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다 자유로운 글쓰기와 사상의 교류를 위해 회원들 각자 자발적으로 후원금을 기부하면서 자신들이 꾸려나가는 블로그형 글쓰기 코너 입니다. 후원도 하시면서 글까지 써주기로 하신 회원분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허기 [비극의 바다에서 퍼올린 농담과 유머]

[블로그진 안내] 본 지면은 회원들이 매달 약간의 후원회비를 납부하며 자발적으로 자신의 글을 올리는 코너입니다. 자유롭게 자신의 코너 제목을 개설하고 스스로 글을 업로드 하는 곳인 만큼, 본 코너의 저작권과 글에 대한 책임도 전적으로 글쓴이 본인에게 있음을 밝힙니다.


우쑵니다.

소개팅 나가 우아한 여자와 느끼한 스파게티에 칼질 잘하고 집에 들어와서 고추장에 열무김치 넣어 비벼 먹어야 해소되는 그 기분은 무엇일까요? 뭔지 모를 허기로 꾸역꾸역 양푼에 담긴 비빔밥을 먹으면서 이 허기는 단지 육체적 허기만은 아닐 줄도 모른다고 짐작해 볼 뿐입니다.

이 허기에 관한 소설이 있습니다. 굶주림에 대한 소설입니다. 카프카의 단식광대라는 소설입죠. 주인공은 스스로 굶주림을 선택하는 단식을 대단한 재주인양 전시하는 광대에 대한 얘기입니다. 사람들은 흔히 이 단식을 예술에 대한 상징으로 독해하더군요. 뭐 나쁜 해석은 아니지만 뭔가 부족한 느낌이 있더군요.

단식광대1

우리에 갇힌 광대가 왜 스스로 음식을 거부할까에 주목한다면 좀 다른 느낌이 납니다. 그렇습니다. 우리에 갇혔다는 점도 중요합니다. 우리에 갇힌 광대는 동물원의 직원들이 주는 음식을 먹을 수밖에 없습니다. 주어지는 음식. 기존의 동물원이 만들어주는 음식입니다. 인스턴트 음식입죠. 때문에 광대가 음식을 거부하는 이유는 의외입니다. 경탄할만한 일이 아니라고도 하죠. 입에 맞는 음식을 찾지 못했을 뿐이기 때문에 어쩔 수 없었다는 말입니다. 어쩔 수 없다는 말이 핵심 같더군요. 부득이했다. 어쩔 도리가 없었다. 결국 죽습니다.

자신의 입맛에 맞지 않는 음식입니다. 자신의 입맛이라니요. 재미있지 않습니까? 우리에 사는 다른 동물들은 동물원이 제공하는 음식들을 맛있게 먹는데 왜 이 광대는 입맛에 맞지 않는다고 느꼈을까요. 이상하지 않습니까. 맹자가 이런 말을 했더군요.

“굶주린 사람은 무엇을 먹어도 달게 먹고, 목마른 사람은 무엇을 마셔도 달게 먹는다. 그러나 이것은 음식의 진미를 맛보는 것이 아니다. 굶주림과 목마름이 미각의 본성을 해쳤기 때문이다. 어찌 입과 배에만 굶주림과 목마름의 해침이 있겠는가? 사람의 마음에도 마찬가지로 이러한 해침이 있다.”(飢者甘食, 渴者甘飮. 是未得飮食之正也. 飢渴, 害之也. 豈惟口腹有飢渴之害? 人心, 亦皆有害.)

전 맹자의 말에서 음식의 진미라고 번역한 말에 주목합니다. 음식에도 진짜 맛과 가짜 맛이 있지 않을까요? 음식 자체에 진짜 맛과 가짜 맛이 있는 것이 아니라 어쩌면 인간에게는 진짜 미각(味覺)이 있는 것인지도 모르겠습니다. 맹자는 굶주림에 처한 인간이 동물원에서 제공되는 음식을 아무거나 먹을 때 진짜 미각을 상실할 수 있다고 말하는 것이 아닐까요. 동물원에 갇힌 동물들은 진짜 미각을 상실했다면 단식광대는 그것을 느끼고 있습니다.

