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tries by Jin Bosung

우리는 아무도 울지 않고 / 아무도 우리를 울리지 않고 / 이유운과 류휘석 [유운의 전개도 접기]

우리는 아무도 울지 않고   이유운   갑자기 모든 개가 말을 할 수 있게 된다면 다들 아프다고 말할 것이다   우리는 쏟아지는 빗속에서도 손을 바꾸어 잡아가며 걷고 있었다   영원히 내리는 비란 상상하기 어렵겠지만 우리는 사이좋게 사랑에 빠지고   네 옆얼굴에 빗물이 그림자처럼 흐르고 있었다   보도블럭의 금을 피해 밟으며 너는 노래처럼 “너와 있으면 이상한 […]

즐거움의 항구: 에피쿠로스의 『쾌락』 – ① [내게는 이름이 없다]

즐거움의 항구: 에피쿠로스의 『쾌락』 – ①   글: 행길이   편견과 오해   시아파와 수니파가 구분되지 않고 이황과 이이가 헛갈리듯이, 에피쿠로스의 가르침은 늘 퀴레네 학파의 쾌락주의로 오인된다. 그래서 에피쿠로스는 ‘돼지들의 학교’를 만들어 경건한 삶을 조롱하고, 쾌락의 교리를 유포해 인간을 타락시킨다는 루머에 시달리곤 했다. 그의 쾌락주의를 말할라치면, 어떤 사람들은 근엄한 표정을 지으며 ‘도덕적 결계’를 치는가 하면, […]

[신간 안내] 『단기 20세기-중국 혁명과 정치의 논리』(왕후이 지음, 송인재 옮김 | 글항아리 | 2021년 7월 12일 발간)

진관타오(金觀濤), 왕단(王丹), 쉬지린(许纪霖), 자오팅양(赵汀阳) 등 중국 현대 사상가들의 책을 활발히 번역해왔고 한철연 한국현대철학분과에서 활동 중인 송인재 회원이 얼마 전 왕후이(汪暉)의 책 『단기 20세기』를 옮겨 썼습니다. ‘중국 혁명과 정치의 논리’라는 부제가 붙은 이 책은 『아시아는 세계다』(2011), 『절망에 반항하라(왕후이의 루쉰 읽기)』(2014) 이후 송인재 회원의 세 번째 왕후이 저서 번역서가 되겠네요. 역자는 중국 ‘신좌파’의 이론적 리더 왕후이의 사상을 […]

[신간 안내] 『역사와 자유의식: 헤겔과 맑스의 자유의 변증법』(안드레아스 아른트 지음, 한상원 옮김 | 에디투스 | 2021년 6월 30일 발간)

『앙겔루스 노부스의 시선 : 아우구스티누스, 맑스, 벤야민. 역사철학과 세속화에 관한 성찰』(2018)과 번역서 『아도르노, 사유의 모티브들』(2020), 그리고 『현대 정치철학의 네 가지 흐름』(2019) 등 여러 공저를 펴내면서 활발한 학술 활동을 펼치고 있는 한철연 한상원 회원의 신간 번역서를 소개합니다. 이 책은 한상원 회원의 박사 학위 논문 어드바이저로, 독일 68혁명 세대의 대표적 지성이며 헤겔 연구의 권위자인 안드레아스 아른트(Andreas Arndt) […]

무너지는 패턴과 수신인 미상 / 나의 다이애나에게 [유운의 전개도 접기]

    무너지는 패턴과 수신인 미상   이유운   들립니까? 말하겠습니다 지금은 계속해서 무너지는 중입니다 괴기하고 아름다운 모양으로 무너지는 저를 구경하러 사람들이 모이고 있습니다 아주 많이요 다들 불안한 표정을 하고 있는데 나에게는 좀 우습기도 해요 무너지고 나면 나는 더 이상 금이 갈 수가 없으니 내가 여기서 가장 단단한 존재일 텐데 나를 타고 넘어가는 연인들이 있습니다 […]

연효숙 한국철학사상연구회 회장의 ‘철학과 비판(이종철 저서)’ 서평에 답함 “새로운 철학을 하는 계기가 되고 동력이 될 수 있기를…” [철학자의 서재]

연효숙 한국철학사상연구회 회장의 ‘철학과 비판(이종철 저서)’ 서평에 답함 “새로운 철학을 하는 계기가 되고 동력이 될 수 있기를…”   이종철(연세대)   ♦ 2021년 6월 12일 브레이크 뉴스(Break News)에 실린 이종철 박사의 기고 글(https://www.breaknews.com/813273)을 필자의 허락을 얻어 웹진 〈ⓔ 시대와 철학〉에 게재함을 알립니다. 게재를 허락한 이종철 선생님과 브레이크 뉴스에 감사의 말씀 전합니다.   연효숙 한국철학사상연구회 회장(이하 필자)이 […]

화분 / 분갈이 [유운의 전개도 접기]

화분 / 분갈이   이유운   화분         아이를 낳아본 적은 없었고 살아 있는 것을 가지고 싶었다 마음껏 미워할 수 있도록, 되도록 끊임없이 자라는 것으로 이런 마음은 숨기고 제안을 한다 화분 좀 사러 갈까 꽃이 피는 걸로, 알잖아, 집에 녹색이 없어서       잎과 뿌리를 매만지고 구운 화분이 정말로 숨을 쉬는지 […]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21년 봄 제60회 정기학술대회 영상(연세대학교 인문학연구원과 공동학술대회) [월례발표회·세미나]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21년 봄 제60회 정기학술대회 연세대학교 인문학연구원과 공동주최 주제: 《민주주의와 포퓰리즘, 그 해석의 정치철학적 스펙트럼》 일시: 2021년 6월 5일 토요일 오후 12시 50분 시작 장소: 온라인(Zoom)방식으로 진행 《민주주의와 포퓰리즘, 그 해석의 정치철학적 스펙트럼》이라는 시의성 있는 주제 아래 2부에 걸쳐서 총 6개의 발표와 논평으로 진행 – 학술대회 순서 – 개회사: 연세대 인문학연구원장 김장환(연세대) 개회사: 한국철학사상연구회 이사장 […]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21년 5월 월례발표회 영상 “현실 민주주의 사회에서의 권력구성과 포스트 민주주의” [월례발표회·세미나]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21년 5월 월례발표회 영상 “현실 민주주의 사회에서의 권력구성과 포스트 민주주의”   학술1부에서 기획한 2021년 2월부터 5월까지의 월례발표회는 [민주주의와 민주주의‘들’ 1]이라는 기획 아래 총 네 번의 발표가 예정되었고 이번 5월이 마지막 차례 발표입니다. 주 제 : 현실 민주주의 사회에서의 권력구성과 포스트 민주주의 발표자 : 이원혁(서울시 인재개발원) 토론자 : 김성우(상지대학교) 일 시 : 2021년 5월 31일(월) […]

예스터데이 / 어제에서 언제나 어제가 되는 오늘 [유운의 전개도 접기]

예스터데이 / 어제에서 언제나 어제가 되는 오늘   이유운   예스터데이   전화가 오랫동안 울리지 않으면 차라리 전보를 치던 때가 사랑하기 편했을 것이라 생각했다   예스터데이에 갔다 아득한 창가에 앉아 있는 사람을 보러   내가 전화를 기다렸다는 것을 알고 있었고 내가 이 곳으로 올 것을 알고 있었고 내가 자신의 바지 밑단이 말린 모양 때문에 고장나기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