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 부르주아는 어떻게 시민이 되었는가? 도시공간의 출현, 커피하우스, 살롱” [2018 네트워크 시민대학1기 ‘동서양을 아우르는 시민들의 정치 참여’] ③

 

 

2018 네트워크 시민대학1기 ‘동서양을 아우르는 시민들의 정치 참여’ ③

  1. 8. 6. 서교동 한철연 강의실

 

제3강. “근대 부르주아는 어떻게 시민이 되었는가? 도시공간의 출현, 커피하우스, 살롱”

 

강연 : 한길석(가톨릭대 교수)

후기 : 김상애(한철연 회원)   

 

* 근대에 커피하우스와 살롱의 공간에서 재건된 부르주아적 시민과 고대적 시민이 어떻게 다른지 고찰해 본다.

 

고대 그리스에서부터 시작된 것으로 알려진 ‘민주주의‘는 사실 2000년의 공백을 거쳐 18세기에 다시 등장한 정치체제입니다. 한길석 교수의 이번 강의에서는 “근대 부르주아는 어떻게 시민이 되었는가?”라는 제목으로 고대 그리스와는 매우 다른 사회구조적 배경을 가졌던 근대 민주주의의 등장배경에 대해 알아보고, 공영역[public sphere, 공론장]에 대한 연구를 바탕으로 ‘토의 민주주의’라는 새로운 민주주의의 가능성을 보여준 하버마스의 이론을 검토해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폴리스(polis)라는 고대그리스의 매우 단순한 사회구조에서 시민(즉 성인 남성)이라면 곧 정치가였던 것과는 달리, 민주주의의 (재)등장 이전의 근대 사회에서 정치에 참여할 수 있었던 사람들은 오직 왕과 귀족들뿐이었습니다. 하지만 왕과 귀족들의 정치자금을 대던 부르주아들이 권위, 그리고 자신의 욕망에 대해 깨닫게 되면서 혁명을 일으키고 이러한 체제는 뒤바뀝니다. 근대 부르주아들이 정치적 세력이 된 것이지요.

 

이들이 정치적 세력을 키울 수 있었던 계기가 바로 커피하우스나 살롱과 같은 공영역에서 벌인 자립적 활동이었습니다. 지금 생각하기엔 커피숍이나 사랑방은 그저 수다나 떠는 사적 영역인 것 같은데, 근대인들의 커피하우스는 다양한 문헌들을 접하고 활발한 토론을 하며 여론을 형성하던 정치적 공영역이었습니다.

 

근대 민주주의 형성에 큰 기여를 한 이 공영역은 점차 축소됩니다. 공영역의 핵심은 국가로부터 자율적이었다는 것인데, 국가가 개인의 복지욕구를 해소해주는 기관이 되면서 국가에 복무하는 체제 순응적 인간이 등장하게 된 것입니다. 이에 대해 하버마스(Jürgen Habermas, 1929~)는 처음에 비관적 결론을 내렸습니다. 하지만 체코 프라하에서 시작되어 주변의 여러 국가들이 동시다발적으로 소비에트에 대항한 민주화운동, 그리고 그것이 이끌어낸 변화들을 지켜보면서 하버마스는 정치적 공영역의 순기능을 다시 생각하게 됩니다. 정치적 공영역이 정부에 영향력을 행사하여 올바른 방향으로 이끌 수 있다는 가능성을 되짚어본 것이지요.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민주주의를 열망하는 시민들이 촛불을 들고 광장에 모여, 결국엔 부패한 대통령을 탄핵으로 이끈 토의민주주의의 모델을 관찰할 수 있었습니다. 당시 대통령의 국정농단에 대해 대부분의 사람들이 비판적 문제의식을 가졌고, 정부에 민주적 의지를 반영하고자 했습니다. 하지만 이처럼 모든 사람들이 공감할만한 문제가 아닌 다른 사회문제들을 안고 살아가는 사람들의 목소리는 좀처럼 정부에 가닿지 않는다는 것은 하버마스의 약점인 듯합니다.

 

민주주의를 완성시키기 위해 우리에게 주어진 과제는 이제, 모두가 문제라고 인식하는 문제뿐만 아니라, 우선순위에서 밀려난 사회문제들에도 귀 기울이는 것이 아닐까요?

 

8월 13일(월)에는 4강 “프랑스 혁명과 광장에 선 시민”이 이어집니다.

많은 참석 바랍니다~

플라톤의 『국가』 강해 ② [이정호 교수와 함께하는 플라톤의 『국가』] 2

  1. 부제 소개

 

그런데 기원전 1세기 초 알렉산드리아의 문법학자인 트라쉴로스(Trasyllos)는 플라톤의 대화편들을 정리하면서 이 책의 제목을 그냥 <폴리테이아>가 아니라 <폴리테이아, 혹은 정의에 관하여. 정치적 대화편>(politeia ē dikaiou, politikos, Diog. L. III. 60)라고 소개하고 있다. 그러나 아리스토텔레스가 이미 그의 <정치학>에서 플라톤의 그 책을 <폴리테이아>로 언급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트라쉴로스가 뒤에 붙인 <정의에 관하여>라는 제목은 나중에 붙여진 제목이자 일종의 부제로서, <국가>의 내용과 관련하여 원제목이 가지고 있는 부족함을 보충하려는 의도에서 덧붙여진 것이라 하겠다.1) 그러나 플라톤의 <국가>의 기본 주제로 다루어지고 있는 ‘정의’(dikaiosynē)라는 개념 자체가 나중에 밝혀지겠지만 내용상 ‘나랏일에서건 개인의 내적 영혼에서건 그것을 구성하고 있는 상호 의존적인 요소들의 최선의 균형과 조화 그리고 질서를 구현해내는 기능(ergon)이자 덕(aretē)으로서 제시된다는 점에서 최소한 플라톤의 정치철학에서 그 두 가지 제목의 실질적 차이는 생각만큼 그리 크지 않다 할 것이다. 플라톤이 그리는 이상국가의 ‘폴리테이아’ 즉 시민적 생활 방식은 나라일의 측면에서건, 개인의 내적 영혼의 측면에서건 결국 각 기능의 최선의 조화와 공존을 담보하는 덕이자 원리로서 ‘dikaiosynē’에 기초하고 있기 때문이다.2)

참고로 이러한 <국가>의 제목과 부제와 관련한 문제는 일찍이 고대 시절부터 논쟁이 되어 왔는데 프로클로스(Proklos)가 전하고 있는 그 내용을 간략히 소개하면 아래와 같다.

 

* <국가>의 제목과 관련한 프로클로스의 논의

 

앞서 살폈듯이 플라톤의 <국가>의 제목에 ‘정치체제’와 ‘정의’가 병기된 이래 일찍이 기원 후 5세기경부터 그 두 가지 제목 중 어느 쪽이 <국가>의 진정한 주제(ho skopos, ē prothesis)인가에 대해서 고대 학자들 사이에서도 크게 논쟁이 되었다. 5세기의 신플라톤 학파의 철학자 프로클로스(Proclus de Lycie 412년-485년)가 남긴 플라톤의 <국가>에 관한 주석서3)에는 그 양쪽 주장과 프로클로스 자신의 견해가 간명하게 실려 있는데 그 내용은 오늘날 우리가 <국가>의 요체를 이해하는데도 많은 시사점을 안겨 준다.

프로클로스는 우선 <국가>의 주제를 ‘정의’라고 주장하는 사람들의 논점을 다음의 세 가지로 요약하고 있다. (1) 이 대화편 제1권에서 케팔로스나 폴레마르코스, 트라쉬마코스가 처음 제기되고 있는 물음은 “정의란 무엇인가?”이다. (2) 이에 비해 ‘정치체제’에 관한 고찰은 그러한 ‘정의’에 대한 고찰을 보다 더 잘 들여다보기 위해 나중에 도입된 것이다. 즉, ‘정의’와 ‘정치체제’라는 두 개의 논제 가운데, 전자는 목적(ou heneka)이고 후자는 수단(heneka tou)이다. (3) 대화 인물 소크라테스 자신 또한 본래의 문제가 ‘정의’에 대한 것임을 수차례 반복해서 강조하고 있다.(420 b-c, 427d, 434d-435a, 445a-b, 427b, 484a-b, 548d, 588b 참고)

이러한 주장에 대해서 ‘정치체제’가 주제라고 주장하는 사람들의 논거를 프로클로스는 다음과 같이 요약하고 있다. (1) 분명히 문제 제기의 순서는 ‘정의’ 쪽이 앞서 있을지 모르지만, 그러나 그것은 주도적인 문제라서가 아니라 ‘정치제제’에 관한 고찰에 앞서 미리 길을 열어주고 그곳으로 이끄는 예비적 역할을 하기 위해 제기된 것이다. (2) <폴리테이아>라는 제목(ē epigraphē)은 아리스토텔레스와 그 밖의 사람들의 저술에도 인용되어 있듯이 극히 오래된 유래를 갖고 있고, 플라톤 자신이 붙인 제목이다. 그리고 그것은 <파이돈>, <알키비아데스>와 같이 인물 이름에서 따온 것도 아니고 <향연>과 같이 상황으로부터 따온 제목도 아니며, <소피스테스>나 <정치가>와 같이 다루어지는 주요 문제 그 자체를 염두에 두고 붙인 제목이다. 이것은 이 대화편에서 주도적으로 추구되는 문제가 ‘정치체제’에 대한 것임을 아주 분명하게 보여주는 것이다. 그 밖에 (3) <법률>(739b 이하)이나 <티마이오스>(17b 이하)에서 언급되고 있는 내용들도 그 점을 뒷받침해준다.

그러면 이러한 두 개의 입장을 두고 프로클로스 자신은 어떻게 생각하고 있을까? 그는 말하길, “이상과 같은 사안에 대해 이 양자는 각기 다르게 주장하고 있지만, 우리로서는 양쪽 사람들의 주장 모두를 함께 받아들인다. 그리고 이러한 사람들의 견해는 내용의 측면에서 보면 서로 다르지 않은 것이다. 따라서 나는 그 책이 목적으로 하는 주제는 ‘정의’임과 동시에 ‘정치체제’이기도 하다고 나는 생각한다. 다만 이것은 주제가 두 개 있다고 하는 의미가 아니고 이것들 두 개는 서로 동일한 사안이라고 하는 의미이다. 왜냐하면 한 개인의 영혼에 있어서 정의로운 것은 잘 통치된 국가에 있어서 정의로운 정치체제를 가능케 하는 조건이고 정의로운 정치체제 또한 개인의 영혼에 있어서의 정의를 가능케 하는 조건으로서 서로 유기적으로 맞물려 있는 것임에 틀림없기 때문이다.”

프로클로스가 이것을 뒷받침하기 위해서 제시하고 있는 것은 두말할 필요 없이 국가의 3계층과 영혼의 3구분이라고 하는, 국가와 개인 영혼과의 구조상의 대응이다. 그러므로 정의에 대해 말하는 사람은 당연히 ‘정치제제’에 대해서 말하게 되어있고, 제대로 ‘정치제체’에 대해 말하는 사람은 반드시 개인 안에 내재된 politeia로서 ‘정의’에 대해 말하게 될 것이라고 그는 주장한다.

따라서 또 논자들이 문제 삼고 있는 ‘정의’로부터 ‘정치체제’로의 화제 이행에 관한 해석과 관련해서도 “그 이행은 결국 ‘정치체제’의 문제로부터 ‘정치체제’로의 이행 즉, 개인 내부에서 고찰되는 ‘정치체제’로부터 다수 대중에서 고찰되는 ‘정치체제’로의 이행이며, 그리고 ‘정의’의 문제로부터 ‘정의’의 문제로의 이행 즉, 소규모의 ‘정의’로부터 보다 분명한 ‘정의’로의 이행과 다름없다”는 것이다. 거기에는 한 쪽이 주도적(proēgoumenon)이고, 다른 한 쪽이 부수적으로 딸려가는(empipton) 것이라는 구별은 존재하지 않는다. 그런 측면에서 ‘폴리테이아’라는 제목과 ‘정의’에 대한 탐구라고 하는 것은 서로 적절히 합치(ounadein)하는 것이라 할 것이다. 왜냐하면 이 politeia라는 제목에는 분명 ‘정의’의 본질 그 자체가 다름 아닌 ‘올바른 이치에 따라 사는 영혼의 정치체제’라는 것을 함축하고 있기 때문이다. ‘정의’론으로 제목이 붙여지지 않았던 것은 단지 politeia라는 말 쪽이 dikaiosynē(정의)라는 말보다 더 잘 알려져(gnōrimōteron) 친숙하게 여겨졌기 때문에 그리 된 것일 뿐이라고 프로클로스는 결론짓고 있다.

물론 프로클로스의 결론이 플라톤의 생각과 일치하는 것인지는 단정하기 어렵다. 그리고 ‘정의’와 ‘정치체제’라고 하는 두 개의 논제가 서로 유기적인 연관을 갖고 있음은 분명하다고 할지라도, 그 자체로 그것이 곧 양자가 – 나라에서건 개인의 영혼에서건- 서로 동일한 것임(allēlois ta auta)을 말해주는 것도 아니다. <국가>의 진정한 주제가 ‘정의’인가 ‘정치체제’인가에 대한 물음은 영혼과 결부된 그의 정의에 관한 주장이 서로 다른 정치체제들과의 연관 속에서 과연 어떤 의미를 갖느냐에 따라 지속적으로 논쟁거리가 될 수밖에 없다고 할 것이다.

각주 1) 아리스토텔레스의 저술을 보면 “플라톤의 <politeia>”로만 나온다. (<Politica> B1, 1261 a6, B5. 1264b29, E10. 1316a1, Θ7. 1342b32 Δ5. 1293b1, <Rhetorica> Γ 4. 1406b32) 로마 시대에서는 이 politeia를 그대로 로마자로 옮겨 politia라고 부르고 의미상으로는 라틴어의 respublica 및 civitas로 풀었다.(cf. Cicero, De divinitatione I. 29, II. 27). 우리가 오늘날 접하는 영어, 불어권의 제목 ‘The Republic’, ‘La République’은 피치노(Marsilio Picino) 이래 근세 라틴어 역본에서 많이 쓰인 Republica를 그대로 제목으로 사용한 학자들(G. A. F. Ast, G. Stallbaum)에서 유래한 것이다. 또 Civitas로 번역한 학자들(C. E. C. Schneider)도 있었다. 그리고 독일어 역본에서는 Der Staat로 번역하는 경우가 많았다. 우리들이 사용하고 있는 ‘국가’라는 제목도 그런 배경에서 나온 것이다. 또 “공화국”이라는 호칭은 영역본을 보고 번역한 데서 온 것으로서 원제목의 의미와도 책의 내용과도 맞지 않는 제목이라고 해야 할 것이다. 아울루스 겔리우스(Aulus Gellius)의 <앗티카의 밤(Noctes Atticae>(13,3)에서 이 책은 <국가 통치의 최선의 형태에 관하여>(de optimo statu reipublicae divitatisque administrandae)라는 이름으로 “플라톤의 저작”이라고 소개되고 있고, 플라톤 자신도 <법률> V. 739b에서 “첫 번째(이상적인) 국가와 정치제제, 최선의 법률”이라는 말로 이 <국가>에 실린 이론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각주 2) 그런데 우리가 사용할 우리말 텍스트 <국가>를 옮긴 박종현 선생과 일부 연구자들은 이 책의 부제로도 쓰인 ‘정의’ 즉 dikaiosynē가 앞서 살폈듯이, 사회적 관계에서 뿐만 아니라 개인의 내적 영혼과 관련해서도 사용된다는 점에서, dikaiosynē를 사회적 관계에서만 적용되는 우리말 ‘정의’(正義)로 옮기는 것은 부적절하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dikaiosynē는 <국가>에서 나라가 그 고유한 구실을 제대로 수행하게 만드는 기능(ergon)의 의미와 함께 개인이 사람 구실을 제대로 하게 만드는 덕(aretē)과 그 덕이 실현된 훌륭한(agathon) 상태 모두를 아우르고 있다는 점에서도 dikaiosynē는 ‘정의’라는 역어보다는 훌륭한 상태 일반으로서 순수 우리말인 ‘올바름’으로 옮기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이다. 하물며 dikaiosynē는 나라는 물론 강도 집단이 자신들의 고유한 일을 잘 해내게 만드는 경우에도 요구되는 덕목이라는(351c)는 점에서도 정의라고 옮기는 것은 부적절하다고 보는 견해도 있다. 이러한 주장에 잘못된 점이 있다고 판단되지는 않는다. 그러나 <국가>에서 dikaiosynē가 근본적으로 정치생활과 시민생활을 동일시하는 그리스인들의 시민적 덕의 의미를 갖고 있는데다가, dikaios하다고 일컬어지는 개인의 내면적 삶의 방식 또한 근본적으로 사회적 삶과 뗄 수 없는 유기적 관계를 갖는 것으로 제시된다는 점을 고려하면, 그리고 그러한 내적 통일성이야말로 플라톤의 dikaiosynē가 갖는 매우 핵심적이고도 고유한 특징이라고 본다면, ‘올바름’이란 말로 그 특징과 의미를 온전하게 담아내기에는 다소 부족하다고 판단된다. 물론 정의라는 말이 우리말에서는 개인의 내면적 덕성에까지 적용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그 말 또한 일정 부분 모자람이 있으나, 앞서 살폈듯이 플라톤에게 있어 개인의 삶 자체가 사회적 삶과 불가분의 연계를 갖는 한, 개인의 삶의 방식에도 ‘정의’는 말을 사용함으로써 오히려 그것이 갖는 사회적 성격을 적극적으로 담아낼 수 있는 장점도 있다할 것이다. 이런 측면에서 본 강사는 dikaiosynē를 ‘정의’로 옮기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고 판단한다. 강도 집단과 관련해서도, 해당 내용은 기본적으로 ‘어떤 집단이 공동으로 일을 도모할 경우 서로에 대해 부정의한 짓을 저지른다면 결국 ‘합심과 우애’가 무너져 일을 그르친다.’는 것을 드러내기 위한 문맥에서 ‘나라나 군대, 강도단이나 도둑의 무리 또는 다른 어떤 집단(351c)’이란 표현 속에 포함되어 단 한 차례 언급되고 있는데다가, 정의가 갖는 ‘덕’과 ‘지혜’의 측면보다는 집단 구성원에게 요구되는 ‘합심과 우애’(homoia kai philia)의 측면을 드러내기 위한 차원에서 인용되고 있다는 점에서, ‘정의’라는 역어를 배제해야하는 결정적인 근거로까지 여겨지기엔 무리가 있어 보인다. 우리말 ‘의리(義理)’라는 말에도 ‘옳을 의(義)’자는 들어있듯이 아마 플라톤도 트라쉬마코스 부류의 눈높이에 맞추어 설사 강도들이라도 그들이 공동의 일을 도모하는 한, 합심과 우애로서의 최소한의 정의는 필요하다는 차원에서 사례의 하나로 포함시켰을 것이다. 그리고 강도단은 불법적 집단이라서 ‘정의’라는 말이 맞지 않는다는 지적은 ‘올바름’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라 할 것이다. 강도들 또한 올바른 자들은 아니기 때문이다. 요컨대 ‘올바름’이란 말은 나라나 개인 모두에 두루 사용할 수 있고 덕성의 의미를 포함하고 있다는 점에서 큰 장점이 있고 그래서 매우 안전한 선택이기도 하지만, 플라톤의 의도한 dikaiosynē의 사회 통합적 성격을 부각시키지 못한다는 점에서는 어떤 의미에서는 오히려 치명적인 결함을 안고 있다고 할 것이다. 앞에서 ‘폴리테이아’의 의미가 우리말로 온전히 옮기기 힘든 것처럼, dikaiosynē 역시 플라톤이 의도한 바를 우리말로 온전히 담아내기 힘들다면, 그래서 어차피 역어를 선택할 수밖에 없다면, 안전하지만 너무 포괄적인 우리말 ‘올바름’ 보다는 플라톤의 근본 의도를 보다 적극적으로 담아낼 수 있는 ‘정의’라는 역어가 보다 바람직하다고 판단된다. 그리고 학술 연구사적 측면에서도 플라톤의 <국가>가 이른바 ‘정의’, ‘justice’ 관련 문제를 다룬 최고의 고전이자 최초의 고전이라는 점을 고려한다면, 원어 dikaiosynē의 특징적 의미를 살린다는 측면에서뿐만 아니라 학술적 조회를 위한 개념어 차원에서도 ‘정의’라는 역어가 보다 더 가치가 있다고 판단된다. 무엇보다도 dikaiosynē’라는 말에는 전쟁과 정치투쟁으로 점철된 그리스 사회에서 그리스인들이 흘린 피의 냄새가 깊숙이 배어있다. 그러나 본 강사가 보기에 최소한 그것을 절감함에 있어 ‘올바름’이란 역어는 ‘정의’라는 역어에 비할 바가 못 된다. 아무려나 어떤 역어가 더 원래 의미에 가까운가의 문제는 <국가>를 우리말로 옮기는 역자들의 관점과 선택의 문제로 여전히 남아있고, 박종현 선생의 역본 또한 앞으로 나름의 독보적인 관점과 가치를 하나같이 보전하게 될 것임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다만 본 강좌에서는 우리말 텍스트로서 박종현 선생의 <국가>를 선택하여 진행하되 – 천병희 역본은 <국가>의 문학성을 돋보이게 하는 장점이 있고, 박종현 역본은 <국가>의 철학적인 의미를 보다 잘 살려낸 역본으로 판단된다. 정암학당 역본은 그 두 개의 장점을 모두 담아내기를 기대한다. – dikaiosynē’의 역어만은 ‘정의’라는 말을 사용하려고 한다.

