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성경캠프 / 나의 투명한 자매님들에게 [유운의 전개도 접기]

Spread the love

여름성경캠프

 

이유운

 

어느 날 해가 거꾸로 솟았다 어젯밤 우리 중 누군가 소원을 빌었기 때문에

 

깍지를 끼고 마주 잡은 손 위로

불투명한 천을 덮었다

 

천이 무거워지고 있었다

어둠을 먹고

 

소원의 주동자를 색출할 때

한 명이 나서는 대신 모두가 뒤로 물러서는 것처럼

 

사람이 사람을 용서한다는 일의 기괴함

 

사이좋게 멸망하길 바라는 마음이 왜 상냥하다고 할 수는 없는 걸까

 

거짓말을 한 죄로 성역에서 분리된 우리는 서양호랑가시나무를 주워다 오두막을 짓고 분필로 동그라미를 그리며

 

“이 곳으로 추방당해 오는 자 모두 구원받으리”

 

쉽게 모든 것을 용서할 수 있게 되는 방법

이런 편리한 구원을 일찍 알았으면 좋았을 텐데

 

죄를 용서하는 신은 없어도 좋았겠다고 속삭였다

 

어둠을 잘라 만든 미사보

그 아래에 무릎을 대고 앉은 나와 너

 

고해하는 목소리 고백하는 얼굴

지옥을 가르치는 말투 사랑을 배우는 표정

 

유난히 날카롭게 발음되는 보호와 구원이라는 단어

 

너는 일어선다

그리고 난파된 유람선을 보듯 나의 무릎을 보고

 

『돌아가자』

 

너는 왜 그런 말을 선언처럼 하는지

너와 나를 우리라고 말하는 걸 왜 그렇게 괴로워하는지

 

『도망가자』

 

너를 흉내내 고백하는 나

나는 너를 보지 않고 신발끈을 묶는다

 

우리의 캠프는 익사하기 좋은 숲에서 끝난다

 

캠프가 매해 여름마다 열리는 건, 우리가 만든 성역의 오두막은 오트밀을 먹으러 오라는 종소리와 함께 무너지기 때문이지

 

네 귓바퀴 모양을 닮은 조개를 줍고

살갗같은 자작나무 껍질을 벗겨다 아마포처럼 두르고

 

오두막 바깥으로 너의 녹색 트렁크가 멀어져 가는 걸 본다

 

영원한 아침이 오고

천이 점점 투명해지고 있었다

 

 

 

나의 투명한 자매님들에게

 

 

무엇보다도 먼저 서로 한결같이 사랑하십시오. 사랑은 많은 죄를 덮어 줍니다.

― 베드로의 첫째 서간, 4장 8절.

 

사랑에 있어서, 나는 그간 제법 운이 좋은 편이었다. 우리는 배우지 않았다는 이유로, 어떤 사랑이 그것이 사랑인지 모르고 지나칠 때가 많다. 하지만 나는 사랑이 아닌 것도 사랑이라고 쉽게 착각했기 때문에, 아주 흐릿한 사랑의 징후들도 사랑이라고 잡아챌 수 있었다.

예를 들면 여름성경캠프. 이 단어를 들었을 때 첫사랑의 자국을 떠올리는 사람은 얼마나 될까? 동그랗게 모여 앉아 박수를 치며 노래를 부르거나 ‘38색 크레파스’가 적힌 종이 쪽지를 찾는 게 가장 중요한 기억 사이에서 사랑의 징후를 찾는 것은 즐거운 일이다. 지금도 그렇지만 나는, 어렸을 때부터 체구가 작았고 혼자 이상한 상상에 빠져 있는 좀, 음침한 어린이였다. 그런 나에게도 언니들은 스스럼없이 다가오곤 했다. 성당에서는 미사보를 쓰고 있어 옆얼굴이 잘 보이지 않았던 그들이 머리카락을 높이 올려묶고 드러낸 건강한 빛깔의 귓바퀴를 보는 것이 좋았다. 그들은 나에게 운동화의 벨크로를 단단하게 누르며 낮은 나무를 오르거나 풀을 뜯어다 반지를 만드는 법을 알려주었다. 그리고 봉숭아 물을 들이는 법, 그리고 첫눈이 올 때까지 그것이 사라지지 않으면 무슨 일이 벌어지는지에 관한 마법 같은 이야기들도.

