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철학사상연구회의 회원들의 철학적 책읽기

“서양 고대 그리스에서의 민주시민의 탄생”(2) – [2018 네트워크 시민대학2기 ‘동서양을 아우르는 시민들의 정치 참여’] ①

∗ 편집주간 드리는 말씀 : 이 후기는 한철연 네트워크 시민대학 2기 프로그램입니다. 처음 네트워크 시민대학1기 아홉 번째 강좌의 후기로 제목을 올렸으나 잘못되어 수정합니다.  시민대학 1기와 2기는 강좌 주제는 같으나 강사 선생님과 강의 내용은 차이가 있음을 알립니다. 2018. 9. 27.

 

2018 네트워크 시민대학2동서양을 아우르는 시민들의 정치 참여

2018. 9. 17. 서교동 한철연 강의실

 

제1강. 서양 고대 그리스에서의 민주시민의 탄생(2)

 

강연 : 현남숙(한신대 강사)

후기 : 김상애(한철연 회원)

 

시민이 정치의 주체가 되어 국가를 지배하는 ‘민주주의’는 현재 거의 모든 국가의 정치체제로 작동하고 있습니다. 지금의 형태와는 매우 달랐지만, 이와 같은 정치체제는 고대 그리스에서 처음으로 등장했습니다. 이번 강의에서는 고대 그리스인이 민주주의를 발명한 배경과 그 실행 방식, 사상적 핵심을 살펴보고, 그리스 민주주의의 현재적 의의에 대해 생각해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고대 그리스는 ‘폴리스(polis)’라는 아주 작은 도시국가들로 이루어져 있었습니다. 그 중 민주주의가 가장 활발하게 발생했던 곳은 아테네였습니다. 아테네에서 민주주의가 발생한 배경에는 시민계급의 형성이 있었습니다. 아테네의 시민계급은 아테네와 페르시아 간의 전쟁 과정에서 국방력을 위해 결성되었지요. 시민들은 자신과 자신의 도시(국가)를 위해 목숨을 걸고 전쟁에 참여했고, 결국 완승을 거두었습니다. 이 때 생겨난 ‘내 도시는 내가 주인’이라는 신념이 민주주의의 배경이 된 것입니다.

 

한편 아테네의 정치적 공간인 아고라(토론장)와 프닉스(민회장)에는 아테네 시민이기만 하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열린 공간이었다고 합니다. 아테네 시민들은 여러 의제를 가지고 프닉스에 모여, 다 같이 의결했다고 합니다. 아고라는 자유롭고 평등한 토론장으로, 소크라테스가 자기 변론을 했던 공간으로 유명한데요. 아테네 ‘시민’만이 참석할 수 있었던 민회와는 달리, 아고라에는 ‘시민’에서 배제된 여성과 외국인, 노예도 참석할 수 있었다고 합니다.

 

그리스인들의 민주주의는 무엇을 지향한 것일까요? 현대 철학자 한나 아렌트(Hannah Arendt, 1906~1975)는 인간의 활동을 노동, 제작, 행위로 분류하여, 그리스 민주주의를 ‘행위’에 해당하는 인간 활동으로 설명합니다. 아렌트에 따르면 노동은 인간뿐 아니라, 동물도 하는 생존을 위한 활동이고, 제작은 효용성을 위한 활동입니다. 하지만 행위는 인간만이 할 수 있는 가장 인간다운 활동으로서, 서로 다른 인간들이 ‘언어’를 매개로 소통하는 것입니다. 인간의 이질적 복수성 위에서 공적 행복을 이루는 의미 있는 활동인 것입니다.

 

그리스 민주주의는 현대 정치에서 여전히 중요한 이념인 자유와 평등을 수립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또한 현대 철학자 하버마스(Jürgen Habermas, 1929~)는 토론을 통해 의결에 다다르는 고대 그리스의 심의민주주의의 의의를 높이 평가하기도 했지요. 반면에, 다른 철학자 랑시에르(Jacques Rancière, 1940~)는 계급적 불평등, 권력 관계 등 현실적 실존 조건을 배제한 채 동등하게 정치에 참여할 수 없다고 지적합니다. 또한 ‘모든 시민의 참여’를 표방하였으나, 사실상 성인 남성만이 정치에 참여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그리고 정치적 영역과 가정영역을 엄밀히 구분하여, 전자의 중요성만을 높이 평가했다는 점에서 그리스 민주주의는 한계가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플라톤은 일반 시민의 지배가 엘리트의 지배보다 낫지 못하다며 그리스 민주주의를 비판하기도 했습니다. 여러 한계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민주주의에 대한 사유는 고대 그리스의 원형을 참조로 하는 것 같습니다. 이러한 한계를 넘어, 이 시대가 요청하는 진정한 민주주의의 모습은 어떤 것일까요?

플라톤의 『국가』 강해 ⑧ [이정호 교수와 함께하는 플라톤의 『국가』]

플라톤의 <국가> 강해

 

[331d]

* 케팔로스가 소크라테스의 지적에 별다른 이의 없이 순순히 ‘옳은 말씀이다’ὀρθῶς라고 동의하자 소크라테스는 대뜸 정의에 관한 케팔로스의 견해가 ‘정의의 의미 규정’ὅρος δικαιοσύνης은 못된다고 비판한다. 그러자 이 광경을 곁에서 지켜보고 있던 폴레마르코스가 아버지를 변호하기 위해 불쑥 대화에 끼어든다. 이에 케팔로스는 기다렸다는 듯 ‘여러분께 이 논의를 인계한다’παραδίδωμι ὑμῖν τὸν λόγον고 말한 후, 자신은 ‘제물을 보살펴야 한다’ἐπιμεληθῆναι며 웃으면서γελάσας 제물 쪽으로πρὸς τὰ ἱερά 가버린다.

* ἱερός(hieros)는 일차적으로 ‘신성한’의 뜻을 가지고 있지만 τὰ ἱερά(ta hiera)로 쓰일 경우 ‘제물’을 의미하고, τό ἱερόν(to hieron)으로 쓰일 경우에는 ‘성소(聖所)’, ‘사원(寺院)’을 의미한다. 그리고 케팔로스가 말한 ‘여러분’ὑμῖν은 소크라테스와 폴레마르코스 혹은 폴레마르코스와 뤼시아스 형제를 가리키는 것일 수도 있고, 곁에서 대화를 지켜보고 있는 사람들 모두일 수도 있다. ‘보살핀다’의 동사 ἐπιμελέομαι(epimeleomai)는 ‘혼의 보살핌’ἐπιμελήια τῆς ψυχὴς(epimelēia tēs psychēs)으로서 철학을 강조할 때 많이 쓰이는 말이다. ‘혼의 보살핌’을 강조하는 소크라테스와 ‘제물의 보살핌’을 중시하는 케팔로스는 여기서도 대비된다.

* ‘의미 규정’의 원어 ὅρος(horos)는 원래 ‘토지의 경계’, ‘경계석’을 뜻하는 말로 ‘한계’, ‘끝’, ‘기준’, ‘규칙’, ‘목표’라는 뜻도 있고 ‘비율’의 뜻도 있다. 여기서는 ‘정의’(定義)를 뜻하는 말로 사용되었다. 이 말은 플라톤 철학에서 매우 중요한 개념이다. 왜냐하면 그것은 전기 대화편에서 줄곧 소크라테스가 ‘그것은 무엇인가?’ti esti라는 물음을 통해 요구하고 있는 것 즉, 탐문 대상의 ‘정의’(定義 definition)를 가리키기 때문이다. 그러나 전기 대화편 내내 그러한 소크라테스의 요구는 충족되지 않는다. 물음에 접한 사람들 모두 케팔로스와 마찬가지로 사태의 본질이나 본성이 아닌 구체적 사례나 속성들을 답으로 제시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소크라테스가 그 대답을 내놓는 것도 아니다. 소크라테스는 그들의 대답이 갖는 한계만 폭로하고 있을 뿐이다. 제1권에서도 이러한 상황은 지속된다. 그러나 제1권 마무리에 가면 마침내 그 폭로의 단계를 넘어서려는 소크라테스의 단호한 의지가 표명된다. 제1권 말미에서 다시 살피겠지만 이것은 플라톤 대화편 전체의 구도뿐만 아니라, 그가 구상하고 있는 <국가>의 전체 논의 계획과 관련하여 제1권이 가지고 있는 중대한 함축을 내포하고 있다.

* 앞서(328c) 케팔로스는 제물을 막 바치고 소크라테스를 맞이했다가 여기서 대화를 접은 후 다시 제물 쪽으로 간다. 그가 다시 제물 쪽으로 간 것이 소크라테스의 질문에 당황해서인지 제사가 아직 완전하게 끝나지 않아서인지 아니면 출구가 그쪽에 있어서 그런 것인지는 알 수 없다. 아무려나 케팔로스가 제물을 바치고 나오면서 대화가 시작되고 또 케팔로스가 제물 쪽으로 가면서 이야기가 끝나는 것도 우리의 눈길을 끈다. 혹시 플라톤은 케팔로스도 트라쉬마코스처럼 문답에 따른 변화를 거부하고 자기가 하고픈 말만 던져놓고 처음 생각과 모습 그대로 자기가 있던 자리로 되돌아가고 있음을 내보이려 한 것일까?

* 오랜만에 소크라테스를 불러놓고 이제는 대화의 즐거움을 알게 되었다는 그가 이처럼 서둘러 대화를 마무리하려는 것은 어쨌거나 대화가 자기가 기대한 대로 진행되지 않았음을 보여준다. 폴레마르코스가 끼어들자 곧바로 논의를 인계하고 자리를 피하려는 모습도 그 때문일 것이다. 사실 케팔로스는 시종일관 재산 관련해서만 캐묻는 소크라테스가 마뜩치 않았지만 훈계의 방식이든 아니든 나름대로 점잖게 충분히 대응할 수 있다고 여겼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갑자기 소크라테스가 ‘의미 규정’이라는 추상적이고 철학적인 문제를 들고 나오자 이제 더 이상 문답을 나누기가 어렵다는 판단이 들었을 것이다. 만약 그가 정말 대화를 즐기고 소크라테스의 생각이 궁금했다면 자리를 뜨지 않고 남은 사람들의 대화를 경청했을 것이다. 그러나 케팔로스의 관심사는 역시 대화와 배움이 아니라 ‘혼자 말하거나 제물을 보살피는 것’이다.

* 곁에서 대화를 지켜보는 폴레마르코스도 마음이 편치 않아 어떻게든 참견을 하고 싶었을 것이다. 그런데 때마침 소크라테스가 ‘의미 규정’을 내세워 아버지를 비판하기에 이르자, 더 이상 부친이 문답을 이어갈 수 없음을 직감하고 바로 대화에 끼어든 것이다. 그런데 이때 폴레마르코스가 부친의 생각에 동조하면서 근거로 내세우는 것 역시 시인(詩人)의 말이다. 폴레마르코스는 ‘적어도 시모니데스의 주장에 어느 점에서 동조하신다면’εἴπερ γέ τι χρὴ Σιμωνίδῃ πείθεσθαι 아버지의 생각이 맞다고 주장한다. 여기에서 χρὴ(chrē)는 ‘반드시 해야 한다’, ‘당연히 요구된다’의 의미를 갖는 비인칭 동사이고 그 동작내용을 나타내는 πείθεσθαι(peithesthai)는 ‘설득하다’의 의미를 갖는 πείθω(peithō)의 현재 부정사이다. 그런데 πείθεσθαι가 여격(與格,dative)과 같이 쓰일 경우 그 말은 여격에 해당하는 자에게 ‘복종한다’, 그 자를 ‘믿는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여기서는 시모니데스가 여격으로 쓰이고 있다. 그러므로 이 문장을 보다 정확히 옮기면 ‘적어도 시모니데스에게 뭔가 복종해야 한다면’, ‘적어도 뭔가 시모니데스의 말을 믿어야 마땅하다면’으로 옮길 수 있다. 이 말은 폴레마르코스를 비롯해 당대 사람들 모두 시인들의 말은 내용이 어떻든 일단 믿어야 한다는 것을 당연한 일로 여기고 있음을 잘 드러내주고 있다. 폴레마르코스는 소크라테스에게도 그것을 환기시키며 아버지 말이 옳다는 것을 주장하고 있는 것이다. 이것은 앞으로 폴레마르코스와의 대화를 통해 소크라테스가 직면해야할 또 다른 도전과제가 다름 아닌 바로 이러한 시인들에 대한 당대인들의 맹목적 믿음이라는 것을 미리 예고하는 것이다.

* 폴레마르코스는 케팔로스가 논의를 인계하겠다고 하자 ‘그렇다면, 제가 아버님의 모든 것에 대한 상속자 아닌가요?’οὐκοῦν ἐγώ τῶν γε σῶν κληρονόμος;라고 반문한다. 이 말은 단지 ‘자신이 아버지의 상속자’임을 확인하는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당연히 이미 그는 상속자이다), 그 자신 상속자로서 재산만이 아니라 ‘논의와 생각까지도 이어받는 자’임을 내세우는데 방점이 찍혀 있다. 그러므로 ‘τῶν σῶν κληρονόμος’(tōn sōn klēronomos)를 단순히 ‘당신(아버지)의 상속자’로 옮기기 보다는 τῶν σῶν(tōn sōn)의 의미를 살려 ‘당신(아버지)이 가진 모든 것들의 상속자’라고 옮기는 것이 그 말의 의도에 보다 부합한다. 즉 그 말은 ‘아버지께서 논의를 인계하신다면 제가 아버님의 모든 것에 대한 상속자가 되는 게 아니겠습니까?’라는 뜻이다.

* 케팔로스는 폴레마르코스의 말에 ‘웃으면서’γελάσας 자리를 떠나고 있는데 이 웃음에 대해서도 여러 가지 해석이 있다. 혹자는 문답에서 벗어난 케팔로스의 안도감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해석하기도 하고, 혹자는 케팔로스가 자기 아들이 이름 뜻 그대로(폴레마르코스Πολέμαρχος는 ‘싸움을 이끄는 자’란 의미를 가지고 있다) 소크라테스의 문답에 열의를 가지고 잘 대처할 것이라는 기대 때문이었을 것이라고 해석하기도 한다. 그리고 혹자는 소크라테스와 젊은이들이 나누는 현학적이고 형이상학적인 이야기들에 대한 나이든 사람들 일반의 경멸을 나타낸 것이라고 해석하기도 한다. 그리고 어쩌면 아들 폴레마르코스가 상속자로서 재산만이 아니라 논의까지도 이어받겠다고 나선 것이 기특해서 그랬을 수도 있다. 그리고 아들에 대한 자부심과 함께 가난한 주제에 자기 지혜에 도취해서 감히 당대 거물로 자수성가한 자신을 다그치고 있는 소크라테스에 대한 가소로움이 실린 것이라 상상해 볼 수도 있을 것이다. 아무려나 단어 하나에 매달려 상상의 나래를 펴고 그 함축을 좇는 것도 플라톤을 읽는 또 하나의 즐거움이다.

* 아무려나 어떻게든 부친 편을 들려는 폴레마르코스의 태도는 가상해보인다. 그러나 그러한 태도가 늘 바람직한 것만은 아니다. 혈연과 가족주의는 양날의 칼이다. 그것이 내포하는 생물학적 맹목성은 가문과 가족에 대한 사랑을 증폭시키기도 하지만 혈연이 아닌 사람들에 대한 배타성을 증폭시키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그리고 그것은 그 맹목성으로 인하여 가족들에 대한 감정 일체를 애착이나 집착으로 증폭시켜 때론 가족들 사이를 남보다 더한 사이로 갈라놓기도 하고, 가족 사이에서 일어난 문제들을 해결 불가한 수렁으로 몰아넣기도 한다. 자식이라고 해서 부친의 생각까지 다 상속해야하는 것은 아니다. 부모를 잘 보살피는 것은 자식 된 도리로서 마땅한 일 지라도 아버지가 갖고 있는 바람직하지 않은 생각마저 옳다고 믿고 받드는 것은 결코 도리가 아니다. 이처럼 생물학적 맹목성 또는 당파성은 때론 그 혈연 집단의 이익과 연대를 관철하는 강력한 힘이 되기도 하지만 때론 그 만큼 분별력을 마비시켜 그 집단을 광기로 물들게 하는 독약이 되기도 한다. 물론 실천을 결단할 때가 있고 또 그때가 오면 더 이상 회의하지 않고 의지와 감정을 실어 온몸을 던져야 한다. 그럼에도 그 때가 언제인지를 알고 그렇게 몸을 던지는 순간마저 지성의 끈을 놓지 않는 것 또한 철학의 힘이다. 소크라테스의 삶이 그것을 그 자체로 증명한다. 그의 말 그대로 ‘성찰이 없는 삶은 사람으로서 살 가치가 없는 삶이다’ὁ δὲ ἀνεξέταστος βίος οὐ βιωτὸς ἀνθρώπῳ(<소크라테스의 변명> 38a)

 

————————————-

 

* 이것으로 소크라테스와 케팔로스의 대화는 일단락된다. 앞서 이들의 대화는 소크라테스가 케팔로스에게 노령에 대한 심경을 묻는데서 시작되었다. 그러나 케팔로스가 생활방식을 거론하자 소크라테스가 그것을 재산 문제와 연계시켜 연이어 캐묻게 되면서 결국 정의에 관한 문제가 제기되고 케팔로스가 물러난 후 제1권의 두 번째 대화 국면 즉 소크라테스와 폴레마르코스의 대화가 이어진다. 그러면 이제 소크라테스와 케팔로스의 대화 부분을 마무리하면서 플라톤이 케팔로스를 통해 말하고자 한 것이 과연 무엇인지, 어떤 의미를 갖는 것인지 다시 한 번 종합적으로 음미해 보자.