각주 3) Proclos, In Platonis Rempublicam, ed. G. Kroll, vol. I, pp. 7-14

 

 

  1. 집필시기

 

<국가>는 단지 분량만 보아도 버넷(J. Burnet, 1902)판 텍스트로 396쪽, 스테파누스(Stephanus 1578)판 쪽수로 294쪽을 상회하는 장편이고 그 내용의 풍부함, 사상의 힘은 물론 생동감 있는 필치까지 함께 어우러져있다는 점에서 플라톤의 작품들 가운데 가히 최고의 걸작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그런데 이 <국가>가 쓰여 진 시기가 연대 상으로 정확히 몇 년쯤인지 즉 플라톤이 몇 살 때쯤 이 대화편을 저술하였는지에 대해서는 지금까지 다양한 견해가 제시되어 왔다. 또 이 대화편이 장편인 만큼 특정 부분, 특히 제1권의 경우 문체론적으로 전기 대화편의 특색을 나타내고 있을 뿐만 아니라 내용적으로도 전기 대화편을 닮아 있어, 아예 집필 연대가 다른 별개의 독립적인 대화편으로 추정하기도 하고, 혹은 플라톤이 <국가>를 집필하는 과정에서 그것의 일부 내용을 고쳐 <국가>라는 하나의 대화편에 포함시킨 것으로 추정하기도 한다.4)

그러나 이러한 여러 가지 가설들은 오늘날 거의 받아들여지고 있지 않다. 상당한 객관성을 표방하고 있는 오늘날의 연구 성과에 의하면, 우리가 읽고 있는 <국가>는 앞에서 언급했듯이 매우 긴 대화편이어서 당연히 아주 오랜 기간에 걸쳐 집필되었을 것으로 생각되기는 하지만, 그래도 그 저작 연대는 대체로 기원전 377-367년 무렵, 그러니까 플라톤의 나이 50-60세 사이에 집필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5) 그러니까 관례에 따라 플라톤의 저작을 전기, 중기, 후기로 크게 나누면 <국가>는 중기의 저작에 속한다고 하겠다.

<국가>의 집필 시기로 거론되는 이 시기는 플라톤이 이탈리아와 시켈리아 여행에서 아테네에 돌아와 아카데메이아를 창설(기원전 388/7년 경 플라톤 나이 40세 무렵)한 지 10 여년 이상이 경과한 시기이다. 그리고 이 시기는 아테네와 스파르타 양대 세력이 패권을 다투면서도 최소한의 공존을 유지하였던 이전 세기와는 비교가 안 될 정도로, 그리스 사회 전체의 역량이 크게 약화되면서 내부적으로 큰 혼란과 분열로 치닫고 있었던 때였다. 아테네는 기원전 404년 펠로폰네소스 전쟁 패배 이후 장벽과 제해권을 잃었음은 물론 인구 또한 전쟁 이전의 3분의 1수준으로 줄어들어 60여 년 후 338년 멸망에 이르기까지 혼란스런 민주정 치하에서 내분을 거듭하며 재기가 쉽지 않았고, 스파르타 역시 장기간의 전쟁으로 힘이 다 소진되었음에도 과도한 확장욕으로 주변국들과 마찰을 빚어 기원전 395년부터 9년간의 코린토스 전쟁을 치르며 더욱 수렁에 빠져 들었다. 스파르타는 이후 기원전 371년 레욱트라 전투에서 결정적으로 테베에 패배함으로써 결국 지역 군소 국가로 전락,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졌다. 그리고 기원전 377년 제2아테네 동맹(델로스 동맹 100주년) 이후 테베가 새로운 그리스의 맹주로 부상하였으나 기원전 362년 펠레폰네소스 원정 중 에파미논다스가 전사하면서 점차 세력이 위축되고 말았다. 게다가 나라와 세력들마다 궁지에 몰리면 페르시아를 끌어들임으로써 그리스 사회의 내분과 혼란을 부채질하고 있었던 데다가, 결정적으로는 북방의 마케도니아가 신흥 강국으로 떠올라 남진함에 따라 아테네와 스파르타 양대 세력에 의해 유지되던 전통 그리스 사회 전체는 급격하게 해체와 몰락의 길로 접어들게 되었다.

이 절대 절명의 시대에 플라톤은 당면한 아테네의 비극적 현실을 타개하기 위해 앞장서 갑론을박하던 이소크라테스와 데모스테네스와 달리 아카데메이아에 쳐 박혀 교육과 저술에 전념하며 이상 국가를 써 내려 가고 있었다. 왜 그랬을까? 우리는 나중에 그의 대화편에 나타나 있는 사상 내용과 플라톤의 생애를 종합적으로 고려했을 때 플라톤이 왜 아테네와 그리스 사회가 몰락에 접어든 이 절대절명의 시기에 <국가>와 <법률>을 집필하게 되었을까 혹은 집필하지 않으면 안 되었을까를 짐작할 수 있는 정황들과 근거들을 살펴보게 볼 것이다.

각주 4) <국가> 제1권이 <트라쉬마코스>라는 이름을 가진 독립된 대화편으로서 <카르미데스>, <라케스>와 같은 시기에 쓰여 졌다고 보는 학자들은 아래와 같다. K. F. Hermann, F. Dȕmmler, H. von Armin, P. Friedlȁnder 등이 있다. 또 현재 우리가 가지고 있는 <국가>가 나오기 이전에 기원전 388/7년경에 별도의 다른 <국가> 이를테면 <국가>초벌본이 있었다고 추정하는 학자(M. Pohlenz)도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가설들에 대해서 J. Adam, A. E. Taylor, P. Shorey 등은 하나같이 반대 혹은 강한 회의를 표명하고 있다.

각주 5) 젤러(E. Zeller)는 기원전 375년경으로 추정하고 있고 빌라모비츠(Wilamowitz)는 기원전 374년 혹은 그보다 약간 뒤로 추정하고 있다. 테일러(A.E. Taylor)는 <일곱번째 편지>에 철인왕 사상이 표명되었다는 것을 근거로 플라톤이 40세가 된 직후 즉 기원전 383년 전후에 쓰여졌다고 주장하지만 필드(G.C. Field), 로스(W. D. Ross), 디에스(Diés) 모두 받아들이지 않는다. 쇼리(P. Shorey)는 기원전 380-370년 사이에, 디에스는 기원전 375년 전후에, 필드(G.C. Field)와 크로스, 우즐리(R. C. Cross & A. D. Woozley)도 기원전 375년 경 집필했다고 생각하고 있다.

 

 

  1. 대화 상정 시기

 

그런데 플라톤은 이 <국가>를 집필하면서 극중 대화가 이루어지는 시기를 언제로 상정하였을까. 유감스럽게도 이 점에 대한 학자들의 견해는 일치하지 않는다. 우선 19세기 초 베크(A. Boeckh)가 일찌기 <국가>의 대화 상정 연대를 기원전 410년 또는 411년으로 추정한 이래, 죠위트(B. Jowett)와 캠벨(M. Campbell), 아담(J. Adam), 쇼리(P. Schorey) 등 유수 플라톤 학자들이 그에 찬동하면서 410-411년 설은 꽤 유력한 가설로 여겨졌다. 그러나 <국가>에 담겨 있는 시대 관련 언급들, 등장인물들의 역사적 활동 그리고 관련된 기타 전승들이 전하는 내용들이 서로 일치하지 않는 것들이 너무 많아, 그 이후 <국가>의 대화 상정 시기는 기존의 410년 설에서부터 멀리는 430년 설까지 학자들 사이에서 계속 논란이 되고 있다. 사실 <국가>에 담긴 아래와 같은 몇 가지 내용만 보더라도 그 시기를 특정하기가 쉽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를테면 최소한 기원전 429년 아테네에서 역병이 돌던 시기 또는 그 이전에 사망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케팔로스가 아직 생존 인물로 등장한다는 점, 또 플라톤 자신의 언급으로만 보자면 최소한 기원전 425년 이전에 사망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프로타고라스와 프로디코스도 아직 생존인물로 언급되고 있다는 점(600c,d) 그리고 글라우콘과 아데이만토스가 메가라 전투에서 수훈을 세웠다고 하지만 그 메가라 전투가 언제 벌어진 전투인지 특정하기 어렵다는 점, 그리고 무엇보다 소크라테스가 케팔로스에게 ‘자신은 아직 노년에 이르지 않아 앞서 간 사람들한테서 그 길이 어떤 것인지를 알고 싶다’고 말하고 있는데 이 장면(328e)은 본 대화편에 등장하는 소크라테스가 아직 60세에 가까운 고령은 아님을 보여주는 것이라는 점 등 등은 모두 대화상정 시기를 확정하는데 논란의 요소들로 작용하고 있다.

그러나 그 정확한 시기는 확정하기 어렵다 해도 그 대안들이 가리키는 시기는 모두 고대 그리스 사회를 몰락의 길로 접어들게 한 펠로폰네소스 전쟁(431-404) 기간의 한 가운데이었음은 이견의 여지가 없다. 투퀴디데스가 전하는 <펠로폰네소스 전쟁사>는 오랜 기간 그 전쟁이 야기한 그리스 사회의 내분과 혼란상은 물론 전쟁 과정에서 벌어진 이루 형용하기 힘든 가혹하고 잔인하기 짝이 없는 참혹상을 적나라하게 그려내고 있다. 특히 대화상정 시기로 개연성이 높은 410년~420년 전후의 상황 이를테면 기원전 416년 멜로스 시민에 대한 인종 청소급 대학살에 대한 아테네 주변국들의 공포와 불신, 특히 알키비아데스의 선동에 따라 추진되었다가 그의 배반과 민회의 판단 착오로 결국 4만 여명의 병력과 아테네 5년 예산 정도의 재정을 일시에 날려 버린 기원전 413년 시칠리아 원정의 참담한 실패, 그 이후 기원전 412년 아테네 동맹군의 반란, 기원전 411년 일시적인 과두정의 등장과 기원전 406년 아르기누사이 해전 후 벌어진 섣부른 장군들의 처형, 기원전 404년 식량 공급 항로의 차단에 따른 굴욕적인 항복에 이르기까지 근 10 여 년 동안의 기간은 아테네 사람들 모두에게 그 이전까지 결코 경험하지 못했던 극도의 정치사회적 불안과 히스테리, 경제적 피폐함을 안겨다 준 그야말로 가장 엄혹하고도 비참한 시기가 아닐 수 없었다. 플라톤은 그런 시기의 온갖 혼란상을 겪어가며 청년으로 자라났고 또 여전히 내분과 혼란이 거듭되던 중년 시절 그 혼란의 시기를 되돌아보며 그 시기를 배경으로 <국가>를 저술하고 있었던 것이다.

 

<참고> 펠로폰네소스 전쟁 약사(기원전 431~404)

 

* 고대 그리스 도시국가의 양대 세력인 아테네와 스파르타가 서로 패권을 다툰 전쟁으로 그리스 역사에서 가장 비참한 전쟁이자 그리스 사회를 몰락으로 이끈 전쟁.

* 전쟁 발단의 배경 – 페르시아 전쟁 승리(기원전479년) 이후 페리클레스가 아테네를 제국화하며 급속하게 성장과 발전을 거듭하자 이에 위협을 느낀 스파르타의 반발. 특히 아테네의 경제적 성장과 함께 아테네의 민주정이 그리스 전역으로 확산되면서 소수의 귀족들이 다수의 헤일로타이를 억압하는 사회구조를 유지하던 스파르타에게 큰 위협이 됨.

* 아테네 동맹 – 에게 해 동북부 해안 주변 섬나라와 연안 국가로 이루어진 아테네 제국

* 펠로폰네소스 동맹 – 스파르타의 주도하에 결성된 펠로폰네소스 반도와 그리스 중부 내륙지방 강국들의 군사 동맹.

연 도

(BC)

일어난 사건
480 아테네 살라미스 해전에서 페르시아 함대 격파
479 페르시아 전쟁 종결. 479 아테네, 스파르타 연합군 플라타이아 전투에서 승리
475 테미스토클레스 아테네 성벽 재건
470 반스파르타파 데미스토클레스 도편 추방, 친스파르타파 키몬 정권
461 급진 민주주의자 에피알데스 암살, 페리클레스 부상, 키몬 도편추방
465 스파르타, 헤일로타이 반란. 동맹군 소집, 아테네 중장보병 4,000명 파견하였으나 반란 지원 의심하여 귀환조치. 아테네, 도망 헤일로타이 나우팍토스에 정착시킴.
460 아테네에 두려움 느낀 아이기나, 펠로폰네소스 동맹 가입
펠로폰네소스 전쟁 전사(前史) <1차 펠로폰네소스 전쟁>(460-446)
458 아테네 코린토스 지협 봉쇄. 스파르타, 도리스 지원 차 도해(渡海) 했다가 해로 차단당함. 스파르타 방향을 바꾸어 테베의 지원을 받아 보이오티아 지역 타나그라 공격. 타나그라 전트에서 스파르타 승리했으나 큰 피해입고 육로로 철수
457 페리클레스 실권 장악, 아테네 오이노피타 전투 테베 격퇴 후, 테베 제외한 보이오티아 대부분을 아테네 속국화. 아이기나 항복, 아테네와 페이라이에우스 외항 장성 건설, 아테네 공세 강화.
454 460년 이후 진행된 이집트 반란 지원 차 떠난 원정 실패(이집트, 페르시아 지원으로 이미 반란군 진압, 이후 페르시아 군에게 포위당한 후 패배. 델로스 동맹에 충격, 내부 단속.
451 도편추방 당했던 키몬 귀환, 스파르타와 휴전 협정, 페르시아와 전쟁 재개, 키프로스 전쟁 승리, 이후 키몬 전사
447 테베, 재기하여 코로네이아 전투에서 아테네에 승리 후 보이오티아 전체 수복. 이후 에우보이아 반란. 아테네가 진압하려 간 사이 메가라 반란. 코린토 지협 봉쇄 해제. 아테네 에우보이아 철수
446 스파르타 아테네 침탈 후 복귀하자, 페리클레스(495-429), 에우보이아 잔혹 진압.

