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겔 형이상학산책32-악 무한과 무한 진행
1)
앞에서 헤겔의 질적 무한성 개념에 관해 설명했다. 그것은 부정 판단이 연속적으로 일어나는 판단 즉 부정적 무한 판단의 형식을 취한다. 헤겔은 부정적 무한 판단의 형식을 두 가지로 나누어서 설명한다. 첫 번째가 악 무한이고 두 번째가 무한 진행이다. 이 부정적 무한 판단을 극복하여 긍정적 무한 판단에 이르게 되면 그것이 곧 진 무한이다. 우선 부정적 무한 판단의 두 형식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해 보자.
어떤 것[etwas]는 여러 성질을 지닐 뿐 아니라 그 가운데 어떤 성질은 소금의 일반적 속성이다. 그런 속성은 그 어떤 것을 그 어떤 것으로 만드는 것으로 볼 수 있으니, 이를 헤겔은 규정[Bestimmung]이라 한다. 이 규정은 그것을 넘어서면 어떤 것 자신이 부정되는 한계[Grenze]가 된다.
그런데 경험이 발전하여 하나의 속성은 다른 속성과 교차하고 있다는 것이 밝혀진다면, 어떤 것의 규정은 어떤 것의 고유한 규정이 되지 못하니, 어떤 것은 자기 자신에서 자기를 부정하며, 이렇게 그 자체에서 부정성을 지닌다는 점에서 어떤 것은 유한한 존재다. 헤겔은 어떤 규정이 그 자체에서 부정성을 지닌다는 것을 제한성[Schranke]라는 범주로 규정한다.
예를 들어 짠맛은 흔히 소금의 규정으로 여겨지지만, 짠맛을 지닌 소금은 그 자체에서 부정된다. 즉 짠맛을 지니더라도 소금이 아닌 것도 있기 때문이다. 나트륨이 아니면서 짠맛을 내는 대체재를 생각해 보라. 그러므로 짠맛은 소금의 고유한 규정이 아니며, 주관적 규정에 불과했다. 그러므로 짠맛으로서 소금은 유한한 존재다.
어떤 것에 여러 속성은 있다. 예를 들어 소금에는 짠맛 외에도 입방체(나트륨 분자의 형태)라는 속성이 있다. 그러나 이런 입방체도 짠맛과 마찬가지로 소금의 고유한 속성이 되지 못한다는 것은 이미 잘 알려져 있다. 이렇게 어떤 것이 지닌 속성 가운데 어느 속성도 고유한 규정이 되지 못한다면 어떤 것은 고유한 규정이 없는 것 즉 질적으로 무한한 존재가 된다. 이 경우 어떤 것의 규정은 하나의 규정에서 다른 규정으로 끊임없이 교체할 뿐이다.
이런 의미에서 제한적[schranke]인 유한자에 단적으로 대립하여 무엇이라고 규정할 수 없는 것을 헤겔은 악 무한이라 한다.
“무한한 것은 이성의 개념이며 우리는 이성을 통해 시간적인 것을 넘어서 고양한다고 말할 때와 같이 사람들은 이런 일이 유한한 것과 전적으로 무관하게 일어나는 것으로 여기면서 그것을 고양하는 것은 그런 유한한 것에 외면적으로 머무르며 그것과 무관하다고 본다.”(논리학 재판, GW21, 125)
이 구절에서 말하듯이 사람들이 말하는 무한자는(헤겔로서는 이것이 악 무한인데) ‘유한한 것에 외면적인 것’, ‘그것과 무관한 것’을 말한다.
2)
여기서 헤겔이 말하는 악 무한을 더 정확하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유사한 개념을 구별해 보아야 한다. 가장 뒤섞이기 쉬운 개념이 현존과 짝을 이루었던 ‘타자 존재’라는 개념이다. 현존은 개별적 성질을 지닌 존재이며 이 현존에 대립하는 타자 존재는 개별적 성질이 순간적으로 명멸하는 것이다.