* 소크라테스와 케팔로스의 대화에서 케팔로스의 언급 부분들은 크게 1)소크라테스에게 건네는 인사와 환영의 말(328c-e), 2)‘노령을 수월하게 해주는 유일한 원인으로서 생활방식’(329a-d), 3)‘재산과 훌륭함의 관계’(329e-330a), 4)‘ 상속과 돈의 취득, 재산에 대한 입장’(330b-c), 5)‘재산이 가져다주는 덕에 대해서’(330d-331b) 등 다섯 부분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우선 1)에서 케팔로스는 소크라테스를 맞이하며 그 자신이 먼저 찾아가야 했는데 그러지 못했노라고 말하면서 앞으로 자주 찾아줄 것을 권하고 있지만, 그의 말에는 나이 든 노인이 아랫사람을 대하는 강권조의 말투와 와 훈계조의 과시가 묻어나 있다. 그리고 2)에서는 불행을 노령 탓으로 돌리는 세속의 노인들과 달리 자신은 시인 소포클레스가 그러하듯, 노령임에도 자유와 평화를 누리고 있음을 과시하면서 노령을 수월하게 견디는 유일한 원인은 다름 아닌 생활방식임을 주장하고 있다. 3)에서는 생활방식이 재산에 기초한 위안거리 때문이라는 일반 사람들의 지적에 대해 재산과 생활방식 모두가 갖춰지지 않으면 소용없다고 나름 유연한 태도로 반론을 펴고 있다. 그러나 반론을 통해 재산의 필수성에 대한 속내를 드러냄으로써 생활방식이 유일한 원인이라는 자신의 주장을 스스로 뒤엎는 결과를 초래한다. 가난한 소크라테스를 앞에 두고 재산이 훌륭한 삶의 필수적 조건임을 대놓고 이야기하는 케팔로스의 태도는 다분히 의도적이고 모멸적이다. 그리고 4)에서는 소크라테스에 의해 그 자신 재산을 상속받은 사람이되 그 역시 돈을 자식처럼 여기는 ‘돈 모으는 자’임이 확인되고, 5)에서는 그가 가진 많은 재산을 바탕으로 그가 덕을 본 것들에 대해 자랑하듯 제법 길게 늘어놓는다. 이 가운데 특히 1)과 2), 5)는 재산가로서 자신의 삶을 자랑스레 과시하는 케팔로스의 모습이 잘 드러나 있고, 3)과 4)는 소크라테스에 의해 자신의 생각과 주장이 앞뒤가 맞지 않는 것으로 드러나고 있음에도 그것을 짐짓 무시하는 케팔로스의 모습이 담겨 있다. 그리고 5)는 재산이 가져다 준 좋은 점으로 정의롭고 경건한 삶을 사례까지 동원하여 길게 이야기하지만 이미 그것은 진정한 의미에서의 정의와 경건과는 거리가 멀다. 무엇보다도 주목할 것은 케팔로스가 의도적이든 아니든 소크라테스의 지적에 대해서는 어떠한 반응도 없이 자신이 하고픈 이야기만 늘어놓고 있다는 점이다. 특히 2)와 5)의 경우, 언급 분량이 곧이어 이어질 소크라테스와 폴레마르코스의 문답형 대화와 너무나 비교될 정도로 장광설에 가깝다. 두 경우 다 대답의 길이가 버넷판으로 각기 30행에 달하는데 이는 일방적으로 자기 말만 늘어놓는 트라쉬마코스 장광설에 필적하는 분량이다.

* 사실 케팔로스는 일단 겉으로만 보면 이상할 정도로 소크라테스의 집요한 질문에 아주 선선하게 호의적으로 응하고 있다. 게다가 소크라테스의 의도 섞인 지적에도 매번 ‘진실된 말이다’ἀληθῆ(329e, 330c) ‘옳은 말이다’ὀρθῶς(331d)라는 말로 맞장구까지 치고 있다. 어쩌면 케팔로스는 경륜 있는 노인이자 어른으로서 사람들을 대하는 태도도 많이 누그러졌고, 특히 연하의 사람들에 대해서 관대함과 포용력을 갖추고 있는 사람일지도 모른다. 그리고 또 어쩌면 케팔로스가 이제 노령에 접어들면서 판단력도 옛날과 같지 않아 소크라테스의 집요한 의도는 물론이고 문답의 내용들 제대로 눈치 채지도, 이해하지도 못하고 있는 것인지도 모른다. 그러나 긍정적이건 부정적이건 이러한 추측들 모두 플라톤이 드러내고자 하는 케팔로스의 모습과는 일정하게 거리가 있어 보인다. 우선 평생에 걸쳐 온갖 사람들과 만나며 온갖 이야기를 나누며 온갖 풍파를 다 겪었을 케팔로스의 경륜과 내공을 염두에 둔다면, 케팔로스가 비록 노령이어도 소크라테스의 의도와 그가 제기하는 지적을 알아듣지 못할 정도로 늙었다고 판단하는 것은 타당해보이지 않는다. 그렇다고 또 케팔로스가 소크라테스가 하는 말마다 매번 호응하고 옳다는 말을 연발하고 있다고 해서 그가 소크라테스의 생각을 깊이 이해하고 전적으로 동의하고 있다고 판단하기도 힘들어 보인다. 왜냐하면 누가 보기에도 케팔로스를 대하는 소크라테스의 태도가 그리 호의적이지도 않고 지적 또한 케팔로스의 심기를 건드리는 것임이 분명해보이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케팔로스가 시종일관 그리 선선하고 호의적으로 대하는 것은 역설적으로 케팔로스 자신 소크라테스의 말에 전혀 관심이 없거나 아니면 반대로 그 자신 소크라테스의 의도를 다 알아차리고 있지만, 그의 지적에 능치 않은 논리로 대응을 했을 경우, 그 자신 어떤 처지에 직면할 지를 너무 잘 알고 있어서 지레 그 국면을 피하려고 의도적으로 그랬을 수도 있다. 사실 폴레마르코스가 소크라테스 일행을 막아서고 집으로 데려오는 전후 정황을 되새겨 보면, 케팔로스가 소크라테스를 초대할 목적으로 그리했다고 보아도 전혀 어색하지 않다. 그리고 초청 목적 또한 비록 거류외인이지만 자수성가하여 귀족 못지않은 권위와 품위를 갖추고 살아가는 자신의 모습을 소크라테스에게 과시하고 싶어서였다고 해도 전혀 이상할 게 없다. 그래서 케팔로스는 훈계조로 대화를 시작하였으나 곧바로 이러한 자신의 생각이 여의치 않음을 알고 내심 당혹스러웠으나 체면상 그것을 겉으로 드러낼 수도 없었을 것이다. 사실 케팔로스는 그러한 상황에서 의연함을 유지할 수 있을 정도의 내공은 충분히 갖추고 있는 사람이었을 것이다. 그래서 그는 처음부터 노련한 노인들이 짐짓 그러듯 소크라테스가 무슨 말을 하건 태도상으로는 점잖게 받아들이되, 소크라테스의 질문 의도와 상관없이 그냥 자신의 생각만 늘어놓기로 작정하고 있었을 것이다. 아니면 이야기를 나누어가면서 자신이 가지고 있었던 소크라테스에 대한 생각 즉 듣던 바대로 소크라테스가 ‘그저 입만 살아서 살아가는데 별 소용도 없는 논리나 따지려 든다’는 자신의 생각이 역시 맞았다고 내심 쾌재를 부르면서, 그 자신 성공한 어른으로서 게다가 경륜까지 갖춘 사회 원로로서 소크라테스에게 정의와 경건에 대해 한 수 가르치려 들었을지도 모른다.

* 만약 이러한 해석이 어느 정도 타당하다면 어쨌거나 플라톤은 문답이나 철학적 의미규정 따위는 전혀 관심이 없고 그저 귀 막고 자기 생각만 늘어놓는 대표적인 군상으로서 처음부터 케팔로스와 트라쉬마코스 두 사람 모두를 염두에 두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렇게 보면 폴레마르코스가 소크라테스 일행의 길을 막아서며 체류를 강권하며 설득을 부정하는 장면은 앞서 살폈듯 앞으로 전개될 트라쉬마코스를 드러내기 위한 복선일 뿐만 아니라, 케팔로스까지 포함해서 그들 모두 자신의 약점과 무지를 드러내 보이기 싫어하고, 누가 무슨 말을 하든, 자기 스타일로 자기가 생각한 것만을 이야기하는 완고한 사람들임을 드러내기 위한 복선일 수도 있다. 물론 두 인물의 스타일은 매우 대조적이다. 둘 다 남의 말을 귀담아 듣지도, 처음부터 받아들이려 하지도 않는 사람들이지만, 한 사람은 그런 내색 없이 허투루 속을 드러내지 않고 차분하고 점잖게 처신하고 있고, 또 한 사람은 흥분을 참지 못하고 노골적으로 속내를 있는 그대로 드러내면서 시종 일관 공격적이다. 그러나 본질적으로 그들은 하나같이 공동체적 삶에 등을 진 개인적이고 이기적이며 돈과 권력의 힘을 믿는 그야말로 삶의 진실에 무지하고 혼의 불행을 안고 사는 어리석은 군상들인 것이다.

* 그러나 플라톤이 케팔로스를 통해 보여주고자 하는 것은 지금까지 살펴본 그의 태도만이 아니라 무엇보다도 당대 기득권층으로서 그가 가진 사고방식이나 가치관이라 할 것이다. 우선 소크라테스는 대화 시작부터 일관되게 케팔로스에 대해 재산 관련해서만 집요하게 질문을 던지고 있다. 이것은 플라톤이 당대 최고의 재산가 케팔로스를 어떤 시선에서 바라보고 있으며 어떻게 평가하고 있는지를 분명하게 보여준다. 그래서 플라톤은 결국 등장인물 케팔로스를 통해 그가 말하는 훌륭한 생활방식이란 다름 아닌 그야말로 재산에 힘입어서나 가능한 것으로서, 자신의 개인적인 안녕과 행복을 위한 나름의 방책일 뿐이며, 그것에 격조까지 내보이기 위한 일종의 생활 속 행위 지침에 불과한 것임을 드러내 보이고 있다. 사실 케팔로스 같은 재산가들에게 부(富)πλοῦτος는 거짓말을 하지 않아도 될 정도로 이미 충분하고, 또 굳이 힘들게 절제해가며 결핍을 견뎌낼 필요가 없을 정도로 재산가들은 이미 자족함을 누리고 있다. 물론 부를 가지고 있는 사람으로서 그 정도의 모습과 태도를 간직하는 것도 결코 쉬운 일은 아니다. 그런 태도는커녕 격조라고는 눈곱만큼 찾아 볼 수 없는 게다가 눈 하나 까딱함이 없이 적극적으로 나쁜 짓을 저지르는 재산가들도 부지기수이다. 그런 점에서 보면 케팔로스를 적극적으로 비난할 필요까지는 없어 보인다. 그러나 플라톤이 케팔로스 같은 부류들에게 요구하고 있는 것은 이미 케팔로스가 내세우는 개인적인 수준의 자부심이 아니다. 당대 기득권층이자 신흥 부유층인 케팔로스 정도의 사회 지도층 인사들이 단순히 ‘나는 잘못한 것이 없음’. ‘나는 계율을 어기지 않았음’을 떠벌이며 내세우는 것은 결코 자랑이 될 수 없다. 오히려 그들은 ‘내면의 덕과 지혜를 갖추고 있지 않음’, ‘재산과 명망을 누리고 있으면서도 공동체와 이웃을 위해 적극적으로 잘 한 것이 없음’을 뼈아프게 반성하며 부끄러워해야 한다. 무엇보다도 플라톤이 문제 삼고 있는 것은 ‘자유와 평화’, ‘정의와 경건’이 정말 절박하게 요구되는 이 절대 절명의 위기시대에, 당대 사회경제적 현실의 가장 큰 수혜 계층이자 기득권층이라 할 수 있는 케팔로스 부류의 사람들이, ‘자유와 평화’, ‘정의와 경건’이라는 말을 그저 자신의 개인적 삶의 안녕 차원에서만 거론하고 있다는 점이다. 게다가 그들이 자신들의 삶이 마치 정의롭고 경건한 삶에 일치하는 삶인 양, 아무런 부끄럼 없이 당당하게 내세우기까지 한다는 것은 정말 더욱 한심하기 짝이 없는 일이다. 정의는 단순히 그러한 개인의 사사로운 안녕과 행복을 위한 수단이 아니다. 그것은 내적인 영혼의 조화를 통해 드러나는 덕과 지혜로서, 그 자체에 의해서건 결과에 따라서건 자신은 물론 공동체 모두의 자유와 평화 그리고 행복을 가져다주는 것이다. 그리고 사후의 보상 또한 케팔로스가 말하듯 사후의 처벌이 두려워 ‘마지못해 남을 속이거나 거짓말을 하지 않거나 신들과 남에게 빚지지 않는’(331b) 그런 정도의 사람들에게 주어지는 것이 아니다. 게다가 벌을 덜 받으려고 비싼 제물을 바치는 사람들에게는 더더욱 아니다. 그것은 앞으로 소크라테스가 적극적으로 규정하고 있는 대로 ‘평생을 통해 각고의 노력으로 정의가 그 자체로나 결과에서나 늘 좋은 것임을 믿고, 덕과 지혜를 쌓아 가면서 개인의 내면에서나 사회적 삶에서나 하나같이 정의로운 그런 사람들’에게 주어지는 것이다.

* 당대의 역사적 사실에 비추어 보면, 케팔로스는 거류외인을 포함하여 당대 부유층 모두에게 요구된 공적 기부(leitourgia)도 많이 했을 것이다. 그런 점을 고려하면 케팔로스는 당연히 그런 점을 재산 덕택에 갖게 된 ‘가장 좋은 것’τί μέγιστον ἀγαθὸν이자 명예로 자랑스레 내세울 법하다. 그러나 플라톤이 그린 케팔로스는 그것을 입에 올리고 있지 않다. 이 또한 최소한 케팔로스가 실제 그런 공적 기부를 탐탁하게 여기지 않았음을 보여주는 것이거나, 이미 플라톤 자신 <국가>에서 케팔로스를 그 만한 수준의 인물로 설정하고 있지 않음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할 것이다.

* 아무려나 기타 여러 가지 점에서도 <국가> 도입부에서 케팔로스의 등장은 결코 예사롭지 않다. 서두에서도 살폈듯이 <국가>의 논의가 마무리되는 제9권에 가면 부정의한 삶에 대한 정의로운 삶의 우월성이 증명된 다음에, 마지막 제10권에 가면 정의로운 사람들에 대한 보상의 문제와 그들의 영혼의 불멸에 대한 문제가 다시 거론된다. 이것은 제1권과 제10권이 서로 주도면밀하게 맞물려 있다는 것을 분명하게 보여준다. 다시 말해 제10권의 그 내용은 제1권에 담긴 여러 가지 도전들 가운데 하나 즉 케팔로스 같은 사람들의 삶의 태도와 사고방식과 그들의 기복적 종교관에 대한 플라톤의 답변인 것이다. <국가> 제1권의 케팔로스 역시 폴레마르코스가 거론한 시인들과 트라쉬마코스와 함께 <국가>라는 플라톤 자신의 거대한 정치철학적 프로젝트 안에서 반드시 비판적으로 극복되지 않으면 안 될 당대 아테네 현실을 대표하는 인물상 가운데 하나였던 것이다.

 

<알림> 추석 연휴와 개천절 공휴일을 맞아 정암학당 현장 강의가 휴강함에 따라 웹진 연재도 잠시 쉬었다 10월 중순부터 다시 이어질 예정입니다.

“중국에서 시민 되기의 행로 – 중국의 시민 부재와 유교 이데올로기” – [2018 네트워크 시민대학1기 ‘동서양을 아우르는 시민들의 정치 참여’] ⑧

2018 네트워크 시민대학1동서양을 아우르는 시민들의 정치 참여

2018. 9. 10. 서교동 한철연 강의실

 

제8강. 중국에서 시민 되기의 행로 – 중국의 시민 부재와 유교 이데올로기

 

강연 : 송종서(경희대 강사)

후기 : 김상애(한철연 회원)

 

* 이천년에 걸친 동아시아 제국을 무너뜨리고 동아시아적 형태의 공화국 역사를 시작한 신해혁명의 의미를 현재적 관점에서 전망해 본다.

 

요즘 방영되고 있는 드라마, ‘미스터 션샤인’을 보면 한국의 근대가 어떤 모습이었는지 가늠할 수 있습니다. 미스터 션샤인은 ‘공자 왈, 맹자 왈’과 ‘똘스또이’가 공존하는, 즉 전통사회에 서구 문물이 수입되어 공존하던 대한제국시대의 의병이야기를 다루고 있습니다. 이 드라마는 의병을 ‘조선의 주권을 위해 투쟁한 이들’로 그립니다.

 

오늘의 강연 주제는 근대 중국의 “시민”이었는데요, 특히 근대 한국에서는 의병 투쟁과 같은 아래로부터의 정치 개혁, 즉 시민의 정치참여가 존재했는데, 왜 근대 중국에서는 그러한 시민이 부재했을까? 라는 질문으로 시작되었습니다.

 

중국의 근대는 아편전쟁(1840)을 기점으로 합니다. 아편전쟁 이후, 청나라의 정치가, 혁명가들이 서구에서 들여오고자 한 것은 과학과 민주주의였습니다. 그러나 유교 전통과 무관한 이 서양의 두 문물은 백성들에게 너무나도 생경한 것들이었습니다. 이러한 평민들의 거부와 더불어 당시 발발한 청일전쟁(1894~1895)의 패배로, 서구의 낯선 문물은 중국에 정착하기 어려웠지요.

 

이후 중국에서는 진보진영의 주도로 오사신문화운동(五四新文化運動, 1917~1927)이라는 일종의 구국, 계몽운동이 일어납니다. 진보적 지식인들은 이전의 근대화가 실패한 원인을 대중의 자각의 부재에서 찾았습니다. 그리하여 이들은 “대중이 스스로 자각하여, 스스로 변화를 추구하게 하는 근본적 변혁운동”을 추구하였습니다. 오사운동을 주도하던 지식인들은 대중이 과학과 민주주의를 받아들이지 못한 까닭을 낡은 전통의 핵심에 있는 유학으로 보고, 유교를 타도하여 근대화를 이루어내고자 했습니다.

 

하지만 사회문화 깊숙이 자리한 유교 이데올로기와 향촌 자치로 전통 농업사회를 유지해온 중국에서 근대화에 필수적인 “동원력(국가 권력이 농업사회의 잉여자산과 자원을 유효하게 흡수하여 현대적 국방과 공업 투자로 전환하고 그 결과 공업화를 실현하는 능력, 그리고 방대한 인력 자원을 동원해서 현대적 군사력을 세우는 능력)”을 생성하기는 무척 제한적이었습니다.

 

현재 중국은 본디 농민이 주도하는 공산주의 혁명을 위한 마오쩌둥 사상의 개념이었던 ‘중국 특색의 사회주의’를 공식적 체제 이념으로 삼고 있습니다. 앞서 제기한 질문, 즉 “왜 근대 중국에는 시민이 부재했는가?”에 대한 대답은 여기에서 찾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중국은 그 나라 특색에 맞는 올바른 정치체제, 즉 중국 특색의 사회주의를 발전시키고자 하였으며, 민중 스스로 시민보다는 공산당원이 되고자 했던 것입니다.

플라톤의 『국가』 강해 ⑦ [이정호 교수와 함께하는 플라톤의 『국가』]

플라톤의 <국가> 강해

 

2-4(330d~331d): 케팔로스와 노령의 즐거움과 재산과의 관계를 논하다가 정의에 대한 문제를 제기한다.

