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곡의 길가에서 최시형을 만나다 [길 위의 우리 철학] – 3

Spread the love

구태환

 

1.

최시형 기념비
(사진출처: 구태환)

 

원주역에서 자동차로 20분 거리인 호저면 송곡의 길가에는 기념비가 하나 서있다. 해월(海月) 최시형(崔時亨, 1827~1898)을 기리는 무위당(无爲堂) 장일순(張壹淳, 1928~1994)의 마음이 표현된 기념비이다. 여기에서 해월 최시형이라는 사상가에 관한 글을 시작한다.

 

기념비의 검은 돌에 희게 음각한 상단의 글은 “모든 이웃의 벗 崔보따리 선생님을 기리며”이다. 여기에서 ‘최보따리 선생님’은 동학의 2대 교주인 해월 최시형을 가리킨다. 그는 어려서 부모를 잃고 많이 배우지도 못해 품팔이로 생활해나가던 도중 나이 서른 다섯에 동학에 입도한다. 최시형이 입도한지 얼마 되지 않아 동학의 교주 수운(水雲) 최제우(崔濟愚, 1824~1864)는 조선 정부에 의해 처형된다. 모든 인간이 ‘천주를 모시고 있으며(侍天主 시천주)’, 기존의 질서가 전복되고 ‘다시 개벽(開闢)’되는 새 세상이 도래했음을 선포한 최제우를 조선의 기득권 세력은 ‘좌도난정(左道亂正. 사이비 도로 올바른 유학을 어지럽힘)’이라는 죄목으로 처형한 것이다. 최제우로부터 도통을 전수하여 세상에 동학사상을 전파할 임무를 띤 최시형은 ‘이단’으로 규정된 동학에 대한 탄압을 피해 각지를 떠돌 수밖에 없었고, 그때 언제나 등에 보따리 하나를 지고 다녔다고 한다. 그래서 그의 성인 ‘최’에 ‘보따리’가 합쳐진 ‘최보따리’라는 별칭을 얻게 된 것이다.

 

이 글귀에서 필자의 눈길을 끈 것은 ‘모든 이웃의 벗’이라는 표현이다. 이 간단한 표현은 최시형의 사상과 행적을 단편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다. 기념비 하단의 글을 살펴보면서 이야기해보겠다. 흰 돌에 검게 음각한 하단의 글은 “天地卽父母요 父母卽天地니 天地父母는 一體也니라 海月先生님 法說에서(천지는 곧 부모이고 부모는 곧 천지이니, 천지와 부모는 한 몸이니라. 해월선생님 법설에서).”로, 최시형의 사상을 압축적으로 잘 보여준다. 최시형은 모든 사람이 한울님을 모신 존재라는 최제우의 ‘시천주(侍天主)’ 사상을 발전시킨다. 여기에서 ‘천주’는 한울님으로서 우주 만물의 근원, 시원, 출발을 가리킨다. 모든 것의 근원을 궁구해보면 거기에는 한울님이 있으며, 인간 개개인들도 자신의 근원을 따져보면, 부모→조부모→시조…→한울님에 도달하게 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한울님을 뜻하는 천지는 부모와 마찬가지로 나의 근원이다. 그리고 모든 인간이 이 근원으로서의 한울님을 모시고 있기 때문에 “사람이 한울님이며, 따라서 사람을 한울님처럼 섬겨야 한다(人是天 事人如天. 인시천 사인여천).” 모든 이웃은 나와 같은 근원을 가진 존재요, 나의 벗이요. 나의 한울님이다.