전 맹자가 사람의 마음을 말하면서 이 미각의 문제로 비유했다는 것이 단지 상징으로 읽혀지지는 않더군요. 맹자는 여러 차례 반복적으로 인간의 본심과 미각의 문제를 음식으로 비유하면서 설명합니다. 중국인들이 팔진미(八珍味)로 손꼽는 것 가운데 곰 발바닥 요리가 있습니다. 일명 웅장(熊掌)입니다. 물론 먹어본 적은 없지만요.

꾸8B10~1

맹자는 곰발바닥 요리를 빗대어 맹자가 말하는 본심인 의로움[義]을 설명합니다. 물고기 요리도 맛있고 곰 발바닥 요리도 맛있습니다. 그러나 두 가지를 모두 가지지 못할 때 어떻게 할까요? 당연합니다. 더 맛있는 곰 발바닥 요리를 선택할 수밖에 없습니다. 어쩔 수 없죠. 맛있는데. 이런 음식의 비유와 함께 논의되는 맹자의 다음과 같은 말은 주목할 만합니다.

“사는 것도 내가 원하는 것이고, 의로움[義] 또한 내가 원하는 것이지만, 두 가지를 모두 가질 수 없다면 나는 사는 것을 포기하고 의로움을 취할 것이다. 사는 것도 내가 원하는 것이지만, 사는 것보다 더욱더 간절하게 원하는 것이 있기 때문에 나는 사는 것을 구차스럽게 얻으려고 하지 않는다. 죽는 것도 내가 싫어하는 것이지만, 죽는 것보다 더욱더 끔찍하게 싫어하는 것이 있기 때문에 나는 죽음의 환난을 구차스럽게 피하지 않을 것이다.”(生, 亦我所欲也, 義, 亦我所欲也, 二者不可得兼, 舍生而取義者也. 生亦我所欲, 所欲有甚於生者, 故不爲苟得也. 死亦我所惡, 所惡有甚於死者, 故患有所不辟也.)

이것은 단지 상징적 비유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맹자에게서 의로움은 인간에게 하기 싫은 것을 강제적으로 강요하는 당위적 의무가 아닙니다. 물고기보다 더 맛있는 곰발바닥 요리를 택하는 것이 당연한 생물학적 미각의 선택이듯이, 구차스럽게 사는 것보다 더 감동적인 의로움을 선택하는 것 또한 생물학적 취향의 결과라고 보아야 합니다. 맹자에게서 사단(四端)이라는 도덕적 본성은 맛 가운데 맛, 쾌락 가운데 쾌락인 생물학적 미각입니다. 입, 귀, 눈과 같은 감각에는 모든 사람들에게 동일한 취향이 있습니다. 마음에도 동일한 취향이 있다는 것이 맹자의 생각입죠. 공통적인 취향입니다. 모든 사람들의 마음이 가진 공통적인 취향은 맛있는 고기 요리가 입맛을 기쁘게 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우리의 마음을 기쁘게 해줍니다. 어쩔 수 없는 일입니다.

이상한 일이 있습니다. 칸트의 <판단력비판>은 주로 미학과 관련해서 논의됩니다. 여기서 가장 중요하게 다루는 개념은 ‘게슈막’(Geschmack)입니다. 흔히 취향이나 취미로 번역되더군요. 그러나 이 ‘게슈막’이라는 독일어의 가장 기초적인 의미는 바로 맛과 미각이라는 점에 있습니다. 영어 ‘테이스트’(taste)도 취향이지만 가장 기초적인 의미는 바로 맛과 미각입니다. 이상하지 않습니까.

