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가 토카르추크의 소설 『방랑자들』을 읽고 (2) – 구멍 뚫린 사내 쿠니츠키
이병창(한철연 회원)
1)
올가 토카르추크의 소설 방랑자들 속에는 여러 인물이 나온다. 지하철을 통해 끊임없이 이동하는 노숙자, 인간의 육체를 영원히 보존하려는 집념을 지닌 권력자, 오래전의 첫사랑을 안락사 해 주러 고향으로 돌아가는 여인 등.
그 가운데 쿠니츠키는 소설 속에 등장하는 방랑자가 방랑을 떠나는 이유를 설명해 준다. 이 인물은 소설의 앞 부분에 연속된 두 편의 단편에 걸쳐 등장하고 한참을 뛰어넘어 소설 끝날 무렵 한 편의 단편에 다시 등장한다. 앞의 두 단편의 제목은 <쿠니츠키-물1, 2>이고 마지막 단편의 제목은 <쿠니츠키-대지>이다.
물과 대지라는 대비가 흥미롭다. 물의 이미지는 이 작품에서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한다.
2)
첫 번째 단편에서 쿠니츠키는 아내와 세 살 아이와 함께 크로티아를 가로질러 비스섬으로 여행을 갔다. 거기서 아내와 아이가 함께 사라진다. 그는 사흘을 작은 섬에 머무르며 아내와 아이를 찾지만 찾지 못한다.
아내와 아이가 실종된 곳이 섬이라는 사실이 흥미롭다. 섬이란 물, 바다에 갇혀 위태롭게 떠 있는 존재가 아닌가? 그런 섬이라면 언제라도 실종이 일어날 수 있다. 그곳은 세상에 구멍이 뚫리는 약한 곳이다.
두 번째 단편은 아내와 아이를 찾는 그의 모습이 그려져 있다. 그는 그 흔적을 찾는다. 그는 아내가 남긴 소지품을 뒤진다. 그리고 핸드백 속에 우연히 남아 있는 ‘카이로스’라는 글자를 발견한다. 이 글자는 그에게 갑작스러운 빛을 비추어준다.
이 글자를 발견한 이후 그는 아내의 소지품을 뒤지면서 마구 내 던진 물품들이 어떤 형상을 이루고 있다는 것을 발견한다. 그는 거기에 어떤 의미가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그때 그는 “역겨운 공포의 냄새”를 맡는다.
알 수 없는 존재가 그에게 보내는 신호, 그 신호를 통해 드러나는 시꺼먼 허무의 세계, 세계는 이제 무너졌다. 그 앞에서 그는 공포에 떤다. 이 공포가 역겨운 냄새로 표현된 것이 독특하다.
3)
세 번째 단편에서 밝혀지는 일이지만 그는 편집증 환자로 환상을 보고 있다. 아내와 아이를 잃고 돌아온 다음 어느 날 그가 잠에서 깨어났을 때 그의 아파트 벽은 흥건하게 물이 젖는다.
“그는 발목까지 차오르는 물속을 걸어서 자동차로 다가갔다. 차를 타고 좀 더 높은 지역에 있는 이웃 마을로 도망쳐 보려 하지만 이미 늦었다. 알고 보니 그곳 역시 물의 덫에 갇혀 버렸다.”(504쪽)
물이란 이미지가 이렇게 섬뜩하게 그려진 소설을 본 적이 없는 것 같다. 물이 자주 자살자를 끌어당기는 이유를 알겠다.
그의 환상 속에서 아내와 아이는 돌아와 그에게 그 섬에서 실제 일어났던 일에 대해 감춘다. 처음에 이게 사실인 것처럼 독자는 속는다. 하지만 마지막 장면에서 이것이 그의 환상이라는 것이 드러난다.
4)
환상 속에서, 그는 아내에게 실종이 일어난 다음의 일에 대해 집요하게 캐묻지만, 아내는 그의 말을 무시한다. 그럴수록 그의 의심은 더 강해진다. 그는 아이를 정신분석학자에게 데려가 무의식을 탐구하려 한다. 하지만 그는 정신분석학자의 음모(?) 때문에 실패한다.
