억압받는 자들의 전통과 미국대선 [나인당케의 단상들]

Spread the love

미국에서 트럼프 정권의 탄생은 분노와 좌절을 느끼게 한다. 많은 이들이 슬퍼하고 있다. 그리고 우리는 분노할 자격이 있다. 또 서로 위로해주어야 할 과제 역시 안고 있다.

그러나 현재 힐러리와 자신을 과도하게 동일시하는 몇몇 분들의 과도한 주장들은 옳지 못하다는 생각이 든다. 일례로 지금 SNS나 인터넷에서는 힐러리를 비판하는 모든 종류의 주장들을 ‘여성혐오’로 몰아붙이며 극단적인 욕설과 원색적 비난을 퍼붓는 사람들을 마주한다. 여기서 여성혐오의 사례로 지적된 발언들은 ‘버니 샌더스가 나왔으면 이겼을지도 모른다’거나, ‘힐러리가 약자를 대변하지 못했다’는 등 근본적으로 ‘여성’혐오라기보다는 힐러리의 무능함을 질책하는 것들이었고, 이러한 발언은 정치인에 대한 비판의 자유로서 보장받되어야 한다. 단지 힐러리가 생물학적으로 여성이라고 해서 힐러리 비판이 여성혐오로 이어진다고 보는 견해는 굉장히 위험하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1. 그러한 주장들은 미국은 물론 다른 나라의 모든 차별받는 사람들의 정치적 투쟁과 해방을 향한 과정들을 거대한 사기저하와 무기력함으로 고통받게 만든다. 나는 트럼프가 집권했다고 해서 미국의 시민사회가 곧바로 붕괴할 것이라고 비관하지 않는다. 작년 동성결혼이 합법화되었을 때 미국내의 열기, 그리고 그것이 전 세계에 준 신선한 충격을 기억하라. 단지 1년만에 트럼프가 집권했다고 해서 그들이 이 흐름을 하루아침에 되돌리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런데 만약 사람들이 힐러리의 패배를 자신의 패배와 동일시한다면, 그들이 트럼프의 공격으로부터 이러한 지난 사회운동의 성과들을 방어하는 투쟁에 곧바로 진지하게 대처하는 것이 어려워질 것이 분명하다.

 

class-struggle

2. 진보운동 전체가 힐러리와 자신을 동일시해야 하며, 그녀를 비판하는 모든 주장들은 여성혐오라는 식의 주장은 매우 폭력적이다. 무엇보다도 힐러리는 그런 말을 들을 자격이 없는 무능한 기성 정치인일 뿐이다. 물론 최초의 여성대통령 도전이 위대하다는 사실을 부정할 수는 없다. 그리고 유리천장의 존재가 그녀에게 불이익으로 작용했을 것이라는 사실도 숨기기 어렵다.

그러나 동시에 그녀는 미국 민주당의 보수적 고위관료들의 전폭적 지지를 받아 버니 샌더스가 일으킨 political revolution의 새로운 흐름을 차단해버리고, 샌더스 효과의 모든 모멘텀들을 대선으로부터 추방해버린 인물이다. 또 그녀는 국무장관 재직시절 미국이 중동과 아프리카에서 저지른 모든 형태의 전쟁범죄들에 가담한 인물이다. 수억대의 강연료를 받고 월스트리트를 옹호한 수십 년 경력의 ‘기성’ ‘주류’ 정치인이다. 이러한 이유로 그녀는 이번 대선에서 그 어떤 새로운 정치적 흐름을 만들어내지 못한 무능한 후보였다.

그녀에게 대선때 어떤 전략이 있었던가? 분명 그녀 역시 샌더스의 정치혁명이 일으킨 흐름을 이어받을 수 있는 선택지들이 있었다. 샌더스를 부통령으로 지명한다든가, 무상교육 같은 샌더스의 대대적 복지정책을 수용한다든가, 젊은이들의 좌절스런 삶을 개선할 새로운 해법을 제시한다던가 하는 전략 등. 그러나 그녀는 아무것도 펴지 않았다. 그저 트럼프의 역겨운 혐오발언에 반사이익을 누릴 생각 뿐이지 않았는가?

따라서 트럼프와 백인남성들의 혐오공세에 맞서 사회적 약자들, 소수자들의 반격을 이끌어내고 새로운 흐름을 창조해내지 못한 것은 그녀의 무능함 때문이다. 그리고 대선에서 그녀의 패배를 직면한 진보적 유권자들이 그녀의 그러한 무능한 대응들을 비판하는 것은 당연한 정치적 권리다. 이러한 비판들을 ‘여성후보’에 대한 공격으로 묵살해선 안 되는 이유다.

 

worldpersp2014

3. 트럼프의 집권은 분명 하나의 예외상태다. 그것은 미국이 2차 대전 이후 추구해왔던 ‘자유주의적 제국주의 전략'(국내에선 개인의 자유를 강조, 국제적으로는 자유를 빌미로 한 군사개입)이 사실상 끝났음을 선언하는 사건이자, 미국 주류 사회가 국제적으로 ‘어메리칸 리버럴리즘’의 위대함을 선언하던 시절이 끝났음을 증명하는 사건이다. 트럼프는 분명 적(라티노, 무슬림, 성적 소수자)을 설정함으로써 백인남성 중심의 ‘우리’를 통합하려는 정치적 술수를 쓸 것이며, 장벽건설, 이민자 추방, 타국과의 외교단절 등의 예외적 조처들을 사용해 초월적 차르와 같은 주권자의 입지를 굳히며 지지기반을 다지려 할 것이다. 이러한 유사 전체주의적 트럼프의 지배에 맞서 ‘억압받는 자들의 전통’에 서서 이러한 예외가 실은 ‘상례’라고 지적함으로써 ‘진정한 예외상태'(벤야민)를 전개하는 것은 어쩌면 우리 시대의 새로운 과제인지도 모른다.

힐러리와 ‘억압받는 자들의 전통’을 일치시키는 모든 시도들은 이러한 정치적 과정에 역행하는 것일 뿐이다. 나는 최초의 여성대통령 탄생이 무마되고 극우 혐오주의자 정권이 탄생한 것에 다른 모든 분들과 함께 분노하지만, 동시에 이 패배의 원인을 인식하고, 어째서 힐러리가 트럼프를 넘지 못했는지를 냉정하게 분석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스피노자가 말했듯이, 울지도 웃지도 말고 다만 이해하라. 이것이 우리가 현 순간 취해야 할 자세일 것이다.

 

0 replies

Leave a Reply

Want to join the discussion?
Feel free to contribute!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