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tries by Jin Bosung

스페인 내전과 자유에의 욕망(上) [톡,톡,씨네톡]

  이 글은 2018년 5월 9일 이대 철학과 영화제에서 상영한 <토지와 자유>를 보고, 20분 정도 스페인 혁명의 사상적 의의에 대해 발표하고, ‘예스터데이’ 뒤풀이 자리에서 간략하게 토론한 글을 수정한 것이다.   스페인 내전과 자유에의 욕망(上) 이규성(한철연 회원, 이화여대 철학과 명예교수)   어느 누구도 하나의 섬은 아니다. 사람은 모두가 대지의 한 조각, 이 땅의 한 부분. 어떤 […]

플라톤의 『국가』 강해 ⑪ [이정호 교수와 함께하는 플라톤의 『국가』]

플라톤의 <국가> 강해 ⑪     3-3(334c~336a) : 정의와 훌륭함(덕) – 정의는 사람을 나쁘게 할 수 없다.   * 폴레마르코스는 아직도 소크라테스의 논박이 무엇을 뜻하는지 알아차리지 못한 채, 시모니데스적 정의관을 앵무새처럼 되뇌고 있다. 그래서 소크라테스는 주관적 생각 수준에서 규정된 친구와 적 개념을 실제의 친구와 적으로 일정 부분 객관화한 후, ‘인간적 훌륭함’ἀνθρωπεία ἀρετὴ이라는 개념을 끌어들여 보다 […]

너 자신을 가치 있게 만들어라! [유령(Spuk)을 파괴하는 슈티르너(Stirner)]

탈신성화, 탈마법화를 통해 희생과 체념을 역사를 넘어서다. –너 자신을 가치 있게 만들어라!-   우리가 앞의 글에서 논의한 것을 잠시 정리해 보자. 슈티르너가 비판하는 교육의 주요-요소는 ‘도덕적 영향력’이라는 것인데, 고취된 교육은 ‘신성한 것’과 연결되고 우리의 산출로 내맡긴 교육은 ‘소유자’의 교육이라는 점을 밝혔다. 그가 비판하는 교육은 전자의 것이다. 도덕적 영향력의 출발점은 우리의 “굴복(Demütigung)”이고, “용기(Mut)의 꺾어버림과 굽힘은 겸손(Demut)”이므로, […]

플라톤의 『국가』 강해 ⑩ [이정호 교수와 함께하는 플라톤의 『국가』]

  플라톤의 <국가> 강해 ⑩     3. 폴레마르코스와 대화(331e~336a)   3-2(332b~334b) : 정의는 ‘각자에게 합당한 것을 갚는 것’ 즉 ‘친구들과 적들에 대해 각각 이득을 주고 손해를 입히는 기술’인가? (전 시간에 이어 계속)   [333d] * 앞서 정의의 쓸모와 관련해서 1)‘항전과 연합전의 경우’(332e) 그리고 2)‘금은을 함께 이용함에 있어 그걸 안전하게 신탁해야 할 경우’(333c)에 ‘정의로운 사람이 […]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18년 가을 제55회 정기 학술대회 : 마르크스 탄생 200주년 기념 학술대회

회원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한국철학사상연구회의 2018년 가을 제55회 정기 학술대회가 아래와 같이 있습니다. 회원 및 관심있는 분들의  많은 참석 바랍니다~ <아 래> <제5회 한중마르크스주의 연구자회의> 마르크스 탄생 200주년 기념 학술대회 : 한–중 철학의 대화, 중국의 사회주의와 현대정치철학의 수용 * 일시 : 2018.10.26 (금) 09:00 개회 * 장소 : 건국대학교 행정관 4층 대회의실 * 주최 : 한국철학사상연구회 * 주관 […]

플라톤의 『국가』 강해 ⑨ [이정호 교수와 함께하는 플라톤의 『국가』]

플라톤의 <국가> 강해 ⑨     3. 폴레마르코스와 대화(331e~336a)   * 폴레마르코스가 부친 케팔로스의 논의를 이어받으면서 논의의 국면은 정의의 정의(定義) 문제로 전환된다. 대화의 방식 또한 전기 대화편의 방식 그대로 시종일관 귀류법적 문답의 방식, 즉 상대의 처음 생각이 끝에 가서 정반대로 귀결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이들의 대화는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우선 첫 번째 부분(331e-334b)에서는 케팔로스가 제시한 […]

“근대 여성은 어떻게 시민이 되었나?” [2018 네트워크 시민대학1기 ‘동서양을 아우르는 시민들의 정치 참여’] ⑨

    2018 네트워크 시민대학1기 ‘동서양을 아우르는 시민들의 정치 참여’ ⑨ 2018. 9. 17. 서교동 한철연 강의실   제9강. 근대 여성은 어떻게 시민이 되었나?   강연 : 이현재(서울시립대 교수) 후기 : 정선우(한철연 회원)   * 가부장적 가족 질서와 친밀성 영역의 사적 억압을 정치적 해방의 요구로 전환시킨 여성운동의 의미를 현대 한국의 현실에서 재음미 해본다.   도대체 […]

『길 위의 우리 철학』 출간 기념 : 알라딘 인문학 스터디 『길 위의 우리 철학』 릴레이 특강

안녕하세요? 한철연 신간 소개와 함께 책 저자들의 직강 강좌가 있어 소개드립니다. 지난 9월 10일 『길 위의 우리 철학』(메멘토)이 출간되었습니다. 한국현대철학분과 구성원들이 웹진 <이 시대와 철학>에 연재했던 내용을 바탕으로 서로 모여 머리를 맞대고 써낸 결과물입니다. 최시형부터 안호상까지 근대 지성 13인의 발자취를 따라 그들의 철학과 사상을 조명하고 쉽게 전달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책은 최시형, 방정환, 장일순, 여운형, 한용운, […]

“서양 고대 그리스에서의 민주시민의 탄생”(2) – [2018 네트워크 시민대학2기 ‘동서양을 아우르는 시민들의 정치 참여’] ①

∗ 편집주간 드리는 말씀 : 이 후기는 한철연 네트워크 시민대학 2기 프로그램입니다. 처음 네트워크 시민대학1기 아홉 번째 강좌의 후기로 제목을 올렸으나 잘못되어 수정합니다.  시민대학 1기와 2기는 강좌 주제는 같으나 강사 선생님과 강의 내용은 차이가 있음을 알립니다. 2018. 9. 27.   2018 네트워크 시민대학2기 ‘동서양을 아우르는 시민들의 정치 참여’ ① 2018. 9. 17. 서교동 한철연 강의실   제1강. 서양 […]

플라톤의 『국가』 강해 ⑧ [이정호 교수와 함께하는 플라톤의 『국가』]

플라톤의 <국가> 강해 ⑧   [331d] * 케팔로스가 소크라테스의 지적에 별다른 이의 없이 순순히 ‘옳은 말씀이다’ὀρθῶς라고 동의하자 소크라테스는 대뜸 정의에 관한 케팔로스의 견해가 ‘정의의 의미 규정’ὅρος δικαιοσύνης은 못된다고 비판한다. 그러자 이 광경을 곁에서 지켜보고 있던 폴레마르코스가 아버지를 변호하기 위해 불쑥 대화에 끼어든다. 이에 케팔로스는 기다렸다는 듯 ‘여러분께 이 논의를 인계한다’παραδίδωμι ὑμῖν τὸν λόγον고 말한 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