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tries by Jin Bosung

나의 소설로 한국의 철학을 말한다 [이종철 선생의 에세이 철학]

나의 소설로 한국의 철학을 말한다 『그대에게 가는 먼 길 1부』(이종철 지음|대양미디어|(2025년 4월 8일)   나의 소설 <그대에게 가는 먼 길>(대양미디어, 2025)을 개인의 사적 체험으로 이해하는 사람들이 적지 않다. 때문에 이런 사적 체험의 보편적 의미를 이해할 수 없다고 하면서 간단하나마 리뷰 쓰기를 거부하는 사람들이 있다. 하지만 이런 해석은 명백히 나의 소설을 오독한 것이다. 물론 이 소설은 […]

마누엘 데란다·그레이엄 하먼 대담, 김효진 옮김, 『실재론의 부상』(갈무리, 2025) 서평|글: 김진환(단국대학교 외국어대학 조교수)

『실재론의 부상』 서평   김진환 (단국대학교 외국어대학 조교수)   실재론이 부상했다. 2007년 런던의 골드스미스 대학에서 열린 한 워크숍의 제목으로 사용된 일을 기점으로 ‘사변적 실재론’은 본격적으로 논의되기 시작했다. 현재는 관련 서적과 연구의 숫자뿐만 아니라, ‘After Speculative Realism’이라는 상징적인 제목의 저서를 통해 논의의 활발함을 유추해 볼 수 있다. 그 ‘최초의 시작’ 이후, 딱 10년 만인 2017년에 해당 저서의 […]

플라톤의 <국가> 강해(71) [이정호 교수와 함께하는 플라톤의 『국가』]

플라톤의 <국가> 강해(71)   철인 통치자의 교육 목표와 교과목(502c-541b) 동굴의 비유(514a-521b) – (III)   * 이제 동굴의 비유에서 우리가 논의의 편의상 구분한 단계들 중 마지막 단계 <C5>가 남았다. <C5> 단계는 동굴 바깥 세계와 태양을 본 사람이 처음 있던 거처 동료 수감자를 불쌍히 여기고 다시 그곳으로 내려가는 상태를 그리고 있다.(516c-517a) 그런데 정작 소크라테스가 그리고 있는 비유의 […]

[신간안내] 『그대에게 가는 먼 길 1부』(이종철 지음|대양미디어|(2025년 4월 8일) [한철연 소식]

『그대에게 가는 먼 길 1부』(이종철 지음)   [이종철 선생의 에세이 철학] 코너에 올해 1월 2일부터 3월 20일까지 총 23회 연재한 이종철 회원의 연재소설 <그대에게 가는 먼 길>이 단행본으로 출간되었습니다. 현재 웹진에서는 단행본 출간으로 연재는 멈춘 상태입니다. 격동의 한국사회를 배경으로 쓴 자전적 소설로 이번에 출간된 1부는 1970년대 말부터 1990년대 중반까지 대학원과 교육계에 투신했던 한 철학자의 삶의 […]

리좀은 흐른다 [천 하룻밤 이야기]

리좀은 흐른다. 2025 03 20 춘분(春分): 책력의 기준이 춘분이라 한다. 동지가 기준일 것이다.     동서양을 막론하고 생명은 공간의 표면 상에서 흐름과 시간의 심층 에서 흐름이 있고, 이로써 생명의 흐름을 이해할 수 없고, 볼 수도 없고, 표현할 수도 없어서 온갖 말과 문장으로, 그리고 학술적 체계로 서술해 보려고 했다. 이에 대해 두 가지 방식이 있었다. 하나는 […]

웹진 연재 ‘『그대에게 가는 먼 길』 1부’ 단행본 출간에 즈음하여 [이종철의 에세이 철학]

웹진 연재 ‘『그대에게 가는 먼 길』 1부’ 단행본 출간에 즈음하여   이종철(소설가)   ∗웹진 [연재소설]  <그대에게 가는 먼 길>이 단행본 출간을 맞아(2025.04.08.) 연재를 잠정 멈추고 자전적 소설에 대한 작가의 변을 들어보려합니다. 격동의 한국사회를 배경으로 대학에서 강사와 연구자로 살아간 한 인물이 소설이란 장르를 이용해 자신의 철학적 삶과 삶의 철학을 어떻게 표현하려 했는지 그 자세한 얘기를 들어보려 […]

[강좌안내] 최종덕의 <신유물론의 자연철학> ‘유럽인문아카데미 2025년 봄학기’ [한철연 소식]

현재 한철연 ‘신유물론분과’에서 활동하는 최종덕 회원(독립학자/상지대 명예교수)이 신유물론 공부의 성과를 강의로 풀어냅니다. 신유물론분과는 지난 2023년 겨울 연합학술대회에서도 신유물론 연구 성과를 활발히 제출하며 학술적 성과를 올리고 있는 분과입니다. 이번 강의에는 분과 내의 학술적 논의 내용도 포함되지 않을까 합니다. 관심있는 분들의 수강을 추천하며 주변에 알려주시면 좋겠습니다. 기대되는 강좌를 알립니다.    ♦ 자세한 내용과 수강신청은 유럽인문아카데미 홈페이지에서 유럽인문아카데미 […]

[연재 소설] <그대에게 가는 먼 길> 1부 – 23회|7. 철학과 대학원 (4) [이종철의 에세이 철학]

23회 철학과 대학원 (4)   그가 박사 논문을 쓴 다음에 그를 둘러싸고 흉흉한 소문이 돌았다. 그가 미쳤다는 것이다. 그는 교수 연구실을 찾아다니면서 “니가 뭐냐?” 하고 삿대질하고 행패를 부렸다. 그 친구 때문에 교수들은 봉변을 피해서 강의가 끝나면 바로 집으로 돌아가곤 했다. 그 이전에는 박사 논문을 출판한 것을 들고 지방 대학에 자리를 잡고 있는 선배들을 찾아다니면서 술을 […]

[연재 소설] <그대에게 가는 먼 길> 1부 – 22회|7. 철학과 대학원 (3) [이종철의 에세이 철학]

22회 철학과 대학원 (3)   철학과를 드나들면서 개성 있고 좋은 친구들을 여럿 만났다. 그중 삐쩍 말라 키가 껑충한 이상한 군은 대학원을 다니는 내내 친하게 지내고 자극도 많이 받았다. 내가 그를 처음 만난 것은 4학년 칸트 수업이었다. 강의가 끝나고 나서 그가 나중에 신과대 대학원으로 진학한 한 학생과 칸트 철학에 대해 열심히 논쟁하고 있었다. 칠판에 그림까지 그려 […]

헤겔 형이상학 산책30-당위와 제한, 세계의 유한성[흐린 창가에서-이병창의 문화비평]

헤겔 형이상학 산책29-당위와 한정성 1) 앞에서 내재 존재와 한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어떤 것의 속성은 어떤 것을 어떤 것으로 만드는 것이라는 점에서 내재 존재다. 그러나 그 속성은 동시에 어떤 것을 어떤 것이 되지 못하도록 하는 한계기도 하다. 예를 들어 짠맛은 소금을 소금으로 만들며, 짠맛이 없으면 소금이 아니다. 여기서 우리의 경험이 또 발전한다. 우리는 소금이 짠맛만이 아니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