착취의 공범: 돈벌이가 시원치 않은 마르크스 [한철연 교육강좌]-②

Spread the love
[한철연 교육강좌]-②

착취의 공범: 돈벌이가 시원치 않은 마르크스

강사: 이재유(건국대 외래교수)
후기: 한길석(한철연 교육부장)

 

 

지난 4월 1일 한철연 교육부의 두 번째 강좌가 열렸다. 참석자들은 첫 번째 강좌보다 적었지만 첫 날보다는 열띤 분위기로 강의 및 토론이 진행되었다. 두 번째 강좌는 이재유 회원(건국대 외래교수)의 “착취의 공범: 돈벌이가 시원치 않은 마르크스”였다. 강의 초반에는 비교적 가라앉은 분위기로 시작했으나 시간이 갈수록 강의의 열의가 살아나고 있었다.

이재유 교수 /사진 조배준 한철연 회원

 

그의 강의는 ‘communism’의 해석 문제에서 시작했다. 흔히 이 용어를 ‘공산주의’로 번역하는데, 이 번역 용어를 문자 그대로 해석해 본다면 공공을 위해 공동으로 생산한다는 의미가 된다. 그렇다면 자본주의 사회에도 공산주의적 방식이 존재한다고 볼 수 있다. 왜냐하면 자본주의 사회에서도 ?동기는 다르지만 겉으로만 본다면- 모두를 위해 공동으로 생산하는 과정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communism’을 번역하지 않고 ‘코뮤니즘’으로 표기하자는 제안도 있다.

마르크스의 의도에서 보자면 공산주의 사회는 ‘자유로운 개인들이 연합하는 사회’를 의미한다.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개인의 생계가 자본의 논리에 구속돼 있다. 마르크스는 이러한 구속에서 해방된 사회를 공산주의 사회라고 규정했다. 그에게 공산주의 사회란 모든 개인들이 자유롭게 살 수 있는 여건을 공동으로 생산하는 사회라는 것이다.

그렇다면 공산주의 사회에서는 자유가 핵심 문제로 부각된다. 마르크스에게 자유란 누구도 착취당하지 않으며 착취하지도 않는 사회를 의미한다. 이런 자유 상태에서 맺어지는 인간 관계는 수평적인 평등 관계일 수밖에 없다. 따라서 마르크스에게 자유와 평등은 대립적 관계로 제시되는 게 아니라 동근원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그는 노동을 통해 자유와 평등을 구현한다고 말한다. 그에게 노동이란 자신의 삶을 자유롭게 누리기 위해 하는 모든 활동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현실 공산주의는 억압된 노동의 해방을 지향하면서 여러 활동과 제도를 제안했지만 실패하고 말았다. 우리의 일상생활 속에 착취와 억압의 요소가 뿌리 박혀있기 때문이다. 아무리 공산주의적 체제와 제도가 완비된다 하더라도, 착취와 억압의 생활 양식을 바꾸지 않는 한 공산주의적 이상은 실현되지 않는다.

이재유 회원은 이러한 현실의 예로 가정 내에 뿌리 박혀있는 여성 착취의 문제를 제시했다. 가정 내에 남성이 여성의 노동을 착취하는 형태가 지속되는 한 우리의 내면에 뿌리박힌 착취 의식은 사라지기 어렵다는 것이다. 착취와 억압의 삶은 가정 영역 뿐만 아니라 우리의 공동체 곳곳에 박혀 있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 우리는 일상 생활 영역에서의 착취를 제거하는 활동에 나서야 한다. 가정 내의 여성 착취 문제를 해결하고, 누군가의 희생을 간접적으로 강요하게 되는 생활 구조를 제거하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단순히 노동자의 임금을 높이고 기본 소득을 지급한다고 해서 착취의 생활 문화가 해결되지는 않는다. 높은 임금과 기본 소득의 취득은 이웃에 대한 연대감 대신 사적 삶의 풍요를 지향하는 욕망을 키운다. 이런 사회 운동은 공적 연대감 대신 오히려 사적 이익을 추구하는 의식을 조장한다.

강의 이후 30분 간 토론을 한 후 질의 응답 시간이 이어졌다. 수강생들은 다양한 질문을 제기하면서 고민의 수준을 높이고 있었다.

 

 

 

사진 조배준 한철연 회원

수강생 후기

자본주의 모순에만 집중하지 말고 현실적인 공산주의 이행 방안, 공산주의의 문제점 등에 대한 언급이 이루어졌으면 좋았을 것 같다.

특정 철학자의 사상과 이념을 소개하는 강의를 기대했는데 그것보다는 강연자의 해석에 충실한 강의였던 것 같다. 이론서를 읽고 싶은 충동을 만들어 준다.

쉽게 풀어 설명해준 강의였다.

늦어서 제대로 못들었지만 집중도는 최고였던 것 같습니다.

자유로운 각 개인들이 연합하는 사회를 만들려면 민주노총이 큰 역할을 해야 한다는 말이 인상 깊었다.

마르크스에 대해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생계를 위한 노동에서 이루어지는 착취와 자본주의 사회에서 이루어지는 착취를 같이 생각해봐야 한다는 교훈적인 강의였다.

일요일 마다 대형 교회에서 하듯이 오늘과 같은 강의로 전국에서 철학 강의가 진행되었으면 하는 바램!

일반론 위주의 강의로 진행되어 치열한 고민과 토론 거리를 주는데에는 미흡했다.

자유로운 개인들의 연대에 관한 자각은 어려운 문제라 여긴다. 하지만 그것이 우리 사회에서 일어나는 듯 하여 희망을 갖는다.

계급 모순이 풀리면, 성적 모순도 풀릴 것이라고 하는 주장들을 이제까지 들어왔는데 이번 강의는 그것을 뒤집은 내용이어서 매우 흥미로웠고 공감도 많이 했다.

가사노동의 생산 노동 비용이 임금에서 제외되었다는 사실이 페미니즘 운동의 단초가 된다는 사실이 흥미로웠다.

자유로운 개인들이 생활 속에서 코뮌주의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개인들의 노력과 시민의식이 필요하다.

맑스에 대한 또다른 관점을 보여준 강의였다. 강의와 토론, 질의 응답 모두 즐거웠다.

사회 개혁에 대한 필요성은 절감하지만 그것이 공산주의를 통해 이루어질 것인가에 대해 의문이긴 하다. 실패한 공산주의 국가들의 사례들이 있는 만큼 더 현실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철학의 현실적 접근이었던 것 같습니다.

 

0 replies

Leave a Reply

Want to join the discussion?
Feel free to contribute!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