 

[330d]

* 소크라테스는 케팔로스가 점잖게 생활방식을 강조하고 있음에도 집요하리만치 재산에 관련해서만 질문을 던지고 있다. 그 과정에서 케팔로스는 노령을 수월하게 견디게 해주는 것으로 생활방식 외에 재산도 필요하다는 것을 인정함으로써 생활방식이 유일한 원인이라는 자신의 주장을 스스로 뒤엎는다. 그리고 연이어 소크라테스는 케팔로스가 재산에 대한 애착이 없는 것 같다고 말은 하지만 그 또한 현재, 돈을 자신의 작품인양 애착을 갖고 있는 ‘돈을 모으는 자’οἱ χρηματισάμενοι임을 환기시킨다. 그리고 그 바탕 위에서 케팔로스에게 그렇게 모은 ‘많은 재산을 가지고 덕을 본 것들 가운데 가장 좋은 것이 무엇인지’τί μέγιστον οἴει ἀγαθὸν ἀπολελαυκέναι τοῦ πολλὴν οὐσίαν κεκτῆσθαι를 연이어 묻고 있다. 소크라테스는 케팔로스가 말하는 생활방식이 자신의 개인적 안녕을 위한 소극적 방책이자 결국 재산 때문에 가능한 것임을 드러내 보이려는 것이다. 그러나 케팔로스는 그 의도를 아는지 모르는지 아니면 처음부터 아예 상관없다고 여기는지, 재산이 가장 값어치 있다고 여기게 하는 것들을 제법 상세하게 늘어놓는다.

* 먼저 케팔로스는 누구나 노령에 접어들어 죽음을 앞두게 되면 ‘두려움과 근심’δέος καὶ φροντὶς이 생기고 그 동안 웃음거리로 여겼던καταγελώμενοι, ‘저승’과 관련해서 전해오는 여러 이야기 이를테면 ‘이승에서 올바르지 않은 짓을 저지른 자는 저승에서 그 벌을 받아야 한다’ὡς τὸν ἐνθάδε ἀδικήσαντα δεῖ ἐκεῖ διδόναι는 이야기도 진짜인가 싶어 마음이 괴로워진다στρέφω고 말한다.

* 여기서 저승의 원어는 ‘하데스’Ἅιδης이다. 하데스는 제우스, 포세이돈과 함께 세계 분할 즉 하늘, 바다, 땅을 누가 맡을 것인가를 정하는 자리에 참여한 최초의 신이다. 여기서는 ‘사후에 혼들이 가는 지하세계’의 의미로 쓰였다. 추첨에 의해 이루어진 영역 배당과 상호 불가침은 운명(Moira) 앞에서 그들이 행한 맹서대로 신들 사이의 관계를 지배하는 율령이다. 제우스조차 아들 사르페돈의 죽음을 막지 못한다. 사람의 죽음은 하데스의 몫이기 때문이다. 이를 어기는 행위는 즉각적으로 네메시스(nemesis)의 응징을 불러일으킨다. 사람들이 죽음을 앞두고 두려워하는 이유는 신들조차 피해갈 수 없는, 부당한 행위에 대한 심판이 사후일지라도 반드시 실행된다는 믿음 때문이다. 케팔로스가 전하는 고대 그리스인들의 인과응보에 관한 관념은 위와 같은 신화적 세계관에서 나온 것이다.

 

[330e]

* 그래서 사람들은 그제에서야 ‘이전에 무슨 일로 어떤 이에게 정의롭지 못한 일을 한 적이 있는지 스스로 따져 보며 곰곰이 생각하게 되고’ἀναλογίζεται ἤδη καὶ σκοπεῖ εἴ τινά τι ἠδίκησεν 그 결과 자기가 ‘정의롭지 못한 일’ἀδικήματα을 많이 저질렀다고 생각되는 자들은 겁에 질린 채 잠도 잘 못 이루고 불길한 예감 속에서 살아가게 된다고 케팔로스는 말한다. 여기서 ‘스스로 따져 보며 곰곰이 생각하다’의 동사 ἀναλογίζομαι와 σκοπέω의 일차적 의미는 각각 ‘계산하다’와 ‘살펴보다’이다. 과거 타인에게 저지른 행위들을 말 그대로 ‘세어 보며 확인하는 것’이다. ‘반성하는 마음으로 자신의 내면을 되돌아보는 것’과는 거리가 있다.

 

[331a]

* 그러나 ‘정의롭고 경건하게 인생을 산 사람’ὃς ἂν δικαίως καὶ ὁσίως τὸν βίον διαγάγῃ의 경우는 그러한 걱정이나 두려움 없이 노령에 들어서도 즐겁고 밝은 희망이 늘 함께 있으면서 핀다로스의 말처럼 ‘유쾌한 희망’γλυκεῖά이 노년의 부양자γηροτρόφος가 된다고 말한다. 여기서도 케팔로스는 자기 생각을 뒷받침하는 근거로 습관처럼 시인의 말을 인용한다. * 인용된 핀다로스의 시에서 ‘유쾌한 희망’의 원어 γλυκύς는 ‘delightful’의 의미도 있지만 기본적으로 ‘달콤한’의 뜻을 가지고 있다. ‘사멸하는 인간들의 변덕스런 마음을 으뜸으로 조종하는 게 희망인지라’ἐλπὶς ἃ μάλιστα θνατῶν πολύστροφον γνώμαν κυβερνᾷ에서 ‘사멸하는’의 원어 θνητός는 죽지 않는 신과 대비하여 ‘죽는 존재로서 인간’을 표현할 때 쓰는 말이다. 그리고 ‘조종하는’의 원어 κυβερνάω는 플라톤이 정치술을 선장의 기술로 비유할 때 자주 쓰는 표현이다. 핀다로스는 사멸하는 인간의 변덕스런 마음을 으뜸으로 조종하는 게 희망ἐλπὶς이라고 말을 하지만 플라톤은 인간의 삶을 으뜸으로 조정하는 것은 어디까지나 ‘지성’νόῦς(nous)이다. 그럼에도 희망 또한 중요하다. 희망은 미래와 관련된 것이지만 희망의 위대함은 미래가 아니라 희망을 갖는 현재에서 나온다.

* 핀다로스(Πίνδαρος Pindaros 기원전 522-443)는 그리스 서정시에 발군의 발자취를 남긴 시인으로서 테베에서 얼마 떨어지지 않은 보이오티아 지방 귀노스케팔라이(Kynoskephalai) 출신 명문 귀족이다. 그는 뛰어난 능력을 인정받아 당대 귀족과 참주(僭主)들에게 초빙되어 그들을 위한 합창송가의 가사를 헌정할 정도로, 젊은 시절부터 왕족과 귀족들의 후원과 총애를 받으며 귀족 사회를 찬미하는데 정열을 바쳤다. 그는 귀족정이 몰락하고 민주정이 들어선 이후에도 기원전 6세기 말의 귀족들의 삶을 기리며 그들의 삶과 자부심, 종교적 신앙을 찬양하고 미화하는 노래를 지었다. 그의 시가 신과 영웅들의 장대함과 고귀한 영혼의 부활을 절규하고 있는 것도 그러한 배경에서 나온 것이다. 다행히 그의 절규는 풍부한 창조력으로 승화되어 후세에 ‘핀다로스풍(風)’이라 불리는 송가(頌歌ode)의 완성자로 평가될 정도로 신과 영웅. 경기 우승자들 및 이상적인 인간상을 찬양하는 불후의 명시들을 남기는 원동력이 되었다. 여기에서 인용된 그의 시는 핀다로스의 토막글 214로 분류되어 전승되고 있다.

* 케팔로스가 생활방식을 이야기 하면서 소포클레스, 데미스토클레스, 핀다로스를 인용하고 있는 것에도 다분히 플라톤의 숨은 의도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소포클레스는 케팔로스처럼 무기제조업으로 발흥한 가문 출신이면서 그가 선망하는 귀족이고, 데미스토클레스는 원래 시민이 아니었으나 클레이스테네스의 시민 확대 정책에 의해 간신히 시민권을 획득한 후 최고 권력에 이른 사람이고, 또 핀다로스는 자기가 꿈꾸는 귀족들의 풍요롭고도 품격 있는 삶, 승자들의 삶을 찬양하는 사람이기 때문이다.

* 재산의 소유가 가져다주는 가장 큰 가치에 대한 케팔로스의 답을 통해 드디어 ‘정의(正義)’δικαιοσύνη에 관한 어휘들이 처음으로 등장한다. 재산의 가장 큰 가치는 바로 사람들에게 ‘정의롭고 경건한’δίκαιος καὶ ὅσιος 삶을 가능하게 해준다는 것이다. 물론 이곳에서도 케팔로스는 그것이 모든 사람에게서가 아니라 ‘도리를 아는 사람에게’τῷ ἐπιεικεῖ서나 가능한 것이라고 조건을 붙인다. 여기서 ‘도리를 아는 사람’으로 번역된 말의 원어는 τὸ ἐπιεικής인데 이 말은 앞에서 절도와 자족이라는 생활방식을 갖춘 ‘훌륭한 사람’에 쓰인 말과 같은 말이다. 여기서도 정의롭고 경건한 삶의 조건으로 ‘재산의 소유’τὴν τῶν χρημάτων κτῆσιν와 도리가 함께 거론되고 있다. 이렇듯 재산의 소유와 훌륭한 생활방식을 하나의 조건으로 줄곧 병존시키고 있다는 점에서 보면 케팔로스의 주장은 나름 일관성을 유지하고 있다.

* 이곳에서도 텍스트의 일부 내용이 수정되어 있다. 옥스퍼드 구판에는 ‘훌륭하고 절도 있는 이’τῷ ἐπιεικεῖ καὶ κοσμίῳ’로 나타나 있지만 신판에서는 ‘절도 있는 이’καὶ κοσμίῳ’가 빠지고 그냥 τῷ ἐπιεικεῖ만 살려 ‘도리를 아는 사람’으로 번역하고 있다. 새로운 판본이 발견된 것일까? 아니면 케팔로스의 태도가 절도와 상관없어 보였기 때문일까?

 

[331b]

* 그러나 이제 주목할 것은 이후 케팔로스가 말하는 ‘정의롭고 경건한 삶’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이다. 케팔로스는 ‘재산의 소유가 가장 값어치 있다’τὴν τῶν χρημάτων κτῆσιν πλείστου ἀξίαν εἶναι고 여기게 하는 사례로서 ‘마지못해 남을 속이거나 거짓말을 하지 않아도 되는 것’τὸ γὰρ μηδὲ ἄκοντά τινα ἐξαπατῆσαι ἢ ψεύσασθαι 또는 ‘신께 제물을 빚지거나 남한테 재물을 빚진 채로 저승으로 가 버리게 되지 않을까 두려워하는 일이 없도록 해주는 것’μηδ᾽ αὖ ὀφείλοντα ἢ θεῷ θυσίας τινὰς ἢ ἀνθρώπῳ χρήματα ἔπειτα ἐκεῖσε ἀπιέναι δεδιότα을 들고 있다. 그런데 두 가지 삶의 태도들 모두 ‘무엇을 해야 한다’는 적극적인 삶의 방식이 아닌 ‘하지 않아도 된다’는 소극적인 삶의 방식에 머물러 있다. 게다가 두 가지 태도의 동기 모두 적극적인 도덕적 당위와 정당성에 서 비롯된 것이 아니라, 다만 개인의 안녕과 사후의 평안을 바라는 개인적 소망과 관련되어 있다. 첫째 태도에 나타나는 정직의 덕목 역시 내적 자발성에 기초한 것이 아니라 ‘마지못해ἄκοντά 저지르는 거짓말’을 피하는 수준의 것이고. 둘째 태도 역시 ‘채무 상환’에 대한 적극적인 도덕적 의지에서 나온 것이라기보다는 당대 아테네에서 채무 미상환이 초래하는 비참한 결과와 그에 따른 사후의 처벌에 대한 두려움에서 나온 것이다.

* 사실 아테네인들에게 ‘채무’의 의미는 단순히 ‘빚을 진다’의 의미를 훨씬 넘어서 있다. 이미 종교가 생활인 그들에게 제물을 빚지는 것은 불경을 의미했다는 점에서도 당연히 심각한 일이었겠지만 일상의 채무와 관련해서도 우리의 상상을 넘어서 있다. 왜냐하면 소규모 자영농으로 근근이 생활을 유지하는 대부분의 아테네 시민들에게 채무 미상환의 종말은 토지의 상실을 의미했고 토지의 상실은 곧 시민권의 상실이라는 ‘신분의 박탈’ 그 자체를 의미했기 때문이다. 케팔로스가 재산이 가져다주는 가장 큰 값어치의 하나로 왜 ‘채무 상환 능력’을 들고 있는 것도 이러한 배경에서 나온 것이다. 참고로 고대 그리스의 식민 활동은 강자들의 적극적인 침략의지에서 비롯되었다기보다는 기본적으로 이러한 신분 피박탈자, 토지 상실자 내지 가난한 자들의 불가피한 해외 이주에서 비롯된 것이다. 기원전 소크라테스가 의신(醫神) 아스클레피오스에게 닭 한 마리를 갚아달라고 유언을 남긴 것을 두고 ‘인생이라는 질병’에서 벗어난 것에 대한 감사 표시라는 등 여러 해석이 있지만(아테네에서는 질병에서 벗어나면 아스클레피오스에게 닭 한 마리를 제물로 바치는 습관이 있었다고 한다.) 이런 의미에서 보면 어떤 이에게 그것은 말 그대로 유언에 포함할 만한 중대사가 될 수도 있는 것이다. 실제 이곳에서 ‘빚을 진다’를 나타내는 동사ὀφείλω가 단순히 ‘빚을 지다’라는 채무행위를 나타내는데 그치지 않고 ‘반드시 하지 않으면 안 된다’, ‘반드시 갚아야 한다.’라는 의무의 뜻을 함께 가지고 있는 까닭도 채무에 대한 당대의 아테네인들의 의식을 반영한 것이라 하겠다. 이에 따라 이 단어는 앞으로 문맥에 따라 ‘갚아야 한다’는 말로도 번역된다.

* 결론적으로 케팔로스에 따르면 ‘재산의 소유’’ἡ τῶν χρημάτων κτῆσις가 가져다주는 큰 기여는 재산을 소유한 사람으로 하여금 위와 같은 훌륭한 생활방식을 가능하게 해주는 것이다. 즉 그것이야말로 ‘부가 제일 쓸모 있게 되는 경우’πλοῦτον χρησιμώτατον εἶναι이다. 그러나 케팔로스가 말하는 ‘정의롭고 경건한 삶’은 내용을 들여다보면 그것은 일단 ‘정의로운 마음 상태’, ‘경건한 마음 상태’라는 내면의 의식 상태와는 무관하게 외적으로 드러난 행위와 관련한 것들이다. 사실 경건ὅσιος의 일차적 의미가 ‘신들이 정한 계율들을 잘 지키는 것’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최대한 거짓말을 피하고 계율에 따라 제물도 잘 바치고 신에게나 남에게 빚지지 않는 것이야말로 케팔로스의 말대로 정의롭고 경건하게 사는 것이라고 말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플라톤이 말하고자 하는 진정한 의미에서의 ‘정의롭고 경건한 삶’이란 케팔로스가 말하는 그러한 외적인 행위에서뿐만 아니라 ‘내면의 조화’ 즉 내적인 혼의 상태에서의 자유와 평화, 덕과 지혜를 동반하는 삶이다. 물론 케팔로스도 ‘분별 있는 이에게’ἀνδρὶ νοῦν ἔχοντι라는 조건을 붙이고는 있지만, 케팔로스가 말하는 그것은 내면의 혼의 조화, 덕과 지혜에 기초한 분별νόος이라기보다는 그가 고백하고 있는 그대로 계율에 기초한 자기 규율적 생활 습관에 불과하다. 그리고 그것을 준수하려는 동기 또한 적극적인 덕에 따른 실천의지에서가 아니라 앞서 살폈듯 자신의 개인적 소망에서 나온 것이고, 분별 또한 재산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 짐짓 내세우는 남들에게 내보이기 위한 격조와 품위 차원에서 요구된 것이다.

 

[331c]

* 그래서 소크라테스는 도대체 그가 말하는 ‘정의롭고 경건한 삶’이 무엇인지 제대로 알기나 하고 그런 말을 하는지 정식으로 제대로 캐묻고 싶어 한다. 그래서 소크라테스는 이 관심사를 보다 명확하게 밝히기 위해 정의에 관한 케팔로스의 생각을 본격적으로 검증하기 시작한다. 우선 소크라테스는 케팔로스의 정의관을 정의δικαιοσύνη는 ‘정직함ἀλήθεια과 남한테서 받은 것은 갚는 것’τὸ ἀποδιδόναι ἄν τίς τι παρά του λάβῃ으로 단순화한 후 그 규정의 허점을 파고들기 시작한다. 마침내 이 부분에서 ‘정의란 무엇인가?’라는 이 대화편의 주제가 전면에 등장한다.

* 소크라테스는 먼저 정의가 그러한 것이라고 한다면, ‘어떤 사람에게서 멀쩡했을 때의 친구로부터 무기를 맡았다가 그가 미친 상태로 와서 그것을 돌려달라고 요구할 경우’εἴ τις λάβοι παρὰ φίλου ἀνδρὸς σωφρονοῦντος ὅπλα, εἰ μανεὶς ἀπαιτοῖ, ὅτι οὔτε χρὴ τὰ τοιαῦτα ἀποδιδόναι ‘그런 것을 돌려주어서도 안 되거니와 그런 걸 되돌려 주는 사람이 그리고 더 나아가 그와 같은 상태에 있는 사람에게 진실을 죄다 말해 주려고 드는 사람이 결코 정의로운 것은 아니다’οὔτε χρὴ τὰ τοιαῦτα ἀποδιδόναι, οὔτε δίκαιος ἂν εἴη ὁ ἀποδιδούς, οὐδ᾽ αὖ πρὸς τὸν οὕτως ἔχοντα πάντα ἐθέλων τἀληθῆ λέγειν라고 말한다. 여기서 소크라테스의 지적은 케팔로스에게 괜한 트집을 잡아 그를 곤혹스럽게 만들려는 의도에서 나온 것이 아니다. 소크라테스의 예시는 다만 정의를 정의(定義) 또는 ‘의미 규정’하려고 할 때, 케팔로스가 하듯 단순하게ἁπλῶς 사례들을 내세워 규정하려들 경우 반드시 예외적 사례에 직면한다는 것을 보여주려는데 있다. 소크라테스에게 ‘그것은 무엇인가?’라는 물음은 대상이 갖는 우연적 속성이나 사례들을 묻는 것이 아니라 그것의 본질을 묻는 것이다.

* 무기상인 케팔로스에게 무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는 것도 흥미를 끈다.

“서울 속의 동학혁명 현장 탐방” – [2018 네트워크 시민대학1기 ‘동서양을 아우르는 시민들의 정치 참여’] ⑦

2018 네트워크 시민대학1동서양을 아우르는 시민들의 정치 참여

2018. 9. 8. 종로 일대 탐방

 

제7강. 서울 속의 동학혁명 현장 탐방

 

강연 : 윤태양(건국대 연구교수)

후기 : 김상애(한철연 회원)

 

* 동학혁명의 현장을 직접 탐방함으로써 책 속에 갇힌 역사를 몸소 경험해 느껴보는 시간을 갖는다.

