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의 모든 공은 포물선을 그리며 떨어진다[청춘의 서재]
세상의 모든 공은 포물선을 그리며 떨어진다 [청춘의 서재]
소율(자유기고가)
간소한 문장은 깊이 우려낸 녹차의 맛과 비슷하다. 책을 읽다가 좋은 문장이 나오면 밑줄을 긋는다. 책에 밑줄을 긋는 행위는 상대방의 손을 잡는 행위와 동일하다. 밑줄은 독자가 저자에게 보내는 공감, 동의, 지지, 환희, 동맹을 나타내는 표현의 한 방식이다. 당연히 좋은 책일수록 밑줄을 긋는 횟수도 늘어난다. 하지만 이 행위는 역설적이게도 밑줄을 칠 문장보다 밑줄을 치지 않을 문장이 더 많을 때 밑줄을 긋게 된다. 왜냐하면 밑줄이 두루마리 휴지처럼 길면 길수록 밑줄은 어느새 그 의미를 상실하기 때문이다.
<삼미슈퍼스타즈 마지막 팬클럽>은 우승할 확률1%인 대책 없는 80년대 삼미 야구단에 대한 이야기이다. 삼미슈퍼스타즈는 프로야구 팀이기보다는 야구를 취미로 즐기는 사회인 야구 동호회 성격이 강한 팀이었다. 선수 이름도 슈퍼스타에 어울리는 이름은 하나도 없었다. 최강타, 전태풍, 백두산 같은 멋진 이름 대신 금광옥과 장명부 그리고 패전 전문 마무리 투수 감사용이 그 자리를 차지했다. 금광옥은 새로운 사과 품종 이름 같았고, 장명부는 일본의 인기 만화 데쓰노트를 한국식 이름으로 지으면 어울릴 만한 이름 같았다. 그리고 감사용은 감사용 다음에 선물이라는 단어가 어울릴 법한 촌스러운 이름이 아닌가? 다가오는 한가위엔 고객 여러분의 정성에 보답하고자 저희가 감사용 선물을 준비했어요.
슈퍼맨 망토 입고 야구를 하는 정신없는 구단답게 꼴찌는 삼미의 몫이었다. 한국 프로야구 역사상 최악의 기록은 대부분 삼미가 기록했다. 한 시즌 최다 연패, 한 시즌 최소 승률, 한 경기 최대 점수차 역전패, 한 경기 최다 병살타, 한 경기 최다 홈런 허용, 한 경기 최다 사사구 허용, 특정 구단 상대 최다 연패 등등. 하지만 박민규는 승률 1%의 꼴찌 팀 삼미에 주목했다. “승리한 경기에서 배울 수 있는 것은 적지만 패배한 경기에서는 더 많은 것을 배울 수 있다. “미국 메이저리그 특급 투수 크리스 매튜스의 말이다. 꼴지로 출발한 삼미는 다음 시즌에 기똥차게 변신을 한다. 최종 성적은 1위 자리를 아슬아슬하게 놓친 2위였다. 그는 만화적 세계와 농담과 명랑으로 꼴찌와 실패의 가치에 대하여 이야기한다. 그것은 국가와 민족의 무궁한 발전과 영광을 위하여 몸과 마음을 바쳐 충성을 다할 것을 굳게 맹세하는 세계와는 전혀 다른 세상이었다. 민족 중흥의 역사적 사명은 개나 줘 버려! 낄낄거려도 좋고, 깔깔거려도 좋고, 데구르르 구르다가 벌떡 일어나 다시 데구르르 굴러도 좋은 소설이었다. 아, 재미있다 !
