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란츠 파농 『검은 피부 하얀 가면』[청춘의 서재]

Spread the love

김 범 수(한국철학사상 연구회 회원)

 

며칠 전 머리를 하러 갔다. 동네 미용실이란 원래 아줌마들의 수다 공간이다. 나는 남자인 관계로 그 수다에 끼지 않는다. 단지 구경만 할 뿐이다. 그렇기 때문에 동네 미용실을 갈 때면 사람이 없는 시간에 주로 간다. 그런데 이날은 이미 손님으로 두 명의 아줌마가 있었다. 나는 꿔다 놓은 보릿자루 마냥 구석에 앉아 있었다. 무려 한 시간이나 기다려야 했다. 책을 보는 척하면서 귀는 아줌마들 수다에 향해 있었다. 그렇지만 별로 유익한 정보는 없었다. 드라마 얘기. 학원 선생님 얘기. 아이 잘 키우기 위한 수다도 있었지만 드라마에서 잘 생긴 사람 얘기는 왜 저렇게 하는지… 수다를 듣느니 차라리 여성 잡지를 보는 것이 나을 것도 같았지만, 뭐 자리가 자리인지라 여성 잡지 보기도 민망한 상태였다. 그저 가지고 다니는 책의 책장만 넘기고 있었다. 아줌마들이 가고 내 차례가 되자 미용사는 나 역시 수다의 대열에 합류시키려고 했다. 그렇지만 나는 그 수다에 끼고 싶지가 않았다. 가오가 안서지 않는가? 아저씨가 아줌마 수다에 동참하다니… 눈치를 살피던 미용사는 친근한 어조로 이렇게 말했다.

“책 많이 읽으시는 것 같은데 가실 때 제가 읽을 수 있는 책 좀 추천해 주세요.”

에고. 또 골치 아프게 됐군. 책 추천을 안 하자니 그렇고 하자니 그렇고. 참 거시기한 상황이다. 내가 아는 책은 어려운 책인데 그런 책을 추천할 수는 없고, 그렇다고 안 하면 매우 불친절한 사람처럼 보이고. 그 여자는 분명 의도하지 않았지만 사교 언어의 진수를 보여 주었다. 형식적인 얘기를 넘어서 진정성마저 느껴지는 그 한 마디가 나를 고민하게 만들었다. 도대체 무슨 책을 추천해야 하지? ‘차라리 영화를 추천하라고 하지. 왜 하필 책이야?’ 속으로 뇌까렸다.

영화 <방가방가>가 생각이 낫다. 왜일까? 그리고 조금 오래 된 영화지만 <바리케이트>라는 영화도. 두 영화 모두 외국인 노동자가 출현한다. 그 외에 공통점은 없는 듯하다. 오히려 선명하게 차이점이 부각된다. 이런 저러한 생각을 하다가 정작 미용사의 요구에는 어떤 대꾸도 하지 못했다. 그러다가 그 여자랑 수다를 떨어줘야 예의일 것 같다는 생각만 했다. 그렇지만 책 얘기는 싫었다. 이럴 때 화제 전환이 최고다. ‘밥 먹었어요?’

아! 그런데 여기에 책을 소개하려고 한다. 여기서는 화제 전환도 되지 않는다. 그냥 노골적으로 책에 관한 이야기를 해야 한다. 젊은이가 젊은이에게 책을 소개한다. 괜히 낯간지러운 짓하는 것 같다. 그래서 두 편의 영화와도 관련되면서 불쑥 떠오른 이야기를 하려고 한다. 요즘은 할 수 없지만 하릴없을 때 흔히 하는 놀이가 있다. 먼저 tv 앞에 앉는다. 리모컨으로 tv를 켠다. 리모컨으로 이리저리 채널을 돌린다. 한 바퀴, 두 바퀴. 이렇게 놀다보면 시간 가는 줄 모르게 된다. 어느 날인가 여느 때와 같이 TV를 켰다. 채널 돌리기 놀이를 하다가 채널을 고정한 곳은 다큐멘터리. 남아메리카 원주민의 일상을 소개하고 있다. 최소한의 가릴 곳도 제대로 가리지 않은 그들의 일상이 재밌게 다가왔다. 늘어진 여성의 가슴도 여과 없이 들어왔다. 그러다가 문득 이런 생각을 하게 됐다. ‘아니 공중파에서 여성의 가슴이 노출되어도 되는 거야?’ 만일 저 모습이 서양 여성이었다면 어떻게 될까? 아마도 난리 났을 법도 하다. 여성에 대한 시각만 그럴까?