이번 주에는 곳곳에 우리나라 근현대사의 흔적이 남아있는 종로 일대를 윤태양 교수의 이야기와 함께 ‘서울 속의 동학혁명’을 테마로 걷는 답사를 다녀왔습니다. 지금은 귀금속 종합매장으로 변모하였지만 우리나라 최초의 영화관이었던 단성사 자리에 그보다 더 예전에 담긴 이야기를 듣는 것으로 탐방을 시작하였지요. 단성사 터에는 동학의 2대 교주인 최시형(崔時亨, 1827∼1898)이 고문을 받았던 좌포도청(左捕盜廳)이 있었다고 합니다. 도둑을 잡으려고 만든 좌포도청이 조선 후기에 주로 타 당파의 정적을 제거하고 천주교도를 탄압하는 등 사회·정치적 사안에 관련된 인물을 취조하거나 형을 집행하던 용도로 쓰였다고 합니다. 종로3가 9번 출구 벽면에 새겨진 처형되기 직전 최시형의 모습을 보니, 민중을 나라의 주인으로 삼고, 모두가 한울님을 모신 평등한 존재임을 강조했던 그의 정신이 느껴졌습니다.

다음으로 들른 곳은 운현궁입니다. 운현궁은 고종의 아버지인 흥선대원군 이하응(李昰應, 1820~1898)이 거처하던 곳입니다. 이 장소가 동학혁명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 궁금했는데요. 동학혁명의 지도자였던 전봉준(全琫準, 1855~1895)이 흥선대원군과 대화를 나눈 곳이 바로 운현궁이었다고 합니다. 당시 전봉준이 운현궁에 문객으로 3년 정도 머물렀다는 기록이 있다고 합니다. 이를 두고 연구자들은 혁명의 성공을 위해서, 흥선대원군은 자신의 정권 장악을 위해서 서로를 필요로 하여 밀약을 맺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합니다. 고종 부부와 민비 척족세력의 부정부패를 종식시켜야 한다는 공동의 목적이 있었다는 것이지요. 동시에 민비 척족 세력은 임오군란의 군인들과 동학혁명의 농민들이 모두 분노했던 대상이었습니다. 서울의 유명 유적지가 동학혁명의 지도자였던 전봉준과 관련 있었다는 점이 매우 새롭게 느껴지는 순간이었습니다.

운현궁 바로 맞은편으로 길을 건너면 수운회관과 서울시 유형문화재 제36호인 천도교 중앙대교당(1921년 건립), 그리고 세계어린이 운동 발상지 기념비가 함께 있습니다. 동학 3대 교주 손병희(孫秉熙, 1861∼1922), 어린이날을 만든 것으로 알려진 방정환(方定煥, 1899~1931)이 이 곳에 거점을 두고 독립운동과 어린이 운동 등 여러 활동을 해나갔다고 합니다. 참, 소파 방정환은 손병희의 사위라고 하는 군요. 어린이를 존중할 대상, 인격으로 보는 평등 의식의 바탕에 바로 동학의 근본정신이 있었다는 사실은 어찌 보면 당연하게 느껴졌습니다.

천도교 중앙대교당에서 인사동을 거쳐 들른 곳은 태화빌딩입니다. 이 빌딩 앞에는 ‘삼일독립선언유적지’라 적힌 커다란 기념비와 동판으로 제작된 독립선언문이 있습니다. 1919년 3.1운동 당시 민족대표 33인 중 29명이 유혈사태가 우려된다는 이유로 따로 모여 독립선언서를 읽은 뒤 경무총감에게 전화를 걸어 일본 경찰에 자진 투항한 장소가 지금의 태화빌딩이 있는 자리에 있던 고급 음식점 태화관이었다고 합니다.

종각역 앞 전봉준 동상을 끝으로 답사를 마무리했습니다. 이 동상이 세워진 바로 그 자리가 전봉준이 처형당한 전옥서 터입니다. 동상에서 조금 떨어진 곳에는 전옥서 자리를 알리는 표지석이 있습니다. 이 동상은 촛불혁명의 시대를 맞아, 전봉준과 동학혁명 세력이 추구했던 저항정신을 기리고자 2018년 4월에 만들어졌습니다.

 

정부의 부정부패와 가진 자들의 횡포에 저항한 농민군들, 식민지배 시기에 민족해방을 꿈꾸고, 인간으로 대우받지 못했던 어린이의 권리를 회복하고자 했던 천도교 지식인들, 마지막으로 2016년 겨울, 전봉준의 저항 정신과 공명하는 촛불혁명까지, 오늘 동학혁명의 유적지를 둘러보며 동학이 그저 어떤 하나의 사상이나 종교가 아니라, 시대의 요청에 응답하는 저항운동으로 지속되어 왔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플라톤의 『국가』 강해 ⑥ [이정호 교수와 함께하는 플라톤의 『국가』]

플라톤의 <국가> 강해

 

 

2-2(329a~329d) : 케팔로스의 대답 노년의 즐거움은 노령이 아닌 생활방식에서 온다.

[329a]-[329d]

* 케팔로스는 대부분의 경우 노인들은 자신이 불행한 탓을 노령γῆρας으로 돌리고 한탄을 하지만, 자신의 경우 노년은 소포클레스의 노년이 보여주듯 갖가지 욕망에서 벗어나 평화와 자유εἰρήνη καὶ ἐλευθερία를 누리는 시기라고 말한다. 사람들은 진짜 탓이 아닌 것을 탓하고 있다는 것이다.

[329a]

* ‘성적인 쾌락과 관련해서 그리고 술잔치나 경축 행사 또는 이런 등속에 속하는 다른 여러 것과 관련해서’. 여기서 언급된 ‘경축행사’εὐωχία는 ‘마음껏 먹고 노는 잔치’를 뜻한다. [329b]까지 묘사되고 있는 왕년에 대한 회고와 자랑, 성적 쾌락, 음주가무 등 왕성하게 먹고 놀던 시절에 대한 향수, 분노와 회한, 나이타령 등 고대 아테네 노인들의 모습은 2500년이 지난 오늘날의 노인들의 모습과 놀랄 정도로 일치한다.

* 여기서 말하는 속담παροιμία은 ‘동갑내기가 동갑내기를 즐겁게 해 준다’ἥλιξ ἥλικα τέρπει는 속담으로서 <파이드로스> 240c, <니코마코스 윤리학> 1161b34에도 나온다. <뤼시스> 214a, <프로타고라스> 337d, <향연> 195b에도 비슷한 의미를 갖는 말이 나온다.

* 이처럼 ‘끼리끼리 지내거나 노는 것’은 친한 사람들끼리 속내를 다 털어놓고 이야기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정신건강에 도움이 된다. 그러나 그것은 오늘날 우리가 자주 언급하는 소통과 거리가 멀뿐만 아니라 타자와의 열린 관계를 가로 막는 장애가 될 수도 있다. 진정한 의미의 소통은 끼리끼리 이야기를 나누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르고 그래서 서로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끼리 생각을 나누는 것이다. 그것은 더불어 함께 살아가야한다는 공동체적 삶에 대한 인식을 토대로, 서로의 다름을 이해하고 서로에게 다가 가 상대의 생각에 귀를 기울이는 것이다. 삶의 진실은 일상의 안일과 타자에 대한 배타성이 결국은 우리 모두를 불행으로 이끄는 것임을 일러 준다. 플라톤은 삶의 진실을 제대로 아는 한, 그런 불행에서 벗어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앎을 이끄는 지성이야말로 일상의 타성을 거부하고 인생에 대한 참된 앎과 실천을 견인하는 힘이자 함께 살아가는 사람들의 행복을 담보하는 토대인 것이다. ‘앎이 곧 도덕이자 행복’이라는 그의 유명한 명제도 이러한 인식의 연장선상에서 나온 것이다. 플라톤에게 실천을 담보하지 않는 앎은 앎이 아니다.

 

[329b]

* 케팔로스는 노령이 불행κακός의 ‘진짜 탓’τὸ αἴτιον αἰτιᾶσθαι이 아님을 자신의 경우를 근거로 주장하고 자기 생각을 뒷받침하기 위한 구체적 예시로 시인 소포클레스의 경우를 끌어들인다.

* 소포클레스(Σοφοκλες 기원전 496년~406)는 아이스퀼로스(기원전 525~456), 에우리피데스(기원전 484 -406)와 함께 그리스 비극 3대 작가 중 한 사람이다. 그는 아테네 북서쪽 콜로노스(Kolonos)에서 무기 제조업으로 부를 축적한 유력 귀족 가문 출신이다. 그는 청년시절 살라미스 해전 승리를 축하하는 무대의 선창자로 뽑혀 배우로도 유명했고 기원전 468년 디오니소스 축제 비극 경연에서 스승인 아이스퀼로스를 제치고 우승한 뒤 아테네 최고의 비극작가로서 18번에 걸쳐 우승을 차지했다. 평생 동안 그는 <안티고네>, <오이뒤푸스 왕>을 비롯해 130편에 이르는 비극을 썼다고 전해진다. 특히 그의 비극에서는 신이 아니라 인간이 비극의 원인으로 등장하고 종족(genos)보다 가족(oikos)이 크게 부각되어 있다. 또한 특별하게도 그는 기원전 441년에 장군(strategos)으로 선출되어 페리클레스와 함께 사모스 전쟁에 출정하기도 했고 기원전 443년에는 델로스 동맹의 자금을 관리하는 재무관(hellēnotamias)으로 활동하는 등 다방면에서 명망을 누렸다. 그리고 기원전 413년 시켈리 원정이 실패한 후 아테네의 위기관리를 위해 꾸려진 특별자문위원회에서 위원직(probouloi)을 역임하기도 했다. 이때 그의 나이가 84세였음을 고려하면 그는 평생 동안 아테네 정치 문화계의 존경받는 원로로서 귀족과 인민 모두에게서 두루 신망을 얻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아무려나 소포클레스가 무기제조업자에 종사하는 귀족 가문의 아들이자 당대 최고의 명망가였다는 것을 고려하면 케팔로스에게 소포클레스가 어떤 존재로 받아들여졌을지는 충분히 짐작이 가고 남는다.

* 아테네인들에게 시가와 시인들의 말은 전통적으로 가장 믿을 만한 권위를 갖고 있는 것으로 여겨졌다. 따라서 아테네인들은 지식인이건 일반인이건 누구든 자신의 생각이 옳다는 것을 뒷받침하려면 거의 습관적으로 시가와 시인들의 말을 인용하곤 했다. 그래서 노령과 관련해서 케팔로스 역시 그 자신 가장 선망했을 법한 소포클레스를 인용하고 있고 그의 아들 폴레마르코스도 소크라테스와 논쟁하면서 시인 시모니데스를 인용하고 있다. 오늘날 우리사회의 주요 사상 담론을 좌지우지하는 사람들도 문학자 또는 극작가들이라는 것도 매우 흥미로운 일이다. 아무려나 시인들과 소피스트들이 주름잡고 있는 당대의 그러한 지적 풍토는 앞으로 소크라테스가 극복해야할 주요 목표 가운데 하나가 된다. 이 점은 폴레마르코스가 시모니데스를 인용할 때 좀 더 다루기로 한다.

 

[329c]

* 케팔로스는 온갖 불행의 탓을 노령으로 돌리는 것은 잘못된 것임을 자신의 사례와 소포클레스의 사례를 기초로 반박한다. 불행은 노령 탓이 아니라는 것이다. 그러나 소포클레스가 말하는 ‘성적 쾌락이라는 광포한 주인ἄγριον δεσπότην으로부터의 해방’은 몸이 늙어 성기능의 저하되어 ‘욕망이 뻗침을 그치고 수그러듦에 따라’ἐπειδὰν αἱ ἐπιθυμίαι παύσωνται κατατείνουσαι καὶ χαλάσωσιν 주어진 수동적인 자유와 평화이다. 그러니까 소포클레스의 해방 또한 기본적으로는 노령이 가져다 준 것이다. 케팔로스는 불행을 노령 탓으로 돌리는 노인들을 비난하고 소포클레스를 치켜세우지만, 소포클레스의 평화 역시 노령 때문임을 고려하면 일단 노령 자체가 불행의 원인이 되거나 평화의 원인이 되는 것은 아니다.

* ‘그것에서 벗어났다는 게 정말 더할 수 없이 기쁜 일일세. 흡사 광포한 어떤 주인한테서 도망쳐 나온 것만 같거든’ἁσμενέστατα μέντοι αὐτὸ ἀπέφυγον, ὥσπερ λυττῶντά τινα καὶ ἄγριον δεσπότην ἀποδράς. 현대 생리학에 의하면 특히 남성의 경우, 노인이 되어도 성적 욕망은 크게 줄어들지 않는다. 성적 기능만 저하될 뿐이다. 그러므로 노인들의 성기능 저하는 해방의 기쁨 보다는 대부분 열패감, 무력감의 원인이 된다. 이러한 심리는 고대 그리스라고 해도 예외는 아니었을 것이다. 노인의 비극은 그가 늙었기 때문이 아니라 아직 젊다고 여기는 데 있다. 그렇게 본다면 노령이 자연스럽게 욕망을 줄어들게 한다는 식의 소포클레스의 말은 노령의 즐거움을 아이러니컬하게 표현한 것이라 해도 최소한 속마음 그대로를 말한 것은 아니다. 만약 정말로 그가 자유와 평화를 누렸다면 그는 존재하는 육체적 욕망을 어떠한 방식으로 적극적으로 이겨냈기 때문일 것이다.

* 케팔로스도 소포클레스의 그 말이 실은 그의 삶의 태도에서 나온 것임을 이미 알아차리고 있다. 케팔로스 말대로 불행과 관련해서건 평화와 관련해서건 노령이 진짜 탓은 아닌 것이다. 그래서 케팔로스는 자유와 평화를 가능케 하는 진짜 원인으로 그런 수동적 해방이 아닌 다른 것을 제시한다.

 

[329d]

* ‘이런 것들과 관련해서도, 그리고 친척들과 연관된 일들과 관련해서도 한 가지 탓이 있을 뿐이니’ καὶ τούτων πέρι καὶ τῶν γε πρὸς τοὺς οἰκείους μία τις αἰτία ἐστίν. 여기서 ‘이런 것들’은 노령이 가져다 준 성적 쾌락으로부터의 해방을 이야기하는 소포클레스의 경우와 온갖 불행을 노령 탓으로 돌리는 일반 사람들의 경우 모두를 포함한다. 그리고 ‘친척들과 연관된 일들’이란 329a에서 언급된 노인들의 신세한탄과 불평들, 노인이 된 자신을 업신여기는 친척들의 태도를 말한다. 요컨대 불행이건 평화이건 그 어느 것이건 사람들은 모두 그 원인을 나이 탓으로 돌리고 있지만, 케팔로스는 이제 불행이건 자유와 평화건 각자의 생활 방식τρόπος을 유일한 원인μία τις αἰτία으로 제시한다. 노령기에 맞이하는 불행은 나이 탓이 아니라 그 자신 가지고 있는 생활방식의 탓이라는 것이다. 노령일지라도 절도와 만족κόσμιος καὶ εὔκολος이라는 훌륭한 생활방식을 갖추고 있으면 지쳐도 적당히 지칠 정도로 견뎌낼 수 있지만 ‘그렇지 못할 경우 그런 사람에게는 노령도 젊음도 다 견디기 힘들다’εἰ δὲ μή, καὶ γῆρας καὶ νεότης χαλεπὴ τῷ τοιούτῳ συμβαίνει는 것이다.

* 케팔로스가 말한 생활방식의 원어 τρόπος는 사람에게 쓰일 경우 삶의 방식(a way of life, habit), 습관 혹은 성격(character, temper)을 뜻하고 그 내용으로서 ‘절도와 만족’은 각각 아래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절도 κόσμιος : 방정함, 몸가짐이 바름, 앞뒤 분간이 있음, 만족 εὔκολος 쉽게 만족함, 평온함, 유유자적함, 선선함. 요컨대 이 문맥에서 τρόπος는 ‘어떤 것을 바라보는 사고방식이나 태도 또는 성격’을 의미한다고 하겠다.

* 이러한 케팔로스의 생각은 사태의 진짜 원인을 단순히 노령이라는 외적인 요소에서 찾지 않고 노령을 바라보는 자신의 태도와 연관 지어 생각한다는 점에서 나름의 삶에 대한 성찰을 포함하고 있다. 우리가 보통 말하듯 어떻게 마음먹느냐에 따라 사태에 대한 판단은 달라질 수 있다. 노령도 마음먹기에 따라 견디기 힘든 불행의 원인일 수도 있고 소포클레스처럼 평화의 원인일 수도 있으며, 젊음 또한 절도와 자족의 태도를 갖추고 있으면 행복의 원인이 될 테지만 그렇지 않을 경우 노인이건 젊은이건 육체적 욕망과 그것을 좇지 못하는 현실과의 간극을 이겨내지 못해 방종과 문란함에 빠져 불행의 원인이 되는 것이다.

* 물론 마음먹기가 모든 영역에서 다 통하는 것은 아닐 것이다. 마음먹기는 기본적으로 나의 주관의 영역에서 일어나는 일이다. 물리적이고 자연적인 원인 때문에 발생하는 사태와 관련해서는 마음먹기가 통하지 않는다. 물론 사태에 대한 해석을 달리하여 그에 대한 인식과 태도를 달리할 수는 있을지라도 사태 자체의 진행을 바꿀 수는 없다. 아무리 배고픔을 이겨낼 수 있다고 마음먹어도 배고픔이 계속 되는 한 죽을 수밖에 없다. 그러나 그와 달리 마음먹기에 따라 사태 자체의 객관적 진행을 바꾸어 놓는 경우도 많다. 사회적 현실에 대한 인식과 태도의 경우가 특히 그러하다. 그럼에도 종종 이러한 경우에서마저도 주어진 현실을 있는 그대로 감내하면서 오히려 마음먹기를 통해 수동적으로 상황에 적응하려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태도는 마음은 편해질 수 있어도 변화와 개선을 가로 막는 장애물로 작용하여 오히려 현존하는 모순을 강화하는 데 기여하거나 악용될 수 있다. 사적인 영역에서는 모든 일을 내 탓으로 돌리는 것은 바람직할 수 있다. 그러나 공적인 영역에서 그것은 바람직한 변화를 가로막는 아주 무책임한 일이 될 수도 있다.

* 케팔로스가 자유와 평화의 진짜 원인으로 절도와 만족이라는 생활방식을 제시하자 소크라테스는 찬사를 보낸다. 사실 케팔로스의 그러한 태도는 사태의 진실을 파악함에 있어 단순히 구상적인 사례들의 제시에 의지하지 않고, ‘나’라는 주관을 중심에 두고 생활방식이라는 개념적 사고에 기초하여 판단하고 있다는 점에서 인식 주관과 자의식, 추상적 사고에 눈을 뜨기 시작한 당대의 시대정신에도 어울리는 것이다. 그러나 소크라테스는 케팔로스의 그러한 태도가 칭찬할 만한 일이긴 하지만, 문제는 오랜 전쟁으로 공동체가 처한 위기 상황에서 ‘자유와 평화’라는 주제가 나라와 개인의 정의라는 정치·사회적 문제의식과 유리된 채, 단순히 자신의 사적인 안녕과 행복을 위한 방편 수준에 머물러 있다는 점이다. 사실 플라톤은 케팔로스 부류가 말하는 안녕과 행복 또한 덕의 수행을 통해 체득된 내적 영혼의 조화에서 나온 것이라기보다는 실은 재산을 가진 사람들이 보통 내보이고 싶어 하는 일종의 격조 있는 삶을 위한 나름의 자기 규율적 생활습관 정도로 그리고 있다.

