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톤의 <국가> 강해(68) [이정호 교수와 함께하는 플라톤의 『국가』]
플라톤의 <국가> 강해(68) C. 철인 통치자의 교육 목표와 교과목(502c-541b) 3. 선분의 비유(509c-513c) – (II) * 앞의 강해에서 우리는 다른 비유들과 비교하여 선분의 비유가 갖는 고유성에 주안점을 두고 그 기본 개요를 살펴보았다. 그런데 그 과정에서 우리는 선분의 비유가 보여주고 있는 인식론 내지 존재론적 위계가 제5권에서 플라톤이 피력하고 있는 앎과 믿음(의견)의 위계와 근본적으로 차이가 있음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