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겔 형이상학 산책33-진무한(眞無限) [흐린 창가에서-이병창의 문화비평]
헤겔 형이상학 산책33-진무한(眞無限)
1)
앞에서 무한성에 관한 두 가지 개념을 살펴보았다. 즉 악무한(惡無限)과 무한진행이다. 무한진행이 무한을 이행하는 운동 중에서 파악한 것이라면, 악무한은 이런 운동의 끝에 도달하는 결과로서 무한자를 말한다.
이런 악무한과 무한진행은 형식적으로 보면 동일하다. 그것을 판단 형식으로 표현하면, 소위 부정적 무한 판단이다. 즉 “이것은 -p & -q & -r … 등”이다. 여기서 p, q, r… 은 어떤 것의 속성을 표현한다.
앞에서 말했지만, 이런 부정적 무한 판단 형식은 단순한 성질을 가지고도 표현할 수 있다. 예를 들자면 “이것은 빨강도 아니고 파랑도 아니고 노랑도 아니며 … 등” 그러나 헤겔에서 악무한과 무한진행은 어디까지나 어떤 것의 속성과 관계해서만 이루어진다. 즉 “소금은 짠맛도 아니고 입방체도 아니고 … 등이다”와 같은 판단이다.
성질로 이루어진 무한 판단에서는 어떤 성질이 그 자체에서 자기를 넘어가는 무한성이 성립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흰색이라는 색깔은 사물 즉 소금에 대해 외적인 성질이기 때문이다. 외적인 성질의 부정은 어디까지나 외면적으로 일어난다. 소금이 흰색에서 자색으로 변하더라도, 이런 변화는 소금의 규정과 전혀 무관하다.
그러나 속성의 경우에서는 다르다. 하나의 속성은 다른 속성과 그 자체에서 관계한다. 왜나하면, 한 사물에 두 속성은 그 사물에 필연적으로 속한다. 이렇게 서로 다른 속성이 하나의 사물에 필연적으로 속하려면 그것은 서로 교차하고 있어야 하며, 그러므로 어떤 속성은 이미 그 자체에서 자기의 부정성을 지니고 있으며 유한한 것으로 규정되고 그 자체에서 자기를 넘어서는 무한성을 지니면서 무한진행과 악무한이 발생한다.
2)
악무한, 무한진행을 넘어서 헤겔은 긍정적 무한성 즉 진무한(眞無限)으로 발전한다. 헤겔은 진 무한의 개념을 무한진행의 개념에서 끌어내고 있다. 무한진행은 사실 이미 유한성과 무한성의 통일이다. 즉 유한성은 이미 자기 부정성을 지니고 있어 자기를 넘어가니 무한성을 내포한다. 거꾸로 무한성은 자기 자신으로 돌아온 것이니 자기 관계하는 것 즉 하나의 유한자다.
그러나 무한진행에서 이런 통일은 동시에 유한자와 무한자의 직접적인 대립 속에 들어있다. 유한자는 직접 존재하는 것이며 무한자는 직접 존재하는 것과 구별된 또 하나의 직접 존재하는 것이니 서로 대립한다. 서로 내적으로 통일된 것이 외적으로 서로 대립하므로 여기서 통일과 대립이 서로 관계하는 방식이 곧 미끄러지는 방식이다. 즉 “어떤 것은 p이었다가 p가 아니게 되며, (-p는 q므로) q이었다고 다시 q가 아니게 되고 (-q는 곧 r이므로) r이었다가 다시 r이 아니게 된다… 등이다.”
헤겔은 유한자와 무한자의 통일이 이렇게 미끄러지는 방식으로 또는 교체하는 방식으로 실현될 때 이것을 개념의 외적 실현이라 한다. 무한진행은 통일이 이렇게 왜곡된 방식으로 출현하는 것이지만, 이미 이런 무한진행 속에서 유한자와 무한자의 통일이 들어있다는 사실이 중요하다. 마침내 유한자와 무한자의 통일이 왜곡된 모습을 제치고 자기의 모습을 진정하게 드러내게 되면 그것이 곧 진정한 무한성이 된다.
“무한진행 속에서 처음에 양자 즉 무한자나 유한자는 부정된다. 양자는 동일한 방식으로 자기를 넘어간다. 두 번째로 양자는 또한 구별된 것으로서 차례로 각자 구별된 것으로 독자적으로 그정적인 것으로서 정립된다. 따라서 우리는 두 가지 규정을 비교하면서 파악하니, 이 비교 속에서 즉 외적인 비교 속에서 두 가지 고찰방식을 분리한 채로 파악한다. 즉 유한자와 무한자를 양자의 관계 속에서 받아들이는 동시에 양자를 각자 독자적으로 받아들인다.”(논리학 재판, GW 21, 134)
“유한자와 무한자의 부정은 무한진행 속에 정립되는 한 단순하며 따라서 서로 분리되어 다만 차례로 뒤따르는 것으로서 간주할 수 있다. .. 그러나 이런 이중적인 지양은 부분적으로는 다만 외적인 사건이며 계기의 교체로서만 존재하며 부분적으로는 통일로서 아직 정립되지 않았다.”(논리학 재판, GW 21, 134)
3)
그렇다면, 유한자와 무한자의 통일이 무한진행에서와 달리 그 진정한 모습을 드러낸다는 것은 어떤 의미를 갖는 것일까? 헤겔은 무한진행이 ‘계기의 교체’라면 이 진정한 통일성은 ‘자기 완결적 운동’이라고 한다. 헤겔은 자기 완결적 운동을 설명하면서 이렇게 말한다.