그런데 칸트는 이 개인의 주관적 취향이 보편성을 가질 수 있다고 합니다. 취향은 주관적인 경험적 사실이지만, 어떤 대상을 아름답다고 말하는 취미판단은 보편성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이죠. 그것이 가능한 이유는 사람들이 공통감(sensus communis)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칸트가 말하는 공통감을 정치적으로 해석한 사람은 한나 아렌트입니다. 정치적으로 해석할 때 공통감은 곧 ‘상식’(common sense)이 됩니다. 한나 아렌트는 <칸트 정치철학 강의>에서 상식을 이렇게 말하고 있습니다.

“칸트에 따르면 상식은 사적 감각과 구별되는 공동체 감각(community sense), 즉 공통감이다. 이 공통감은 판단이 모든 사람들 속에서 호소의 대상이 되게 하는 것으로, 이렇게 가능하게 되는 호소 때문에 판단은 특별한 타당성을 갖게 된다.”

아렌트가 해석한 공통감은 단지 개인적 차원의 미학적 감각이 아닙니다. 모든 사람들에게 호소하고 감동할 수 있는 공동체 감각입니다. 공통감에 기초한 판단은 모든 사람들에게 호소력을 가질 수 있고, 호소력을 넘어 동감과 지지를 얻을 때는 특별한 타당성을 지닌 정치적 의미를 가집니다.

맹자도 마찬가지 아닐까요. 그가 말하는 사단도 단지 개인적 차원의 도덕적 능력이 아닙니다. 도덕적 능력을 과시하는 일도 아닙니다. 대단한 일이 아닐 줄도 모릅니다. 맹자에게서 인(仁)과 의(義)는 모든 사람들이 함께 맛보아 감동할 수 있는 공동체 감각으로서 정치적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어쩔 수 없는 일이죠.

아, 논의가 이상한 곳으로 흘렀군요. 다시 카프카의 단식광대를 얘기하고 싶습니다. 그는 입에 맞는 음식을 찾지 못했기 때문에 스스로 단식했던 것입니다. 그 능력을 사람들 앞에서 과시하려던 것이 아니었죠. 굶주림을 견뎠던 것입니다. 아니 굶주림을 선택했던 것이고 동물원에서 주는 음식을 거부했던 것입니다. 하나를 버리고 다른 하나를 취한 것입니다. 그런 것이죠. 맹자에 따른다면 “사는 것도 내가 원하는 것이고, 의로움[義] 또한 내가 원하는 것이지만, 두 가지를 모두 가질 수 없다면 나는 사는 것을 포기하고 의로움을 취한” 것입니다. 의로움이라는 미각을 선택한 것이 아닐까요.

니체의 입맛이 까다롭더군요.

“이것저것 가리지 않고, 매사에 맛있어 하는, 그런 만족. 이것이 최선의 취향은 아니다! 나는 ‘나’, ‘그렇다’ 그리고 ‘아니다’를 말할 줄 아는 반항적이며 까다로운 혀와 위장을 높이 평가한다. 이것저것 가리지 않고 온갖 것을 씹어 소화하는 것은 돼지나 하는 일이다!”

동물원에서 던져주는 음식을 넙죽넙죽 받아먹는 먹성과 비위가 좋은 동물들은 어쩌면 역겨운 음식들까지도 맛있다는 듯이 먹어대는 돼지가 되어가고 있는 것인지도 모릅니다. 그럴진대 나는 나라 하고, 그렇다와 아니다를 말할 줄 아는 까다로운 혀와 위장이 가진 미각을 회복할 때, 그 미각(味覺)은 공동체 감각으로서 미각(美覺)이 되는 것은 아닐까요.

얀 사우데크(Jan Saudek)7

불현 듯 소개팅 나가 우아한 여자와 느끼한 스파게티에 칼질 잘하고 집에 들어와서 고추장에 열무김치 넣어 비벼 먹어야 해소되는 그 허기의 정체가 무엇인지 알 것도 같습니다. 그것은 육체적인 허기가 아니라 뭔가 인간적인 허기가 아닐까요.