반면 이제 유한자에 대립하는 무한자는 하나의 규정이 다른 규정으로 끊임없이 변화하는 것을 말하니 타자 존재와 유사하다. 그러나 타자 존재에서는 하나의 성질이 다른 성질로 교체되면서 명멸하는 것이라면, 악 무한은 하나의 규정이 다른 규정으로 교체되면서 명멸하는 것을 말한다.
고유한 규정이 없다는 것은 규정이 없다는 뜻이 아니라 여러 규정이 교차하면서 이렇게도 규정될 수 있고 저렇게도 규정될 수 있다는 말이며 그 어느 규정도 그 어떤 것을 고유하게 규정하지 못한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다.
철학에서 포스트모더니즘과 같은 비본질주의는 사물의 고유한 규정이 존재한다는 것을 부정한다. 포스트모더니즘은 사물의 규정은 구조에 따라 달라지며 하나의 사물을 지배하는 구조는 유일한 것이 아니라 다양한 구조가 동시에 존재한다고 본다.
이런 관점에서 본다면 모든 사물은 이렇게도 규정되고 저렇게도 규정되니, 이런 것이 헤겔이 말한 악 무한의 개념의 예가 될 것이다. 예를 들어 당근은 약일 수도 있고 독일 수도 있다. 그것은 약이면서 동시에 독이고 그런 약이라 해도 안 되며 독이라 해도 안 된다. 바로 당근과 같은 것이 곧 헤겔의 무한자가 될 것이다. 데리다가 이런 당근과 같은 개념을 차연이라고 규정했는데, 헤겔의 악 무한을 가장 잘 설명할 수 있는 개념이 차연이 아닐까 한다.
무한자는 고유한 규정이 없는 것일 뿐 사실 이미 여러 규정을 지닌 한에서 그 자체가 실재하는 것이다. 그것은 실재 세계 안에 있다. 그런데도 사람들은 모든 실재는 고유한 규정을 지니고 있고 고유한 규정이 없는 무한자는 이 실재 세계 속에 들어올 수 없다고 생각한다. 그리하여 무한자는 실재 세계 밖에 존재하는 것으로 본다. 실재가 차안의 현존이라면 무한자는 “모호한, 도달할 수 없는 먼 거리에 있는 피안”(논리학 재판, GW21, 127)으로 여긴다. 이렇게 무한자가 실재 세계 밖에 현존한다고 보므로 그것이 곧 악 무한이라 불린다.
3)
그러나 헤겔은 실재 세계 밖에 존재하는 악 무한 개념을 곧바로 부정하고 만다. 왜냐하면, 이미 암시됐듯이 유한자와 무한자는 그렇게 단적으로 구별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우선 어떤 것은 여러 속성이 교차하고 있어서 그 중의 어떤 속성을 고유한 규정으로 삼았을 때 곧바로 이 규정은 그 자신에서 자기를 부정하게 된다. 이런 유한적인 것을 넘어가면 이는 어떤 공허에 이르는 것이 아니다. 왜냐하면, 어떤 것에는 이미 이 규정과 다른 규정이 때문이다. 그러나 이런 새로운 규정 역시 유한성을 드러내면서 자기를 넘어간다.
헤겔은 유한자가 그 자체에서 부정성을 지닌 것이라면 이런 유한자가 실제로 자기를 부정하게 되면, 이런 부정성 뒤에 다시 등장하는 것은 부정성을 부정하는 것이며, 그런 점에서 유한성을 넘어가는 것 즉 무한성이다. 이런 무한자는 부정의 부정이니 즉 자기를 긍정하는 것 또는 자기 관계하는 것이다.
