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를 노래하는 방정환을 만나다[길 위의 우리 철학] – 5

김세리

 

“문간에 검은 말이 끄는 검은 마차가 날 데리러 왔으니 떠나야겠소. 어린이를 두고 떠나니 잘 부탁하오.”

 

평생 어린이를 마음에 품고 불꽃같은 열정으로 살았던 그. 33세 짧은 삶을 마감하는 방정환 선생의 유언이다. 생의 끝자락에서도 그의 생각은 오직 어린이에 대한 염려와 걱정뿐. 과연 그에게 어린이는 어떤 의미인가.

 

조선의 가부장제 사회에서 어린 사람들은 어른의 예속물 또는 부속물 정도로 간주되어 독립된 인격체로 인정받지 못하였다. 인간이기 보다는 하나의 소유물로 인식하고 있었기 때문에 차별되고 무시당하는 사례들이 비일비재하였다. 물론 어린이라는 개념도 없었으며 불평등하고 사회적으로 소외된 입장이었다. 이런 상황에서 어린이라는 사회적 약자를 하나의 존재로 이끌어내고 그들의 인격을 존중 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몸소 할 수 있는 모든 활동을 시도한 사람이 있었으니, 바로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소파 방정환(小波, 方定煥, 1899~1931) 선생이다. 우리나라에서 ‘어린이’ 개념이 탄생하고 완성된 것은 1920년대 방정환에 의해서였으며, 그 이전에는 ‘소년’이라는 용어가 사용되고 있었다. ‘어린이’라는 말이 근대성을 갖기 시작한 것을 1914년 육당(六堂) 최남선(崔南善)이 『청춘』 창간호에 ‘어린이의 꿈’을 게재하는 것에 기원을 두나 용어가 근대적 개념으로 본격적으로 사용된 것은 1920년대 들어와서이다.

 

 

 

 

 

 

 

 

 

[방정환 사진 – 출처:네이버백과]
[색동회 회원 (앞줄 왼쪽부터) 조재호 고한승 방정환 진장섭,
(뒷줄 왼쪽부터) 정순철 정병기 윤극영 손진태 – 출처:한국잡지백년2]

 

방정환을 떠올리면 다양한 수식어가 함께 따라간다. 한국 근대 아동문학의 선구자, 아동교육가이자 아동문화운동가, 소년운동가, 언론·출판인, 천도교 청년운동가, 동화 구연가, 민족운동가 등 그가 살았던 짧은 인생속에서 어떻게 그 수많은 일들을 해내었는지 참으로 의문이지 않을 수 없다. 그러나 이 모든 활동들은 결국 ‘어린이’를 위한 운동으로 귀결된다. 독립운동가인 그는 나라운명이 미래어른인 어린이에 의해 좌우될 것으로 예측하였다. 그는 여러 강연에서도 “어른이 어린이를 내리 누르지 말자. 삼십년 사십년 뒤진 옛사람이 삼십 사십년 앞사람을 잡아끌지 말자. 낡은 사람은 새 사람을 위하고 떠 받쳐서만 그들의 뒤를 따라서만 밝은 데로 나아갈 수 있고 새로워질 수가 있고 무덤을 피할 수 있는 것이다.”라며 당장의 현상이 아닌 미래를 예측하는 눈으로 어린이를 대할 것을 강설하였다. 그리고 미래의 희망인 어린이를 대함에 상당히 주체적인 인격으로 분리해야 함을 강조하는데 이것은 그의 천도교적 정신이 투영되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방정환 동상 – 출처:네이버]

 

[소파 방정환 망우산 연보비]

 

천도교 3대 교주 손병희의 셋째 사위이기도 한 그는 천도교청년회, 천도교소년회의 중심일원이었다. 그리고 이미 어린이 시절부터 천도교의 소년입지회 등의 활동을 통해서 천도교 사상을 자연스럽게 터득하고 있었다. 그러므로 1대 교주 최제우의 시천주(侍天主)교리, 2대 교주 최해월의 사인여천(事人如天), 3대 교주 손병희의 인내천(人乃天)사상 등으로 이어지는 천도교의 만민평등사상, 인간존중 사상은 방정환의 사회문화운동, 어린이 운동의 바탕이라고 볼 수 있다. 즉 어린이를 하나의 존중의 대상, 인격으로 보고자 하는 바탕에는 그들이 차별에서 벗어난 존재론적 동등성을 부여 받을 수 있다는 기본 전제가 깔려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하자면 소파의 어린이에 대한 애정과 끝없는 사랑과 존중 이면에는 동학의 정신과 나라의 살리고자 하는 구국정신이 동시에 내포되었다는 사실이다. 그러나 지금의 사람들에게는 그러한 선생의 정신적 배경은 잊혀지고, 그저 어린이의 아버지로만 불리고 있으니 조금은 아쉬운 마음이 있다.