페리클레스 주도로 아테네와 스파르타와 30년 평화 조약

443 아테네 페리클레스 장군직 임명, 내치에 주력. 이후 12년 아테네 문화적 전성기
440 사모스, 델로스 동맹 반란, 스파르타, 협정에 따라 불개입
436 에피담노스(이오니오스만 서북쪽, 알바니아 두러스)에서 민중파(현재 식민지배 코르퀴라)가 귀족파(식민 건설자인 코린토스파) 추방하자 귀족파 요청으로 코린토스 개입 후 코르퀴라와 코린토스 간 분쟁 일어남.
433 아테네가 전략적 요충에 위치한 코르키라 민중파 지원 -> 코린토스군 철수. 스파르타와 코린토스 등 그 동맹국들은 아테네의 침략 행위를 비난. 아테네 코린토스 식민시 포테이다이아 압박. 포테이다이아, 스파르타에 구원 요청
432 코린토스 펠로폰네소스 동맹국 소집 요구, 페리클레스 양보 거부, 분쟁 해결을 위한 외교적 노력도 모두 실패. 스파르타 대 아테네 전쟁 결의
<펠로폰네소스 전쟁>(431-404)
431 마침내 스파르타의 동맹국 테베, 아테네의 동맹국인 플라타이아이를 공격 전쟁 시작. 플라타이아 아테네 지원 요청하고 결사 항전 했으나 지원이 늦어져 함락, 플라타이아 시민 학살. 아르키다모스가 이끄는 스파르타 동맹군이 아티카를 침공. 페리클레스, 우세한 동맹군과 싸우기를 거부하고, 아테네 시를 굳게 수비하면서 우세한 해군력을 최대한으로 이용하여 적의 해안과 선박을 집요하게 공격. 페리클레스 소개 작전.6) 페리클레스 전몰자 추모 연설.
430 아테네 역병(페스트? 장티푸스?) 발생
429 페리클레스역병으로 사망. 민간인만이 아니라 군인의 대다수도 전염병에 희생.

스파르타 그리스 서부에 있는 아테네의 기지들을 공격 격퇴 당함. 바다에서도 패배.7)

428 아테네의 속국들 반란 진압, 레스보스 섬의 수도 미틸레네를 장악- 남자들을 학살 나머지 사람들은 모두 노예로 만들기로 의결, 이튿날 마음을 돌려 반란 지도자들만 처형
425 아테네 시칠리아 지원군 폭풍으로 스파르타 인근 필로스 정박 후 요새 구축. 스파르타 필로스 탈환 작전 중 정규시민(전체 3500명) 120명 포함 440명 스팍테리아섬에 같힘. 스파르타 위축.8)
424 델리온 전투 브라시다스가 이끄는 스파르타군, 칼키디케에서 중요한 승리. 트라케 지역 아테네 사령관 투퀴디데스 추방 당함, 아테네 속국들 잇따라 반란
422 클레온 트라케 진격, 암피폴리스 전투에서 브라시다스와 아테네의 지도자 클레온 양 강경파 모두 전사. 온건파 니키아스가 평화조약 제안.
421 니키아스 평화조약. 이후에도 양국은 작은 도시국가들을 자기편으로 끌어들이려고 애씀, 그 수 외교적 책략에서 소규모 군사작전. 불안정한 평화
419 아르고스와 스파르타 평화 협정 종료, 아르고스, 만티네이아, 엘리스 등과 스파르타 무력화 시도.
418 아르고스 동맹 만티네이아 전투에서 스파르타에 패배.
416 아테네 멜로스 재공격, 시민 학살.9)
415 * 아테네 시칠리아 원정10) 시켈리아 소도시 세게스타의 구원 요청을 명분 삼아 주전파 알키비아데스 선동.

* 원정 전날 헤르마(헤르메스신을 새겨 넣은 사각 열주) 다수 파괴, 알키비아데스를 음해, 출정 후 궐석재판에서 신성모독죄로 소환. 알키비아데스 스파르타 망명.

* 시라쿠사, 스파르타군의 도움(열등자 모타게스 출신 활약)으로 아테네의 봉쇄 뚫고 전열 정비 반격.

*스파르타 공식적으로 전쟁 선포, 니키아스 평화조약 깨짐

413 아테네 증원된 뒤에도 다시 패배. 라마토스 전사, 해군마저 참패, 후퇴하다가 전멸, 니키아스 포로로 잡혀 처형, 7,000명 포로 노예화(함선 216척, 병력 4만명, 5년 예산 4500달란트 망실), 스파르타 알키비아데스 조언으로 아테네 북방 데켈레이아 요새 구축하여 북방 식량 보급로 제압. 아테네 시민 25,000명에서 9,000명 수준으로 축소, 함선 100척 수준.
412 * 아테네 동맹시들의 반란, 아테네 레스보스, 사모스 반란 진압 식량 보급 해로 유지11) 스파르타 페르시아 지원 받아 로도스 등 동맹시로 편입
411 * 아테네 정치적 혼란, 과두정 쿠데타. 과두 정치체제 온건 정권으로 바뀐 후 실각 민주정 회복.12)

* 아테네 해군 식량보급해로 확보 위해 헬레스폰토스 파견 키노세마 해전, 아비노스 해전 승리, 퀴지코스 해전 승리하여 보급로 확보 성공. 양측 모두 군사적 큰 손실. 퀴지코스 해전 이후 스파르타 평화협정 제안, 아테네 거부. 알키비아데스 귀환,

407 스파르타 뤼산드로스 페르시아 총독 지원을 받아 함대 90척 복구, 총 170척 규모 구축.
406 *스파르타, 노티움 해전에서 아테네 알키비아데스 함대 격파

*스파르타의 칼리크라티다스, 아테네 코논의 70척 함대 격파.

*미틸레네항에 고립된 코논을 구하기 위해 100척 함선 급조하여 총 155척 출동

* 아테네 해군과 스파르타 칼리크라티다스 120척 함대, 아르기누사이 해전. 아테네 대승(25척 상실, 70척 격파).

* 승전 후 시신 수습 방기 사유로 아테네 장군 8명 중 6명 처형(페리클레스 아들 페리클레스 포함) 유능 해군 지휘관 축소. 전의 위축

405 스파르타 뤼산드로스 복귀 후 페르시아 키로스 왕자의 후원을 받아 해군 재건. 헬레스폰토스 해협 해상로 확보, 아테네 식량 보급 해로 확보 위해 아이고스포타모이로 파견 했으나 대패. 165척 함선 상실, 12척만 탈출.
404 아테네, 스파르타 해군의 봉쇄를 뚫지 못하고 멜로스에서 아테네가 자행한 학살 떠올리며 6개월간 공포와 굶주림에 시달리다가 조건 수용 항복. 조건 : 장성 해체, 함대 해체, 제국해체, 이후 30인 과두정 수립, 테베와 코린토스 등 구 동맹국들 스파르타의 전후 아테네 처리에 불만. 아테네 민회참석 자격 시민 15,000명으로 감소, 코린토스 전쟁 이후에도 25,000 정도 복구.(전쟁 이전의 3분의 1정도로 인구 축소)
<전쟁 이후>

스파르타 아테네 제국 흡수하였으나 제국 유지용 공물로 제국 구성 도시로부터 반발 삼. 제국으로부터 들어오는 공물로 내부 계층 분화 가속화

각주 6) 스파르타는 거의 매년 아티카 반도 침공하여 아테네 인근 농지를 유린하고 황폐화시켰다. 그러나 아테네 주작물인 올리브나무와 포도나무는 훼손 되었다 다시 살아나 쉽사리 황폐화되지 않았다. 뿐만 아니라 스파르타의 경우 수적으로 우세한 헤일로타이(스파르타의 국유 노예)가 반란을 일으키지 않도록 감시해야 했기 때문에 아티카에 오래 머물러 있을 수 없었다. 스파르타군의 아티카 원정은 가장 길었을 때도 고작 40일 정도에 불과했다. 한편 아테네의 지도자 페리클레스는 시민들을 설득하여, 스파르타의 공격이 있을 때마다 모든 농민을 아테네 성벽 안으로 피신시키고 대신 델로스 동맹의 함대를 대규모로 동원하여 펠로폰네소스의 해안지역을 유린하기로 하는 전략을 세웠다. 비록 스파르타군이 아테네 주변의 농지를 약탈했지만, 강력한 아테네 해군이 해운을 통한 식량 공급선을 지켜주었고, 또한 항구에서 하역된 식료품은 항구부터 아테네 도심까지 세워진 장벽을 따라 안전하게 운반되었기에 아테네는 스파르타의 초토화 작전에도 큰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었다.

각주 7) 그러나 많은 사람들이 좁은 시내로 몰리자 위생 상태와 영양상태가 모두 악화되어 BC 430년 아테네에 수차례 역병이 발생하여 아테네 주민의 1/3 가까이(7~8만명)가 사망했다. BC 429년에는 지도자 페리클레스마저 역병에 걸려 사망했다. 그러나 아테네는 어려운 상황에서도 BC 429년 나우팍투스 해전에서 대승을 거두는 등, 바다에서는 해상권을 유지하였다. 페리클레스가 죽은 후 아테네는 주전파인 클레온이 실권을 잡아 보다 적극적인 공세를 취하게 된다.

각주 8) 스파르타는 아테네가 질병과 재정 악화에 시달리고 있음에도 BC 427년 플라타이아이 시를 점령한 것을 제외하고는 크게 전세를 뒤집지 못했고 오히려 그 후 몇 년 동안은 아테네인들이 더 공세적이었다.

각주 9) 멜로스는 펠로폰네소스 동맹에 참가하지는 않았으나 주민들이 대부분 도리스인들이어서 종종 스파르타 함대의 출입을 허용하였다. 이에 아테네는 이전 공격의 실패를 교훈 삼아 재차 멜로스를 공격하여 점령 후 시민들 대부분을 죽이고 여성들은 노예로 팔아버렸다. 점령 과정에서 멜로스인들과 아테네인들과의 대화는 정의와 힘의 관계를 보여주는 사례로 유명하다. 멜로스인들은 정의에 의거 항복할 수 없고 시민들에 대한 처리 또한 정의에 따라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하였으나 아테네인들은 ‘정의는 힘 있는 자가 정하는 것’이며, ‘약자는 힘 있는 자가 만든 정의에 순응할 때 행복과 안정을 얻을 수 있다’고 말했다고 전해진다. 아테네는 결국 시민 대부분을 학살하고 나머지는 노예로 팔아 넘겼다.

각주 10) 시칠리아의 작은 도시들은 아테네와 같은 이오니아인들이 세웠지만, 시칠리아의 가장 강력한 도시 시라쿠사는 스파르타와 같은 도리아인이었다. 시라쿠사에게 위협을 받던 작은 시칠리아 도시들은 강력한 아테네를 끌어들여 시라쿠사를 견제하고자 하였고, 아테네에게 있어서도 시라쿠사는 언제든지 스파르타와 연계될 수 있는 잠재적 적국이었기에, 아테네가 전쟁 중에 이곳에 진출할 이유는 충분했다. 뿐만 아니라 시칠리아는 풍부한 자원을 가지고 있었다.

각주 11) 이 와중에 에우보이아와 헬레스폰토스의 도시들까지 반란에 가세했다. 아테네는 전쟁 초기에 자신들의 재산과 가족을 에우보이아로 상당수 이주시켰기 때문에 에우보이아의 반란은 심각하게 받아들여졌다. 그리고 헬레스폰토스 해협은 아테네의 식량보급항로라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요충지였다. 그럼에도 아테네는 심각한 재정난에 빠져 있었다.

각주 12) 아테네 상류층은 아테네에 민주정이 들어선 이후 지난 100년간 민주정에 반감을 가지고 있었는데, 상류층 출신인 페리클레스 사망 이후 하층민 출신들이 정권을 장악하여 부자들의 전쟁 부담금을 급격하게 올리자 결국 불만이 폭발하였다. 쿠데타 후 무보수로 일하는 400명이 권력을 독점하였는데 이는 하층민의 정치 참여를 막으려는 것이었다. 그러나 권력의 집중도를 두고 과두파 내에서 의견 차이가 발생하여, 소수에 의한 통치를 고집하는 급진파와 대중의 정치 참여 확대를 원하는 중도파로 분열되었다. 한편 당시 아테네의 가장 강력한 군사 세력이었던 사모스 섬의 아테네 함대는 쿠데타 소식을 듣자 민주정을 지지하고 스파르타와 계속 전쟁을 수행할 것을 결의하였다. 알키비아데스의 만류로 아테네 함대가 본토로 쳐들어오지는 않았지만, 스파르타를 상대로 연전연승을 거두면서 중도파가 힘을 얻게 되었다. 상황이 불리해지자 급진파는 스파르타에 평화협상을 제안하는 동시에 항구에서 농성을 했는데, 결국 중도파에게 격파되어 추방당했고, 이로 인해 짧았던 400인 과두정은 막을 내렸다. 한편 아테네의 배신자 알키비아데스는 스파르타로 망명하여 과두정 쿠데타를 지원했지만, 쿠데타 이후에는 오히려 민주정을 지지하는 사모스 민중에 영합하여 사모스 함대 사령관이 되어 이후 BC 406년 노티움 해전까지 아테네 함대를 지휘하였다.

 

 

  1. 등장인물

 

소크라테스(Sokratēs)기원전 469-399년)

이 대화편은 소크라테스가 1인칭으로 전날 있었던 대화를 어떤 사람들에게 전해주는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이야기를 전해 듣고 있는 사람이 누구인지는 나타나 있지 않다. 소크라테스가 상대하고 있는 사람을 발언 순서대로 살펴보면 폴레마르코스의 시종, 폴레마르코스, 글라우콘, 아테이만토스, 케팔로스, 트라쉬마코스, 클레이토폰이 있으며 발언은 하지 않지만 대화 자리에 함께 있는 사람으로서는 뤼시아스, 에우튀데모스, 카르만티데스 등이 거론되고 있다(328b)

 

케팔로스(Kephalos)

폴레마르코스, 뤼시아스 및 에우튀데모스의 아버지이다. 시켈리아 섬 시라쿠사이에서 뤼사니아스의 아들로 태어났지만 페리클레스의 상업 장려 정책에 따라 아테네로 이주하여 이후 30년간 부유한 거류외인으로서 페이라이에우스에서 살았다.(cf. Lysias 12. 4) 그의 재산은 반 정도는 상속한 것이고 반 정도는 자신이 벌어들인 것으로 언급되고 있다.(330b) 그는 아테네 굴지의 재산가로 3채의 집을 소유하고 있었고 무기(방패) 제조업을 경영하면서 120명의 종업원을 고용하였다고 전해진다. 이 정도의 고용 규모는 당대 최대 규모로 평가된다.

생존연대에 대해서는 잘 알려진 것은 없지만 기원전 404년에는 이미 고인이었던 게 확실하다. 케팔로스는 대략 기원전 429년 아테네에서 역병이 유행할 때 죽었으며 폴레마르코스 형제가 투리오이로 이주한 것은 그 이후로 추정된다.(Pauli-Wissoa, Realenziclopedie. s.v. Polemarchos) 이 대화편에서 케팔로스는 고령의 인물로서 그의 아들 폴레마르코스의 집에서 소크라테스를 만나 노년에 관해서 함께 대화를 나눈다. 플라톤의 대화편의 등장인물로서 상공인이자 거류외인으로서 케팔로스 만큼 비중 있게 그려진 경우는 찾아볼 수 없다. 당대의 신흥 상업 세력을 대표하는 케팔로스와 소크라테스의 대화는 정의란 무엇인가라는 문제를 유발시켜 <국가> 전체 논의의 주제를 구성하는 실마리가 된다. 이미 고인이 되었음이 분명한 그를 정의라는 주제를 풀어가는 단초를 제공하는 인물로까지 무리해서 등장시킨 까닭이 따로 있는 것일까? 그 또한 우리의 흥미를 끈다.

 

폴레마르코스(Polemarchos)

케팔로스의 장남이자 뤼시아스와 에우튀데모스의 형(328b)이다. 뤼시아스의 생존 연대는 통상(플루타르코스, <10명의 연설가들의 생애> Vitae Decem Oratorium, III Lysias 835c, sqq. 및 Dionys, Halicarn., Lysias 1. 참고) 기원전 459-378년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형인 폴레마르코스가 태어난 해를 기원전 460년 정도로 잡으면 소크라테스보다 나이가 9살 정도 적은 사람이 된다. 그러나 이 뤼시아스의 연대에 관해서는 아주 다른 견해가 있어서(Fr. Blass, Attische Beredsamkeit I, 341 sqq 참고) 그것에 의거하여 폴레마르코스가 태어난 해를 기원전 450년경으로 추정하는 학자도 있다.( Th. Lenscchau, in Pauli-Wissoa, s,v, Polemarchos) 그의 부친 케팔로스는 시켈리아 섬 시라쿠사이 사람이었지만 아테네로 이주하여 아테네 외항 페이라이에우스에 살았다. 거류외인으로서 시민권을 가지고 있지는 않았으나 마침내 큰 부를 이루었기 때문에 폴레마르코스도 윤택한 환경에서 아테네의 훌륭한 청년들의 모임에도 참석하면서 함께 시간을 보냈을 것으로 생각된다. 부친의 사후 동생들과 이탈리아 남부 신흥도시 투리오이로 이주하여 그곳에서 토지와 시민권을 얻어 살았지만 아테네 군의 시켈리아 원정 실패(기원전 413년)로 더 이상 투리오이에 머물기가 어려워 기원전 412년에 아테네로 돌아와 가업을 다시 경영하며 페이라이에우스에서 살게 된다.