“무한성의 개념에서 처음 밝혀지는 것은 현존은 그 자체 존재를 통해 자신을 유한한 것으로 규정하며 제한을 넘어선다는 사실이다. 유한한 것의 본성은 자기를 넘어서 나가는 것이며 그의 부정을 부정하는 것이고 무한하게 되는 것이다.”(논리학 재판, GW21, 125)
이처럼 이 이행의 과정을 곧 무한성이라고 할 때, 이 무한성은 유한자의 진정한 그 자체적인 본성을 이루는 것이며, 이렇게 유한자가 그 자체에서 자신의 유한성을 넘어가니 이렇게 넘어가는 것은 낯선 폭력이 아니며 자기 자신이 자기를 넘어서는 것이다. 헤겔은 이런 운동 과정으로서 무한성을 ‘무한 진행’으로서의 무한성이라 한다.
“그러나 유한한 것은 스스로 무한성으로 고양하는 한에서 유한한 것에 이런 일을 가하는 것은 낯선 폭력이 아니며 제한으로서 자기 즉 제한 자체일 뿐만 아니라 당위기도 한 제한으로서 자기에 관계하며 이를 넘어 나가거나 자기 관계하는 것으로서 이 제한을 부정하고 그 제한을 넘어 나가는 것은 그 자신의 본성이다.”(논리학 재판, GW21, 125)
어떤 것이 지닌 하나의 규정이 그 자체에서 부정된다는 점에서 그 규정은 헤겔은 제한[schranke]이라 했다. 어떤 것은 스스로 그런 제한을 넘어서므로 이렇게 스스로 넘어선다는 점에서 어떤 것은 그 자체 존재 또는 당위(Sollen)이다. 이 당위는 유한자 내부에 있는 넘어서려는 것을 말한다. 이 당위가 곧 유한자 내부에 있는 무한성이다.
당위는 유한성을 넘어서는 것이며 모든 유한성을 이미 넘어선 것 그 결과가 곧 무한자니 헤겔은 무한자는 ‘수행된 당위’ 또는 ‘자기 내로 반성한 그 자체 존재 또는 당위’(논리학 재판, GW21, 126)라고 한다. 그러나 이렇게 수행된 당위는 다시 자기를 넘어서가야 하는 당위이니 헤겔은 이를 ‘영속적인 당위’(논리학 재판, GW21, 129)라고 말한다.
“무한성 속에서는 만족스럽게도 모든 규정성, 변화, 모든 제한과 더불어 당위 자체도 사라지고 지양된 것으로서 유한성의 무로 정립된다. 그 자체 존재는 유한성의 부정으로서 정립되며 그러므로 부정의 부정으로서 자체 내 긍정적으로 된다. 그러나 이 긍정은 질적으로 직접 자기 관계하는 것 즉 존재다.”(논리학 재판, GW21, 126)
4)
이제 무한 진행의 구체적 모습을 살펴보자. 우선 무한 진행에서 유한자와 무한자 서로 동전의 이면이다. 유한자는 어떤 것이 자신의 규정을 넘어가는 것을 말하며, 무한자는 이렇게 넘어간 후 다시 새로운 규정에 도달하는 것을 말한다. 유한자는 무한자에 관계해서만 유한자며, 무한자는 유한자에 관계해서만 무한적이다. 각자는 자기의 타자를 그 자신에서 갖는다. 각자는 자신과 자기의 타자의 통일이다.
“유한자로부터 무한자로 이행하는 것은 필연적이며, 유한자의 규정 자체에서 일어나는 것이며 유한자는 자기의 그 자체 존재로서 무한자로까지 고양된다는 사실은 쉽게 인정된다. 왜냐하면, 유한자는 사실 존립하는 현존으로서 규정되지만, 동시에 그 자신에서 무적인 거승로서 따라서 자신의 규정에 따라서 자신을 해소하는 것으로 규정되기 때문이다. 반면 무한자는 부정과 한계를 동반하는 것으로 규정되지만, 동시에 또한 그 자체 존재하는 것으로 규정되니, 이 추상적으로 자기 관계하는 긍정이 무한자의 규정을 이루며 이 규정에 따르면 유한한 현존은 그 규정 속에 들어 있지 않을 것이다.”(논리학 재판, GW21, 128)
유한성과 무한성을 이렇게 이행의 양 측면으로 보면, 양자는 서로 대립하면서도 이미 내적으로 통일되어 있다. 이렇게 통일과 대립이 동전의 양면처럼 서로 직접 결합하니 이런 결합은 무한히 미끄러지는 운동 즉 무한 진행이라는 운동으로 나타난다. 이것은 곧 유한자와 무한자의 상호 전환하는 모습이다.