* 상당수의 학자들 특히 영국 출신 학자들은 그들의 전통 자체가 경험적 지혜를 중시해서인지 이곳에 나타난 케팔로스를 삶에 대한 깊이 있는 성찰을 갖춘 사람으로서 매우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다. 이를테면 네틀쉽(R. L. Nettleship)은 그를 한 세대의 경험 많은 선한 사람으로 평가하고 철학은 이 경험을 비판의 대상이 아닌 학습의 대상으로 삼아야 한다고 말한다. 소크라테스가 만약 케팔로스를 문답 대상으로 삼았다면 옳은 일이 아닐 것이라는 키케로의 말까지 그는 인용한다. 하물며 그를 572e이하에서 언급되고 있는 ‘참주의 욕망과도 같은 거칠고 잔인한 주인’을 스스로 제거한 사람으로까지 칭찬한다. 그리고 그의 종교적 신념도 통속적으로 타락하지 않은 소박하고 순수한 신념으로 평가하고 있다.

* 그러나 텍스트는 이들의 바람과 달리 너무도 명백하게 케팔로스를 학습의 대상이 아닌 문답의 대상으로 그리고 있다. 실제로 소크라테스는 젊잖게 생활방식을 강조하는 케팔로스에게 무안할 정도로 시종일관 그의 재산에만 초점을 맞추어 꼬치꼬치 질문을 던지고 있다. 이것은 플라톤이 케팔로스와의 대화를 통해 무엇을 말하려고 하는지를 분명하게 보여준다. 이것은 플라톤의 주요 관심사가 케팔로스 개인의 태도와 관련되어 있다기보다는 그가 대표하는 당대 기득권층, 특히 상업을 통해 부를 축적한 사람들의 태도와 사고방식에 있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플라톤이 왜 케팔로스를 <국가> 도입부의 주요 등장인물로 나오게 했는지, 왜 그가 장차 비판과 극복의 대상이 되어야 하는지를 알려 주는 통로 또한 그것에 있을 것이다.

 

2-3(329e~330c): 노령을 수월하게 견디게 해주는 것이 과연 생활 방식인가 아니면 재산인가?

 

[329e]

* 그래서 소크라테스는 케팔로스의 속내를 살피기 위해 ‘노령을 수월하게 견디어 내는 것’ἡγεῖσθαί σε ῥᾳδίως τὸ γῆρας이 과연 생활방식 때문인지 아니면 대부분의 사람이 믿고 있듯이 실제로는 육체적 욕망을 해소해줄 수 있을 정도의 위안거리를 가능케 하는 재산 때문인지를 충동질하듯 다그쳐 묻는다. 여기서 ‘충동질하다’ἐκίνουν . κινεῖν라는 말은 ‘움직이다’라는 의미 외에 ‘휘 젓는다’, ‘재촉하다’라는 뜻으로 문답과정에서 대답을 촉구하고 자극시키기 위해 자주 쓰이는 말이다. 즉 소크라테스는 케팔로스에 대해 학습의 자세가 아니라 의심을 갖고 뭔가를 따지는 문답의 자세로 임하고 있는 것이다. <뤼시스> 223 A, 크세노폰의 <회고> IV 2. 2. 아리스토파네스 <구름> 745 참고.

* 여기서 ‘위안거리’παραμυθία란 말은 정신적, 물질적 위무 방안까지를 포함하여 당면한 난관을 해결할 수 있는 방책 모두를 포함하는 말이다. 사람들은 재산이 이러한 위안거리를 보다 쉽게 얻는 데 분명 도움을 준다고 믿고 있다. 이러한 생각은 오늘날에도 더 심해졌으면 심해졌지 크게 다를 게 없다.

* ‘하기야 그들의 주장에도 일리는 있기는 하지만, 그렇더라도 그들이 생각하는 만큼은 아니다.καὶ λέγουσι μέν τι, οὐ μέντοι γε ὅσον οἴονται’. 케팔로스는 소크라테스의 지적이 당돌하다고 느껴졌을 법도 한데 점잖게 그리고 유연하게 질문에 답을 한다. 그의 이러한 태도는 케팔로스가 경직되고 고집스런 사고를 가진 사람이라기보다는 일단 겉으로는 나름 노련함과 내공을 갖춘 경륜 있는 노인임을 보여준다.

 

[330a]

* 케팔로스는 세리포스인과 테미스토클레스 일화를 인용하여 일반인들의 생각에 반론을 제시한다. 세리포스는 에게해에 위치한 조그만 섬이다. 이 일화와 관련해서는 헤로도토스의 <역사 Histories apodexis)> 8권 125장 참고

* 일화의 내용은 아래와 같다. 세리포스 사람은 테미스토클레스의 고명함이 테미스토클레스 자신 때문이 아니라 나라 때문이라고 헐뜯는다, 이에 대해 테미스토클레스는 내가 세리포스인이어도 고명할 수 없었을 것이고 세리포스인 네가 아테네인이어도 고명할 수 없었을 것이라고 대응한다. 테미스토클레스의 대답에는 아테네와 테미스토클레스 자신의 우월함과 세리포스와 세리포스인에 대한 폄하가 깔려있다. 이 일화를 케팔로스의 의도에 맞추어 생활방식과 재산과 관련시켜 풀어쓰면 아래와 같을 것이다. ‘아무리 테미스토클레스 내가 훌륭한 생활방식을 갖고 있다할지라도 가난한 세리포스에서 태어났다면 고명해질 수 없었을 것이다. 그리고 자네같이 저급한 생활방식을 가진 세리포스사람은 아무리 부자나라 아테네에서 태어난다할지라도 결코 고명해질 수 없을 것이다’. 그래서 케팔로스는 이 말을 재산과 노령을 견디는 것과의 관계를 설명하는 데도 적용한다. 즉, 아무리 훌륭한 사람일지라도 가난하면 노령을 견디기 힘들고, 그 자신 훌륭하지 못하면 아무리 부자일지라도 노령을 견디기 힘들다는 것이다. 이처럼 케팔로스는 노령을 수월하게 견디게 해주는 것으로 재산과 훌륭한 생활방식을 함께 병치시키는 방식으로 그의 생각에 대한 일반인들의 비판을 피해간다. 그렇지만 다른 한편 이 말은 생활방식 이외에 재산을 추가 병치시킴으로써 앞서 노령을 수월하게 하는 유일한 원인이 생활방식이라는 자신의 주장을 스스로 무너뜨리는 것이기도 하다. 나중에 그 생활방식 역시 기본적으로 재산에 크게 의존해 있음이 드러난다.

* ‘훌륭한 사람’ὁ ἐπιεικὴς이란 말의 원어 ἐπιεικής는 기본적으로 ‘적합한’의 뜻을 가지고 있지만 여기에서처럼 사람을 가리켜 쓸 때에는 ‘능력 있는’, ‘친절하고 선한’, ‘합리적이고 공정한’의 뜻을 가지고 있다.

* 여기서 ‘훌륭하지 못한 사람은 부유하다 할지라도 쉬 자족하게 되지 못할 것이다’οὔθ᾽ ὁ μὴ ἐπιεικὴς πλουτήσας εὔκολός ποτ᾽ ἂν ἑαυτῷ γένοιτο라는 케팔로스의 말은 ’훌륭하지 못한 사람은 결국 재산을 가지고 있거나, 가지고 있지 않거나 어떤 경우에도 쉬 자족을 못한다’는 것을 함축한다. 훌륭하지 못한 사람의 경우만 말하면 이 점은 플라톤의 생각이기도 하다. 그러나 케팔로스가 인용하고 있는 세리포스인 일화는 훌륭한 데모스토클레스도 가난한 세리포스에서 태어났더라면 그리되지 못했을 것임을 함축하고 있다. 이는 가난하면서도 훌륭함을 유지하고 노령도 잘 견뎌내는 사람, 즉 소크라테스 같은 사람, 동양식의 청빈한 선비상은 마치 불가능한 경우인 듯 아예 경우의 수에서 배제하는 것이다. 플라톤은 케팔로스가 소크라테스와 같은 삶을 이해하지도 염두에 두고 있지도 않음을 보여주고 있다. 경험도 경험 나름이다. 선대로부터 부를 이어받은 케팔로스 같은 부류는 그런 경험을 해보지도 이해하려 하지도 또 이해할 수도 없었을 것이다. 게다가 소크라테스가 재산을 가지고 있지 않은 사람임을 뻔히 알면서도 그를 면전에 두고 이런 말을 한다는 것은 매우 악의적이 아닐 수 없다. 듣는 소크라테스야 물론 의연했겠지만 이 모습을 그리고 있는 플라톤으로서는 모욕이 앞섰을 것이다. 만약 플라톤이 케팔로스를 자기 말대로 실제 ‘절도 있는’ 인물로 평가했다면, 최소한 ‘소크라테스 선생님 같은 경우는 아주 특별하고도 예외적인 경우’라는 말 정도는 케팔로스의 입에 오르게 했을지도 모른다.

 

[330b]

* 케팔로스는 소크라테스의 도발적 질문에 대해 자신이 왜 생활방식을 중시하는 지를 예시를 동원하여 나름 균형을 갖추고 논리적으로 해명을 하고 있다. 사실 이 정도면 소크라테스도 그의 생활방식과 관련한 주제에 관심을 갖고 그에 대해 질문을 이어가는 것이 자연스러워 보인다. 그런데 소크라테스는 그에 대해서는 어떤 관심도 내 보이지 않고 곧바로 재산가τις χρηματιστὴς 케팔로스의 재산 상속οὐσίαν κέκτημαι παραλαβὼν과 형성과정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 소크라테스는 그가 말하는 생활방식이 실제로는 재산에서 나온 것임을 여전히 의심하고 있는 것이다. 그래서 소크라테스는 생활방식이 아닌 재산과 관련한 주제에 초점을 맞추어 추가적인 질문을 던지고 있는 것이다. 앞 질문에 이어 계속되는 도전적 질문에 당황할 만도 한데 케팔로스는 여전히 점잖음을 유지하며 그 질문에 선선히 응한다.

 

[330c]

* 그러나 소크라테스의 도전은 계속된다. 이후의 소크라테스의 언급 또한 케팔로스를 칭찬하는 형식으로 전개되고 있지만 실제로는 케팔로스의 속내를 드러내기 위한 아이러니이다. 우선 케팔로스가 재산에 대한 애착을 가지고 있지 않은 것 같다는 칭찬은 기실 케팔로스가 가진 재산이 기본적으로 상속재산임을 드러내기 위한 말이다. 그리고 그 이후 재산을 스스로 취득한 자들이 갖는 재산욕에 대한 서술 역시 케팔로스가 재산을 상속한 자이긴 하나 그것을 토대로 제 손으로 당대 최고의 갑부의 자리에 오른 사람인만큼, 케팔로스 또한 재산욕을 가지고 있음을 드러내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케팔로스는 이러한 의도를 모른 채 소크라테스의 말을 칭찬으로 여기고 그의 말에 진실된ἀληθῆ 말씀이라고 호응한다. 이 또한 아이러니이다.

* 이곳에는 ‘스스로 재물을 취득하지 않은 이들’οἳ μὴ αὐτοὶ κτήσωνται과 ‘몸소 재물을 취득한 사람들’οἱ δὲ κτησάμενοι, ‘재물을 모은 사람들’οἱ χρηματισάμενοι이 나온다. 소크라테스는 몸소 재물을 취득한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 보다 ‘곱절이나 재물에 애착을 갖고 있다’διπλῇ ἀσπάζονται αὐτά고 말한다. 그 이유는 ‘재물을 모은 사람들’의 경우를 보면 그들은 마치 시인들이 자신들의 시에 대해서 그리고 아버지들이 자식들에 대해서 애착을 가지듯이 그런 식으로 재물에 대해 ‘자신들의 작품처럼 열성을 보이는’σπουδάζουσιν ὡς ἔργον데다가 또 ‘다른 사람들’οἱ ἄλλοι이 그러하듯이 재물의 효용성κατὰ τὴν χρείαν에 대해서도 애착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소크라테스는 그런 식으로 몸소 ‘재물을 모은 사람들’은 사귀기조차 힘든 사람들χαλεποὶ καὶ συγγενέσθαι이고 부(富)τὸν πλοῦτον이 외에 ‘아무것도 좋게 말하려 들지 않는다’οὐδὲν ἐθέλοντες ἐπαινεῖν고 힐난한다.

* ‘곱절이나 재물에 애착을 갖고 있다’에서 ‘곱절’에 해당하는 말 διπλῇ를 ‘이중의 이유 때문에’(a double reason)로 번역하는 사람(P. Shorey)도 있다. 일반인들처럼 재물의 효용성에서 뿐만 아니라 그에 더해 재물을 그 자체 자신의 작품으로 여기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대부분은 그냥 ‘곱절’의 의미로 번역하고 있다.

* 여기서 ‘재물을 모은 사람들’은 ‘몸소 재물을 취득한 사람들’이되, 재물의 효용성에 대해서는 물론이고 재물을 마치 자기 자식인양 그 자체로 애착을 갖는 어느 정도 재물을 모든 재산가를 의미할 것이다. 단순히 취득 방법에서 ‘몸소 재물을 취득한 사람들’로만 제한하면 ‘땀 흘려 자기 손으로 돈을 버는 사람들’ 모두가 ‘사귀기 힘들고 그저 부만 칭송하는 부정적인 부류의 사람들’이 되고, 오히려 ‘제 힘으로 재물을 취득하지 않은 사람들’이 ‘재산에 애착을 갖고 있지 않은 나름 긍정적인 부류의 사람들’이 되기 때문이다. 플라톤은 땀 흘려 제 손으로 재물을 취득한 사람들을 힐난하는 것이 아니라 그런 식으로 부를 축적하여 마치 시인이나 아버지가 제 작품이나 자식들을 본능적으로 애착을 갖듯 재물 그 자체에 집착하는 사람들을 힐난하는 것이다. 그래서 이 부분에 나오는 세 부류들 모두를 ‘제 손으로 취득했느냐 아니냐’의 여부와 상관없이 모두 ‘큰돈을 소유하고 있는 부류들’ 즉 재산가들로 해석하는 사람들도 있다. 이런 경우 ‘다른 사람들’οἱ ἄλλοι은 재산가가 아닌 일반 사람들일 것이다.

* ‘돈을 버는 사람들’οἱ χρηματισάμενοι에 쓰인 동사 χρηματίζω가 ‘돈을 모으다’라는 의미 외에 ‘금전 관련일로 협상하다’, ‘사업을 벌이다’의 의미를 갖는다는 점에서 이들은 아마 당대 상업이나 무역업을 통해 부를 쌓은 신흥 부유층들을 가리키는 것일 것이다. 케팔로스도 비록 상속 재산에 힘입었기는 하지만 자식에게 상속 재산 못지않을 부를 물려 줄 정도로 상공업을 통해 제 손으로 부를 일군 신흥 부유층이다. 그것도 당대 최고의 부유층이다. 이러한 점에서도 플라톤의 비판은 케팔로스 개인 보다는 아테네의 급격한 사회변화를 가져다 준 상업주의 풍조와 그에 기대 부를 축적한 신흥 부유층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할 것이다.

* 플라톤이 재산가가 재물에 대해 갖는 애착을 시인과 부모가 각기 자신의 시와 자식에 대해 가지고 있는 애착과 동렬에 놓은 것도 매우 흥미롭다. 기본적으로 용도보다는 본능적이다시피 그 자체에 집착하는 행태를 드러내기 위한 것으로 보이지만, 혹시 재산가의 금전만능주의, 부모들의 생물학적 가족이기주의, 당대 시인들의 독선적 아집을 동급의 부정적 집착으로 바라본 플라톤의 속내를 드러낸 것은 아닐까?

* 노령이건 젊음이건 수월하게 견디게 하는 유일한 원인이 생활방식이라는 케팔로스의 주장은 문답을 통해 ‘아무리 생활방식이 훌륭하더라도 재산이 없으면 견디기 힘들다’는 것으로 바뀐다. 케팔로스는 소크라테스의 질문에 자신의 생각을 고집하지 않고 경륜을 갖춘 노인답게 나름 유연하고도 균형 있게 답을 했다고 여기지만 노령과 젊음을 수월하게 견디게 해주는 원인에 재산을 추가시킴으로써 생활방식이 유일한 원인이라는 자신의 주장을 스스로 부정하는 결과를 초래하고 만다. 그러나 소크라테스는 케팔로스가 말하는 생활방식도 실질적으로는 재산에 기초한 것임을 의심하고 또 재산에 초점을 맞추어 또 추가적인 질문을 던진다.

“백성에서 시민으로 향하는 여정 – 동학농민혁명과 동학사상” – [2018 네트워크 시민대학1기 ‘동서양을 아우르는 시민들의 정치 참여’] ⑥

2018 네트워크 시민대학1동서양을 아우르는 시민들의 정치 참여

2018. 8. 27. 서교동 한철연 강의실

 

제6강. 백성에서 시민으로 향하는 여정 – 동학농민혁명과 동학사상

 

강연 : 구태환(상지대 초빙교수)

후기 : 정선우(한철연 회원)

 

* 동학혁명을 전후한 시기에 조선의 백성은 어떻게 자립적 시민으로서의 자기 요구를 정치화하였는지 살펴본다.

 

조선 말기는 신분제적 봉건 질서의 부조리와 모순이 극심하고, 외세의 침략이 노골적으로 본격화되던 시기였습니다. 그러한 상황에서 백성들(민중들)은 이중으로 고통을 당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안으로는 탐관오리의 득세와 삼정(三政)의 문란 등으로 인한 터무니없이 과중한 세금 탈취를 당하였고, 밖으로는 일본과 서구 등의 외세가 조선의 이권(利權)과 지배권을 노리며 다툼을 벌이고 있었습니다.

 

동학사상과 동학혁명은 바로 그러한 시대적 배경을 가지고 등장한 것입니다. 특히 동학혁명의 사상적 기반이 된 동학사상은 시대적 문제에 대한 민중의 대응을 잘 드러내주고 있습니다. 당시 현실의 문제점을 극복하고 개혁하기 위해 ‘다시 개벽(開闢)’을 외쳤고, 모든 사람이 똑같이 귀하고 평등하다는 ‘시천주(侍天主)’ 사상을 확립하였습니다. 당시, 오랫동안 조선을 지배했던 성리학적 이념은 지배 질서를 유지하고 정당화하는 지배 이데올로기에 불과하게 되었고, 불교나 도교 또한 시대적 요청에 부응하기는 역부족이었습니다.

 

그래서 동학의 창시자, 최제우(崔濟愚, 1824~1864)는 새로운 세상, 즉 다시 개벽을 위한 새로운 도를 찾고자 하였습니다. 그렇게 오랜 수행과 수양 끝에 얻어낸 도가 바로 ‘시천주’입니다. ‘시천주’는 ‘한울님을 내 몸에 모심’을 뜻합니다. 한울님은 우주 만물을 이루는 기(氣) 가운데 가장 지극한 기로, 우주 만물의 근원이 됩니다. 그러한 한울님은 우리 모두가 모시고 있는 것이고, 따라서 사람은 신분, 빈부, 성별, 연령과 무관하게 모두 동등하게 귀한 존재입니다. 각종 차별과 폭력은 시천주를 깨닫지 못한 채 저지르는 악행이라는 주장으로 귀결됩니다. 여성, 어린이, 노인, 빈민, 천민 등은 모두 한울님을 모시고 있는 존재로, 한울님과 다를 바 없습니다.