그러나 그의 집안이 소유하고 있었던 재산이 안타깝게도 그를 파멸로 이끈다. 기원전 404년 아테네의 패전 후에 들어선 30인 과두 정권이 재정의 궁핍함을 타개하기 위하여 강력한 조치의 일환으로 폴레마르코스를 체포하여 처형한 후 그의 전 재산을 몰수하였다. 이러한 사정은 간신히 생명을 건진 동생 뤼시아스가 노년에 행한 연설(Lysias XII : Contra Eratosthenem 8-19)에 자세히 기술되어 있다.

폴레마르코스가 소크라테스를 잘 따랐다는 것은 <국가> 서두 부분을 봐도 짐작이 된다. 대화 역시 폴레마르코스의 집에서 이루어진다. 그 자신도 아버지 케팔로스의 뒤를 이어받아 소크라테스와 정의에 관해서 대화를 나누고 있고(331e-336a) 그 후 트라쉬마코스와 소크라테스가 서로 논쟁할 때 소크라테스의 입장에 동조하여 트라쉬마코스 편에 서 있는 클레이토폰과 말씨름도 잠깐 벌인다.(340 a-b) 게다가 제5권 도입부에서는(449b) 아데이만토스와 귓속말을 나누면서 논의 주제를 부인과 자식들에 관한 문제로 전환시키는 역할도 한다. 동생 뤼시아스가 연설가로 나오는 <파이드로스>에서는 뤼시아스와 대조를 이루면서 “마침내 철학 쪽에 마음을 두는”(257b) 사람으로 언급되고 있다.

 

트라쉬마코스(Thrasymachos)

흑해 입구에 있는 칼케돈 출신의 연설가이자 소피스트이다. 연대는 뤼시아스와 비슷하다고 언급되고 있지만(Dionysios, Halicarn., Lysias 6) 뤼시아스가 태어난 해가 기원전 459년인지 여부가 확실하지 않고 약간 시대가 아래일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그렇다고 해도 소크라테스보다는 최소한 10살 이상 아래인 것은 분명해 보인다. 아리스토파네스의 작품 가운데 일부만 전해지고 있는 <잔치꾼들>Daitaleis에도 그의 이름이 나오는데 이 작품이 427년 공연되었다는 점을 근거로 학자들은 그가 그 시기 전후에 아테네에서 수사학을 가르쳤음이 분명하다고 믿고 있다. 게다가 당대 연설기술과 관련한 여러 책에서 그의 이름이 인용되는 것으로 보아 그는 당시 그 수사학 분야에서 상당히 명성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연설기술 비판을 주제로 하는 <파이드로스>에서도 비록 비판적이기는 하지만 일단 그를 아테네에서 성공한 연설가라고 언급하고 있고(261c, 266c-d, 269d, 271a), 아리스토텔레스도 <소피스트 논박>에서 그가 수사학 이론의 발전에 중추적인 역할을 한 사람으로 언급하고 있다. 참고로 그 내용을 인용하면 아래와 같다. “수사학의 시초를 발견했던 사람들은 수사학 전체에서 아주 적은 부분만을 발전시키는 데 지나지 않았지만 오늘날의 명성이 자자한 사람들은 그것을 조금씩 발전시켰던 여러 사람들의 계보 말하자면 후계자들로서 오늘날 우리가 보는 그러한 상태에까지 그것을 발전시켰기 때문이다. 즉 최초의 발견자 다음에 티시아스가 오고, 트라쉬마코스는 티시아스 다음에 오고 그리고 테오도로스는 트라쉬마코스 다음에 계속 이어갔지만, 그러면서도 많은 사람들이 수사학에 대해서 각자 많은 기여를 이루었다. 그렇기 때문에 이 지식이 상당한 경지에 이르렀다고 해서 별로 놀랄 일이 못되는 것이다.”(183b 31-32, <소피스트 논박> 김재홍 역, p.239) 그리고 아리스토텔레스는 <수사학>에서도 트라시마코스가 재치 있는 직유법에 능하다고 언급하고 있고(III 11, 1413a5-10), 헤로디코스라는 사람이 그에 대해 ‘이름 그대로(thrasys) 논쟁에서 늘 건방졌다’고 말했다는 내용도 전하고 있다.(II. 23, 1400b17-23) 한편,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치학>에도 아이올리스의 소도시 퀴메(Kymē)에서 민주정을 전복시킨 사람으로 트라쉬마코스라는 이름이 나오지만, 시기 관련한 전후 내용의 맥락상 우리가 말하는 같은 인물로 보이지는 않는다.(V. 1304b-1305a)

이밖에 할리카르나소스의 디오뉘시오스는 트라쉬마코스가 ‘다양한 수사적 기술을 가졌고 순수하고, 섬세하며, 창의적이고, 능력 있는 사람이었다.’고 전하면서도 그가 소책자나 과시용 연설문 외에 후세에 남길만한 어떤 책도 쓰지 않았다는 점에서 ‘예리하고 똑똑한 뤼시아스에는 못 미치는 2급 연설가’라고 평하고 있다.(<peri Isaeos> 20) 그리고 그는 트라시마코스가 아테네의 보수적인 상류층 한 젊은이를 위해 써준 연설문의 서두로 보이는 제법 긴 조각글 하나를 전해 주고 있기도 하다(Fr. 85B1 DK). 그리고 비잔틴의 <수다>(Suda)에는 그가 플라톤과 이소크라테스의 제자였다는 기록도 있으나 이를 받아들이는 사람은 없다. 그런데 이 모든 전승에도 불구하고 그곳 어디에서도 <국가> 제1권에 실린 정의에 관한 그의 대담한 주장과 연관된 내용은 발견되지 않는다. 어쩌면 플라톤은 <국가>에서 자신이 반드시 혁파하지 않으면 안 될 대상의 하나가 소피스트들인 한, 그 대표로서 기원전 5세기 대화상정 시기 전후해서 이름을 날리던 트라쉬마코스를 소환했을지도 모른다.

 

클레이토폰(Kleitophōn)

아리스토뉘모스의 아들이며 아테네 정계에서 활동했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아테네 정치 체제>(Athēnaiōn politeia)에서는 펠로폰네소스 전쟁 말기의 아테네 정치 정황과 관련한 그의 행동에 대해 두세 번 언급되어 있는데 그곳에 나타난 행적으로 미루어 보면 그는 넓은 의미에서 민주파에 속하면서 그 중에서 보수파에 속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국가>에서 그는 트라쉬마코스를 지원하여 소크라테스를 지지하는 폴레마르코스와 맞서고 있다. 트라쉬마코스에 관한 그의 입장은 <클레이토폰>에서도 드러나 있다. 기원전 405년에 상연된 아리스토파네스의 <개구리> 에서 아이스퀼로스와 논전을 벌이던 에우리피데스는 아이스퀼로스와는 대조적으로 자신에게서 섬세하고 정치한 교양을 배우는 “나의 제자”로서 클레이토폰의 이름을 거론하고 있다.

 

글라우콘(Glaukon)

아리스톤의 아들이자 플라톤의 형, 아데이만토스의 남동생이다. 아데이만토스와 함께 본 대화편의 주요한 등 인물로 등장하며 특히 제2권의 처음부터 중요한 문제를 제기한 이래 끝까지 아데이만토스와 교대로 소크라테스의 이야기 상대역을 맡고 있다. 덧붙여 이 두 명의 형제는 <파르메니데스>의 서두 부분에도 나오고, 그들의 의붓 형제(아버지가 다른 남동생) 안티폰을 소개하는 역할도 하고 있다. 글라우콘의 생존 연대에 관해서는 자세한 것은 알려져 있지 않지만, <국가>에서(368a) 그는 아데이만토스와 함께 메가라 전투에서 무훈을 세웠다는 경력이 언급되고 있다. 이 메가라 전투는 투퀴디데스(<역사> 제4권72)에 기록되고 있는 기원전 424년의 전투일 수도 있고 아니면 아담(368a의 주)과 그 밖의 사람들이 말하듯이, 디오드로스(13의 65)에서 언급되고 있는 기원전 409년의 메가라 전투일 수도 있다. 그 어느 경우이건 당시 벌써 병역에 복무하여 무훈을 세울 정도의 나이였다면 글라우콘과 아데이만토스는 기원전 427년에 태어난 막내 동생 플라톤과는 나이 차이가 상당히 컸다고 생각된다. 이 메가라 전투에 대해 기원전 424년 설을 취할 경우 플라톤은 아직 3살 무렵이 되고, 기원전 409년 설을 취할 경우라 해도 플라톤은 18살 정도가 되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글라우콘은 매우 조숙하여 약관의 나이 20세 무렵 친구나 집안사람들의 제지에도 불구하고 나랏일에 참가하여 의회에서 연설을 시도하기도 했다고 한다. 그러다가 소크라테스를 만나 서로 이야기를 나누면서 드디어 생각이 깨이기 시작했다고 한다.(크세노폰 <소크라테스의 추억> 306). <국가>에서도 그는 “만사에 대해 언제나 제일 담대한” 자로 언급되고 있다.(357a), 그 점은 그가 경쟁심(philonikia)이 있다는 점에서 명예정적인 경향에 가깝다는 언급에서도 엿볼 수 있다.(548d) 이 밖에 그의 성격이나 인품에 대한 언급으로서는 글라우콘이 시가에 대해 능히 말할 수 있는(398c) 자라는 부분도 있고, 사랑에 민감한 사람(474d)라는 부분도 있다. 게다가 459a에는 “내가 자네 집에서 사냥개들과 굉장히 많은 혈통 좋은 새들을 보았다”라는 말도 나온다.

3세기에 저술된 디오게네스 라에르티오스의 <유명한 철학자들의 생애와 사상>(2의 124)에는 ‘아테네인 글라우콘’이 9개의 대화편이 실린 한 권의 책과 그 밖에 위작으로 보이는 32개의 대화편을 썼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 인물은 <국가>에 나오는 글라우콘과 동일인물로 보이긴 하지만, 그러나 그 저작(대화편)이나 그 외의 철학적 활동에 대해서는 아무것도 알려진 것이 없다.

 

아데이만토스(Adeimantos)

아리스톤의 아들, 플라톤의 맏형이다. <소크라테스의 변명>에서 소크라테스는 자신을 돕기 위해서 법정에 온 몇 명 가운데 한 명으로서 아데이만토스와 그의 남동생 플라톤을 언급하고 있다.(34a) 아데이만토스는 맏형으로서 아마도 어린 동생 플라톤을 감독하는 역할을 한 것으로 보인다. (아버지 아리스톤은 플라톤이 어린 시절 죽었다.) 글라우콘을 소개할 때 언급했듯이 플라톤과 연령 차이가 상당히 크다.

제1권이 끝남과 동시에 그때까지 활발하게 논의에 참가하고 있던 다른 사람들은 제5권 앞부분 작은 막간 장면에 잠간 등장했다가 이후 모두 조용히 듣기만 하는 사람들로 그려진다. 이에 따라 제2권 이후 소크라테스를 상대하는 사람은 아데이만토스와 글라우콘 뿐이다. 이것은 플라톤이 불필요한 논의 전개를 가능한 한 억제하고, 자신의 주요 사상을 방해받지 않고 전개 해 나가기 위해 소크라테스에게 ‘호의와 격려로 다른 사람들보다 적합한 답변을 해주는’(474a-b) 사람으로서 소크라테스와 친한 이 형제를 대화상대로 특정한 것이라고 볼 수도 있을 것이다. 어쨌든 플라톤 역시 그 자신 어떤 논지를 펼치든 이의를 달지 않고 품어줄 인물로 가족을 염두에 두었고 결과적으로도 이 기념비적 대작을 통해 형들의 이름을 명예롭게 후세에 남길 수 있었다.

 

* 대화 상정 시기를 410년쯤으로 잡으면 소크라테스(469년생)는 59세, 트라쉬마코스(455년생, 459년생?)는 40대 중반, 글라우콘(445년생. 440년생?)은 35, 30세?, 폴레마르코스(최대 460년생, 최소 450년생?) 최대 50세, 최소 40세, 플라톤(427년생)은 17세

 

* 대화 상정시기를 420년으로 잡으면 소크라테스(469년생) 49세, 트라쉬마코스(455년생, 459년생?) 35세, 글라우콘(445년생, 440년생?) 25세, 20세?, 폴레마르코스(최대 460년생, 최소 450년생?) 최대 40세, 최소 30세, 플라톤(427년생) 7세

“동양 고대 민본주의와 시민(民本과 民主)” [2018 네트워크 시민대학1기 ‘동서양을 아우르는 시민들의 정치 참여’] ②

2018 네트워크 시민대학1기 ‘동서양을 아우르는 시민들의 정치 참여’ ②

2018. 7. 30. 서교동 한철연 강의실

제2강. “동양 고대 민본주의와 시민(民本과 民主)”

강연 : 배기호(충북대 강사)

후기 : 정선우(한철연 회원)

 

  • 춘추전국시대에 제안된 민본주의적 통치 원칙의 규범적 의의를 살펴보고 그것이 과연 현대 민주주의의 원칙과 공존할 수 있는지 살펴본다.

 

“동양에 민주적 전통은 있는가? ‘민주(民主)’와 ‘민본(民本)’은 어떻게 다른가? 민본이 오늘날 우리에게도 유효한 가치와 이념일 수 있는가?”

 

오늘 강의는 이러한 물음들을 중심으로 시작되었습니다. 배기호 교수는 순자(荀子, BC 298~BC 238) 철학을 중심으로 고대 유학 전통에서 민본 사상을 끄집어내고, 그것이 오늘날 우리에게 어떤 의미를 가질 수 있는지에 대해 주목하여 설명했습니다. 성악설에만 가려져 있던 순자 철학에서 ‘위’와 ‘아래’의 문제를 깊게 파고듦으로써 ‘아래로부터의 정치적 참여’라는 메시지로 고대 유학 사상을 재구성한 것이지요.

 

오늘날 정치적 주체가 된 ‘아래’는 ‘위’를 끊임없이 비판적으로 견제하고 감시해야 하며, 정치 주체로서 자리매김하기 위해 권리와 더불어 의무를 자각해야 하고, 공동체의 일원이자 주인으로서 의식 수준을 고양할 필요가 있습니다.

 

순자 철학을 비롯한 고대 유학을 현대적으로 재-음미해본다면, 더 이상 수동적인 대상이 아니라 능동적인 주체로서의 ‘아래’에게 그에 걸맞은 책임과 역할을 요구하는 것이라 해석할 수 있습니다. 특히 “임금은 배고, 백성은 물이다”라는 순자의 말은 강조할 필요가 있는데, 이는 심지어 고대 유학에서조차 백성들이 단지 통치 대상에 불과한 것이 아니라 오히려 나라의 근본이 됨을 밝히는 말이 됩니다.

 

순자 철학을 중심으로 민본을 좀 더 적극적으로 해석하여 우리 현실과 연결 지으면서 시민의 정치 참여가 얼마나 중요하고 의미 있는지가 논의 되었습니다. “길거리의 사람들도 모두가 성인이 될 수 있다”라는 순자의 말을 통해, ‘시민(임)’은 타고나는 것이 아니라 시민적 활동, 즉 참여를 통해 형성되는 것이며, 그것이 누구에게나 해당하고 열려 있다는 점에서 민주적 이념과 통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했습니다. 요컨대, 고대 유학이 표방하는 바를 오늘날 우리의 현실에 맞게 변형하고 적용한다면, 시민의 정치 참여를 북돋우고 올바른 공동체 문화를 만드는 데 기여할 수 있다는 가능성 말입니다.

“서양 고대 그리스에서의 민주 시민의 탄생” [2018 네트워크 시민대학1기 ‘동서양을 아우르는 시민들의 정치 참여’] ①

(사)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18 네트워크 시민대학1기 ‘동서양을 아우르는 시민들의 정치 참여’ ①

2018. 7. 23. 서교동 한철연 강의실

제1강. “서양 고대 그리스에서의 민주 시민의 탄생”

강연 : 김성우(상지대 교수)

후기 : 김상애(한철연 회원)

 

  • 고대 그리스의 직접민주주의 역사를 개관해 보고 그것의 현재적 의미와 실현 가능성을 가늠해 본다.

 

우리 역사에서 수많은 사람들이 민주주의를 달성하기 위해 희생을 감내하며 투쟁했습니다. 그리고 그들이 흘린 피는 지금 우리가 민주주의 사회에서 살 수 있는 바탕이 되었습니다. 하지만 체제로서 민주주의는 과연 결함 없는 완벽한 정치체제일까요? 과거 세계 대전과 대량학살을 일삼았던 독일의 히틀러, 그리고 현재 인종주의와 성차별주의를 내세우면서 분리주의를 옹호하는 미국 대통령 트럼프가 당선된 것이 모두 민주적 절차인 투표를 통해 정당하게 얻어진 것입니다. 이를 생각하면 민주주의에 대한 물음은 커집니다. 우리나라에서도 재작년 전국을 뒤흔든 국정농단 사건, 최근 연이은 정치인들의 성폭력 문제들, 그리고 제주도를 통해 입국하려는 난민들을 둘러싼 문제들은 민주주의의 결함들을 마주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이처럼 민주주의는 결함 없는 완벽한 정치체제라고 단언하기 어렵습니다. 그렇다면, 우리가 맞닥뜨린 민주주의의 결함이 그 자체 본질적인 문제이므로 민주주의를 폐기하고 새로운 정치체제를 채택해야할까요? 아니면 그 결함이 민주주의 자체 문제가 아니라, 민주주의 실현과정에서 발생한 수정 가능한 외적인 문제로 반성과 변혁이 필요한 것일까요?