“각자는 그 자체에서 자신의 규정으로부터 타자를 정립하니 양자는 불가분적이다. 그러나 이런 통일은 양자의 질적 타재성 때문에 은닉되니 이 통일은 내적이며 다만 근저에 놓여 있는 통일이 된다.”(논리학 재판, GW21, 128)
유한자의 이행이 또 하나의 유한자가 되는 것은 사실 내적 필연성이지만, 그 결합이 외면적인 것이므로 마치 외적인 발생으로 보인다. 즉 유한자가 부정되면, 새로이 출현하는 유한자는 논리적으로 도출되는 것이 아니라 직접 경험적으로 발견되는 것이 된다.
“유한자가 등장하는 것은 무한자에 외적인 발생으로서 나타난다. 새로운 한계 자체는 무한자로부터 발생하지 않고 마찬가지로 미리 발견된다.”(논리학 재판, GW21, 128-9)
이 무한 진행은 유한자 속에서 무한자가 불러내어 지고 무한자 속에서 유한자가 다시 불러내 지는 운동이다. 즉 “영속적으로 반복하는 동일한 교체”(논리학 재판, GW21, 130)다. 이런 무한 진행은 결코 이전의 유한자가 자기로 다시 복귀하는 것은 아니다. 그것은 유한자에서 어떤 새로운 유한자로 나가는 것이다. 무한히 미끄러지는 운동이기에 헤겔은 이런 무한 진행은 “넘어감 자체를 넘어가는 것은 아니다”(논리학 재판, GW21, 129)라고 한다.
그러므로 이런 무한자는 아직 진정한 무한자가 아니다. 왜냐하면, 이 무한자는 악 무한과 마찬가지로 여전히 유한자로부터 해방되지 못한 무한자이기 때문이다.
“유한자는 그 부정에서 다시 그 부정의 타자로서 출현하니 왜냐하면 무한자는 다만 자신의 타자인 유한자에 관계하는 것으로서만 존재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무한 진행은 다만 자기를 단조롭게 반복하며 유한자와 무한자의 동일하게 일어나는 지루한 교체다.”(논리학 재판, GW21, 129)
“공허한 불안 속에서 한계를 넘어서 무한성에 이르고 이런 무한자 속에서 새로운 한계를 발견하면서 무한성을 고수하지 못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그런 한계에 정착하지도 못하는 운동이다.””(논리학 재판, GW21, 129)
5)
앞에서 악 무한은 모든 규정이 부정된 다음 고유한 규정은 하나도 없다는 결과를 말한다. 그런 결과는 흔히 실재 세계 너머 피안에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지금 등장하는 무한성은 유한자가 자기를 넘어서 새로운 규정에 도달하는 과정을 말하며, 그것은 유한자 내부에 있는 무한성이며, 이런 이행의 운동 과정으로서 무한성이다.
무한 진행과 악 무한도 서로의 이면이다. 무한 진행은 이행의 과정을 말하는 것이고 악 무한은 이렇게 이행하여 도달하는 최종 결과를 말한다. 다만 어떤 것의 악 무한 즉 어떤 고유한 규정도 없다는 것에 도달하는 것은 모든 규정을 거쳐 나가봐야 하며, 그런 규정은 끝없으므로, 무한 진행은 영원히 끝나지 않는다. 그 무한 진행의 끝에 도달할 수 없는 먼 거리에 있는 것이 악 무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