 

처형당하기 직전의 최시형
(이미지 출처: http://blog.daum.net/ky1002027/6582293)

 

최시형의 인간에 대한 존중은 특히 사회적 약자에 집중되어 있었다. ‘베 짜는 한울님’이라는 유명한 일화가 이를 잘 보여준다. 그가 청주의 서택순이라는 동학교도 집에 갔을 때 베를 짜는 소리가 들렸다. 이에 서택순에게 누가 베를 짜는 것인가를 물었는데, 최시형의 질문 의도를 파악하지 못한 서택순은 자기 며느리가 베를 짜고 있다고 답한다. 하지만 최시형에게 그 베 짜는 소리는 며느리의 그것을 넘어서는 것이었다. 며느리는 사람이고, 사람은 한울이니, 며느리가 베 짜는 소리는 한울님이 베 짜는 소리였던 것이다. 이러한 사례는 어린아이에 대한 그의 언급에서도 자주 등장한다. 그는 특히 아이를 때리지 말 것을 당부하고 있는데, 아이를 때리면 아이에 깃든 한울님이 다치기 때문이다. 이처럼 당시 사회의 약자들에게도 한울님이 깃들어 있음을 설파함으로써 그들에 대한 존중을 강조했다.

나아가 산에서 우는 새 소리를 듣고 ‘시천주’의 울음소리라고도 한다. 인간만이 아니라 우주 만물에도 우주의 근원인 한울님이 깃들어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우리는 세상의 모든 대상을 대할 때 한울님을 대하듯 해야 한다. 그 대상에는 음식도 포함된다.

 

2

우리는 밥 없이는 살 수가 없다. 밥은 그야말로 하늘과 같은 존재이다. 따라서 한때 한국 사회의 병폐를 날카롭게 지적했던 시인 김지하의 “밥은 하늘입니다”라는 시구는 어떤 해설도 필요없이 우리에게 당연하게 받아들여진다. 그런데 이 시구의 연원을 따져보면, 김지하의 스승 장일순 그리고 최시형에게 닿게 된다. 우주 만물에 한울님이 깃들어있다는 최시형의 사상과 만나게 되는 것이다. 우주 만물에 한울님이 깃들어 있다면, 우리가 접하는 밥, 먹을거리에도 한울님은 깃들어 있다. 따라서 우리가 먹는 음식은 한울님이기에, 최시형은 “곡식은 천지의 젖이다”고 한다. 아이가 어머니의 젖으로 살아가듯이 우리는 천지가 주는 곡식을 먹고 살아간다.

 

장일순의 제자 부부가 운영하는 원주 한 식당에 걸려있는 장일순의 글씨
(사진출처: 구태환)

 

이처럼 우리가 먹는 곡식, 즉 밥이 한울이므로 밥을 먹는 행위는 곧 한울님을 접하는 행위이다. 최시형은 이를 한울님으로써 한울님을 먹이는 행위, 즉 ‘이천식천(以天食天)’이라고 한다. 여기에서 밥을 먹는 행위는 단순히 주린 뱃속을 채우는 행위를 넘어 한울님을 접하는 행위이다. 한울님은 우주의 근원이고, 우주의 진리이다. 따라서 최시형은 “모든 일을 아는 것은 밥 한 사발을 먹는 것에 달려있다(萬事知, 食一碗. 만사지, 식일완).”고 한다. 위의 사진에 나오는 장일순의 글 “일완지식 함천지인(一碗之食 含天地人. 한 사발의 밥에는 하늘과 땅과 인간이 담겨 있다)”은 최시형의 이 말을 변용한 것으로 보인다. 한 사발의 밥에 우주의 근원, 진리가 담겨 있으니, 밥 먹는 행위는 진리에 접근하는 행위가 되는 것이다.

 

흔히들 우주의 근원, 진리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학문 등 수행의 과정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그런데 이런 수행에는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기 때문에, 결국 생존을 위한 노동으로 인해 시간과 여력이 부족한 대다수의 사람들은 이런 학문과 수련에서 제외될 수밖에 없다. 하지만 최시형이 제시하는 수련은 아주 단순하다. 밥에 담긴 한울님을 접하면 된다. 물론 밥을 짓는 과정, 밥 먹기 전에 한울님께 고하는 행위 등 몇 가지 격식을 갖출 것을 요구하여, 한편으로는 번거롭게 여겨지지 않을까 하는 우려를 낳기는 한다. 하지만 “밥이 한울이다”라고 입으로 떠들지 않더라도, 쌀 한 톨을 얻기 위해 수많은 땀을 흘린 노동하는 민중들에게 이미 밥은 한울과 같은 존재이며, 그러한 밥을 대할 때 요구되는 약간의 격식은 결코 번거로운 것이 아니리라. 밥에 대한 그들의 태도는 땀 흘리지 않고 밥을 얻는 이들의 그것과는 애초에 다를 수밖에 없다. 최시형은 그러한 태도에 격식을 더했을 뿐이다. 그리고 그럼으로써 노동하는 인민들이 진리에 접근할 길을 열어준 것이다.