단식광대는 인간적인 미각을 잃었고 입맛을 잃었던 것인지도 모릅니다. 살맛을 잃은 것이죠. 죽을 수밖에 없는 것도 어쩌면 어쩔 수 없던 일이고 당연한 일인지도 모릅니다. 살맛을 잃었는데요. 슬픈 일입니다. 죽을 수밖에 없는 일이 슬프다기보다는 인간은 굶주림으로는 살 수가 없는 존재라는 사실이 슬픕니다.

아니죠. 더 정확히 말하자면 이렇습니다. 굶주림으로는 살 수가 없습니다. 그러나 굶주림 없이도 살 수가 없습니다. 우리는 굶주림을 통해서 동물원이 주는 음식들을 거부하고 동물원에서 해방될 수 있을지도 모르기 때문입니다.

sallymann

물론 저는 이쁜 여자와 느끼한 스파게티를 먹고 돌아와 집에서 혼자 양푼에 고추장과 열무김치를 넣어 밥을 비벼먹는 구차스런 외로움과 비겁을 행하고 있긴 합니다만. 그런 생각이 드는군요. 해방이라니. 굶주림과 해방이 이렇게 연결될 수 있다니 감격스럽습니다. 살맛나지 않는 세상에서 죽지 않고 살기란 그렇게도 힘든 일은 아닐 줄도 모르겠습니다. 먹방의 시대이니깐요. 그러나 “먹고 마시지 않는 사람이 없건만, 능히 맛을 아는 자는 드물다.”(人莫不飮食也, 鮮能知味也)라는 <중용>에 나온 말은 단지 수사적인 과장이 아닐지도 모르겠습니다.

글 : 허리우스

‘그들만의 철학’이 아닌 ‘우리 모두의 철학’을 위하여! [평이의 궁시렁]

[블로그진 안내] 본 지면은 회원들이 매달 약간의 후원회비를 납부하며 자발적으로 자신의 글을 올리는 코너입니다. 자유롭게 자신의 코너 제목을 개설하고 스스로 글을 업로드 하는 곳인 만큼, 본 코너의 저작권과 글에 대한 책임도 전적으로 글쓴이 본인에게 있음을 밝힙니다.


아이가 아이였을 때, 이런 질문을 할 때가 있었네.

왜 나는 나이고 너가 아닌 거지? 왜 나는 여기에 있고 거기에는 없는 거지?

시간은 언제 시작되었을까? 그리고 공간의 끝은 어디에 있는 거지?

태양 아래서의 삶이란 단순한 꿈에 불과한 건 아닐까?

내가 보고, 듣고, 냄새 맡은 것은 단지 이 세계에 앞서 존재하는 어떤 다른 세계에 대한 환영에 불과한 건 아닐까?

악마가 실제로 존재하는 걸까? 그리고 정말로 악한 사람들이 있기나 한 걸까?

그리고 도대체 어떻게 내가 생기기 전에는 나라고 하는 사람이 존재하지 않았다는 거지?

또 어떻게 나라고 하는 사람이 그 언젠가는 더 이상 그러한 나일 수 없다는 게 있을 수 있지?

– 빔 벤더스의 영화, <욕망의 날개Wings of Desire(1987)>, 한국 개봉이름 <베를린 천사의 시> 중에서.

베를린합성

우리 모두는 어린아이였을 때, 다들 철학자였다. 온통 새롭고 낯선 주변의 세계를 접하면서 끊임없이 물음을 쏟아내던 그 시절을 회상해 낼 수 있다면, 아마도 한번쯤은 저런 질문들을 머릿속에 떠올렸던 자신의 모습을 마주하게 될 것이다. 처음으로 모국어라는 그 어렵고 낯선 장애물을 스스로 극복하면서 비로소 깨치게 된 언어의 힘으로 우리는 모두 세상에 대해 질문하던 철학자였던 셈이다.

