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덟 번째 시간, 가족 마리횬 오늘 시가 필요한 시간은 ‘가족’을 주제로 이야기 해볼까 합니다. 여러분은 평소 가족들과 시간을 많이 보내시나요? 얼마 전에 설 연휴도 있어서, 아마 오랜만에 친척들과 부모님들을 뵙고 온 분도 있을 것 같아요. 저도 평소에는 학업에, 직장에 바쁘기 때문에 시간적인 여유가 별로 없지만, 명절이나 연휴만큼은 가족들과 시간을 보내려고 노력하는 편입니다. 저는 2016년에 친척을 방문하러 호주에 갔다가, 약 2년간 호주 브리즈번에서 머물렀던 적이 있습니다. 그곳에서 느낀 것 가운데 한 가지는, 호주 사람들은 참 가족을 중요하게 생각한다는 거예요. 호주에서도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퇴근시간 이후에 추가로 야근을 하면 추가수당을 받아요. 그리고 아르바이트를 하더라도 휴일이나 주말에 근무하면 기존에 받던 시급이나 주급의 몇 배를 추가로 받는 것이 법으로 제도화 되어 있습니다. 언뜻 생각해 볼 때, “기존 시급의 몇 배를 더 준다고 하면, 서로 휴일에 근무하려고 하지 않을까?”라고 생각하기 쉬울 텐데요, 대부분의 호주 사람들은 돈을 좀 덜 벌더라도 그 일할 시간에 가족들과 함께 있는 것을 선택하는 것을 흔하게 마주할 수 있었습니다. 특별히 어린 자녀를 둔 부모의 경우, 아이들의 어린 시절은 다시 돌아오지 않는다고 하면서 너무도 당연하게 추가 근무 대신 집에서 아이들과 시간 보내는 것을 선택하더라구요. 호주 사람들에게 차지하는 가족에 대한 부분이 정말 크구나 하는 것을 많이 느꼈습니다. 물론 나라마다 복지의 조건과 상황이 다르겠지만, 호주 사람들의 그런 사고방식이 때론 부럽기도 했습니다. 우리의 부모님들도 사실은 결국 가족들을 위해서 야근도 하고, 가족을 위해서 나를 희생하는 것일 텐데, 그 희생이 당연하게 느껴질 때도 있고, 그 희생이 가족들에게 잘 전해지지 않을 때가 있는 것 같아요. 오늘은 특별히 자녀들을 위해 애쓰고 수고하시는 어머니와 아버지가 생각나는 시를 각각 한 편씩 골라보았습니다. 이 시들을 읽으면서, 오랜만에 가족들을 좀 더 생각해보는 시간을 가져 보면 어떨까 싶어요. 첫 번째로 소개해드릴 시는 유안진 시인의 시 <배꼽에 손이 갈 때> 입니다. 우리가 알다시피 배꼽은 어머니의 뱃속에 있는 태아와 어머니의 자궁을 연결시켜주는 탯줄이 있던 흔적을 의미합니다. 그 탯줄을 통해서 태아가 어머니로부터 영양분을 받아서 자라나죠. ‘배꼽’은 아기가 태어나기 전까지 정말 중요한 역할을 했던 부분이지만, 우리가 태어난 이후로 자라나면서 또한 평소에 살면서는 그다지 의식하지 않고 살아가는 신체부위이기도 합니다. 유안진 시인의 <배꼽에 손이 갈 때>는 과연 어떤 내용을 담고 있을까요? 기왕이면 배꼽 위에 손을 얹으시고 이 시를 한 번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배꼽에 손이 갈 때 유안진 생각할 게 있으면 가슴에 손을 얹는 이 이마를 짚거나 뒷머리를 긁는 이 손가락으로 귀를 후비는 이 엉덩이를 꼬집는 이도 있지만 나는 배꼽에 손이 간다 낯선 이들하고도 아무리 가족호칭으로 불러도 한 가족이 될 수 없고 한 가족끼리도 타인처럼 사니까 진실은 천륜의 그루터기에서 나온다 싶어서 어머니와 이어졌던 흉터만 믿고 싶어서 출생시의 목청은 정직하니까 배꼽의 말은 손으로만 들리니까 이만하면 배부르다 이만하면 따뜻하다 너무 생각 말거라 두 손바닥에다 거듭 일러준다 내 손 아닌 어머니의 손이 된다 유안진 시인의 시 <배꼽에 손이 갈 때> 들어보았습니다. 제목만 들어서는 무슨 시인지 감을 잡을 수 없었지만, 시를 읽고 나니 이 시가 어머니에 관한 시구나 하는 것을 알 수 있죠. 시의 첫 부분에, 생각할 게 있으면 누군가는 가슴에 손을 얹기도 하고, 뒷머리를 긁는 사람도 있는데, 난 ‘배꼽에 손이 간다’라고 시작합니다. 그렇다면 이 시의 화자는 뭔가 생각할게 있었다는 이야기겠죠. 시의 화자가 생각하고 있는 게 뭘까요? 시를 끝까지 읽고 나면 이 사람이 어떤 생각을 하고 있었으며, 어떤 상황에 처해있었던 것인지 알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