 

이러한 입장은 동학사상이 가지고 있는 [사회적 약자와 소수자에 대한] 평등의식과 존중의식을 잘 보여줍니다. 결국 동학사상에 따르면, 모든 사람 섬기기를 한울님 섬기듯이 해야 하며, 나아가 우주 만물이 곧 시천주라는 주장으로까지 이어집니다. 만민평등, 나아가 만물평등 사상으로 이어지는 것이지요.

 

동학사상은 백척간두(百尺竿頭)에 놓여 있던 당시 현실에서 민중들이 가지고 있던 간절한 열망과 치열한 문제의식을 드러냅니다. 자신의 기득권 지키기에 급급했던 지배층의 안일한 태도와 다르게, 사회를 근본적으로 변혁시키면서도 그것이 혹시나 외세 침략에 빌미를 제공하지는 않을까 조심스러워하는 모습을 보면 그를 잘 알 수 있습니다. 하지만 불행히도 동학혁명은 일본군이 조선에 주둔하는 핑계로 쓰였고, 청일전쟁이 일어나게 되는 계기가 되기도 하였습니다. 정말 안타깝고 씁쓸한 대목이 아닐 수 없습니다.

플라톤의 『국가』 강해 ⑤ [이정호 교수와 함께하는 플라톤의 『국가』]

플라톤의 <국가> 강해

 

* 오늘날 우리가 접하는 플라톤 대화편의 고전 그리스어 텍스트의 모태는 19세기 초 독일의 고전문헌학자 베커(I. Bekker)가 유럽의 유수 도서관들을 찾아가며 그곳에 산재해있었던 수많은 중세 양피지 사본들(vellum codex)을 비교 교열하여 각고의 노력 끝에 여러 해에 걸쳐 펴낸 이른바 베커판 교정본(校訂本)(1816-1823)이다. 이 후 여러 종류의 추가적인 교정본들이 후속해서 나왔는데 그 가운데 플라톤 연구자들 사이에서 가장 표준적인 텍스트로 채택되고 있는 교정본이 1902년 영국 옥스퍼드 대학에서 펴낸 <플라톤 전집>(Platonis Opera) 이른바 버넷(J. Burnet)판 교정본이다. 그런데 이 책이 출간된 지 101년 후인 지난 2003년에 그간의 연구 성과를 반영한 새로운 옥스퍼드대학 판 교정본(S. R. Slings 편찬)이 출간되었다. 이 새 교정본을 보면 <국가>의 고전 그리스어 텍스트 역시 여러 곳이 수정되어 있다. 그런데 수정한 내용들이 대부분 소소한 것들이라 내용상 크게 주목할 만한 부분은 많지 않다. 그러나 어찌 되었건 기초 원전 텍스트가 달라진 터라, 1997년 버넷판을 텍스트로 삼아 <국가> 우리말 원전 역본을 펴낸 박종현 선생도 이러한 수정 부분들을 꼼꼼하게 반영하여 2003년에 <국가> 개정증보판을 새로 펴냈다. <국가> 박종현 역본의 본문 내용 중 *표 표시를 한 부분들이 새로 수정된 부분인데, 책 말미를 보면 달라진 부분들에 대한 고전어 텍스트 상의 근거가 부록으로 함께 실려 있다.

* 폴레마르크스가 소크라테스 일행을 불러 세워 체류를 권하는 부분[327c]에도 그러한 수정 내용이 들어 있다. 1997년판 박종현 역본에는 “그렇다면 아직도 한 가지가 남아 있지 않겠소? 여러분으로 하여금 우리를 보내 주어야만 되게끔 설득할 수 있을 때의 경우가 말이오.”로 번역되어 있지만, 2005년 개정판 역본에는 “그러면 아직은 여러분으로 하여금 우리를 보내 주어야만 되게끔 우리가 설득하게 될 경우가 남아 있지 않소?”로 바뀌어 있다. 이것은 버넷판 텍스트에서 두 단어로 분리되어 실려 있는 ἓν λείπεται(한 가지가 남아 있지 않겠소?)라는 구절이 새 텍스트에서는 ‘하나’의 뜻을 가진 ἓν을 후속 동사에 붙여 그냥 ελλείπεται(남아 있지 않겠소?) 한 단어로 수정된 데에 따른 것이다. 내용 상 ‘한 가지’라는 뜻이 없어진 것이다. 사실 고전학자들 사이에서 이미 오래 전부터 이 부분을 ἓν λείπεται로 볼 것이냐 ελλείπεται로 볼 것이냐 논쟁이 있었는데 결국 새 교정본에서는 ελλείπεται쪽을 택한 것이다. 이렇듯 고전학자들은 텍스트 상의 단어 하나하나를 따져가면서 과연 어떤 것이 플라톤 당대의 텍스트와 일치하는 것인지를 두고 지금도 씨름하고 있다. 그런데 이 수정 부분은 내용적으로도 왜 그런 수정이 이루어졌는지 눈여겨 볼만한 사안들이 포함되어 있다. 전후 내용을 보면 폴레마르코스가 소크라테스 일행을 불러 세워 대짜고자 ‘우리가 몇 명인지 아시냐? 우리 보다 더 강하시면 청을 물리치고 시내로 가시고 아니면 이곳에 머물러 달라’는 식으로 요청하자 소크라테스는 설득이라는 방법이 있는데 왜 그리 무턱대고 강권하느냐고 반문한다. 이에 폴레마르코스는 ‘들으려고 하지 않는 사람들에게 설득이 통하겠느냐’는 식으로 다시 반문하고 글라우콘이 ‘결코 그럴 수는 없다’고 대답한다. 앞서도 언급했지만 이 장면은 플라톤이 앞으로 전개될 트라쉬마코스와의 만남을 예고하는 일종의 복선으로 여겨지는 장면이다. 트라쉬마코스는 소크라테스의 말을 가로 막고 나선 다음, 소크라테스의 말은 아예 귀담아 들으려 하지 않고 자기주장만 펴다가 소크라테스의 비판에 밀려 겉으로는 고분고분해지지만 속으로는 끝까지 설득되지 않은 채 자기 입장을 고수하는 사람으로 나온다. 이 장면에서도 폴레마르코스는 마치 트라쉬마코스처럼 처음부터 막무가내 힘으로 길을 막고 서서 자기 요구를 내세우고 있고 소크라테스는 설득의 방법도 있다고 반문하지만 그는 아예 설득할 받아들일 생각조차 가지고 있지 않다고 대꾸한다. 이럴 경우 과연 소크라테스로서는 어떻게 대응해야할까? 설득이 받아들여질 수 없다면 그냥 강압에 밀려 폴레마르코스의 요구를 들어줄 수밖에 없는 것일까? 이곳의 경우처럼 함께 구경을 하자는 수준의 강권이야 크게 문제 삼을 것은 없겠지만, 트라쉬마코스의 요구처럼 정의와 행복의 관계를 묻는 심각한 문제에 직면해서는 결코 그럴 수는 없을 것이다. 그러한 경우에는 결코 굴복을 거부하고 마땅히 그에 맞서 싸우는 방법 밖에 없을 것이다. 그래서 소크라테스는 트라쉬마코스에 대한 설득을 접고 제2권부터 그의 입장을 압도하고 남을 만한 대안적 주장을 제시한다. 트라쉬마코스는 자신의 주장이 완전히 논파되었음에도 속으로는 여전히 근본 입장을 고수하고 있기 때문이다. 소크라테스는 트라쉬마코스를 통해 ‘아집이란 비록 논파는 될 지라도 결코 파괴되는 것이 아님’을 뼈저리게 절감하고 있다. 그래서 소크라테스는 트라쉬마코스 부류의 주장을 물리칠 수 있는 방법이란, 합당하고 설득력 있는 근거를 내세워 사태를 합리적으로 판단하는 많은 사람들로 하여금 그 주장을 받아들이게 하여, 그 주장의 정당성을 사회적 변화의 동력으로 관철시키는 방법밖에 없다는 것을 깨닫는다. 이것이 <국가> 제1권에서 플라톤이 말하고자 하는 제2권 이하에 대한 철학적·문학적 함의이다. 이렇게 보면 이곳에서도 폴레마르코스의 강권에 대응하는 방법으로 소크라테스에게 설득 한 가지만 남아 있는 것이 아니다. 설득 한 가지만 남아 있다면 그게 실패할 경우 강제에 따를 수밖에 없는 것이 된다. 이것은 소크라테스의 입장에도 맞지 않는다. 그리고 이 부분이 앞으로 전개될 상황을 예고하는 복선의 의미를 가지고 있는 부분이라면 더더욱 앞뒤가 맞지 않는다. 아마도 이런 이유로 해당 부분 텍스트의 수정이 이루어졌을지 모른다. 그렇게 보면 그것은 매우 의미 있는 합당한 수정이 아닐 수 없다.

* 그래서 아테이만토스는 폴레마르코스가 강권하는 모습에 당혹스러움을 느꼈는지 바로 대화에 끼어들어 다른 방식으로 소크라테스의 체류를 권한다. 아테이만토스의 말에 소크라테스가 새로운καινόν 것이라고 관심을 보이자 폴레마르코스도 그제야 상황을 깨닫고 그의 말을 거들고 글라우콘도 소크라테스에게 머물기를 권한다. 폴레마르코스도 최소한 소크라테스가 젊은 사람들과 대화 나누는 것을 매우 좋아한다는 것을 알고 있다. 소크라테스가 서둘러 돌아가려한 것으로 보아 시간은 저녁 무렵이었을 것이다. 그래서 소크라테스는 폴레마르코스의 제안대로 축제 현장이 아니라 그 전에 일단 저녁식사를 하기 위해 폴레마르코스의 집으로 간다. 그곳에서 소크라테스는 폴레마르코스의 아버지 케팔로스와 만나 인사를 나눈다.

 

  1. 케팔로스와 대화(328b~331d)

 

2-1(328c-328e): 소크라테스 케팔로스를 만나 노년의 즐거움을 묻다.

 

[328c]

* 그런데 폴레마르코스가 소크라테스에게 일행의 수를 내세워서까지 가는 길을 막아선 이유가 단지 마상 횃불경주와 철야제 구경을 위한 것이었다고 생각하기에는 아무래도 어색해 보인다. 사실 폴레마르코스의 제안에 따라 집으로 오게 되었지만 전후 상황을 보면 케팔로스가 아들 폴레마르코스를 시켜 구경 안내를 핑계로 소크라테스를 집으로 불러들인 것이라고 봐도 이상할 것이 없다. 케팔로스 이외에 여러 사람이 그곳에 함께 있는 것도 눈여겨 볼 일이다. 사실 당시 아테네의 유명 정치가나 부유층의 집은 소피스트들을 비롯해서 당대 많은 유력 인사들이 드나들거나 머무는 일종의 고급 사교 무대였다. 페리클레스의 집에 수많은 소피스트들이 아예 식객으로 늘 머물러 있었다는 것은 이미 잘 알려진 일이다. 캐팔로스가 소크라테스에게 친구나 친척처럼 자주 찾아달라고 말하는 것도 다른 소피스트나 유력인사들이 그러하듯 소크라테스도 그러기를 바랐기 때문일 것이다. 아마도 케팔로스는 당대 아테네 여러 유력인사들은 자기 집에 자주 드나드는데 유독 소크라테스만은 그리하지 않아 서운함을 느꼈을 것이다. 케팔로스는 소크라테스를 기다렸다는 듯 반기면서 ‘실은 자주 찾아와야만 한다.’χρῆν μέντοι.(328c), ‘이제 더 자주 당신이 이리로 와야 한다.’νῦν δέ σε χρὴ πυκνότερον δεῦρο ἰέναι.(328d)는 말로 반복해서 강권하고 있는데 그의 이러한 모습도 그러한 서운함 때문일 것이다.

* ‘내가 오랜만에 그 분을 뵌 탓이기도 하지.’διὰ χρόνου γὰρ καὶ ἑωράκη αὐτόν. 케팔로스가 아주 늙어보였다는 앞의 말과 더불어 이 말은 소크라테스와 케팔로스가 서로 상당 기간 보지 못했음을 보여준다. 사실 소크라테스는 다른 소피스트들이나 유명 인사들처럼 케팔로스 같은 유력 인사들 집에 드나들기를 좋아하지도 않았을 것이다. 케팔로스 역시 자기가 기력이 있으면 소크라테스를 찾아갔을 것이라고 말은 하고 있지만 지난날 그 긴 시간 동안 소크라테스를 제 발로 찾아간 적도 없어 보인다. 어쩌면 케팔로스는 거류외인으로 아테네로 건너와서 부를 쌓고 여유자적하고 품위 있는 삶을 보내고 있는 자신의 모습을 소크라테스에게 과시하려고 폴레마르코스를 시켜 그를 불러들였을지도 모른다. 그리고 플라톤은 그러한 케팔로스의 모습을 통해 크게는 상업주의, 부와 가난의 문제를 포함해서 당대 신흥 기득권 부유층의 태도와 사고방식을 보여주기 위해 이미 고인이 된 케팔로스를 시대착오를 무릅쓰고 하나의 대표적 인물로 대화편에 등장시켰을지도 모른다. 실제로 플라톤의 대화편의 주요 등장인물들 가운데 시인과 소피스트, 장군 등 수많은 사람들 이외에 거류외인이자 상공업에 종사하는 인물은 케팔로스가 유일하다.

* 이런 측면에서 보면 케팔로스의 등장은 <국가> 전체의 구상 하에서 주도면밀하게 도입부를 구성하고자 하는 플라톤의 의도를 반영한 것이라 할 것이다. 그런데 이것은 시작에 불과하다. 실제로 <국가> 제1권은 당대 신흥 부유층인 케팔로스의 등장과 그의 훈계조의 과시로부터 시작하여, 폴레마르코스의 입을 통해 아테네의 주류 담론을 형성하고 있는 시인들의 주장으로 이어진 후, 트라쉬마코스의 거친 입을 통해 또 다른 당대 신흥 지식인 세력으로 크게 부상한 소피스트의 도발적인 도전을 그려냄으로써 그 극치에 이른다. 이처럼 대화의 목적과 동기는 물론 등장인물의 특징과 성격을 보여주기 위한 플라톤의 아주 섬세하고도 주도면밀한 문학적 철학적 플롯은 여기서도 빛을 발한다. 이런 점에서도 <국가> 제1권은 <국가> 전체를 이해하기 위한 길잡이가 된다. 정의의 문제를 둘러싼 당대의 도전과 도발들을 어떻게 극복하고 대처해야할 것인지에 대한 원초적인 문제의식과 실마리를 제공해주기 때문이다. 이 점에 대해서는 이후에도 계속 강조하게 될 것이다.

* ‘머리에 제관을 쓰신 채ἐστεφανωμένος…. 뜰에서 막 제물을 바쳤기 때문이네’τεθυκὼς γὰρ ἐτύγχανεν ἐν τῇ αὐλῇ. 여기서 제물을 바친 대상은 제우스임이 분명하다. 아테네인들은 집 뜰(ἑρκος)에 제단을 만들어 제우스를 가정을 지키는 신으로도 섬겼다. Ζεὺς ἑρκεῖος는 이 경우에 붙여진 제우스의 이름이다. 이처럼 집에서 제단을 꾸미고 제사를 드리는 모습은 아테네인들의 일상적 삶의 일부였고 그 대부분은 오늘날도 그러하듯이 개인과 가정의 안녕과 행복을 기원하기 위한 것이었다. 그러나 플라톤은 이 전란의 혼란기에 일반 대중이라면 몰라도 아테네 사회 지도층인 케팔로스가 제사를 드리면서 공동체에 대한 관심보다는 그저 재산에 기대어 자신의 안녕과 사후 구원에 관심을 쏟는 모습에 비판의 눈길을 보내고 있다. 이것은 나중에 호메로스 시가와 시인들에 매달려 있는 아테네인들의 종교적 세계관에 대한 비판과도 연결된다.

 

[328δ]

* ‘적어도 내 경우에는 육신과 관련된 다른 즐거움이 시들어짐에 따라 그 만큼 대화에 대한 욕망과 즐거움이 증대된다는 사실을 잘 아셔야 한다.’ὡς εὖ ἴσθι ὅτι ἔμοιγε ὅσον αἱ ἄλλαι αἱ κατὰ τὸ σῶμα ἡδοναὶ ἀπομαραίνονται, τοσοῦτον αὔξονται αἱ περὶ τοὺς λόγους ἐπιθυμίαι τε καὶ ἡδοναί. 케팔로스의 이 말은 정신적 즐거움이 육체적 즐거움에 반비례할 뿐만 아니라 육체적 즐거움에 부차적인 것임을 은연 중 내포하고 있다.

* ‘잘 아셔야하오’εὖ ἴσθι, 젊은이들과 ‘어울리시오’σύνισθι, 자주 ‘찾아주시오’φοίτα 이곳 케팔로스의 말에는 명령형이 많이 포함되어 있다. 물론 고대 그리스어 긍정 명령형의 용례가 모두 강제의 성격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긴 하지만 케팔로스의 말에는 전체적으로 연장자임을 내세워 소크라테스를 내려다보며 훈계조로 강권하는 분위기가 느껴진다.

* 여기서 ‘다른’ἄλλαι이라는 표현은 노인이 되어도 시들지 않는 다른 종류의 즐거움도 있음을 시사한다. 하긴 늙어서도 맛있는 것을 찾거나 다른 위안거리에 집착하는 일은 시들지 않는다. 그래도 이 표현은 그냥 이러 저러한 육체적 즐거움들을 나타내는 용도로 쓰였다고 보는 것이 무난할 것이다. 만약 직접적인 ‘다른’의 의미로 썼다면 여기서 ‘시들어가는 즐거움’이란, 전후 문맥상 성적 쾌락일 것이다.

* 아테네에서 결혼은 사랑의 결실이라기보다는 대체로 출산을 위한 방편으로 부모와 친척들의 중매로 이루어졌다. 이에 따라 성적 쾌락을 위해 외도를 일삼거나 연애 대상으로 따로 정부를 두는 것은 일상적인 일이었다. 데모스테네스는 귀족이라면 적어도 2-3명의 정부는 있어야한다고까지 말했다고 전해진다. 부부간에 성적인 교감과 정신적 유대의 일치와 상승을 꿈꾼다는 것은 거의 상상하기 힘든 일이었다. 사회적 관습상 부부간의 육체적 쾌락과 정신적 쾌락의 공존은 구조적으로 이미 기대할 여지가 없다. 오뒷세우스와 페넬로페 부부간의 일편단심과 사랑은 말 그대로 신화적 로망에 불과하다. 요컨대 여성은 장차 가사와 출산, 육아를 위한 일종의 도구이자 재산 정도로 여겨졌던 것이다. 플라톤이 주장한 수호자들 간의 처자공유는 기본적으로 가족이기주의, 귀족 내 자기 혈족주의가 빚어내는 반공동체적 경향에 대한 거부감에서 비롯된 것이기는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출산을 주목적으로 한 당대의 기계적인 결혼관을 기저에 깔고 있는 것이라 할 것이다. 플라톤이 능력에서 여성을 차별하지 않은 것은 당대의 의식 수준으로는 상상하기 힘든 가히 혁명적인 발상이었기는 하나 인격체로서 여성의 성적 자의식과 자기정체성에 관해서는 여전히 시대적 무지의 틀을 넘어서지 못하고 있다.