그는 도서관에 들러 사전을 뒤지고 인터넷에 물어 아내의 소지품에서 발견한 ‘카이로스’라는 말의 의미를 탐구한다. 여기에 무슨 단서가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카이로스, 이 말은 그에게 만물에는 보이지 않는 의미가 있다는 것을 상기시킨다. 그가 탐구할수록 그의 만물은 의미를 잃어버리고 무언가 보이지 않는 어떤 존재가 보내는 신호가 된다.
“표시 너머에 다른 표시를 가리키는 표시가 있고 다른 표시에서 야기된 표시들이 있었다. 표시의 음모, 표시의 네트워크, 그의 등 뒤에서 표시들끼리 서로 합의가 이루어졌다. 무관한 것은 아무것도 없고 모든 게 다 중요했다. 전부 끊임없이 이어지는 커다란 퍼즐이었다.”(515쪽)
5)
아내를 미행했다가 들켜서 아내와 함께 돌아와 집에 들어오는 순간, 현관을 열면서 갑자기 그의 환상이 중단된다. 그의 집에는 아내도, 아이도 없다. 오직 아내가 남겨놓은 옷가지, 아이의 장난감만이 어지럽게 흩어져 있다. 그는 그 흔적 사이를 유령처럼 돌아다닌다. 그는 “스스로 벽을 통과하고 있다고” 느꼈다.
그리고 그는 마침내 방랑을 떠난다. 알 수 없는 존재가 보내는 그 의미, 그때를 찾아서 말이다. 소설의 마지막은 이렇게 끝난다.
“9시쯤 그가 진하게 커피를 탄다. 그리고 나서 욕실에 있던 면도용품 일부와 옷장 안에 있던 셔츠 몇 벌, 그리고 바지를 챙겨서 가방에 넣었다. …. 그는 체코와의 국경을 향해 화살처럼 똑바로 꼿꼿하게 남쪽으로 향했다.”(539쪽)
그저 간단한 여행을 떠나는 듯 그는 떠났다. 체코를 지나야 비스섬으로 갈 수 있다. 세계가 구멍 뚫린, 그 섬 말이다.
6)
여기서 우리는 갑자기 혼란에 빠진다. 마지막 단편 끝에서 그가 비스섬으로 떠난다는 사건은 어쩌면 처음 단편에서 그가 처음 아내와 아이와 함께 비스섬에 도착했다는 사실과 이어지는 것이 아닐까? 그렇다면 그가 아내와 아이를 심문하는 것이 환상이듯이 비스섬에서 아내와 아이가 실종되었다는 사실도 환상이 아닐까?
갑자기 어디까지가 현실이고 어디에서 환상인지 모호해진다. 이런 모호성 때문에 그에게 역겨운 냄새가 등장한 것이 아닐까? 하이데거라면 이를 불안이라 했을 것이고 사르트르라면 이를 구토라 했을 것이다. 그런데 그에게는 역겨운 냄새를 맡는다.
이 차이는 어디서 오는 것일까? 하이데거나 사르트르에서 새로운 세계는 진리의 세계이다. 하지만 쿠니츠키 앞에 역겨운 공포의 냄새로 떠오른 세계는 그저 알 수 없는 세계다. 이전의 세계와 새로운 세계 가운데 어느 세계가 현실이고 어느 세계가 환상인지도 알 수 없다.
불안과 구토에서 사람은 구원의 세계로 들어간다. 하지만 역겨운 냄새가 풍기는 모호한 세계에서 그는 방향이 없이 다만 방랑할 뿐이다. 그는 영원히 돌아오지 않을 것이다. 그는 노숙자 되고, 세계를 여행하는 여행자가 될 것이다.
이렇게 해서 소설이 끝나는 곳에서 소설은 시작된다. 이제부터 소설은 방랑하는 인물, 물과 같은 존재와 그런 방랑을 고정하려 드는 존재, 대지와 같은 존재를 탐구하는 서사시가 될 것이다.
이 소설에서 끔찍한 이미지는 흘러가는 존재를 고정하려는 자의 집요한 노력이다. 그는 이를 인체를 투명하게 보존하려는 자의 노력 속에서 발견한다. 다음엔 이 이야기를 들어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