나는 박민규의 장편소설 <삼미슈퍼스타즈 마지막 팬클럽>을 읽으면서 책에 밑줄을 단 한 번도 긋지 않았다. 하지만 그것은 독자인 내가 저자인 박민규에게 보내는 야유가 아니며 그의 문장과 서사에 대한 단호한 거부가 아니다. 첫 페이지 첫 문장 첫 음절에서 시작하여 마지막 페이지 마지막 문장의 마침표까지 길게 이어질 밑줄을 긋는다는 것이 얼마나 어리석은 행동인가를 잘 알고 있기 때문이다. 공감의 밑줄이 길다. 그만큼 박민규의 서사는 압도적이다. 그 동안 주류 문단의 젠체하는 문장, 뒷짐지고 훈계만 하려는 꼰대들의 서사, 당대를 외면한 낭만적 후까시와 후일담, 징징거리는 신경 쇠약 직전의 신파, 쓸데없이 무게 잡는 우울, 이 세상 모든 트라우마의 주범은 모두 폭력적 아버지라고 말하는 뻔한 가족 서사에 진절머리가 났던 시절에 읽은 이 소설은 시시껄렁한 잡담과 명랑으로도 깊이 있는 문학의 향을 잘 전달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해 보인 작품이었다. 장정일의 소설들이 시시해질 무렵 등장한 박민규은 싱싱해 보였다. 진정한 슈퍼스타는 박민규였다.
야구란 본질적으로 실패와 어긋남의 서사이다. 3할 타자란 10번 대결해서 7번 실패하고 겨우 3번 성공을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게임의 법칙으로 보자면 3할은 실패한 승률이다. 10번 대결해서 3번 성공했다는 것이 그리 자랑스러운 결과는 아니지 않은가 ? 그럼에도 불구하고 야구는 3할 타자를 훌륭한 타자라고 자랑한다. 이렇듯 야구는 백전백승의 세계가 아니고 승자 독식의 세계도 아니다. <3승 7패의 세계>이다. “7패나 했어?”의 세상이 아니라 “ 3승이나 했어!”의 세상이다. 맹추, 띨띠리, 멍충이, 해삼, 멍게, 말미잘의 세상이다. 숨지 말고 당당하게 나와라 !
1%의 승자가 모든 것을 삼키는 이 불행한 시대의 청춘들에게 필요한 것은 일등에 대한 맹목적 숭배가 아니라 꼴등에 대한 따스한 위로와 공감이다. 이상적인 사회란 일등이 성공하는 사회가 아니라 꼴찌도 행복할 수 있는 사회이다. 그렇지 않은가? 하지만 이 시대는 한 명의 승자가 모든 것을 독식하는 사회이다.
<삼미슈퍼스타즈 마지막 팬클럽 > 은 이 시대 청춘들에게 헛스윙을 두려워하지 말라고 위로한다. 그것은 실패가 아니라 성공을 위한 필연적 과정이다. 얼핏 이 위로는 상투적인 스포츠 서사의 전형처럼 보이지만 이 소설의 방점은 성공이 아닌 실패에 대한 지지에 있다. 사실 역경을 극복하고 이룬 기적 같은 성공 스토리는 곁가지에 불과하다. 박민규는 성공이 아닌 실패에 밑줄을 긋는다. 7패 다음에 3승이 찾아온다고, 7패 다음에 다시 1패가 찾아와도 걱정하지 말라고, 8패 뒤에 또 다시 1패가 찾아와도 걱정하지 말라고, 외로워도 슬퍼도 웃음을 잃지 말라고, 들장미 소녀 캔디가 되라고, 말랑말랑한 것은 딱딱한 것보다 더 힘이 세다고!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채찍이 아니다. 괜찮다, 괜찮다. 이 시대의 불안은 당신 탓이 아니며 당신의 무능 또한 당신 탓이 아니다. 그런 위로의 말이 간절한 시점이다.
엄청나게 빠른 직구를 자랑하는 투수의 공이라 하더라도 세상의 모든 공은 딱딱한 직선이 아닌 부드러운 곡선으로 포수의 글러브에 들어온다. 니체는 말했다. 고통이 영혼을 갉아먹을수록 웃음을 잃지 마라. 나는 당신이 헛스윙으로 자리에서 물러나도 돌아서서 씨익 웃었으면 한다. 젖은 장작을 태우는 것은 마른 잡초이다. 그 사실을 잊지 않았으면 한다. 이길 수도 있고 질 수도 있다. 그게 인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