 

[328e]

* 소크라테스도 노인과 대화하는 걸 기뻐한다고 말한 후 케팔로스의 삶의 여정에 관해 물으면서 특히 ‘노년의 문턱에 들어선 것이 어려운 고비인지 의견을 구한다.

* 육신과 관련된 다른 즐거움이 시들어짐에 따라 그 만큼 대화에 대한 욕망과 즐거움이 증대된다는 케팔로스의 말에 소크라테스도 ‘실은 저로서도 많이 연로하신 분들과 대화하게 되는 걸 기뻐합니다.’χαίρω γε διαλεγόμενοςτοῖς σφόδρα πρεσβύταις.라고 호응한다. 앞에서 케팔로스가 ‘대화에 대한 욕망과 즐거움’이고 말했을 때 대화의 원어는 logos이고 케팔로스의 말을 받아 소크라테스가 말한 대화의 원어는 dialogos이다. 물론 dialogos에는 일반적인 대화의 의미도 포함되어 있지만 소크라테스는 케팔로스가 logos라고 표현한 것을 염두에 두고 아마 중의적으로 이 표현을 썼을 것이다. 케팔로스가 원하는 것은 담소이지만 소크라테스가 바라는 건 문답이다. 케팔로스는 소크라테스적 문답을 감당하기에는 이미 기나긴 인생경험을 통해 생각이 굳어진 사람이기는 하지만 그런 노인들의 생각은 경륜의 측면과 함께 아집의 성격도 함께 가지고 있다.

* ’들어서 알아야한다‘에 쓰인 πυνθάνομαι는 ‘듣거나 물어서 아는 것(to learn by hearsay or by inquiry)’을 의미한다. 케팔로스는 앞서 소크라테스에게 훈계조로 강권하다시피 말을 한다. 그러나 소크라테스는 케팔로스에게 노년의 삶에 대해 배우되 단순히 수동적으로 듣기만 하는 방식이 아니라 묻고 따지는 방식도 병행해서 배우겠다는 의지를 피력하고 있는 것이다.

* ‘노년의 문턱’’ἐπὶ γήραος οὐδῷ이라는 말은 <일리아스> 22권 60, 24권 487에서 처음 나타나는 어귀로 부양자가 없이는 따로 살아가기 힘든 단계의 노년 시기를 나타내는 말이다. 인간은 출생의 문턱을 넘어 이생을 살다가 노년의 문턱을 넘어 다른 세계로 떠나는 여행자로 여겨진다. 케팔로스는 아테네 몇 안 되는 부유층으로 집도 여러 채를 가지고 있었지만 지금은 노년의 문턱을 넘어 장남인 케팔로스의 부양을 받으면 함께 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 ‘어르신께서 어떻게 알려 주실 것인지’ἢ πῶς σὺ αὐτὸ ἐξαγγέλλεις. 여기서 쓰이고 있는 ἐξαγγέλλεις는 무대 뒤에서 연극의 진행 상황을 말로 알려주는 ‘전달자’를 뜻하는 연극용어 ἐξάγγελος를 염두에 두고 한 말이다. 소크라테스는 케팔로스에게 인생이라는 연극 무대에서 노령의 의미를 알려주는 전달자 역할을 부탁하고 있다.

 

 

“근대 노동자와 21세기 노동자” – 노동과 노동자 [2018 네트워크 시민대학1기 ‘동서양을 아우르는 시민들의 정치 참여’] ⑤

2018 네트워크 시민대학1동서양을 아우르는 시민들의 정치 참여

2018. 8. 20. 서교동 한철연 강의실

 

제5강. “근대 노동자와 21세기 노동자” – 노동과 노동자

 

강연 : 박종성(건국대 초빙교수)

후기 : 김상애(한철연 회원)

 

우리의 삶에 있어서 ‘노동’은 먹고 살기 위해 어쩔 수 없이 해야 하는 끝없는 굴레일까요? 아니면 자기실현을 위한 주체적 행위일까요? 박종성 교수의 이번 강의를 들으며 역사적으로 노동과 노동자가 어떻게 정의되고, 가치 평가되어 왔는지 살펴보고, 특히 맑스(Karl Marx, 1818~1883)의 사상을 바탕으로 ‘노동자로서 어떤 삶을 살 것인가’에 대해 생각해 보았습니다.

 

창세기에 노동은 아담이 지은 죄의 결과로 얻게 된 징벌로 적혀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고대 그리스 철학자 플라톤도 육체적 활동인 노동은 노예계급의 것이라며 저급한 것으로 여겼습니다. 하지만 노동은 철학적 맥락에서 언제나 부정적인 의미만을 가지고 있던 것은 아니었습니다. 종교개혁 이후 노동은 신의 명령으로서 그 의미가 변화했고, 근대에 이르러서는 사유재산 개념의 등장으로, 모든 권리의 근간이 되는 것으로 그 가치가 격상됩니다.

 

그 이후 등장한 칼 맑스는 ‘노동’과 ‘노동자’에 대해 이야기할 때 빼놓을 수 없는 사상가인데요, 맑스는 노동을 인간의 실존조건으로 봅니다. 즉 노동은 인간의 존재에 있어 떼려야 뗄 수 없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맑스는 자본주의가 인간에게 이토록 중요한 노동과 이를 수행하는 노동자를 착취와 소외로 내몰고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맑스에 따르면 노동활동은 노동자의 노동력, 노동대상, 노동수단이 있어야 가능합니다. 여기에서 노동대상과 노동수단을 합쳐 ‘생산수단’이라고 부릅니다. 이를테면 공장에서 만들어내는 물건은 노동대상이며, 그 물건을 만들기 위한 기계 등은 노동수단입니다. 이 생산수단과의 관계가 자본가와 노동자 계급을 가릅니다. 말하자면, 생산수단을 가진 자가 자본가이고, 생산수단 없이 자신의 노동력만을 가진 자가 노동자입니다.

 

자본주의 체제를 이루는 기본 세포는 ‘상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자본주의는 노동자의 노동력 역시 상품으로 봅니다. 맑스는 노동자가 노동력을 판매할 때 이중적 자유가 생긴다고 보았습니다. 한편으로 노동자에게는 자신이 가진 노동력을 팔 것인지를 결정할 자유가 있습니다. 자본가와 노동자가 계약을 맺는 과정에서 노동자는 자유로운 것이지요. 다른 한편으로 노동자는 생산수단으로부터 자유롭습니다. 노동자는 생산수단을 갖고 있지 않다는 말입니다. 하지만 노동자는 이 이유로 생존을 위해 자신의 노동력을 판매해야만 합니다.

 

여기에서 노동자의 착취구조를 발견할 수 있습니다. 자본주의의 본질은 자본의 가치증식입니다. 다시 말해 1만큼의 자본을 가지고 1보다 더 큰 가치를 만들어내는 것입니다. 자본가의 입장에서 이를 가능케 하려면 제 값보다 더 적은 금액으로 노동력을 구매하면 됩니다. 더 낮은 임금을 지급하는 것이지요. 생산수단이 없는 노동자의 입장에서는 이 임금이 부당해도 자본가를 위해 일할 수밖에 없습니다. 이러한 자본주의 원리와 노동자의 이중적 자유 때문에 노동자와 자본가는 형식적으로는 대등한 계약 관계라 볼 수 있지만, 실질적으로는 지배와 종속의 관계이기에, 필연적으로 적대관계에 놓이게 될 수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자본주의는 노동자가 스스로를 자본가의 적대자로 생각할 수 있도록 내버려두지 않습니다. ‘게으름’을 나쁜 덕목으로 만들고, 스스로를 열심히 일하는 ‘근로자’로 생각하게끔 만들어 노동자 자신의 욕망을 왜곡하고 자본에 복무하도록 만듭니다.

 

물론 맑스는 혁명을 통해, 생산수단을 공동으로 소유함으로써 계급을 없애자고 주장했습니다. 하지만 다양한 관계들이 복잡하게 얽혀 있는 현실에서 이와 같은 혁명이 단번에 이루어지기는 어렵습니다. 그렇다면 착취구조에 놓여있다는 사실을 알게 된 우리는, 혁명의 낙관도 기대할 수 없는 우리는, 노동자로서 어떤 삶을 살아야 할까요? 오늘 강의를 맡은 박종성 교수는 이렇게 조언합니다.

“먹고는 살되, 내가 신나는[나에게 재미와 의미가 있는] 일을 하며 살자”

플라톤의 『국가』 강해 ④ [이정호 교수와 함께하는 플라톤의 『국가』]

플라톤의 <국가> 강해

 

서론에 이어 본문 강해는 앞에서 밝힌 강해취지에 따라 텍스트를 처음부터 빠짐없이 천천히 읽어가며 주요 부분을 설명하는 형식으로 진행한다. 정암학당 현장 강의에서는 텍스트의 일정 단락을 청중들과 함께 읽고 난 다음, 강사가 다시 읽어가며 설명을 하지만, 이곳 강의록에는 본문 내용이 생략되어 있다. 그러므로 독자들은 텍스트 해당 부분 독서를 병행하며 본 강해를 참고하시기 바란다.

 

[1 ]

 

<세부 목차 >

 

  1. 도입부(327a-328b) : 소크라테스와 글라우콘은 페이라이에우스에서 열린 벤디스 축제 에 갔다가 폴레마르코스의 집에 초대를 받는다.

 

  1. 케팔로스와 대화 : 노년의 즐거움과 재산(328b~331d)

2-1(328b-328c) : 소크라테스, 케팔로스를 만나 노년의 즐거움을 묻는다.

2-2(329a~329d) : 케팔로스의 대답 – 노년의 즐거움은 노령이 아닌 생활방식에서 온다.

2-3(329e~330c) : 노령을 수월하게 견디게 해주는 것이 과연 생활 방식인가 재산인가?

2-4(330d~331d) : 노령의 즐거움과 재산의 관계를 논하다 정의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다.

 

  1. 폴레마르코스의 정의(331d~336a)

3-1(331d-332b) : 폴레마르코스, 시모니데스를 인용하여 ‘각자에게 갚을 것을 갚는 것이 정의이다’라고 말하다.

3-2(332b~334b) : 정의는 ‘각자에게 합당한 것을 갚는 것’ 즉 ‘친구들과 적들에 대해 각각 이득을 주고 손해를 입히는 기술’인가?

3-3(334c~336a) : 기능과 훌륭함(덕) – 정의는 사람을 나쁘게 할 수 없다.

 

  1. 트라쉬마코스의 정의(336b~354c)

4-1(336b~338b) : 트라쉬마코스의 저돌적 등장과 소크라테스의 당부

4-2(338c~339a) : 트라쉬마코스, ‘정의는 강자의 이익이다’라고 주장하다.

4-3(339b~340b) ; 폴레마르코스와 클레이토폰이 잠깐 끼어든다.

4-4(340c~341a) : 트라쉬마코스, 통치자는 실수를 하지 않는다고 주장하다.

4-5(341a~342e) : 소크라테스, 기술 일반의 특성을 토대로 트라쉬마코스를 비판하다.

4-6(343a~344c) : 트라쉬마코스, 현실론으로 돌아와 속내를 적나라하게 드러내다.

4-7(344d~345e) : 소크라테스의 절망과 분노

4-8(345e~346e) : 기술과 그 기술에 수반하는 보수획득술은 구분해야 한다.

4-9(347a~347e) : 통치자에게 보수는 강제나 벌이다.

4-10(348a~349a) : 소크라테스, 검토방식을 재정비. 정의와 부정의는 각각 덕과 악덕.

트라쉬마코스, 정의는 고상한 순진성, 부정의야말로 덕과 지혜.

4-11(349b~350c) : 소크라테스 능가개념을 토대로 정의가 덕과 지혜임을 밝히다.

4-12(350d~352c) : ‘부정의는 강하다’라는 주장에 대한 검토

4-13(352d~354a) : ‘정의로운 사람이 부정의한 사람보다 잘 살고 행복한가?’에 대한 검토

4-14(354b-354c) : 마무리와 탄식

 

<본문 강해>

 

  1. 도입부(327a-328b) : 소크라테스와 글라우콘은 페이라이에우스에서 열린 벤디스 축제에 갔다가 폴레마르코스의 집에 초대를 받는다.

 

[327a]

* <국가>는 소크라테스가 어제 나눈 대화를 누군가에게 전해주는 형식을 취하고 있다. 대화는 그가 글라우콘과 함께 아테네 외항 페이라이에우스에서 처음 열리는 트라케인들이 주최하는 벤디스 축제에 갔다가 축원과 구경을 마친 후 돌아오는 모습을 그리는 것으로 시작한다.

* ‘어저께 나는 글라우콘과 함께 페이라이에우스로 내려갔네.’κατέβην χθὲς εἰς Πειραιᾶ μετὰ Γλαύκωνος <국가>의 그리스어 텍스트는 ‘내려갔네.’κατέβην라는 동사로 시작한다. 이 첫말이 갖는 함축을 제7권 서두의 동굴의 비유에서 지혜로운 자가 다시 동굴로 내려가는 상황과 연결 지어 생각하는 학자도 있다. 당연히 동굴의 비유 부분에서도 그 동사가 나온다.(516e) 대화편의 구조를 크게 보면 소크라테스가 페이라이에우스로 내려가 그곳에서 만난 사람들의 주장들을 논박하거나 깨닫게 하여 지혜의 세계로 이끌어가는 형식을 취하고 있다고 생각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 소크라테스는 ‘어제’χθὲς 거의 밤이 샐 정도로 오랫동안 토론을 했음이 분명함에도 그에 이어 오늘 누군가에게 그 긴 이야기를 전하고 있다. <티마이오스>도 이처럼 ‘어제’ 대화에 이어 오늘도 이야기를 나누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그런데 흥미롭게도 <티마이오스>에서 ‘어제’(17a)했다고 요약 인용되고 있는 이야기가 <국가> 4권의 내용과 거의 일치한다. 이를 근거로 <티마이오스>의 대화 설정 시기가 <국가>에서 이루어진 대화 다음날이고 그에 따라 <국가>의 이야기를 전해 듣는 사람들이 <티마이오스>의 등장인물들 즉 티마이오스, 크리티아스, 헤르모크라테스라고 주장하는 사람도 나타났다. 실제로 5세기 플라톤 주석가로 유명한 프로클로스는 이를 근거로 <국가>, <티마이오스>, <크리티아스>를 3부작으로 쓰여진 것이라 주장하기도 했다. 그러나 <티마이오스>에서 언급된 내용은 <국가> 전체 내용도 아니고 4권의 내용도 일부만을 요약한 것에 불과하다. 게다가 소크라테스는 <티마이오스>에서 그 내용이 어제 이야기한 내용에서 빠진 것 없이 그대로라고 말하고 있는데 (19a~b). 이 또한 앞뒤가 맞지 않는다. 이미 <국가> 내용을 다 알고 있는 소크라테스가 <티마이오스>에서 일부 요약에 불과한 내용을 가지고 그렇게 말했을 리는 없기 때문이다. 게다가 그 내용이 플라톤의 핵심 정치사상임을 고려하면 그러한 중요한 내용을 그 날 하루만 표명했을 리도 없을 것이다. 이러한 것들을 고려하면 두 대화편의 대화 설정시기가 연속적이라는 주장은 신빙성이 희박하다.

* 페이라이에우스Πειραιεύς는 아테네 도심으로부터 8㎞ 떨어진 아테네 외항이다. 페이라이에우스는 페리클레스의 제국화 정책 이후, 국제적인 교역이 급증하고 상업이 발달함에 따라 아테네와 외부지역을 연결하는 핵심 항구이었을 뿐만 아니라 에게 해를 오가는 배들의 기항지로서도 중심적인 기능을 했다. 페르시아 전쟁이 끝나면서 그리스의 패권을 둘러싸고 스파르타와의 전쟁 기운이 커지자 페리클레스는 기원전 457년 막강한 스파르타의 육군의 침공으로부터 아테네를 방어하고 아테네 도심의 고립을 피하기 위해 도심 성곽과 페이라이에우스를 잇는 장성(μακρὰ τείχη)을 구축한다. 페리클레스는 스파르타가 아티카를 침공하면 지역 농민들을 소개(疏開)시켜 장성으로 피신케 한 후 스파르타 군이 복귀하면 해군을 동원하여 스파르타 해안 마을을 공격하는 전략을 썼다. 그의 이러한 전략은 큰 효과를 거두었지만 앞서 살폈듯이 좁은 장성 내에 수많은 사람들이 집단 거주함에 따라 기원전 429년에는 참혹한 역병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되기도 했다.

* ‘그 여신께 축원도 드릴 겸’προσευξόμενός τε τῇ θεῷ이라는 말에서 표명되고 있는 여신신은 354a에서 지금 열리고 있는 축제가 벤디스 축제(Bendideia)로 언급되고 있다는 점에서 벤디스(Bendis) 여신임이 분명해 보인다. 벤디스 여신은 아테네의 아르테미스(Artemis) 여신에 해당하는 트라케 지방의 여신으로서 다산과 풍요를 상징한다. 고대 그리스에는 각 나라마다 숭배하는 주신이 있었고 주신들 이외에도 또 각 도시와 지방, 마을 마다 자신들을 가장 잘 돌봐줄 것으로 여겨지는 각기 다른 여러 신들을 섬기고 있었다. 그에 따라 그리스 전역에는 국가가 관리하는 신전을 비롯해 지역별, 개인별로 공물을 바치고 안녕을 기원하는 크고 작은 수많은 신전들과 제단들이 산재해 있었고 정기적으로 제의와 축제가 열리곤 하였다. 이처럼 고대 그리스인들에게 종교 생활 즉 제우스를 비롯한 여러 신들에 대한 신앙은 오랜 동안 전통적인 규범이자 관습으로서 그들의 일상적 삶에 뿌리 깊게 자리 잡고 있었고 그 신들에 대한 기록을 담고 있는 호메로스 시가는 그리스인들에게 그들의 의식을 지배하는 경전과 다름없었다. 정기적으로 열리는 제의와 축제는 물론 공적 기부금까지 동원하여 수시로 펼쳐지는 시가를 주제로 한 합창극·연극 공연은 이러한 믿음을 공유하는 일종의 교양교육이자 세계관 내지 가치관 교육이기도 했다. 이런 측면에서 플라톤의 시가와 시인 비판은 단순한 예술 비판의 문제가 아니다. 그것은 당대 세계관·가치관에 대한 비판적 성찰인 것이다. 수호자 교육에서 시가 교육이 생각 외로 큰 부분을 차지하는 것도 그러한 연유에서 비롯된 것이다. 이 문제는 수호자 교육을 다룰 때 보다 자세히 살필 것이다.