 

해월이 관군에 체포된 곳(해월피체지), 원진녀의 생가
(사진출처: 구태환)

 

최제우가 열고 최시형이 넓힌 이 길을 그때까지 진리로 나아가는 길을 독점했던 조선 사회의 기득권자들이 좋아했을 리가 없다. 진리에 대한 접근권은 세상을 해석하고 운영할 권리와 직결되어 있기 때문이다. 당연히 기득권자들의 탄압은 이어졌고, 최시형은 탄압을 피해 조선 각지의 길을 떠돌았다. 그 결과 동학사상을 널리 전파했고, 동학농민혁명이라는 사건을 가능하게 했다. 하지만 모든 이웃들과 벗하여 ‘다시 개벽’된 세상을 맞이하려는 그의 꿈은 실현되지 않았고, 결국 위 사진 속 원진녀의 집에서 인생행로를 끝마친다. 이곳은 최시형 당시 동학교도인 원진녀라는 사람의 집으로서 최시형이 관군에게 체포된 곳(이곳을 ‘해월피체지’라고 한다)이다. 이 생가는 1990년 원주의 ‘치악고 미술동우회’에서 복원한 것으로, 첫 사진의 기념비는 바로 이곳 초입에 세워진 것이다. 최시형이 꿈꾸던 ‘다시 개벽’된 세상에 대한 꿈은 이곳에 기념비를 세우고, 피체지를 복원하고, 그의 말을 실천해나가는 여러 사람들에 의해 다시 꿈꿔지고 있는 것이다.

 

에필로그

원래는 해월 최시형과 함께 무위당 장일순도 다룰 예정이었다. 장일순은 ‘걸어다니는 동학’(전호근, 한국철학사, 메멘토)이라고 불릴 정도로 동학적인 삶을 살았으며, 앞에서의 해월 기념비 건립, 원진녀 생가 복원, 글씨 등에서 보이듯이 최시형에 대한 그의 애정이 각별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두 사상가를 한꺼번에 다루기에는 지면이 부족했다. 이번에는 먼저 해월 최시형에 대해 이야기 하고, 무위당 장일순은 다음 기회에 다루기로 한다. 독자들의 양해를 구한다.

 

기고자: 구태환(한국철학사상연구회)

최한기의 인체론과 관련된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본 분과에서 동학에 대해서 공부하고 있으며, 배타적 소유권에서 벗어난 ‘인권’의 가능성에 대해 관심을 갖고 있다.

 

블로그진 ‘길 위의 우리철학’은 한국현대철학을 함께 공부하고 토론하는 한국철학사상연구회의 ‘한국현대철학분과’에서 만든다. ‘길’은 과거로부터의 역사이기도 하고, 오늘의 삶이기도 하고, 미래로 열린 희망이기도 하다. 그 위에 서서 우리는 언제나 어느 길이 더 나은 길인지, 바른 길인지 생각하고 선택한다. 그렇게 ‘길’은 지향志向이기도 하고, 그래서 철학이기도 하다. 한국현대철학분과는 앞으로 월 2회 블로그진을 통해 우리철학이 서 있었던 길, 우리철학이 만들었던 길을 이야기 하려고 한다.

 

  • 다음에는 “신남철(이병태)”의 글이 이어집니다.
  1. 광장에 서다 – 촛불의 승리 그리고 박정희 시대의 종언 : 박영미
  2. 대통령 탄핵, 그 후 – 박은식(朴殷植)의 개혁론, 독립운동, 임시정부 [길 위의 우리 철학] – 2 : 이지

0 replies

Leave a Reply

Want to join the discussion?
Feel free to contribute!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