툴툴 털어내고 일어나는 것이 뭐랄까, 그는 나와 정말로 다른 부류였다.

그는 자신에게 확신이 있다가도 없었고, 물렁물렁하고, 슬퍼 보이면서도 경쾌했고, 외로워 보이면서도 친구가 많았다. 그런 그가 나나 다른 사람에게 끊임없이 확신을 가지는 것이 퍽 신기했다. 그는 나를 신뢰한다는 말을 자주 했는데(진심으로 그럴지는 모르겠지만 나는 그렇다고 믿는다) 나의 모든 면을 신뢰한다는 것인지 나는 자주 고민했다. 나는 거의 모든 순간 나에 대한 확신이 없기 때문에……. 그래도 그가 신뢰할 수 있는 나의 면을 고를 수 있다면 나는 시를 제외한 생활의 면모였으면 좋겠다.

나는 그에게 종종 내 시의 초고를 보여준다. 신기하게도 그는 내가 자신없이 얼버무린 부분이나 외면한 부분들을 정확하게 짚어낸다. 나와 너무 다르기 때문에 나의 가장 나 같지 않은 부분과 나의 가장 나 같은 부분을 동시에 볼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는 걸지도 모른다.

나는 나와 다른 사람을 모른다. 잘 알려고 하지 않는다. 나는 내가 가지지 못한 능력을 가진 사람들을 탁월하게 질투하는 능력은 가지고 있으나 그들을 잘 알 수 있는 꾸준함, 다정함, 세심한 시선 같은 능력은 없다. 하지만 그런 능력을 가지고 있는 친구들이 나를 신뢰한다고 하면, 나는 신뢰받을 만한 생활을 꾸릴 책임감을 갖게 된다. 나의 책임감은 나를 보는 수많은 사람의 얼굴에 빚지고 있으며 류휘석 시인은 핑크 팬더 비니를 쓰고 그 얼굴들 중에 가만히 앉아 있는 사람이다.

 

 

이유운 작가의 말

가을 동안은 제 벗들을, 예술적 동료들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다들 저와 다르게 기쁘고 비슷하게 슬픈 사람들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오늘 소개한 류휘석 시인은 2019년 서울신문 신춘문예에 「랜덤박스」로 데뷔하면서 작품 활동을 시작했습니다.


필자 이유운은 시인이자 동양철학도. 2020 경인일보 신춘문예 시부문에서 <당신의 뼈를 생각하며>로 등단했다. ‘유운(油雲)’은 『맹자』에서 가져온 이름. 별일 없으면 2주에 한 번씩 자작시와 짧은 노트 내용을 올리려 한다. 유운의 글은 언젠가는 ‘沛然下雨’로 상쾌히 변화될 세상을 늠연히 꿈꾸는 자들을 위해 있다.

0 replies

Leave a Reply

Want to join the discussion?
Feel free to contribute!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