그런데도 우리에게 철학은 어떻게 다가오는가? 어렵고 낯선 단어들, 추상적이고 일상의 삶과는 전혀 관련 없어 보이는 그 수많은 언어의 유희들. 나와는 그저 상관없는 전문 철학자들의 말잔치. 물론 때론 그들의 말잔치가 가끔은 흥미를 끈다. 철학교수들이 쉽게 풀어내는 인문학 강좌 열풍에 이끌려 열심히 그들의 말씀(?)에도 귀 기울여 본다. 그럼에도 어렵다. 이해하기도 어렵고 더구나 내 삶의 문제들과 어떤 연관이 있는지는 더더욱 알 수 없다.

사실 인문학, 특히 철학은 이런 식으로 누군가의 강의와 말씀에만 기대려 할 때, 역설적으로 사라져 버릴 수밖에 없다. 우리 스스로가 살면서 이 세상에 대해, 이 사회에 대해 품게 된 수많은 질문들, 또 그 질문들을 던졌던 자신의 지적인 능력 자체를 망각한다면, 철학은 아무런 의미도 없다. 그저 전문가에 기대어 자신의 삶에 대한 어떤 해법만을 기대하는 무기력하고 자신의 지적 능력을 무시하는 그런 대중으로 전락할 뿐이다.

우리는 ‘모두가 지적으로 평등하며 다만 그 동등한 지적 능력을 어떻게 발현시키는가에 따라 달라질 뿐’이라는 사실을 잊지 말아야 한다. 물론 당연히 머릿속에 반론이 떠오를 것이다. 어떻게 우리가 지적으로 평등하냐고. 사람들은 모두 태어날 때부터 서로 다른 특성과 능력을 부여받기에 똑똑한 사람도 있고 멍청한 사람도 있을 수밖에 없는 것 아니냐고. 그렇기에 좀 더 똑똑한 지식인들이 멍청한 대중들을 계몽해야 하는 게 아니냐고.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정말 우리는 똑똑한 사람과 멍청한 사람으로 구별되어 태어나는 것일까? 만약 그렇다면 똑똑한 사람들이 우리 같은 다소 멍청한 대중들을 이끌고 지배하면 되는 게 아닐까? 똑똑한 전문 정치인이 우리의 삶과 정치를 좌우하고, 똑똑한 전문가들이 이 사회를 잘 꾸려가는 게 당연한 일이지 않을까?

바로 이런 생각이 모든 위계의 원천이다. 유식한 자와 무식한 자, 전문 정치인과 대중, 전문 철학자와 대중으로 끊임없이 사회적인 위계를 생산하고, 그런 위계에 따라 사회적 삶과 정치가 좌우되는 세상. 이런 세상이야말로 우리가 보고 있는 우리 사회의 현실이다.

하지만 우리 모두는 잘 안다. 우리 스스로 지적인 능력을 발현하며 모국어를 터득했고, 또 그런 자신의 능력으로 무언가를 배워왔다는 사실을. 단지 치열한 생존의 무게에 갇혀 다른 곳을 보지 못하고 살아왔을 뿐, 각자의 영역에서 자신의 지적 능력을 발휘해 왔다는 사실을. 그렇기에 우리가 발현시킨 그 능력들을 좀 더 넓은 영역으로 확장시킨다면 그 무엇이든 할 수 있다는 점도 말이다.

정치가 그들만의 일이 아니듯, 철학도 일부 전문가들만의 영역은 아니다. 물론 철학자로서, 연구자로서 평생을 바치는 소수는 늘 필요하고 소중할 것이다. 그럼에도 그들이 세상을 계몽하는 선구자일 수는 없다. 이제는 누군가의 계몽이 필요한 시대가 아니라, 말할 수 있는 능력을 지닌 우리 모두가 스스로를 해방하는 시대가 되어야 한다. 철학 역시도 이제는 단순히 철학의 대중화가 아니라, 우리 대중 모두가 스스로 철학할 수 있는 그런 무엇이 되어야 한다. 그들만의 철학이 아닌 우리 모두의 철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