― 첫사랑이 이루어지는 거야.

― 그게 뭔데?

― 네가 좋아하는 사람이 너를 좋아하는 거.

그러면 나는 이걸 할 필요가 없지 않나? 나는 내 손에 봉숭아 물을 들여주는 언니들을 보면서 그렇게 생각했다. 나는 언니들을 좋아하고 언니들은 나를 귀여워했으므로. 지금 이미 이뤄진 일을 위해서 첫눈이 올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는 건 이상하게 들렸다. 그해 겨울에 첫눈이 내릴 때까지 내 손톱에 봉숭아물이 남아 있었는지 아닌지는 잘 기억나지 않는다. 이미 발생한 사건의 진실성을 설명하기 위해서 그 일은 중요한 요소가 아니었다. 나는 그저 그 캠프가 영영 끝나지 않기를 바랐다. 둘러앉은 둥근 얼굴들이 나를 떠나지 않기를 바랐지만 그런 일은 너무나도 위대한 일이라서 고작 봉숭아물이 사라지지 않는 걸로는 이뤄지지 않았다.

종교는 나의 가장 오래된 습관이다. 집 한 켠에는 언제나 마리아 상과 ‘가정을 위한 기도’ 팻말이 놓여 있었고, 일요일 오전에는 어린이 미사를 갔고 나이에 맞추어 여러 가지 세례를 받았다. 나는 매주 신에게 고해할 나의 죄악을 마련해갔다. 나의 양육자는 내가 잘 되기를 신 앞에 무릎을 꿇고 빌었지만 나는 그 기도가 내가 받은 사랑 중에 가장 모욕적이라고 생각했다. 내가 고등학교 입시 시험을 잘 치르기를. 수능을 잘 보기를. 내가 대학을 잘 가기를. 내 석사논문이 무사히 통과하기를. 지금은 그가 나를 위하여 무슨 기도를 하고 있을지는 모르겠다. 아마도, ‘정상적으로 사랑하기를’?

이 에세이를 발표한다는 건 사실 아주 모험적인 일이다. 이 에세이를 쓰고 삼켜두고 일기장으로 복사 붙여넣기를 한 다음 다시 이 페이지를 비우고, 텅 빈 화면을 바라보고, 다른 글을 쓰다가 그걸 다시 지우고, 제목을 바꿔보고, 다른 시를 뒤적여봤다. 이런 이야기를 할 필요가 있을까? 하고 몇 번이나 망설였다. 어떤 이야기를 할 때, 꼭 ‘나’가 앞으로 나올 필요는 없다. 이것은 비겁한 방법이 아니며 누군가를 설득하려고 할 때 당사자성은 필수 요소가 아니기 때문이다. 하지만…… 내 기분과 태도가 아주 달라진다.

(그러니까 전통적인 의미에서의) 철학은 남성적이고 폐쇄적인 언어로 말을 한다. 대부분 내가 철학의 테두리 안에서 만난 사람들은 아주 멋지고 유연한 사람들이었지만 철학의 이름을 달고 있는 매체에서 이런 이야기를 한다는 건 위험한 일일수도 있다. 나는 한 발 물러서서 이렇게 말할 수도 있다.

 

차별금지법 제정을 찬성한다. 모든 사람은 최소한의 삶을 존중받아야 한다. 누구라도 타인의 삶을 규정할 수 없다. 모든 형태의 사랑은 위대하고(Love wins!) 물론 사랑이 중요하지 않는 사람들도 존재하며, 누구의 젠더라도 존중해야 한다그리고 나는 이 말에 찬성한다. 주디스 버틀러에 따르면……

 

나는 내가 어떤 사람이라는 걸 말하고 싶지 않다. 그리고 그런 일은 조금, 아니 어쩌면 많이, 이상하다. 나는 그저 나일 뿐인데 어떤 말을 한다는 사실만으로 내가 선을 밟고 있는 사람이 된다는 건 정말 이상한 일이다.