“이것은 완전한 자기 완결적 운동이다. 즉 출발점이었던 것에 도착하는 운동이다. 출발점이었던 것과 동일한 것이 발생하니, 유한자가 반복된다. 그와 같은 것은 자기 자신과 합일한 것이며 다만 자기를 자기의 피안을 통해서 다시 발견한다.”(논리학 재판, GW 21, 134)
“양자는 즉 유한자와 무한자는 자기 부정을 통해 자기로 되돌아오는 운동이다. 양자는 다만 자기 내에서 매개로서 존재하며 양자의 긍정은 양자의 부정을 포함하니 부정의 부정이다.”(논리학 재판, GW 21, 135)
“양자는 다만 자기의 대립물과의 매개를 통해서 그러나 본질적으로 동시에 자기의 대립물의 지양을 매개로 해서 출현한다는 사실이다.”(논리학 재판, GW 21, 135)
형식상으로 보면 이 운동은 유한자가 무한자를 매개로 해서 다시 유한자로 돌아오는 것이다. 사실 무한진행에서도 유한자는 무한자를 매개로 해서 다시 유한자로 돌아오니, 이미 무한진행도 진무한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헤겔은 진무한을 이런 무한진행과 구별한다. 무한진행은 진정한 통일이 왜곡된 표현이고 진무한만이 진정한 모습이 그대로 표현된 것이라는 말이다.헤겔은 이 차이를 설명하면서 무한진행이 직선으로 표상할 수 있다면 진무한은 원으로 표상할 수 있다고 말한다.
4)
지금까지 미끄러지는 직선 운동이 갑자기 자기로 되돌아오는 원운동으로 전환한 이유가 무엇일까? 여기서 다시 처음에 제시했던 무한 판단의 형식을 상기해 보자. 무한 판단 형식은 다음과 같다.
① 부정적 무한 판단: S=-p & -q & -r
② 모순 판단: S=-p & -(-p) = -p & p
③ 긍정적 무한 판단: S가 p or -p라면, S=비x
이 세 가지 무한 판단 가운데 ①이 무한진행을 표현한다면, ②가 곧 자기 내로 복귀하는 운동으로서 무한성을 의미한다. 소금은 짠 것도 아니고 짠 것이 아닌 것도 아니다. 여기서 ‘짠 것이 아닌 것도 아니다’는 표현은 헤겔이 말한 자기의 부정(대립물)을 매개로 자기로 돌아온 것이니, 자기를 다시 발견하는 것이다.
무한 판단 형식이 ①에서 ②로 바뀌는 것은 단순히 형식인 변환만은 아니다. 왜냐하면, 여기에서 ‘q,r …등’이 ‘-p’로 총괄되기 위해서는 일정한 한정을 지녀야 하기 때문이다. 이는 적어도 경험을 통해 새로운 발전이 일어났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어떤 사물은 무한히 많은 속성을 지닌 것이 아니라 대립적인 속성이 교차하고 있다는 사실에 대한 경험이다. 전자가 속성의 상이성에 관한 경험이라면 후자는 속성 모순에 관한 경험이다.
사물의 모순에 관한 경험은 정신현상학에서 하나의 인식 범주가 다른 인식 범주로 이행하는 매개가 된다. 그 점에 관해서 헤겔은 정신현상학 서론[Einleitung]에서 의식에 대한 그 자체 존재라는 개념을 통해 설명했다. 어떤 의식은 이미 하나의 범주를 지니면서 대상을 선험적으로 구성한다. 그런 구성에서 의식은 불가피하게 물 자체에 부딪히게 되는데, 헤겔은 이런 물 자체를 의식에 대한 물 자체라 하였다. 그것은 기존의 인식 범주로는 더 이상 규정되지 않는 것이며 그러므로 인식에서 모순을 불러일으키는 것을 말한다. 이런 모순적 경험에 부딪힘으로써 인식은 자기 내로 반성하여 새로운 인식 범주를 제시하게 된다.
그것은 논리학에서도 마찬가지다. 논리학에서 하나의 범주는 마침내 모순적인 경험에 부딪히면서 자기 내로 반성하여 새로운 범주가 등장한다. 지금까지 우리는 경험의 발전을 통해 인식 범주가 변화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제 마침내 질적 범주에서 모순에 부딪히면서 새로운 범주로 나가는데, 그 범주가 무엇인가?
“실재성과 관념성의 관계에서 유한자와 무한자의 대립이 파악되는 방식을 보자면 유한자는 실재하는 것으로 여겨지지만 무한자는 관념적인 것으로 여겨진다는 것이다.” (논리학 재판, GW 21, 137)
“관념성은 무한성의 질로 불릴 수 있다. 그러나 관념성은 본질적으로 생성의 과정이며 따라서 현존으로의 생성과 같은 이행이다.” (논리학 재판, GW 21, 137)
헤겔은 이런 진무한의 판단 형식에 대응하는 범주를 우선 관념적인 것으로 규정하면서 이를 생성 그리고 대자 존재라는 개념으로 전개한다. 그러면 모순의 경험을 통해 마침내 출현한 진 무한이 무엇인지, 그리고 왜 이 진 무한을 관념적인 것, 생성, 대자 존재로 규정하는지를 살펴보자. 헤겔이 말하는 대자 존재란 플라톤이 말하는 이데아의 개념과 일치하는데, 헤겔이 플라톤을 비판하면서 아리스토텔레스의 진영에 서는 이유를 이해하게 해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