* 소크라테스도 위와 같은 아테네의 종교적 전통과 관습에 따라 제의에 참석하여 신들에게 기원을 드리고προσεύχομαι 있다. 이곳에 나오는 ‘본바닥 사람들(ἐπιχώριοι)의 행렬’은 아마도 트라케 사람들의 벤디스 축제를 동반 축하하기 위해 본토 주민들이 펼친 아르테미스 여신 경배 행렬일 것이다. 이미 국제화된 아테네에서 본토 주민과 거류외인이 큰 거리감 없이 매우 자연스럽게 공존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한 장면이다.

* ‘트라케인들’οἱ Θρᾷκες 이들은 본토 주민들과는 구별되는 거류외인들((metoikoi 혹은 synoikoi)로서 대부분 아테네의 상업 장려 정책에 의해 페이라이에우스에 정착한 트라케 출신 즉 발칸반도 동북부에서 내려온 상인들 또는 라우레이온 은광 채굴을 위해 초청된 광산 기술자들일 것이다. 이들의 유입이 늘어남에 따라 아테네는 그들의 관습과 제례도 허락하였고 그런 배경에서 페이라이에우스에 트라케인들의 여신인 벤디스 신전도 세워졌고 축제도 개최되었을 것이다. 벤디스 축제 관련 비각문에 대한 연구 가운데 최근에 이루어진 연구 결과에 따르면 벤디스 축제가 아티카에서 열린 시기는 기원전 429년까지 거슬러 올라간다는 새로운 주장이 제기되었다. 만약 이 주장이 옳다면 앞서 살핀 대화편 상정 시기를 최대 429년까지 높여 잡을 수 있는 하나의 근거가 될 수도 있다.(Christopher Planeaux, ‘The Date of Bendis Entry into Attica’, The Classical Journal 96.2, December, 2000. pp165-195)

* 아테네를 비롯한 고대 그리스의 폴리스 주민들은 자유민(eleutheros)과 비자유민으로 구분된다. 자유민은 다시 시민(politēs, 참정권을 가진 완전 시민으로서 성인 남성들과 불완전 시민으로서 그들의 가족)과 비시민(거류외인+ 그의 가족, 시민과 비시민의 자식 등)으로 나누어진다. 이처럼 시민은 곧 자유민이지만 자유민이 곧 시민은 아니다. 그리고 비자유민에는 농노(농업노예)와 가사노예(가정교사, 보모 등)가 있었다. 이러한 계급분화는 그리스의 모든 국가가 정복국가였다는 사실에 기인한다. 소크라테스가 활동하던 기원전 425년 경 아테네의 인구는 시민은 29,000명 그들의 가족은 87,000명 거류외인은 7,000명 그들의 가족은 1,4000명, 농노와 노예는 81,000명, 총 218,000명 정도였다. 완전한 시민권은 곧 참정권(koinōnein archēs)을 의미했다는 점을 고려하면 아테네 민주정은 주민 14%에 해당하는 성인 남성 이른바 완전 시민들만의 민주정이었다.

* 아테네에 타 지역 그리스인이 유입되기 시작한 것은 기원전 6세기 초 클레이스테네스가 자신의 정치적 배후세력으로서 민중의 수를 늘이려 한데서 비롯되었다고 하나 본격적으로 늘어난 것은 아테네가 급성장하기 시작한 기원전 480년 이후로 알려져 있다. 이때까지만 해도 아테네에 거주하는 타 지역 그리스인 출신이 시민이 되는 것은 크게 어렵지 않았다. 그리고 비교적 국제적인 도시였던 코린토스 정도를 제외하면 나라마다 외국인도 별로 없었고 스파르타는 아예 정책적으로 외국인을 추방 또는 통제하고 있었다. 그러나 아테네에서만은 해를 거듭할수록 외국인의 수가 크게 늘어나자 이후부터 이른바 metoikos 즉 거류외인이라는 공식명칭이 붙여지면서 법적인 제한이 따르게 되었다. 어떤 이는 metoikos라는 단어가 처음으로 사용 된 것은 427년 초연된 아이스퀼로스의 연극<페르시아인(Persai)>이었다고도 주장한다. (James Watson. “The Origin of Metic Status at Athens”. The Cambridge Classical Journal 56, 2010. p. 265) 이후 거류외인은 시민권은 취득할 수 없었지만 여전히 자유인으로서 영주권과 전문 직업을 가질 수 있었고 각종 종교행사와 제례에도 참가할 수 있었다. 또한 이들은 참정권을 제외한 기타 공공사업에 권리와 부담을 함께 가졌으며 때로는 군역을 지기도 하였고 일부 부유층은 자비무장인(hopla parechomenoi)이 되어 전투에 나서기도 하였다. 다만 그들은 시민이 아니어서 법정에 설 때에는 한 시민을 보호자(prostates)로 내세워야 했다. 그리고 세금의 경우, 이들은 식솔의 수에 따라 소정의 인두세(metoikion)를 내야했다. 그러나 아테네의 상업 진흥정책에 따라 다른 세금에서는 면제되어(ateleia) 점차 이들의 지위는 향상되었다.(빅터 에렌버그 <국가> 63쪽 참고) 이후 이들의 상당수가 부를 축적하여 아테네 부유층으로 성장함에 따라 그들에게도 공공기부금 헌납(leitourgia: 비극·희극의 상연에 불가결한 합창대 운용비용, 함선의 장비 및 시설 등 공공사업비를 위한 기부제도)이 요구되었고 부정기적으로 과세된 특별재산세(eisphora)의 납부 대상이 되기도 하였다. 그리고 이들 중 일부는 아테네의 국운이 기울기 시작한 4세기에 들어서 그들의 부를 이용하여 시민권을 획득하기도 하였다.

* 시민들 가운데 중추적인 계층은 조상 대대로 이어 받은 토지 소유자로서 2, 3명의 노예를 두고 농업 또는 목축업에 종사하는 중소 자영농들이었고 이에 따라 전통적으로 농업이야말로 자유인에 어울리는 직업으로 여겨졌으며 상공업은 시민이 아닌 자들에게 맡겨졌다. 그러나 기원전 5세기 이르러 상업이 발달하고 이오니아 등 외지에서 올리브 수요가 급증하자 토지는 식량생산 보다는 부가가치가 높은 수출용 올리브 재배지로 크게 바뀌어 무역업은 물론 그것을 담을 수 있는 도자기 산업도 크게 발달하였다. 이른바 기원전 5세기 아테네 경제는 식량생산과 물물교환 중심의 전통적인 경제 틀에서 벗어나 교환가치 중심의 화폐경제, 상업경제로 급속하게 재편되고 있었던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아테네의 변화는 농업경제 중심의 전통적인 시민적 삶의 방식을 해체하는 배경이 되었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상업주의적 재편은 특히 페리클레스 등장 이래 아테네가 제국화되면서 전통 그리스 사회의 급격한 변화와 그에 따른 혼란과 내분을 초래하는 근본 원인이 되었다. 당대 주변 국가들 특히 아테네와 패권경쟁을 하던 스파르타인들에게는 농업을 통한 자급자족 이외의 상업주의적 부의 축적이라는 개념은 여전히 낯설고 이질적인 것이었다. 그런데 아테네는 페르시아 전쟁 승리 이후 동맹국으로부터의 조공에 힘입어 경제적으로 크게 성장하였지만 장기적인 경제입국을 위한 비축과 투자 개념은 희박했고 대부분의 경비가 파르테논 등 대규모 신전 건축을 포함하여 시민들의 정치 참여 및 배심원 수당으로 지출되었다. 예산개념도 따로 없었고 실제로 근대국가가 재정적으로 관계하고 있는 몇몇 분야( 예컨대 공교육, 공공수송 등 사회간접자본)는 아예 존재하지 않았다. 군비를 비롯한 나라에 필요한 경비 또한 기본적으로 동맹국의 조공과 국가가 관리하는 신전의 공물 그리고 부유층의 공공기부제(leitourgia)에 크게 의지하였다. 그리고 나라가 시민에게 세금을 물리는 것은 최대한 자제되었으며 직접세는 필요할 경우 민회의 동의를 얻어야 했다. 이에 따라 비교적 상시적인 세입의 주요항목은 무역업의 증대로 생긴 관세 수입정도였다. 아테네는 최소한 재정운용에 한해서는 오늘날의 최소국가와 소비주의를 지향했던 것이다. 이러한 경향은 페리클레스 사후 실권을 잡은 클레온 치하에서 더욱 강화되어 동맹국의 조공 요구도 크게 늘어났고 그에 따라 시민의 정치 수당도 인상되었다. 기원전 5세기 초이기는 하지만 데미스토클레스가 라우레이온 은광이 발견되자 그곳에서 생긴 막대한 부를 시민들에게 분배하지 않고 페르시아 전쟁을 대비하기 위해 삼단노선 건조에 투자한 것은 극히 예외적인 경우였다. 시민 모두가 국가 연금자이다시피한 이러한 포퓰리즘적 경향과 원시적인 재정정책, 행정의 비전문주의는 5세기 중반 아테네의 전성기 동안에는 민주정하 민중들의 정치참여를 유도하는 기폭제 역할도 하였지만, 시라쿠사 원정 실패 이후 펠로폰네소스 전쟁의 참담한 패배를 지나 4세기에 들어서면서부터는 각자도생을 위한 민중들의 이기심과 선동정치, 부자 갈취, 무고와 소송 등 사회적 병폐의 원인이 되면서 공동체의 분열과 몰락을 재촉하는 배경이 되기도 하였다.(빅터 에렌버그 <국가>, 123-130쪽 참고) 이러한 점에서 <국가>가 이 혼란기를 배경으로 아테네의 상업주의를 대표하는 세력이자 오랜 전쟁기간 동안 무기 판매업을 통해 막대한 부를 축적한 케팔로스와의 대화로부터 시작하는 것도 주목할 만한 일이다. <국가>의 집필 또한 이후 아테네가 더욱 쇠락하여 거의 재기 난망의 상태로 접어들던 기원전 375년 전후에 이루어졌다.

 

[327b]

* 소크라테스는 시내로 서둘러 돌아오는 길에 폴레마르코스의 시동παῖς을 통해 기다려 달라는 부탁을 받는다. 여기서 시내τὸ ἄστυ는 폴리스 ‘아테네’의 중심을 이루는 아테네 성곽 내 도심 지역을 말한다.

* ‘시동이 내 뒤에 와서 옷을 붙잡고서’καί μου ὄπισθεν ὁ παῖς λαβόμενος τοῦ ἱματίου.

말을 걸기 전 옷을 붙잡는 장면은 <국가> 제5권 서두에서 폴레마르코스가 아데이만토스에게 귓속말을 건네는 장면에서도 나온다.(449b)

 

[327c]

* 폴레마르코스는 아테이만토스, 니케라토스 그 밖에 몇 명과 함께 소크라테스에게 다가와 시내로 가지 말고 그곳에 머물러 달라고 부탁한다. 니케라토스는 아테네의 장군이었던 니키아스의 아들(Νικήρατος ὁ Νικίου)이다. 니키아스(기원전 약 470-413)는 422년 클레온이 암피폴리스 전투에서 전사하자 그 뒤를 이어 아테네의 지도자가 되어 스파르타와 일시 평화협정을 성사시켰으나 기원전 413년 시라쿠사 원정 중 포로로 잡혀 처형된다. 그의 아들 니케라토스는 함께 있는 폴레마르코스와 함께 404년 30인 과두정권에 의해 처형된다. 기원전 406년에는 페리클레스의 아들 페리클레스도 아르기누사이 해전에 장군으로 참전했다가 시신 수습 문제로 문책을 당해 다른 장군들과 함께 처형된다.

* 이 사람을 ‘이겨내시거나(더 힘이 세거나)’의 원어(κρείττους)는 나중에 트라쉬마코스가 ‘강자’를 표현할 때도 나오는 말이다. 이런 식의 힘에 의한 물리적 윽박지름은 이어서 언급되는 소크라테스의 설득(πείθειν)의 방법과 대비된다. 그리 심각한 대화 국면은 아니긴 하지만 폴레마르코스에게 설득의 방법은 아예 대안으로 고려되고 있지도 않다. 이런 식의 농담조 윽박지름은 <필레보스> 16a, <파이드로스> 236c에도 나온다.

* ‘들으려고도 하지 않는 사람들을 설득하실 수가 있을까요?’ἦ καὶ δύναισθ᾽ ἄν πεῖσαι μὴ ἀκούοντας;라는 폴레마르코스의 반문에 글라우콘이 ‘그럴 수는 없을 겁니다.’οὐδαμῶς라고 답하는 부분은 앞으로 소크라테스가 직면하게 될 상황을 미리 알려주는 복선처럼 느껴진다. 잠시 후 소크라테스는 트라쉬마코스를 만나 어떻게든 그를 설득하려고 최선의 노력을 기울인다. 그러나 소크라테스는 종국에 이르러 트라쉬마코스가 이미 처음부터 아예 들으려고도 하지 않는 사람임을 깨닫는다. 글라우콘의 말대로 그런 사람을 설득하기란 결코 가능한 일이 아니다. 그런 사람에 대한 바른 대응은 이제 설득이 아니라 그와 같은 주장을 완전하게 제압하고도 남을 정도의 대안적 주장을 제시하는 것이다.

* 아무려나 이러한 윽박지름식 강권은 소크라테스에게 익숙하지도 받아들여지기도 힘든 것이다. 그래서일까? 곁에 있던 아데이만토스는 이 상황의 어색함을 금세 알아차리고 다른 방식으로 소크라테스의 체류를 청한다.

 

[328α]

* 아테이만토스는 밤에 횃불 경기도 있고 철야제παννυχίς도 열리니 그것도 구경하고 젊은이들과 대화도 나눌 겸 재차 머물기를 청한다. 횃불 경주 λαμπὰς : λαμπὰς는 횃불 경기의 공식이름이기는 하지만 λαμπὰς는 뒤에 나오는 λαμπάδια와 마찬가지로 그냥 ‘횃불’을 뜻한다.

* 트라케 지방은 광산업이 크게 발달한 지역으로 광산노예들이 많았다. <국가>에 나오는 동굴의 비유 또한 트라케 광산에 묶여 지낸 광산 노예들의 삶에서 착상되었다는 설도 있다. 또 몸과 영혼의 이원론, 영혼불멸설 또한 고대 아티카에서는 그리 발달하지 않은 사고인데 광산 동굴노예의 참혹한 삶이 영혼만이라도 자유롭고 영원하길 바라는 소망과 욕구의 일환으로 생겨나 점차 아티카에도 전해진 것이라는 설도 있다. 트라케지방에서 디오뉘소스 신앙이 발달한 것도 그러한 배경에서 비롯되었을 것이다. 벤디스 축제에서 열린 횃불 경기도 그들이 광산 동굴에서 늘 함께 했던 횃불에서 유래했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광산에서 말을 타고 달릴 수는 없었을 것이다. 그래서일까? 소크라테스는 마상 횃불 경기에 의아해하며 관심을 보인다.

* 이 후 전개된 대화의 분량으로 시간을 추정해보면 아마도 철야제 구경은 밤샘토론으로 대치되었을 것이다. 소크라테스에게는 말잔치(συμποσίον)가 축제 구경보다 좋은 잔치이다. 그렇게 밤을 새우고 나서도 소크라테스는 지금 누군가에게 그 긴 이야기를 또 전하고 있는 것이다. 가히 소크라테스의 열정과 체력이 얼마나 큰 지를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다.

 

[328b]

* 아테이만토스의 말에 소크라테스가 관심을 보이자 폴레마르코스도 그제야 상황을 깨닫고 그의 말을 거들고 글라우콘도 소크라테스에게 머물기를 권한다. 그리하여 소크라테스는 그들의 청을 받아들여 함께 폴레마르코스의 집으로 간다. 그곳에는 뤼시아스, 에우튀데모스, 트라쉬마코스, 카르만티데스, 클레이토폰이 이미 와 있었고 뜰에서 제물을 바치고 앉아있는 폴레마르코스의 아버지 케팔로스와 만나 인사를 나눈다.

* 뤼시아스 Λυσίας (약459-약378)는 폴레마르코스의 아우이다. 기원전 404년 형 폴레마르코스와 함께 민주파의 편을 들어 30인 과두정에 맞서다 형은 재산을 몰수당한 후 처형되고 그 자신은 도피하여 죽음을 면했다. 이로써 유복했던 케팔로스 가문은 몰락한다. 무기 제조 판매업을 통해 치부한 신흥 상공인 계급이자 거류외인이었던 케팔로스 집안으로서는 전통적인 농업국가인 스파르타와 과두정 세력에 대해 그리 호의적이지 않았을 것이다. 뤼시아스는 기원전 403년 민주파에 의해 30인 과두정권이 무너지자 아테네로 돌아와 유명한 법정 연설문 작성자로 명성을 얻었고 민주파를 적극 지지하였다. 소크라테스는 기원전 399년 이 민주파에 의해 희생된다. 플라톤이 <국가>를 저술한 시기가 기원전 375년 경 그러니까 이러한 모든 사태를 목도한 후임을 고려하면 <국가>에서 플라톤이 이미 몰락한 케팔로스 가문을 어떤 시각에서 끌어들이고 있는지를 추정하는 하나의 실마리가 될 수도 있을 것이다.

* 여기 나오는 에우튀데모스Εὐθύδημος는 폴레마르코스의 아우로 플라톤의 대화편 <에우튀데모스>에 나오는 키오스 출신 에우튀데모스와 동명이인으로서 달리 알려진 것이 없다.

* 카르만티데스 Χαρμαντίδης는 훗날 유명한 연설가 이소크라테스의 제자가 된다.

 

———–

 

* 읽기에는 다소 방해가 되겠으나 텍스트 내용에 대한 보다 깊은 이해와 주요 개념의 원래 의미를 알고 싶어 하는 분들이 많아, 앞으로 본 강해에서는 중간 중간 고전 그리스어 원문을 병기할 예정이다. 그리스 로마 시대 고전어 원전 텍스트 대부분이 실려 있는 아래 사이트에 들어가, 저자별 목록에서 ‘Plato’을 찾아서 을 클릭한 후, 플라톤의 <국가> 텍스트(Republic, Greek)와 해당 페이지 및 섹션(327a, 338c 등으로 표기)을 찾아가면 버넷(J. Burnet)판 그리스어 원문과 쇼리(P. Shorey)의 영어 번역, 아담(J. Adam)의 주석 등을 참고할 수 있다. 특히 실린 고전 그리스어 원문의 해당 단어를 클릭하면 자세한 단어별 사전(Liddell & Scott’s Greek-English Lexicon)풀이가 나와 있어, 최소한 고전 그리스어 알파벳 정도만 익힌 분들도 쉽게 해당 개념에 대한 세부 정보를 얻을 수 있다.

* Perseus Digital Library, Perseus Collection, Greek and Roman Materials

http://www.perseus.tufts.edu/hopper/collection?collection=Perseus:collection:Greco-Rom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