작년과 올해, 정말로 많은 친구들이 세상을 떠났다. 내가 모르는 사람들도, 아는 사람들도, 친한 사람들도, 멀어진 사람들도 있었다. 그들이 마지막으로 SNS에 쓴 글들이 대부분 비슷한 이야기를 하고 있다는 게 슬퍼서 견딜 수가 없었다. 슬픔이 가시면 화가 났다. 치사하기 그지 없다. 선은 처음에 누가 그었나? 우리 모두 분필을 쥐고 원하는 선을 그어보는 경험이 있었나? 없었다. 선을 긋는 분필이 있는지도 몰랐다. 태어나니까 그런 선이 있었다. 그 선에 운동화 앞코로 모래를 뿌리고 뛰어놀다 보니 좀 흐릿해졌다. 네 앞에 선이 있는데, 넘어가도 돼? 누군가 묻는다. 나는 그 선을 그린 적도 없고, 나에게 의미도 없는 선이니까 괜찮다고 말한다. 함께 놀 때는 공간이 넓은 게 좋으니까. 그러니까 갑자기 나를 죄악이라고 부르는 사람들이 생겼다. 괴이하고 비논리적인 일이다. 이걸 누가 그었는데요? 아무도 모른다. 모르면서 우선 잘못이라고 한다. 우리는 걸을 수 있으니까 걸었고 뛰고 싶어서 뛰었을 뿐인데 그래서 우리의 존재가 잘못이 되었다.

나는 나를 부정하거나 규정하는 것을 원치 않는다. 나에게 ‘나는 이해하고 존중해’ 라는 말도 할 필요조차 없다. 당신이 뭔데 나를 이해하지? 나는 타인이 내 존재를 이해하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 이상하지 않은지? 길을 잘 가다가, 당신을 지나치는 고양이나 노신사를 갑자기 붙들고 ‘나는 네 존재를 이해한다’ 라고 말해보는 걸 상상해보라. 아무리 생각해도 이상할 것이다. 그걸 왜 ‘특별하고 편견에 맞서는 분들’ 에게는 하지 못하는지, 정말 이상한 일이다. 나와 거리를 두고, 내가 그런 사람인 것을 지나치면 된다.

나는 특별한 사람이 되고 싶지 않다. 하지만 보통 이런 이야기에 대한 반응은, “다른 사람처럼 평범하게 살 수는 없니?”라는 괴상한 말이다. 평범이라는 게 뭔지부터 말해봐야겠다. 소위 말하는 ‘정상’? 그럼 세상의 어떤 사람도 태어나서 한 번도 평범한 적 없을 것이다. 그런 맥락에서 이야기하자면 나는 언제나 특별했다. 내가 할 수 있는 사랑을 힘껏 했기 때문이다. 평범한 사람이라는 말보다는 백 번 나은 말 같긴 한데, 그래도 즐거운 말은 아니다.

이 괴이한 세상에서 내가 할 수 있는 일이 무엇인지 생각해봤다. 그리고 때마침 운좋게 나는 시인이다. 할 수 있는 건 계속해서 말하고 쓰는 일이라고 생각했다. 예술이라는 건 이런 말을 하기에 퍽 편리한 도구다. 그래서 이 에세이를 발표하기로 했다. 별 얘기 없는 것 같지만 사실 많은 이야기를 했다.

‘평범’한 사람들은 선이 가득한 이 세상에서 계속해서 땅따먹기를 하고 있을 것이고 나와 내 친구들은 새로운 평범을 위하여 선이 없는 세상으로 갈 것이다. 계속해서 남아 있는 것은 당신의 자유지만…… 낙오자가 되는 건 아무래도 멋진 일은 아니라는 걸 말하고 싶다.

 

 

― 영원한 벗, 누구보다도 자기 자신을 위해 용감했던 HY를 기억하며

 


필자 이유운은 시인이자 동양철학도. 2020 경인일보 신춘문예 시부문에서 <당신의 뼈를 생각하며>로 등단했다. ‘유운(油雲)’은 『맹자』에서 가져온 이름. 별일 없으면 2주에 한 번씩 자작시와 짧은 노트 내용을 올리려 한다. 유운의 글은 언젠가는 ‘沛然下雨’로 상쾌히 변화될 세상을 늠연히 꿈꾸는 자들을 위해 있다.

 

 

 

 

 

0 replies

Leave a Reply

Want to join the discussion?
Feel free to contribute!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