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가 토카르추크의 『방랑자들』 (1) – 카이로스 [흐린 창가에서-이병창의 문화 비평]

Spread the love

올가 토카르추크의 소설 『방랑자들』을 읽고 (1) – 카이로스

 

이병창(한철연 회원)

 

올가 토카르추크의 소설 『방랑자들』을 읽었다. 이 소설은 2019년에 노벨상을 받은 작품이다. 그는 폴란드 태생의 작가라는 것밖에 자세한 것은 알지 못하지만, 이 소설은 내게 정신적인 충격을 주었다.

소설은 낭만주의 철학자 프리드리히 슐레겔이 그의 철학 단편에서 이상으로 삼았던 문학 형식인 ‘보편 문학’의 원리에 따른다. 이 소설은 수많은 단편으로 이루어져 있다. 심지어 한 인물을 다루는 이야기조차 소설의 여러 부분에 흩어져 있다. 이 소설에 포함된 단편은 그 형식도 갖가지이니, 본래의 소설 즉 이야기도 있고 심리학적 연구나 철학적 단상도 있다. 전체적으로 하나의 중심이 보이지 않으니 슐레겔이 ‘중심이 무한한 소설’이라고 말한 것에 적합하다.

억지로 하나의 중심을 찾으라 하면 아마도 카이로스[kairos]라는 개념이 아닐까 한다. 카이로스는 그리스어로 ‘때’라는 의미이다. 이것은 흘러가는 시간이라는 개념과 다른 또 하나의 시간 개념이다. 예수가 “아직 내 때가 되지 아니 하였나이다”라고 말할 경우 또는 시인 릴케가 ‘가을의 시’에서 “주여 때가 왔습니다”라고 기도할 경우 사용되는 개념이다. 한자어로는 기회라고 번역될 수 있겠다.

이 ‘때’라는 개념은 그리스에서 신격화되었다. 소설의 마지막 쯤에 작가는 그리스 연구자인 한 교수를 등장시킨다. 그는 은퇴한 후 그리스 유적지를 오가는 유람선에서 그리스에 대해 강의하면서 이 카이로스라는 신을 소개한다. 교수는 실제 모델이 되는 이탈리아 토리노 박물관에 소장된 리시포스의 부조를 소개하면서 그 부조와 연관된 포세이디포스의 시를 소개한다. 그 시는 이렇다.

 

“모든 것을 길들이는 카이로스

왜 항상 발돋움을 하고 있는가?

쉼 없이 세상을 뛰어다니고 있으니까.

무엇 때문에 당신의 두 발에는 날개가 달렸는가?

바람과 함께 날아다니기 때문이지.

당신의 오른 손은 무엇 때문에 면도칼을 들었는가?

세상의 모든 날카로운 것보다 더 날카롭다는 것을 사람들에게 알려 주기 위한 표시지.

머리카락은 왜 눈을 가렸는가?

나와 정면으로 마주치는 사람이 내 앞머리를 붙잡을 수 있게 하기 위해서지.

세상에, 당신의 뒷머리는 왜 하나도 없는가?

한번 지나치면 날개 달린 발로 빠르게 달아나 버리기 때문에

아무리 원해도 그 누구도 날 뒤에서 붙잡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서지.”

 

소설에서 교수는 이 시를 읊고 나서 마침내 그의 때를 얻었다. 그는 발작을 일으켜 죽음에 이르렀다.

이 시는 때, 기회라는 개념에 대한 적절한 설명이라 하겠다. 눈앞에 보고도 놓친 수많은 기회, 이미 떠나가면 아무리 한탄해도 다시 돌아오지 않는 기회를 생각하면 이해될 것이다.

때라는 개념이 이 작품에서 중요한 것은 그 개념이 방랑자 개념과 연결되기 때문이다. 위의 시에도 카이로스 신은 쉼 없이 세상을 돌아다닌다. 마찬가지로 이 카이로스를 만나기 위해서는 온 세상을 돌아다녀야 하지 않을까? 아마 잠들 수도 없을 것이다. 그가 잠든 사이에 신부가 왔다 갈지 모르기 때문이다.

생각해 보니 젊은 시절, 방황했던 적이 있다. 무언가를 만나기 위해 그리하여 때를 얻기 위해 잠들지 못하고 늘 거리를 서성거렸다. 지금은 이미 포기했고 병든 삶에 안주한다. 이런 나 앞에서 소설은 그만큼 정신적 충격이었다.

이 작품에서 카이로스가 등장하는 것은 이 작품 중에 세 군데 걸쳐 나누어져 등장한 한 쿠니츠키라는 인물의 이야기를 통해서 이다. 이제 쿠니츠키 이야기를 해 보자.


0 replies

Leave a Reply

Want to join the discussion?
Feel free to contribute!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