 

(사)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18 네트워크 시민대학 1기 ‘동서양을 아우르는 시민들의 정치 참여’ 첫 번째 시간, 김성우 교수는 민주주의의 결함에 대한 위의 질문에 대한 대답을 고대 그리스 철학자 플라톤(Plato, BC 427~BC 347)과 현대 정치철학자 한나 아렌트(Hannah Arendt, 1906~1975)에서 찾아봐야한다고 얘기합니다. 민주주의가 발생한 고대 그리스 사회로 돌아가 이 문제를 고민해보고, 이 시스템을 현대적으로 해석한 아렌트의 새로운 이해를 엿보았습니다. 같은 주제에 대해 플라톤은 독재자의 등장과 그에 대한 예속과 같은 결함은 민주주의의 자연스러운 귀결이라 보았다고 합니다. 반면에 아렌트는 “이소노미아(isonomia)”, 즉 평등한 자유로부터 민주주의의 본질을 찾았습니다.

 

아렌트가 주목한 이소노미아는 장자의 ‘무치(無治)’와도 관련 있습니다. 이소노미아의 주 특징은 지배와 피지배 관계가 없다는 것, 인간의 평등은 본질적인 것이 아니라 우리가 만들어나간다는 것입니다. 장자의 무치주의는 비록 이소노미아와 다르게 ‘인위’보다 ‘자연’에 바탕을 두고 있지만, 지배와 피지배의 계급사회를 비판한다는 점에서 이소노미아와 비슷합니다.

 

강의가 끝난 뒤에는 시민대학에 참여해주신 수강생들의 열띤 토론 시간을 가졌습니다. 위에서 제기한 문제, 즉 “민주주의체제에서 발견된 결함은 본질적인 것인지, 수정 가능한 외적인 것인지” 뿐 아니라, “현대사회의 문제점들을 이소노미아와 무치주의로 극복할 수 있을지”, 그리고 “철학자와 그가 제시한 철학의 에토스와 파토스를 시대적 한계와 어떻게 관련지어 생각해야할지”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과연 이소노미아는 멀리 있는 것일까요?

 

 

플라톤의 『국가』 강해 ① [이정호 교수와 함께하는 플라톤의 『국가』] 1

<아래>

  1. 개강일 : 2018년 8월 1일(수요일)부터 매주 수요일 상설 강좌로 진행
  2. 장 소 : 사단법인 정암학당 서울연구실(서초구 방배동 795-25)
  3. 강 사 : 이정호(정암학당 이사장, 방송대 문화교양학과 명예교수)
  4. 대 상 : 학당 회원, 방송대 동문, 일반 시민
  5. 텍스트 : 플라톤의 <국가>, 박종현 역주, 서광사
  6. 방 식 : 텍스트를 천천히 읽어가며 90분 강의한 후 질의응답시간을 갖는다. 정치철학적 문제를 중심으로 강의하되 회원들의 관심사에 맞추어 진행한다.

 

[서 론]

  • 강좌의 취지

철학사를 통해 플라톤 철학만큼 많이 다루어진 철학도 없을 것이다. 그에 따라 철학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이라면 그에 대한 크고 작은 나름의 지식을 가지고 있다. 플라톤의 <국가>와 관련해서는 특히 그러하다. 그러나 그에 대한 지식과 정보가 주어지는 경로를 들여다보면 대부분의 경우 플라톤에 관한 철학사나 해설서 등에 의존해 있고, 직접 플라톤이 쓴 작품 자체를 통해, 있는 그대로의 플라톤을 만나는 경우는 생각보다 그리 많지 않아 보인다.

사실 플라톤의 작품들이 워낙이 방대하고 형식과 내용 또한 체계적이지도 평이하지도 않은데다가 플라톤의 우리말 역본 자체가 얼마 전까지만 해도 대부분 중역본이어서 더욱 그러했을 것이다. 그래서 본 강의는 무엇보다도 플라톤의 텍스트를 천천히 읽어가면서 철학 작품이자 문학 작품이기도 한 그의 텍스트를 인문학적 감수성을 가지고 그 드라마틱한 역동성을 직접 체험해가면서 그의 생각과 목소리를 있는 그대로 직접 만나보고 함께 생각해보는 것을 기본 목적으로 한다. 사실 플라톤 철학 전문 연구자들은 플라톤의 텍스트를 학술적인 관점에서 분석적으로 연구하는 것을 주 임무로 삼고 있지만, 어떤 동기에서건 플라톤 철학을 알고 싶어서 여기 이 자리에 오신 일반 독자 분들로서는 플라톤의 텍스트에 대한 전문적인 연구보다는 플라톤 텍스트를 자기가 느끼고 생각하는 방식으로 직접 읽어가면서 플라톤과 주체적으로 만나보고 그것이 나와 우리의 삶 속에서 어떤 의미를 갖는 것인지를 음미해보는 것이 보다 큰 관심사라고 생각된다. 그리고 어쩌면 독자 분들이 바로 그러한 방식으로 플라톤을 직접 만날 수 있도록 도와 드리는 것이 우리와 같은 플라톤 전문 연구자들이 기여할 수 있는 중요한 역할 가운데 하나가 아닐까 생각한다. 아무려나 우리 모두 연구자들이 힘들여 번역한 플라톤의 우리말 역본을 펼 때마다 “아! 플라톤이 한국말을 배워 나의 상황과 여건과 요구에 맞추어 친절하게 자기 생각을 들려주려 내 곁에 와 있다.”고 상상하면서 그의 음성, 생각, 고민, 표정을 읽어내고 그 속에서 그와 대화를 나누면서 나의 삶과 철학을 근본에서 다시 음미해보는 시간을 가졌으면 한다.

이를 위해 텍스트를 함께 읽어가면서 최대한 있는 그대로의 의미를 찾아가되 동시에 그것을 최대한 자기 생각과 연관 지어 음미해보는 시도도 병행했으면 좋겠다. 본 강사부터도 그런 태도로 텍스트를 읽어가려고 한다. 그러므로 청자들은 강의를 들으며 시각에 따라 달리 해석될 수 있는 플라톤의 생각, 본 강사의 생각을 자유롭게 자기 식으로 이해하고 고민해가면서, 주체적으로 자기 생각의 깊이와 의미를 하나하나 차근차근 형성해 나갔으면 한다. 물론 강좌에 참여하는 분들의 그러한 노력과 기대에 제대로 부응하기에는 강사의 역량이 크게 부족하기는 하지만 어떻게든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고민하고 노력하면서, 처음 설정한 강의의 기본적인 취지를 변함없이 잘 견지해가며 강의를 진행하려 한다. 그리고 방침상 최대한 플라톤 철학 전체에 대한 논의는 줄이고 천천히 텍스트를 읽어가며 세세히 음미하는 방식으로 진행은 하겠지만, 군데군데 플라톤 철학 전체에 대한 이해가 요구될 경우에는 적절히 그와 관련한 설명과 토론도 병행할 것이다. 다만 제목을 비롯하여 집필시기, 대화상정 시기 그리고 그 시기들의 역사적 배경과 등장인물 등에 대해서는 간략하게 나름의 관점에서 먼저 설명을 드리고자 한다.

앞으로 텍스트를 매우 천천히 자세하게 읽어가기 때문에 전체를 빨리 독파하고픈 청자들에게는 답답하고 마음에 들지 않을지도 모른다. 그래서 어쩌면 이 책을 다 읽어내는 데 수년이 걸릴지도 모른다. 그렇지만 청자들과 강사 모두 플라톤의 <국가>를 이러한 공개강좌의 형식으로 처음부터 끝까지 다 읽어내려는 시도가 아마도 처음이기도 한 만큼, 한 번쯤 도전해보는 것도 좋겠다는 긍정적인 생각을 갖고 최대한 즐겁게 함께 읽어 나가기로 하자.

 

  1. 제목 소개

플라톤의 대화편 가운데 통상 우리가 <국가>로 옮기고 있는 책의 그리스어 원제목은 폴리테이아(politeia, πολιτεια)이다. 그런데 흥미롭게도 그 말을 사전에서 찾아보면 제일 먼저 나오는 게 ‘시민적 삶’(civic life), ‘시민의 조건과 권리, 시민권’(the condition and rights of citizen, citizenship)이라는 뜻이다. 또 그 말의 동사적 어원인 politeuō라는 말을 함께 찾아보면 ‘시민으로 살다’(to live as a citizen), ‘나랏일에 참여하다’(to take part in the government)라는 뜻으로 풀이되고 있다. 이것은 ‘폴리테이아’라는 말의 일차적인 의미가 기본적으로 ‘시민생활과 정치생활을 하나로 여긴 고대 그리스인들의 삶의 방식’임을 잘 보여준다. 물론 ‘폴리테이아’라는 말에는 우리말 제목과 역어가 보여주듯이 제도로서의 ‘국가의 정치체제(the constitution of a state), 정부 형태(a form of government), 정치 조직(civic polity)’이라는 뜻도 포함하고 있다. 그럼에도 우리가 플라톤의 <폴리테이아>라는 책의 제목을 소개하면서 ‘삶의 방식’으로서 그 말의 일차적 의미부터 꺼내 드는 것은 ‘폴리테이아’라는 말의 의미를 통상 우리가 생각하듯이 단순히 ‘정치체제’라는 뜻으로만, 특히 오늘날 법률적·제도적 의미에서의 정치체제 같은 것으로 이해할 경우, 플라톤의 <국가>를 제대로 이해하는데 방해가 될 수 있다는 것을 강조하기 위해서이다.

실제로 플라톤은 <국가>에서 ‘폴리테이아’라는 말이 가지고 있는 위와 같은 중층적 의미를 보다 명확하게 드러내기 위해, 아예 ‘폴리테이아’라는 표현 자체를 ‘시민의 사회적 정치적 삶의 방식’과 ‘시민으로서 개인의 내적 삶의 방식’이라는 두 가지 의미로 함께 사용하여, 그것들이 결코 구분될 수 없는 하나의 통일적인 ‘시민의 생활방식’임을 적극적으로 천명하고 있다. 즉 플라톤에게 ‘시민적 삶의 방식’이란 폴리스의 안전과 가치의 구현을 위한 ‘정치적 활동 방식으로서 폴리테이아’임과 동시에, 시민의 일원으로서 자신의 능력과 자질을 극대화하고 그것을 통해 자신의 행복을 보전하기 위한 ‘개인의 내적 삶의 방식으로서 폴리테이아’였던 것이다. 물론 앞에서 언급한 대로 고대 그리스에서는 기본적으로 시민생활이 곧 정치생활이었다는 점에서 폴리테이가가 갖는 복합성은 그 자체만으로도 어느 정도 드러나 있는 것이기는 하지만, 플라톤은 삶의 방식의 두 가지 측면이 갖는 유기적 통일성을 영혼론이라는 자신의 고유한 관점을 토대로 더욱 부각시켜, 그의 정치사상의 요체로서는 물론 <국가>의 논의 전체를 풀어나가는 기본 토대이자 중심축으로 삼고 있었던 것이다. 이 점은 앞으로 책을 읽어가며 자세히 살펴보겠지만 플라톤의 <국가>, 플라톤의 정치철학을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한 관건이자 기반이 된다.

요컨대 플라톤의 <국가>의 원제목으로서 ‘폴리테이아’는 굳이 풀어서 말하자면 ‘나랏일에서건 개인의 내적 영혼에서건 그것을 구성하고 있는 상호 의존적인 요소들을 가장 바람직하고 훌륭한 상태로 조직해내는 원리 내지 활동 방식’을 의미한다. 그리고 그것을 다스림 일반이라는 확장된 의미에서 ‘정치체제’라는 말로 바꿔 말하자면, 플라톤의 폴리테이아는 ‘나라를 다스리는 통일적 운용원리이자 방식으로서 법률적·제도적 정치체제’를 의미할 뿐만 아니라, ‘개인의 내부에 자리하고 있는 다양한 욕망들을 통일적으로 다스리고 운용하는 이른바 영혼 내부의 심리적 정치체제’를 의미하는 것이기도 하다. 그래서 플라톤은 <국가>에서 과두정, 민주정, 참주정 등 개별 폴리테이아를 지시하는 개념들을 가지고 과두정적인 사람ho oligarchikos, 민주정적인 사람ho dēmokatikos, 참주정적인 사람ho tyrannikos 등 개인의 생활방식을 표현하는 말로도 함께 사용하고 있다. 그곳에서 폴리테이아는 개인의 내적 생활방식 즉 개인들 각각의 내적 영혼들 간의 관계를 조직하는 원리 내지 방식의 의미를 가지고 있는 것이다. 플라톤에게 있어 이른바 통치 또는 다스림(archein)이란 나랏일에서건 개인의 영혼에서건 그것을 구성하고 있는 각기 다른 계층 내지 기능들의 ‘최선의 조화와 공존’을 위한 활동인 것이다. 이 두 가지 내적·외적 정치체제는 앞으로 상호 밀접하고도 유기적인 연관관계를 맺으면서 플라톤의 정치철학의 고유한 특색을 더욱 분명하게 드러내 주겠지만, 미리 언급하자면 우리가 플라톤의 정치철학을 ‘영혼의 정치철학’으로 부르고, 또 ‘정치철학이자 도덕 심리학’이라고 부르는 이유도 ‘폴리테이아’라는 말이 가지고 있는 위와 같은 복합성 내지 중층성에서 연유한다고 할 것이다.

 

‘플라톤의 <국가> 강해 ②’에서 계속…

슐라미스 파이어스톤(上) [페미니즘 고전들을 찾아서]

 

9. <성의 변증법>, 슐라미스 파이어스톤(上)

 

이지영 (한국철학사상연구회 여성과 철학 분과)

 

슐라미스 파이어스톤은 1960년대에 시작된 소위 ‘여성주의 제2 물결’을 대표하는 이들 중 한 명이다. 그는 1945년 캐나다 오타와에서 유대인 부모의 여섯 자녀 중 둘째로 태어났다. 이후 미국으로 이주하여 몬태나주 캔자스시티에서 자라났다. 격동의 60년대에 워싱턴대학교를 졸업한 후, 시카고 아트 인스티튜트(ArtInstitute of Chicago)에서 회화를 공부하였다. 1960년대는 한국 전쟁 후 잠시 소강 상태를 보였던 동서 냉전이 다시 격렬해져 당시 소련과 미국 사이의 대립이 핵전쟁 불사의 일촉즉발의 상황을 연출하던 시기였다. 특히 미국이 주도했던 베트남 전쟁은 60년대 내내 미국을 괴롭혔다. 이런 분위기 속에서 냉전의 위협과 길고긴 전쟁에 회의감을 느낀 청년세대는 기성 세대의 권위주의에 격렬하게 저항하는 새로운 청년 문화를 형성했다. 68운동, 프라하의 봄, 반전 운동, 인권 운동, 흑인 해방 운동, 학생 운동에서 우드스톡 페스티벌로 대표되는 히피 문화에 이르기까지 그 양상은 무척이나 다양했다. 20대를 이와 같은 분위기에서 보내며 학생 운동에 참여하기도 했던 경험은 파이어스톤으로 하여금 모든 사회 문제 중에서 ‘페미니즘의 문제를 여성들의 최우선적 과제로 볼 뿐 아니라 더 큰 혁명적 분석에 있어서도 가장 중심적인 문제로 바라보는 급진적 페미니즘(radical feminism)’으로 이끌었다.

이 시대 서구의 젊은 여성들은 여타 사회 운동들에 적극적으로 참여했으나 모든 사회 운동에서 여성 문제는 주변부적이고 부수적인 것으로 취급당하거나 더 나쁘게는 “여성”에겐 아무 문제가 없는 것으로 외면당했던 것이다. 예컨대 “자신의 억압을 중심으로 하는 풀뿌리 운동 조직, 피 흘리는 대중에 기반할 필요성, 지도력과 권력 놀음의 종식”을 내세웠던 흑인 운동조차도 이 중요 원칙을 여성들에겐 적용하지 않았다. 흑인 운동에서 흑인 여성은 단지 보조자였고, 발언권이 적거나 없었으며, 흑인 남성들은 흑인 여성 위에 군림하고 명령했다. 여성들은 자신들이 억압받고 있었기 때문에 억압받는 이들의 처지에 누구보다도 크게 공감하고 이들의 해방 운동에 헌신할 수 있었으나 그 운동들은 정작 여성 자신의 해방에는 별반 도움이 되지 않았던 것이다. 이러한 경험은 파이어스톤의 기념비적 저작 『성의 변증법』에 잘 녹아있으며 이 책의 근본 정신의 토대를 형성했다.

 

  • 페미니즘 제 1물결, 자유주의 페미니즘을 넘어 여성 억압의 본질적 구조로

 

파이어스톤은 『성의 변증법』 서두를 다음과 같이 시작한다.

“성적 계급(class)은 보이지 않을 정도로 뿌리가 깊다. 그것은 약간의 개혁이나 여성의 노동 세력으로의 완전한 통합에 의해 해결될 수 있는 피상적 불평등으로 보일지도 모른다.”