 

[소파 방정환의 동상을 남산에서 어린이 대공원으로 옮기던 날(1987년), 윤석중 선생 – 출처:네이버]

 

 

‘어린이날의 노래’의 시를 지은 윤석중 선생이 회고하는 방정환을 대표하는 두가지는 말은, “정성스러워라”와 “나를 버리라”였다고 한다. 이는 자기만을 생각하는 이기주의를 버리고 한울님의 한 마음으로 돌아가고자 하는 천도교의 ‘동귀일체(同歸一體)’의 정신과도 일치하는 부분이다. 나를 버린다는 것은 나의 이기심을 버려 비움의 나를 만드는 것이고, 세상을 정성스럽게 맞이한다는 것은 비워진 나를 그 무엇이라도 담을 수 있는 큰 그릇이 되었다는 뜻이기도 하다. 방정환 선생은 어린이를 통해서 그러한 세상을 꿈꾸었던 것 같다. 이기적인 것들을 버리고 타인을 배려하는 사회, 어린이가 그러한 마음을 가진다면 그들이 어른이 되었을 때도 그러할 것이고 그것을 바라보고 배우는 새로운 어린이들도 자연스럽게 따라 성장할 것임을 꿈꾸었던 것은 아닐까?

 

방정환. 그는 짧았던 인생 내내 어린이를 위해 살았다. 소외되었던 어린이의 존엄과 격(格)을 찾아주기 위해서 끊임없이 노력하였으며, 나아가 어린이를 통해 건설적인 국가 미래를 꿈꾸고자 하였다. 민족운동을 활발하게 전개하던 그는 1931년 7월 무리한 활동으로 신장염과 고혈압으로 투병하게 되고 33세의 짧은 삶을 마감 하였다. 타계 직전까지 어린이를 위한 동화 집필과 구연에 몰두하였다.

 

“나는 여태 어린이들 가슴에 ‘잔물결’을 일으키는 일을 했소.
이 물결은 날이 갈수록 커질 것이오.
뒷날에 큰 물결, 대파(大波)가 되어 출렁일 터이니
오래오래 살아 그 물결을 꼭 지켜봐 주시오.”

 

기고자: 김세리(한국철학사상연구회)

다산 정약용의 소통과 관련된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본 분과에서 동학에 대해서 공부하고 있으며, 다도(茶道)철학과 오감(五感)을 통한 인간미감(人間美感)을 연구 중에 있다.

 

블로그진 ‘길 위의 우리철학’은 한국현대철학을 함께 공부하고 토론하는 한국철학사상연구회의 ‘한국현대철학분과’에서 만든다. ‘길’은 과거로부터의 역사이기도 하고, 오늘의 삶이기도 하고, 미래로 열린 희망이기도 하다. 그 위에 서서 우리는 언제나 어느 길이 더 나은 길인지, 바른 길인지 생각하고 선택한다. 그렇게 ‘길’은 지향志向이기도 하고, 그래서 철학이기도 하다. 한국현대철학분과는 앞으로 월 2회 블로그진을 통해 우리철학이 서 있었던 길, 우리철학이 만들었던 길을 이야기 하려고 한다.

 

  1. 광장에 서다 – 촛불의 승리 그리고 박정희 시대의 종언 [길 위의 우리 철학] -1 : 박영미
  2. 대통령 탄핵, 그 후 – 박은식(朴殷植)의 개혁론, 독립운동, 임시정부 [길 위의 우리 철학] – 2 : 이지
  3. 송곡의 길가에서 최시형을 만나다 [길 위의 우리 철학] –3 : 구태환
  4. 붉은 얼굴의 경계인(境界人), 신남철 [길 위의 우리 철학] – 4 : 이병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