파이어스톤은 여성을 하나의 계급이라고 선언한다. 여성의 억압에서의 해방은 약간의 개혁 즉 파이어스톤 당대까지 지속되었던 자유주의 페미니즘의 슬로건이라 할 수 있는 “남성과 동등한 법적 대우를, 여성에게 참정권, 취업권, 재산권을!”이라는 슬로건의 실현으로 쟁취될 수 없는 것이었다. 여성 참정권 운동을 대표적 실천 운동으로 손꼽을 수 있는 자유주의 페미니즘은 여성들이 자유로운 선택에 따라 남성과 동등해질 수 있다고 생각했다. 이들은 여성에게 남성과 동일한 법적 권리, 교육의 기회 등이 주어져야 하며 이에 따른 결과로 남성과 동등하고 자유롭게 자신의 삶의 문제를 선택할 수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18세기 서구에서 시작된 이들의 희생적 실천 운동이 여성의 지위 향상에 기여한 바가 적지 않으나 이들은 남성을 인간의 이상적 기준으로 생각하였다는 비판을 받고 있는 것은 물론이거니와 참정권 등이 실현되자 여성 운동은 1960년대가 오기까지 오랜 침묵의 시간을 맞게 된다. 여성은 남성의 정치 운동의 부수적 역할을 맡아 남성 기득권 강화에 기여하거나, 여성의 직업으로 특화된 남성 보조적인 하위 직업에 종사하며 착취당하거나, 가정에서 어머니 모성의 가치 있음을 실현시키기 위해 분투하면서 갈팡질팡했다. 앞서 미국 흑인 인권 운동의 예를 들어 살펴보았듯 여성이 참정권 등을 얻고 고등 교육을 받게 되었다고 해서 여성의 지위가 크게 달라지지 않았던 것이다. 법적 지위의 문제와 무관하게 일상의 모든 곳에 뿌리 깊게 스며들어 있는 여성 억압은 정치, 사회, 문화 전방위적 분야에서 계속되고 있었다.

파이어스톤은 이와 같은 사정이 이전 여성주의 운동이 여성 억압의 문제에 피상적으로 접근한 까닭이라고 파악한다. 여성 억압은 단지 이상적 지향점을 설정하고 그것을 성취한다고 얻어질 수 있는 것이 아니었다. 그것은 맑스-엥겔스가 그러했듯 변증법적 유물론의 과학적 분석 방식을 통해 억압의 본질을 파악하는 방식으로 접근해야만 하는 것이다. 파이어스톤은 엥겔스의 『가족, 사유재산 그리고 국가의 기원』에서 여성 억압의 문제를 다룬 것이 불충분한 시도였다고 지적한다. 그것은 인간의 역사를 ‘생산 양식과 교환 양식의 변화, 사회의 계급 분화와 계급간의 투쟁’을 통해서 설명하면서 여성의 억압에는 이런 경제적 여과기라는 틀에 걸맞는 방식을 통해서만 접근했던 것이다. 지배 계급과 노동 계급, 이들 두 계급의 투쟁사라는 역사 분석은 불충분하다. 이 기저에 존재하는 것은 남성 계급과 여성 계급 사이에 존재하는 지배와 착취라는 보다 근본적이고 본질적인 억압의 역사다. 따라서 다만 여성이 노동의 전면에 나서고 온갖 법적 권리를 얻는다고 해서 여성의 진정한 해방이 올 것을 기대해서는 안된다.

 

  • 여성 억압의 근본 원인 생물학적 조건, 생식능력과 육아

 

노동 계급에 대한 착취보다 오래되고 고질적인 것은 여성에 대한 착취와 억압이다. 이것은 남성 계급과 여성 계급의 생물학적 차이에 기인한다. 아이를 낳고 키운다는 생물학적 차이, 아이를 임신하기 위한 기관 발달이 무력을 약화시키고 임신과 육아의 긴 시간 더욱 더 무력해질 수밖에 없다는 이 자연적 사실이 인간 최초의 불평등 구조의 핵심이다. 이러한 기능의 차이는 여성의 생식 능력을 숭배하는 드믄 곳에서조차 남성의 여성 착취와 지배를 필연적으로 발생시킨다. 생물학적인 관계로 이루어진 한 가족에는 이처럼 자연 본질적 불평등한 힘의 분배가 내재해 있다. 남성과 여성의 자연적 생식 차이는 모든 계급 제도의 전형이자 최초의 노동 분업의 형태이다. 또 맑스-엥겔스가 파악한 인간의 역사로서의 노동 계급과 지배 계급의 투쟁의 역사, 그 악의 근원인 사유 재산 제도의 자연적 근거이자 권력욕의 근원이다. 여성의 생물학적 조건에서의 해방 없이 여성의 진정한 해방은 물론이거니와 인간의 진정한 자유와 평등, 해방은 불가능한 꿈인 것이다.

생물학적 힘의 불균형이 여성의 필연적 패배를 의미하지 않는 것은 인간이 물리적 힘의 지배를 그대로 수용하는 동물이 아니란 점에서 지당한 것이다. 인간은 정의(justice), 도덕 관념과 자연 과학의 발전을 통해 동물 상태에서 지속적으로 벗어나는 길을 걸어왔다. 만일 물리적 힘의 지배라는 자연의 질서를 그대로 옳음으로 수용하고 그것이 곧 정의였다면 인간은 여전히 노예제 사회에서 벗어나지 못했으리라. 그리고 자연의 잔혹한 질서의 인간적 개편에 자연 과학의 발전이 엄청난 기여를 해왔다는 것은 맑스-엥겔스의 유물 사관의 하부-상부 구조의 변화 분석 또한 입증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이는 맑스-엥겔스가 그들의 불충분한 변증법적 유물사관을 통해 인간의 해방을 위해 생산 수단의 노동 계급의 점유를 말했던 것처럼 여성의 해방을 위해서는 생식 수단을 여성이 완전히 점유해야만 한다는 것을 말해준다.

소유자(Eigner)와 ‘친숙하지-않음’(Un-heimlichkeit)은 초-자아(das Über-Ich)이다. [유령(Spuk)을 파괴하는 슈티르너(Stirner)]

소유자(Eigner)친숙하지않음’(Un-heimlichkeit)은 초자아(das Über-Ich)이다.

 

1) 신성한 것(Heiligen)경외심(Ehrfurcht)이고 두렵고 낯선 것(Unheimlich)이다.

 

우리는 이미 책의 제목인 ‘유일자’(Einzigen)에 대해 살펴보았는데, 저작의 다른 곳에서 그는 개별자(Einzelnen), 자기 소유자(Eigenen, self-owned,106, 254)라는 표현도 사용한다. 결론적으로 이 말들은 모두 소유자(Eigner) 내지 에고이스트(Egoisten)란 말과 연관되어 있다. 그럼, 다시 유일자를 ‘소유자’의 모습 속에서 찾아보도록 하자.

 

당신이 어떤 존경 혹은 경외(공경하면서 두려워함Ehrfurcht)를 품는 모든 것은 신성한 것(Heiligen)이라는 이름을 얻는다. 당신 자신조차, 당신은 그것을 살짝 건드리며 “신성한 두려움”(heilige Scheu)을 느낀다고 말한다. 그리고 당신은 신성하지 못한 것에게조차 이러한 색체를 갖게 한다(교수대, 범죄 등등.). 당신은 바로 신성한 것의 접촉이 무섭다. 그 점에 있어서 신성한 것은 두렵고 낯선(Unheimlich) 어떤 것, 다시 말해 친숙하지 못한 것(Unheimisches) 혹은 자신의 것이 아닌(Uneigen) 어떤 것이 있다.(78)

 

여기서 먼저 알 수 있듯이 신성한 것은 자신의 것이 아닌 것이다. 그러나 “어떤 존재물(Ding)도 스스로 신성한 것은 아니고, 오히려 내가 어떤 것에 대한 신성의 선포(Heiligsprechung)에 의해, 나의 선언, 나의 판단, 나의 무릎 굽히기에 의해, 한마디로 말하면 나의-양심에 의해 신성한 것이다.”(77) “그것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사실이 필요하다. 사람들은 자신의 외부에 어떤 것을 더 강력한, 더 큰, 더 정당한, 더 나은 것 등등으로 간주한다는 것, 다시 말해 어떤 낯선 힘을 인정하고, 그 다음에 그 낯선 힘(Macht eines Fremden)을 단순히 느끼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명확하게 인정하는데, [78]다시 말해 낯선 힘을 시인하고, 그것에게 자리를 내주어, 항복하고, 자신을 속박하도록 한다(헌신, 겸손(Demut), 굴종, 공순 등등)는 것이다.”

이렇듯 신성한 것은 자신의 신성의 선포에 의해 가능한 것이고 그것을 내가 낯선 힘으로 시인할 때 가능한 것이다. 그래서 신성한 것은 두렵고 낯선 것이고 친숙하지 못한 것이며 나의 것이 아니다.

 

 

2) 신성한 것은 두려운 낯선 것’(Unheimlichkeit)이고 친숙하지않음’(Un-heimlichkeit)이다.

 

또한 슈티르너는 신성한 것의 특징을 낯섦으로 보고 있는데, 이러한 특징을 ‘자신의(eigen) , 곧 소유자의 모습과 대립시켜 논의하고 있다.

 

낯섦(Fremdheit)은 ‘신성한 것들’의 특징이다. 모든 신성한 것에는 어떤 ‘두렵고 낯선 것’(Unheimliches), 다시 말해 낯선 것(Fremdes)이 놓여있다. 우리는 그 낯선 것 안에서 전혀 친숙하지(heimisch) 않고 익숙하지(zu Hause) 않다. 나에게 신성한 것은 나에게 자신의(eigen) 것이 아니다.(40)

 

unheimlich는 원래 뜻은 “섬뜩한”, “으스스한”이다. 데리다는 프로이트 이래 현대 이론가들은 이 단어를 복합적으로 사용하였다고 본다. 이 단어가 “Heim”, 곧 “집”, “고향”, “조국” 등을 의미하는 단어에서 유래했고, 이 단어 안에 이러한 뜻을 내포하고 있는데, 친숙한 것, 국민적인 것(heimlich)에 가장 낯선 것, 위협적인 것이 있다. 프로이트는 Unheimlichkeit을 “두려운 낯선 것”으로 파악한다. 이 단어를 그대로 분철하면 Un-heimlichkeit은 “친숙하지-않음”, 또는 “낯선 친숙함”이다. 데리다는 『에코그라피』 226쪽 이하에서 프로이트를 설명하면서 “두려운 낯선 것”은 언제나 이미 존재해 왔기에 친숙한 것이라는 점을 들어 unheimlich와 heimlich의 대립을 해체한다. 이렇듯 이 단어에 내재한 의미는 역설적이다. 곧 두려운 낯선 것은 친숙하지 않음, “낯선 친숙함”이다. 그런데 위 단락에서 알 수 있듯이, 이미 슈티르너가 사용하는 이 단어도 프로이트의 사용법을 함축하고 있다. “두려운 낯선 것”은 “낯섦(Fremdheit)이고 “낯선 친숙함”이다. 슈티르너는 여러 곳에서 ‘유령’, ‘인간’을 두렵고 낯선 것으로 이해한다.(37쪽, 44쪽, 78쪽 참조)

또한 unheimlich와 heimlich의 대립의 해체는 이미 위의 인용문(78쪽)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아래의 문장도 같은 의미로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우리는 이제 어디에서나 우리에게 친숙하게(heimisch) 느꼈고 더 이상 두렵고 낯선 것(Unheimlichen), 다시 말해 신성한 것과 신성한 전율(Schauer)을 느끼지 않았다는 거만한 망상이 생길 것이다.(311쪽)

 

질문하지 않을 수 없다. 우리에게 친숙하지만 두렵고 낯선 것은 무엇일까? 국민적인 것(heimlich)은 아닐까? 그것은 가장 낯선 것, 그래서 위협적인 것일 것이다. 우리에게 친숙한 것은 가족, 애인, 고향, 국가, 사회, 도덕, 인간, 학교, 교육 등등 이라면, 그것들은 또한 우리에게 가장 낯선 것이고, 두렵고 낯선 것은 아닐까?

 

3) 신성한 것(Heiligen)은 두려운 낯선 것(Unheimlichkeit)이고 자아(das Über-Ich)이다.

 

그는 ‘자연스러운 두려움(Furcht)’과 “신성한 두려움” 곧 경외심(Ehrfurcht)을 구별한다. 요컨대 두려움은 해방의 여지가 있지만 경외심은 자아를 지배하는 내적인 힘이다.

 

두려움에는 간지(奸智:List), 기만(Betrug), 책략(Pfiffe) 등을 통해 두려웠던 것으로부터 자신을 해방시키기 위한 시도가 여전히 남아있다. 이와 반대로 경외(공경하면서 두려워함Ehrfurcht)는 완전히 다르다. 경외에는 두려워 할뿐만 아니라 존경하는(geehrt) 것이다. 이를테면 두려웠던 것은 내가 더 이상 빼앗을 수 없는 내적인 힘(Macht)으로 되었던 것이다. 나는 완전히 그 권력의 지배권 안에 존재하고….. 나와 두려웠던 것은 같은 것(eins)이다.(78)

 

신성한 것은 에고이스트가 접근할 수 없어야만 하는 모든 것이고, 에고이스트의 (Gewalt) 밖에 있어서, 다시 말해 에고이스트보다 위에 있어서 건드릴 수 없는 모든 것이다. 한마디로 말하면 신성하다는 것은 모든 양심의 문제(Gewissenssache)이다.(77)

 

‘신성한 것’은 프로이트(Das Ich und das Es, 1923; 슈티르너의 저작은 1844년에 출판되었다)이래로 간단명료한, 더 현대적인, 익히 알고 있는 표현인 초-자아(das Über-Ich)이다(Bernd A. Laska, Der “Eigner” bei Max Stirner, 46). 따라서 슈티르너의 의미에서 신성한 것은 아이에게 그때그때의 (우연적인)사회의 최초에 낯선, 투사된, 내면화된, 규범적 구조로 나타난다. 그리고 신성한 것은 지금까지의 모든 교육의 본질적 결과물이다.(Bernd A. Laska) 우리의 교육은 어떤가? 우리들은 소유자인가? 아래의 글을 음미해 보자.

 

이제 인간은 더 이상 창조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배우는(알고 있는, 연구하는 등등) 것인데, 다시 말해 어떤 고정된 대상에 전념하고, 그것에 침잠(沈潛)하여, [79]자기 자신으로 되돌아오지 않는 것이다. 이러한 대상과의 관계는 폐지의 관계(Auflösens)(제거의 관계 등등)가 아니라, 앎의 관계, 근본을 캐는 관계이고 토대를 굳히는 관계 등등이다.

 

우리는 기존의 교육에 대해 어떤 관계를 취하고 있었고 있었어야만 했는가? 고정된 대상에 대한 침잠의 관계인가? 아니면 고정된 대상과의 폐지인가? 신성의 선포(Heiligsprechung)인가? 아니면 탈신성화인가?

마지막으로 지금까지 살펴본 ‘소유자’의 모습은 또한 ‘자율성’(Autonomie)과 관련된다.(‘그 자신의 법칙에 의해 지배되는’을 뜻하는 autonomos을 어원으로 한다. 이 말은 ‘그 자체’를 뜻하는 그리스어 ‘auto’와 ‘법칙’을 뜻하는 nomos의 합성어이다.) 물론 이 단어는 233쪽에서 한번 언급되지만, 이 단어는 자유재량(Willkür)과 자기결정(Selbstbestimmung)과 관련되는 것이며 유일자의 모습을 해명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그래서 이 후에는 다시 자율성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하고 여기서 글을 마무리 하고자 한다.

서재필과 개화운동, 계몽을 통해 근대를 꿈꾸다 [길 위의 우리 철학] – 16

박영미

 

독립문, 자주독립의 열망

독립문역사거리, 사통팔달의 분주한 길 남쪽에 멀찌감치 서서 사방을 돌아보면 북쪽에는 북한산이 양쪽으로 안산과 인왕산이 들어온다. 시선을 조금 내리면 바로 앞에 고가도로에 가려 한 눈에는 볼 수 없는 독립문이 있다. 길을 건너 가까이 가본다. 독립문 뒤로 서재필 동상, 독립관, 3.1운동 기념탑, 그리고 서대문형무소가 있다. 19세기 말 20세기 초 외세의 침탈에 저항한 우리 역사의 흔적과 기억이 모두 모여 있다. 그곳은 중국 사신을 맞이한 자리에 독립문과 독립관을 건립하며 자주독립 열망했던 근대의 꿈이, 일본에 항거한 독립운동가들이 모진 고초를 겪었던 서대문형무소라는 식민지의 좌절이 공존하는 공간이었다.

 

과거의 독립문, 현재의 독립문

 

미국에서 귀국한 서재필은 1896년 <독립신문>을 창간하고 곧바로 독립문과 독립관 건립을 계획했다. 독립관은 모화관慕華館을 보수해서 사용하고, 독립문은 영은문迎恩門 자리에 세운다는 것이다. 모화관은 조선시대 명과 청의 사신을 영접하던 곳으로 갑오개혁이후 사용하지 않아 폐가가 되어 있었고, 영은문은 바로 모화관 앞에 있던 것으로 1895년 철거되어 돌기둥만 남아 있었다. 독립문은 서재필이 프랑스 파리의 개선문을 본 따 설계해서 1897년 11월 준공되었고, 1979년 지금의 자리로 옮겨졌다. 독립문 독립관 독립공원의 건립은 서재필을 비롯한 개화파들이 제안했지만 전국민의 성금을 모아 이루어졌다. 19세기 말 안팎으로 거세게 흔들려 풍전등화風前燈火와 같은 조선의 운명을 붙잡고 싶었던 조선인들의 의지와 열망의 결과물이었던 것이다.

 

“이 문은 다만 중국으로부터의 독립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일본으로부터 러시아로부터 그리고 모든 유럽 열강으로부터의 독립을 의미하는 것이다.”
(1896년 6월 20일자 독립신문 영문판 ‘The Independent’ 사설)

 

 

서재필과 <독립신문>, 계몽의 꿈

전국민의 성금을 모아 독립문을 건립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독립신문>이 있었다. <독립신문>은 19세기 말 제국주의 열강들의 침략에 맞서 문명개화와 자주독립을 주장하고, 근대국가 건설을 목표로 삼았던 서재필이 주도하여 탄생시킨 근대적 신문이다. 서재필(徐載弼, 1864~1951)은 7세 무렵 양자로 입적된 뒤 양어머니의 뜻에 따라 서울로 유학을 떠난다. 외숙인 판서 김성근의 집에 머물면서 북촌의 양반 자제들과 교류하였고, 1880년 무렵 13촌 아저씨뻘인 서광범을 통해 김옥균을 소개받았다. 1884년 김옥균이 주도한 갑신정변에 가담했고 실패하자 박영효 서광범과 함께 일본을 거쳐 미국으로 망명했다. 이때 국내에서 가족들은 역적으로 몰려 자살하거나 참형되었고, 아들도 보살피는 사람이 없어 죽게 된다. 이후 서재필은 미국에서 의학을 공부하고 시민권을 획득했다. 1895년 귀국을 요청받아 돌아 와 개화파와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을 받아 <독립신문>을 창간한다. “나는 우리나라 독립을 오직 교육, 특히 민중을 계발함에 달렸다는 것을 확신하였기 때문에 우선 신문 창간을 계획하고 당시 내무대신인 유길준에게 그 사정을 말하였더니 자기 개인의 힘으로는 할 수 없으나 국고에서 5,000원을 지출하겠다는 승인서를 받았다. 이것을 토대 삼아 우선 인쇄기를 일본 오사카에서 구입하기로 하고 장소는 정동 미국 공사관 뒤 정부 소유의 빈집을 사용하기로 했다.”(김도태, <서재필박사 자서전>)

 

독립신문 창간호

 

1896년 4월 7일 창간된 <독립신문>은 국문판 3면과 영문판 1면 총 4면, 주 3회 발행, 한글전용 띄어쓰기 언문일치를 실행한 최초의 민간신문이었다. <독립신문>은 창간호 논설에서 창간의 취지를 다음과 같이 강조한다. 1 불편부당하고, 2 양반 상인의 신분차별이나 지방차별이 없이 전 국민을 평등하게 다하며, 3 전국 인민을 공평하게 대변하고, 4 정부정사를 백성에게 알리고 백성의 실상을 정부에 알리어 정부와 백성 사이에 의사소통을 시키며, 5 한글전용과 띄어쓰기를 시행하여 일반국민이 모두 신문을 읽도록 하고, 6 신문가를 저렴하게 하여 일반국민이 구독할 수 있도록 하며, 7 부정부패와 모든 불법행위를 고발하고, 8 영문판을 발행하여 한국의 사정과 한국민의 입장을 세계에 알리며, 9 국민에게 나라 안 사정을 알게 하고, 10 국민에게 외국 사정을 알게 하는 것이다.

 

국민의 계몽을 목표로 한 <독립신문>의 발행부수는 처음 300부에서 곧 500부, 1898년 초에는 1500부, 그해 말에는 3000부로 급증했다. 당시의 구독방식은 지금과는 달리 신문 한 부를 여러 사람이 돌려 읽고 사랑이나 시장에서 낭독하는 것이었으므로 한 부가 최소한 200명에게 읽혔을 것으로 추측하면 그 영향력이 매우 컸음을 짐작할 수 있다. <독립신문>은 1899년 12월 4일 폐간될 때까지 1 국민의 의식과 사상의 ‘개화’, 2 자주독립과 국가이익의 수호, 3 국민의 민권 신장과 수호, 4 한글 발전에 공헌, 5 부정부패 고발, 6 독립협회의 기관지 역할, 7 세계와 한국의 연결과 한국인 시야의 세계적 확대 등에 기여 했다. 무엇보다 가장 주목해야 할 것은 <독립신문>의 한글전용 채택이다. 계몽의 내용이 효과적으로 전달되기 위해서 가장 필요한 것은 누구나 쉽게 읽을 수 있어야 했기 때문이다. 1910년대 후반 동일하게 국민 계몽의 목표를 설정하며 중국의 신문화운동을 이끌었던 <신청년新靑年>이 가장 주력했던 것도 문어체가 아닌 구어체를 사용하자는 백화문白話文 운동이었다. 이러한 취지의 <독립신문> 국문판을 창간부터 책임진 사람은 주시경이었다.

 

독립신문사터(배재학당 근처 표지석과 신아빌딩)

 

독립문을 둘러본 뒤 길 독립신문사의 흔적을 보고 싶다면 마을버스 종로05를 타보자. 독립문 건너편에서 출발한 마을버스는 인왕산 둘레 한양성곽까지 올라간 뒤 내려오며 사직공원 뒤편의 단군성전을 지난다. 그렇게 고불고불 작은 길과 큰 길을 지나 강북삼성병원에 하차해 길을 건너면 정동길이 시작된다. 정동길을 두리번거리며 걷다가 신아빌딩이 보이면 배재학당 방면으로 걸어 올라가자. 배재학당 역사박물관 옆 배재정동빌딩 뒤편에 ‘독립신문사터’라고 쓰인 표식이 있다. 그런데 이곳이 실제 독립신문사 자리였는지는 논란이 있다. 걸어 왔던 길 초입에 있는 신아빌딩 근방에 독립신문사가 있었다는 다른 의견도 있기 때문이다.

 

 

독립협회와 만민공동회, 근대 시민의 길

<독립신문>의 발행 이후 독립문 등의 건립이 자주독립의 의지를 천명하는 상징적 실천이었다면, 독립협회의 창립과 만민공동회의 개최는 <독립신문>의 취지에 부합하는 근대적이며 구체적인 실천이었다. 서재필의 제안하고 여러 개화파 지식인집단이 참여한 독립협회는 1896년 7월 2일 창립한다. 독립협회가 독립문 독립관 독립공원의 건립을 추진하던 초기에는 관료들이 주도를 했지만 1897년 8월 29일 첫 토론회를 시작으로 점차 시민들이 표면에 나서기 시작했다. 독립협회의 토론회는 국민 계몽에 관한 주제뿐 아니라 정부 정책에 대한 신랄한 비판도 포함되었다. 따라서 <독립신문>과 독립협회를 지원하던 정부도 입장을 바꿔 서재필의 해고와 <독립신문>의 폐간을 시도하였다. 토론회는 매주 일요일 3시 독립관에서 개최하고, 논쟁적 주제를 선정해서 찬성과 반대 연사 각 2명이 발표를 하며, 회원들은 토론자로 참가하고 회원이외의 방청인도 참관했다. 정치 경제 사회 문화의 전분야의 문제를 주제로 모두 34회 개최되었으며 제8회 토론회부터는 약 5백 명씩 참여하여 열띤 토론을 했다. <독립신문>의 국민 계몽이라는 목표는 독립협회의 토론회를 거치면서 근대 시민의 탄생과 성장의 가능성을 확인하게 된 것이다.

 

1898년 2월 서재필과 윤치호는 독립협회의 운동을 계몽운동으로부터 민족독립을 지키기 위한 사회정치운동으로 전환한다. 첫 번째 작업으로 황제에게 강국들이 나라를 넘보고 내정을 간섭하여 우리나라를 속국으로 만들 기회를 호시탐탐 노리고 있으므로 국민과 함께 단결하여 밖으로는 자주독립을 굳게 지키고 안으로는 과검하게 내정개혁을 단행할 것을 요청하는 상소문을 올린다. 그리고 3월 10일 종로에서 ‘만민공동회萬民共同會’를 개최한다. 최초의 만민공동회에는 서울 시민의 약 17분의 1인 1만여 명이 운집하여 러시아의 침략정책을 규탄하였다. 이 민중대회에서 미전 쌀장수 현덕호가 회장으로 선출되었고, 연사들의 연설을 들은 민중들은 박수로서 그들의 주장을 지지하였다. 12일에는 독립협회가 주최하지 않은 시민들의 자발적인 만민공동회가 동일 장소에서 개최되었는데 그 수는 더 많아져 수만 명의 민중들이 운집하였다. 이후 독립협회는 의회설립을 추진한다. 근대적 정치제도의 건설에 대한 논의와 운동이 본격화된 것이다. 10월 28~29일 관민공동회를 거쳐 의회설립법이 제정 공포되었지만, 의회가 설립되기 하루 전날인 11월 4일 황제에 의해 개혁정부의 해산, 독립협회 해산과 간부들의 체포 명령이 내려지면서 의회설립의 꿈은 좌절된다.

 

만민공동회

 

만민공동회가 개최되었던 곳은 지금의 광화문과 종각역 사이 종로구 서린동이다. 만민공동회가 열리면 종로의 상인들은 가게문을 닫고 참여했으며, 밥장사는 장국밥을 술장사는 술을 가져왔고, 부자와 거지 가리지 않고 기부금을 냈다고 한다. 이와 같은 이야기가 낯설지 않고 눈앞에 선하게 그려지는 것은 역사의 반복 때문일 것이다. 2016년 가을에서 2017년 봄까지 이어졌던 촛불집회는 만민공동회와 조금도 다르지 않았다. 1898년 12월 1일자 <독립신문>의 사설은 당시 보름 넘게 철야투쟁을 하던 민중들을 “만민들이 충분忠憤을 이기지 못하여 풍찬노숙風餐露宿하며 무한 고생한다”고 묘사했다. 그해 겨울 우리도 120여 년 전 민중들의 열망과 분노로 가득 찼던 그 길 위에 그렇게 서있었다.

 

 

격변의 조선을 각자의 철학으로 지나다

“어제는 멀고 오늘은 낯설며 내일은 두려운 격변의 시간이었다. 우리 모두는 그렇게 각자의 방법으로 격변하는 조선을 지나는 중이었다.”

 

요즘 방영되는 드라마의 한 구절이다. 19세기 한국의 사상지형을 설명하기에도 적절한 말이다. 19세기 사상의 하나는 동학으로부터 동학농민운동에 이르는 민중적 흐름이고, 다른 하나는 초기 개화사상으로부터 갑신정변-갑오개혁-독립협회에 이르는 계몽적 개화의 흐름이며, 또 다른 하나는 앞의 두 가지 모두를 거부한 전통적 위정척사의 흐름이다. 이들을 ‘흐름’이라고 표현한 것은 1850~60년대부터 1900년 초까지의 각각의 사상 안에서도 변화가 매우 컸으며, 단일한 하나의 사상으로 규정하거나 체계화되지 못한 부분도 있기 때문이다. 이중에서 철학적으로 가장 주목받는 것은 첫 번째이고 가장 주목받지 못한 것은 두 번째이다. 앞선 시대와의 사상적 연관을 찾기 어렵다, 새로운 철학적 내용이 없다, 외세 의존적인 태도로 실제 많은 친일인사를 배출했다는 감정적 배제 등이 그 이유였다. 필자가 개화사상에 가졌던 오랜 편견이기도 하다. 하지만 다시 생각해보면 이 모든 것이 19세기 격변의 조선을 각자의 ‘철학’과 방법으로 지나온 흔적이며 역사일 것이다. 오랜 편견을 버리고 갖게 된 생각은 그들이 지나온 시간과 길을 읽고, 정리하고 그런 후에 평가를 해야 하지 않을까 이다. 내가 찾고 있는 우리의 근대와 현대는 그렇게 지나온 시간과 길들에 의해 촘촘히 이루어졌을 것이기 때문이다.

 

 

기고자: 박영미(한양대 철학과, 한국철학사상연구회)

17세기 이후 중국과 한국의 근대에 대한 모색과 사상적 연관을 연구하고 있다.

 


 

블로그진 ‘길 위의 우리철학’은 한국현대철학을 함께 공부하고 토론하는 한국철학사상연구회의 ‘한국현대철학분과’에서 만든다. ‘길’은 과거로부터의 역사이기도 하고, 오늘의 삶이기도 하고, 미래로 열린 희망이기도 하다. 그 위에 서서 우리는 언제나 어느 길이 더 나은 길인지, 바른 길인지 생각하고 선택한다. 그렇게 ‘길’은 지향志向이기도 하고, 그래서 철학이기도 하다. 한국현대철학분과는 앞으로 월 2회 블로그진을 통해 우리철학이 서 있었던 길, 우리철학이 만들었던 길을 이야기 하려고 한다.

 

  1. 광장에 서다 – 촛불의 승리 그리고 박정희 시대의 종언 [길 위의 우리 철학] -1 : 박영미
  2. 대통령 탄핵, 그 후 – 박은식(朴殷植)의 개혁론, 독립운동, 임시정부 [길 위의 우리 철학] – 2 : 이지
  3. 송곡의 길가에서 최시형을 만나다 [길 위의 우리 철학] –3 : 구태환
  4. 붉은 얼굴의 경계인(境界人), 신남철 [길 위의 우리 철학] – 4 : 이병태
  5. 어린이를 노래하는 방정환을 만나다[길 위의 우리 철학] – 5 : 김세리
  6. 국가의 철학, 철학의 부재(不在), 안호상 – [길 위의 우리 철학] – 6 : 박민철
  7. 정치의 중심에서 주변을 배회한 타고난 근대인 몽양(夢陽) 여운형 [길 위의 우리 철학] – 7 : 유현상
  8. 우리, 나라, 사랑 – 윤치호와 관련한 애국에 대한 단상 [길 위의 우리 철학] – 8 : 배기호
  9. 서일- 잊혀진 어느 무장투쟁 사상가의 초상 [길 위의 우리 철학] – 9: 김정철
  10. 현상윤, 최초의 근대적 체제의 조선사상사를 짓다 [길 위의 우리 철학] – 10: 윤태양
  11. 구도와 구세의 길, 운명적 불화 – 한용운 [길 위의 우리 철학] – 11: 송인재
  12. 태백산에서 최후를 맞은 서양철학 1세대, 박치우 [길 위의 우리 철학] – 12: 조배준 
  13. 시대정신을 찾는 여정의 첫 발걸음: 신채호와 서울 [길 위의 우리 철학] – 13: 진보성
  14. 큰 이룸을 위해 한 걸음씩 나아간 삶의 철학자, 도산 안창호 [길 위의 우리 철학] – 14: 배기호
  15. 밑바닥에서 진리를 찾은 이- 장일순 [길 위의 우리 철학] – 15: 구태환

마리아로사 달라 코스타(下) [페미니즘 고전들을 찾아서]

 

8. <여성들과 공동체의 전복>, 마리아로사 달라 코스타 (下)

 

이승준 (한국철학사상연구회 여성과 철학 분과)

 

“주부들을 계급에 외적인 것으로 생각하는 한, 계급투쟁은 매순간 모든 지점에서 지연당하고 좌절당하며, 또한 자신들의 행동의 완전한 범위를 찾아낼 수도 없다. … 가사노동이 생산적 노동의 은폐된 형태임을 폭로하고 규탄하는 것은 여성 투쟁의 목표와 형식 모두에 관한 일련의 문제를 제기한다.”

 

  • 핵가족과 그것의 정치경제학

 

그렇다면 이렇게 여성들의 가사노동이 자본주의 사회에서 잉여가치를 생산하지 않는 ‘비생산적 노동’으로 간주되고, 그에 따라 부불노동으로 처리되는 것은 어떻게 형성되고 정당화되게 된 것일까? 왜 오늘날에도 여전히 직장에서 일하는 여성들조차 가정으로 돌아왔을 때에는 늘 가사노동이 당연한 것으로 떠넘겨지는 것일까? 달라 코스타는 그 이유를 역사적으로 형성된 ‘자본주의적 가족’에서 찾는다. 그녀에 따르면, 자본주의 이전의 가부장제 사회에서 가족은 주로 농업생산 및 수공업생산에 공동으로 참여했던 데 반해, 자본주의의 등장과 함께 변화된 생산양식은 이전의 봉건제적 가족공동체를 돌이킬 수 없는 형태로 붕괴시키면서 현재와 같은 핵가족 형태를 고착시켰다. 생산의 장소를 농촌의 가족공동체에서 도시의 공장 및 사무실로 이전시키는 사회의 공간적 재배치가 진행되는 동안, 여성, 어린아이, 노인, 장애인 등은 이전까지는 필수적으로 생각되었던 그들 노동의 지분과 그러한 노동참여에 따른 상대적인 권력을 상실했다. 자본은 도시로 떠밀려온(물론 그들은 기존의 가부장제로부터, 농노나 노예 신분으로부터의 기쁨에 찬 해방을 맞이한 것도 사실이다) 이들 중에서 선별한 인간인 남성을 가족으로부터 떼어내 공장과 사무실의 임금노동자로 전환시키고, 그들에게 나머지 가족 전체의 생계의 짐을 지웠다. 이렇게 농노제에서 자유로운 노동력으로의 이행은 우선 남성 프롤레타리아트를 여성 프롤레타리아트와 공간적·기능적·이데올로기적으로 분리시켰고, 곧이어 학교제도를 통해 그들로부터 그들의 아이를 분리시켰다. 농촌공동체의 생산과정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했던 가부장 남성이 자유로운 임금 소득자로, 그 다음 그들의 자녀들이 예비노동자이자 학생으로 변형되는 동안, 갈기갈기 찢어진 가족 내에는 성별 및 세대간 분리에 따른 뿌리깊은 소외가 자라난다.

이처럼 자본은 가족구조를 재편함으로써 남성 및 아이들을 여성들과 분리시키고, 그들에게 남성과 아이들을 위한 뒷바라지, 즉 무상의 재생산노동인 가사노동의 과업을 할당했다. 이제 가정에서의 모든 일은 여성의 책임이 되며, 자본주의적 생산순환을 안정적으로 유지시키기 위해서라도 그녀들은 반드시 가정에 남아야만 한다. 자본은 이러한 가족형태에 의지함으로써, 자신의 이윤생산에 성공하고, 또 계급과의 대결에서도 승리할 수 있다. 왜냐하면 가사서비스를 받아 잘 다려진 옷을 입고 충분한 식사를 하고 나타난 공장 노동자들은 그렇지 않은 자들보다 더 많은 생산능력을 발휘해 줄 것이며, 그들이 일하면서 얻은 육체적 피로감과 상실감을 사랑으로 채워줄 사람이 가정에 늘 있을 것이며(단 자본의 관점에서는 이 사랑조차 새로운 노동력의 생산을 가능케 할 삽입섹스로 고정되어야 한다), 그들이 은퇴하면 잘 훈련된(이른바 ‘가정교육을 잘 받은’) 아이들이 나타나 공장과 사무실의 빈자리를 메워줄 것이며, 또 그들이 일하다 다치고 불능상태에 처했을 때면 가정과 여성이 떠맡아줄 것이며, 그래도 일손이 부족할 때라면 집안에 유폐되어 ‘무능력’의 이미지가 덧씌워진 여성들이 상대적으로 저임금을 받으며 일해줄 것이며, 마지막으로 이 모든 비참한 착취상황에 대한 불만을 가족 내부의 갈등으로 극적으로 전환시켜줄 것이기 때문이다. ‘아이와 아내가 불행한 것은 남편이 쥐꼬리만큼만 돈을 벌어와서이다.’ ‘남편과 아이가 불행한 것은 집안일을 소홀히 한 아내와 엄마 때문이다.’, ‘부모가 불행한 것은 그들 가족 전체를 계급이동 시켜줘야 할 아이가 공부도 못하고 툭하면 학교에서 말썽을 일으키기 때문이다.’ 등등. 즉 이런 이유로 여성들이 집안과 가족에 머물러 있어야만, 그들이 무상의 노동을 해야만 자본은 자신의 정상적인 생산순환 및 이윤생산을 유지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달라 코스타의 ‘자본주의적 가족 비판’은 여성의 자유로운 사회진출이나 그에 따라 직장 내 유리천장을 없애는 것이 여성투쟁의 과제로 보는 ‘자유주의적’ 관점을 경계하면서도, 동시에 여성투쟁을 계급투쟁의 종속변수로 보는 ‘사회주의적’ 관점이 은폐시킨 자본의 정치경제학을 그 근본에서부터 비판할 논거를 제공해준다.

 

“노동계급 여성의 해방이 그녀가 가정 밖에서 일자리를 얻는 데 있다는 점을 옹호하는 이들은 문제의 일부를 보지만 해결하지는 않는다. [공장의] 일관 작업대로의 예속이 부엌 싱크대로의 예속으로부터의 해방은 아니다. 이것을 부정하는 것은 또한 일관 작업대의 예속 자체를 부정하는 것이며, 여성들이 어떻게 착취되는지 모른다면 남성들이 어떻게 착취되는지를 정말로 알 수 없다는 점을 다시 증명하는 것이다. … 가족이 자본주의적 노동 조직화의 바로 그 기둥임을 완벽히 파악하지 못한다면, 그리고 우리가 가족을 단지 상부구조로 간주하고, 변화를 위해서 오로지 공장들에서의 투쟁 단계들에만 의존하는 실수를 범한다면, 우리는 계급투쟁에서의 기본적인 모순 그리고 자본주의적 발전에 기능하는 모순을 항상 영구화하고 악화시킬 절름발이 혁명으로 옮겨갈 것이다.”

 

  • 여성들의 힘과 대안적 정체성

 

이 점에서 달라 코스타는 글을 쓸 1970년대 당시의 운동의 한 형태였으며 현재에도 하나의 구호로 사용되는 “가사노동에 임금을!” 투쟁을 지지 및 옹호하는 한편 그것이 가진 한계에 대해서도 비판적 입장을 견지하려 했다. “가사노동 임금에 대한 요구는 처음부터 하나의 토대이자, 여자가 당하는 억압·종속·고립을 그것들의 물질적 기초인 여자가 당하는 착취로 곧장 연결시키는 데에 본질적인 매력이 있는 하나의 관점”이지만, 역설적이게도 이러한 투쟁이 여성으로 하여금 집에 평화롭게 있으면서도 국가가 지급할 임금을 순진하게 손놓고 기다리게 하는 것으로 귀결될 수 있으며, 또한 이 투쟁이 여성운동의 다른 형태들과 결합되지 않은 채 제기되거나 또는 자본주의 사회의 핵가족 제도를 근본적으로 문제삼지 않는 한에서는 그것이 오히려 여성의 노예적 삶을 더욱 공고히 할 위험, 즉 여성의 역할을 가사노동에 고정시킬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가사노동임금 투쟁의 목표는 단지 이런 노동을 덜, 적게 하는 데 있는 것이 아니라, 이런 노동을 부여받은 여성의 주부화를 박살내는 쪽에 맞춰져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 투쟁의 출발점은 “가사노동을 어떻게 더 효율적으로 하느냐가 아니라 이러한 투쟁에서 주인공으로서의 위치를 어떻게 찾느냐에 즉 가사노동의 더 높은 생산성이 아니라, 투쟁에서의 더 높은 전복성”에 두어져야 한다.

달라 코스타는, 맑스가 그러했듯, 이러한 여성들의 전복적 투쟁이 가능한 근거를 다른 곳이 아니라, 바로 그 노동의 형태와 성격 속에서 찾고자 했다. 즉 여성들이 벌이는 “사회적 투쟁의 가능성은 가정에서의 여성노동이 지닌 사회적으로 생산적인 성격”에서 나온다. 그것은 그녀들에게 “대안적인 정체성”을 제공해 줄 것이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이때 ‘대안적인 정체성’, ‘사회적 투쟁의 가능성’이 의미하는 바는 무엇일까? 즉 자본주의적 생산체계와 가족체계는 여성을 무엇으로 생산하는가? (1) 마녀-되기와 악녀-되기. 여성 주부들은 집안의 벽 안에 구금되어 그녀들에게 부여된 과거로부터 이어져온 ‘여성성’을 재차 강제당하는데, 이것은 그들로 하여금 자본주의의 노동조직화의 전체 구조를 보게 만든다. 즉 자본과 남성 노동자들이 공장 내에서의 적대를 중단하고 동맹관계를 회복하는 곳인 가정에서 여성들은 늘 ‘어디 나다니지 말고 집에만 있어!’, ‘몸가짐을 똑바로 해’, ‘집안 일을 완벽하게 해내라!’와 같은 명령을 듣곤 하는데, 이것은 구금된 여성들 자신으로 하여금 자본과 남성노동자의 은밀한 연합이 자신의 신체를 겨냥해서 이뤄지고 있음을 파악하게 만든다. 사랑스러운 아내, 영웅적 어머니, 조신한 딸로 그녀들에게 부과되는 이미지는 여성투쟁이 집중되고 또 그녀들이 위반할 수 있는 한계 지점이 어디인지를 알려준다. (2) 가족관계 바깥의 자율적 개인. “여성들은 아내나 어머니로서만 자신들의 남편과 아이를 만나기를, 즉 그들이 바깥세상에서 집으로 돌아온 뒤에 갖는 식사시간에만 만나는 것을 중지해야 한다.” 자본주의적 조직화의 모든 영역이 여성의 가정주부화를 전제하는 그만큼, 가정 바깥의 모든 장소들은 여성들에 의한 투쟁의 기회를 제공한다. 즉 공장 회합에서, 반상회에서, 학생총회에서, 심지어 취미모임들에서 여성들이 남성을 어머니 대 아버지나, 아들 대 딸이 아니라 한 명의 독립된 인격체로 만나고 대면하면서 공통 관심사를 다룰 때, 그들은 가정 내에서의 종속된 권력관계를 해체할 가능성을 제공한다. (3) 질 오르가즘의 신화를 파괴하는 사랑의 기계. 여성들이 회사나 공장에서, 노동자총회에서 단지 육체적으로 피곤하다는 이유에서가 아니라 “밤에는 잠자는 것 외에 사랑을 하고 싶기에 야근을 금지해야 한다”고 요구할 때, 그것은 노동의 사회적 조직화에 맞서 여성으로서 그녀 자신의 독자적인 이해관계를 진전시키는 것이다. 아주 오랫동안 좌파 정당들과 노동조합들은 사랑을 계급의 이해관계에서 바라보지 못하고, 개인들의 낭만적 영역으로 치부해왔다. 하지만 이 문제를 제기하는 것이 남성들이 아니라 왜 여성들이었는가를 이해하는 것은 계급의 전체 역사에 새로운 빛을 던지는 계기를 준다. 따라서 이때의 사랑은 출산과 육아를 벗어난 사랑, 따라서 삽입성교에 구속되지 않는, 강제된 이성애에서 자유로운 개인들의 사랑의 가능성을 열어 준다. (4) 생산에서 배제된 자들의 연합. 자본주의적 가족체계 내에서 남성들과 청소년들이 가족들로부터 분리되고, 그들이 근대적 훈육기관들에서 자본의 명령에 익숙해지는 동안, 여성들, 노인들, 장애인들과 같은 자본주의적 생산회로에서 배제된 이들은 자신들의 연합을 강화시킨다. “우리는 우리가 선택한 시간과 장소에서 어린아이들, 노인, 아픈 사람 등과 시간을 갖기를 원한다.” ‘시간을 갖기를 요구하는 것’, 이것은 단지 자본의 판매시장 확대를 의미하는 가사노동의 자동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것은 생산회로에서 배제되었지만 바로 그런 이유로 생산회로를 떠받치고 있는 여성들이 투쟁의 주도권을 쥐고 자본과 국가를 향해 다른 모든 배제된 사람들과 함께 사회적 부를 재전유하기를 요구하는 것이며, 그것을 통해 자신들과 분리된 노동자 남성 및 학생으로서의 청소년들과의 재통합을 추진하는 시초적 연합을 이루는 것이다.

 

  • 노동거부와 공동체의 전복

 

지금까지 살펴보았듯이 자본주의적 생산회로와 가족구조는 여성의 사회적 투쟁의 잠재력을 극도로 팽창시킨다. 자본주의는 부불노동으로서의 여성의 가사노동에 의존해 자신의 거대한 이윤생산체계를 지탱하고, 재생산한다. 이런 점에서 달라 코스타는 여성운동의 투쟁방향과 목표를 좀더 혁명적으로 수립하기 위해, 이 거대한 생산회로의 중심부에 있는 가사노동과 바로 그 경계선 내에서 벌어지는 일을 확인하고자 했다. 여성들은 가정 바깥에서든 안에서든 항상 일하며, 바로 이렇게 일상적으로 수행하는 바로 그 노동의 성격, 그 노동의 수행과정이 여성의 혁명적 잠재력을 끊임없이 팽창시키는 것이다. 자본은 자본주의 이전에는 한 덩어리로 생산했던 가족적 생산체계를 해체하고 그들 중 일부를 공장과 학교체계로 분리시켜 표면적인 착취관계를 확립했으며, 그 과정에서 모든 생산의 밑바닥에 여성의 부불노동이 뒷받침되게끔 하는 착취와 이윤의 안정된 판을 형성했다. 바로 이 숨겨진 노동, 그림자 노동이 없다면, 자본은 이윤은커녕 현재와 같은 사회형태로의 도약조차 이뤄낼 수 없었을 것이다. 달라 코스타가 주목하는 것은 바로 이 점에 있다. 즉 자본주의를 전복할 수 있는 혁명의 비밀은 바로 이 근본적 밑바탕, 가사노동이면서 재생산노동인 이 잉여가치 생산의 원천인 여성 자신의 노동에서 찾아져야 한다.

심지어 오늘날 이 노동은 이제 숨겨진 노동이 아니라, 표면적으로도 생산관계 전체의 전면으로 부상되었다. 노동의 여성화, 노동의 정동화, 노동의 가사노동화, 그리고 인간 자체, 주체성 그 자체를 생산하는 노동의 삶정치화는 이제 산업자본을 넘어서 오늘날의 인지자본주의 내에서, 임금관계 안팎 모두에서 가장 핵심적인 생산능력이 되었다. 자본은 과거에는 부불노동의 당사자인 여성들에게만 요구했던 것을 이제 남녀 모두에게 예외없이, 심지어 자본 자신의 운동에게조차 명령한다. 지금까지는 없었던 새로운 인간을 만들어라! 너 자신이자 타인인 저 특이한 인격체이자 감성적이고 정동적인 존재를. 모든 이에게 친절한 인간이 되어라! 타인의 마음을 움직이고 타자에게 사랑받으며, 타자를 사랑할 수 있는 인간이 되어라!라고. 이 점에서 바로 우리의 시대, 인지자본의 시대에서, 달라 코스타의 혁명적 페미니즘은 다른 어떤 혁명이론도 능가할 가장 근본적이고 해방적인 선언이 된다. (끝)

 

  • 마리아로사 달라 코스타 편은 여기까지 입니다.
  • 다음으론 슐라미스 파이어스톤의 ‘성의 변증법’편이 연재됩니다. 

<서울자유시민대학>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18년 네트워크 시민대학 1기 수강 안내

 

<서울자유시민대학>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18년 네트워크 시민대학 1기 수강 안내

 

한국철학사상연구회(이하 한철연)는 서울특별시평생교육진흥원 자유시민대학의 지원을 받아 ‘동서양을 아우르는 시민들의 정치 참여’란 주제의 강좌를 마련했습니다.

오는 7월 23일부터 10월 1일까지(1기) 매주 월요일 7시, 총 10주 동안 서교동 한철연 강의실에서 진행합니다.

강좌는 1기(7월 23일~10월 1일)와 2기(9월 17일~11월 26일)로 나누어 진행합니다.

지금 안내하는 수강생 모집은 1기에 해당되며, 2기는 추후 다시 공지할 예정입니다. 참고로 1기와 2기의 강좌 프로그램은 동일합니다.

 

상세내용

교육 기간 : 2018년 7월 23일(월) ~ 10월 1일(월) 저녁 19:00~21:00

교육 장소 : 서교동 소재 태복빌딩 302호 한철연 강의실(서울시 마포구 동교로 114) 전화 : 02-332-4301

♦ 한철연 오시는 자세한 길 안내는 한철연 홈페이지http://www.hanphil.or.kr/notice/view.asp?key=162 공지 글의 첨부파일 지도를 확인하시면 좋습니다.

수강 대상 : 서울 시민

수강 인원 : 선착순 20명

신청 방법 : 한철연 공식메일 kophil@daum.net으로 이름, 생년월일, 성별, 휴대폰 번호, 이메일을 꼭 적어서 신청해 주세요.

 

서울 시민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참여를 바랍니다.

 

  • 1기 프로그램 강의별 내용

1주 07.23(월) : 서양 고대 그리스에서의 민주 시민의 탄생

(고대 그리스의 직접민주주의 역사를 개관해 보고 그것의 현재적 의미와 실현 가능성을 가늠해 본다.)

2주 07.30(월) : 동양 고대 민본주의와 시민

(춘추전국시대에 제안된 민본주의적 통치 원칙의 규범적 의의를 살펴보고 그것이 과연 현대 민주주의의 원칙과 공존할 수 있는지 살펴본다.)

3주 08.06(월) : 근대 부르주아는 어떻게 시민이 되었는가? 도시공간의 출현, 커피하우스, 살롱

(근대에 커피하우스와 살롱의 공간에서 재건된 부르주아적 시민과 고대적 시민이 어떻게 다른지 고찰해 본다.)

4주 08.13(월) : 프랑스 혁명과 광장에 선 시민

(프랑스 혁명기에 평민들은 어떻게 정치적 주체로 등장하게 되었는지 살펴본다.)

5주 08.20(월) : 근대 노동자와 21세기 노동자

(19세기 이후 프롤레타리아는 어떻게 자신의 계급적 요구를 보편적인 정치적 요구로 전환시켰는지 고찰해 본다.)

6주 08.27(월) : 백성에서 시민으로 향하는 여정

(동학혁명을 전후한 시기에 조선의 백성은 어떻게 자립적 시민으로서의 자기 요구를 정치화하였는지 살펴본다.)

7주 09.03(월) : 서울 속의 동학혁명 현장 탐방

(동학혁명의 현장을 직접 탐방함으로써 책 속에 갇힌 역사를 몸의 경험으로 느껴보는 시간을 갖는다.)

8주 09.10(월) : 중국에서 시민 되기의 행로

(이천년에 걸친 동아시아 제국을 무너뜨리고 동아시아적 형태의 공화국 역사를 시작한 신해혁명의 의미를 현재적 관점에서 전망해 본다.)

9주 09.17(월) : 근대 여성은 어떻게 시민이 되었나?

(가부장적 가족 질서와 친밀성 영역의 사적 억압을 정치적 해방의 요구로 전환시킨 여성 운동의 의미를 현대 한국의 현실에서 재음미해 본다.)

10주 10.01(월) : 광화문 광장의 함성, 시민들의 목소리

종합 토론(촛불정치의 현장에서 나타났다 사라졌던 혁명 정치의 파편을 제도정치 비판의 관점에서 토론해 본다.)

 

아래 웹자보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