몇 해 전부터 한국계 외국인, 정확하게 보자면 서양인의 피와 섞은 남자 배우들이 인기가 좋다. 다니엘 헤니, 데니스 오, 줄리엔 강 등. 키도 크고 잘 생겼다. 여성의 애간장을 녹이기에 충분하다. 이들이 혹시 적당히 벗고 나와 준다면 얼마나 고마운 일인가? 드라마에서 이들의 샤워 신이라도 있다면, 완전 계 탄 날이 될 것이다. 그렇지만 왜 원주민은 안 되는 것일까?

여기에는 상징적 의미가 담겨 있다. 우리가 바라보는 백인과 유색인에 대한 상상적 이미지가 담겨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런 시각은 우리의 심층 속에 자리잡고 있다. 너무도 당연하게 느끼는 것을 보니.

이런 얘기를 본격적으로 다루고 있는 책이 있다. 프란츠 파농의 <검은 피부 하얀 가면>이 그것이다. 이 책은 흔히 포스트콜로니얼리즘 시대의 책이라고 한다. 말이 어렵다. 탈식민지주의라고 말해야 할까? 그런데 이 말도 어렵다. 우리가 식민지가 아니기에 무슨 해괴한 소리인지.

먼저 프란츠 파농에 대한 얘기를 해보자. 프란츠 파농은 서인도 제도의 한 섬에서 태어났다. 프랑스에서 의학을 공부했고, 이후 알제리로 이동해서 여기서 정신과 의사로 활동하면서 알제리 독립 운동에 가담하기도 했다. 파농은 알제리가 독립하기 전에 세상을 떠났다. 알다시피 알제리는 프랑스의 식민지 통치를 받아왔다. 전세계에서 프랑스만큼 자유를 추구하는 나라가 얼마나 있을까? 그럼에도 프랑스의 지식인들도 알제리의 독립에 대해서는 반대하거나 침묵했다.

파농의 입장에서 보자면 알제리 독립에 침묵하던 프랑스 지식인들의 모습이 싫었을 것도 같다. 그렇지만 정작 그가 더 심각한 문제로 생각하는 것은 흑인들의 사고방식이다. 일종의 식민주의 심리학이 팽배해 있었던 때문이다. 피부색과 관련한 열등 콤플렉스가 집단적으로 발생하고 있었던 것이다. 그것도 너무도 심각해서 하나의 신화가 된 상황 앞에서 그가 할 수 있는 것은 이 현상을 분석하고 내면화하는 것이리라.

언젠가 빈민운동은 빈민과 싸워야 하고, 여성운동은 여성과 싸워야 한다는 말을 들을 적이 있다. 빈민이 갖고 있는 패배의식, 도저히 경쟁 사회에서 살아남을 수 없다는 좌절감. 이런 의식으로 팽배해 있는 사람들에게 어떤 희망도 사치에 불과할지 모른다. 가난이란 경쟁 자본주의에서 어쩔 수 없는 장식일지도 모른다. 그 의식을 꺾지 못하면 어떤 노력도 허망할 수밖에 없다. 파농도 식민지에서 벗어나야 하지만 일차적인 상대는 프랑스가 아니라 검은 피부의 인간들이었을 것이다. 흑인도 열등감에서 벗어나서 백인들(프랑스인들)과 동등한 위치에 있고 싶어도 뼛속까지 침투해 있는 콤플렉스는 쉽게 사라지지 않았다.

파농이 느꼈던 이런 감정은 한류 열풍의 중심지에 살아가는 우리에게도 그대로 전달된다. ‘우리 것은 좋은 것이야’ 한류의 열풍으로 자긍심을 갖고 있는 것과 상관없다. 말하자면 우리에게는 콤플렉스를 치유할 수 있는 자긍심이 있다고 해도 소용 없다. 의식 깊숙한 곳에는 상상과 실재 사이에서 방황하고 있는 콤플렉스가 있다. 경제적 잣대로 사람마저도 나누는, 그래서 백인에 대한 호감을 넘어서 성적 지향성마저도 편중되는 현상. 외모에 대한 기준마저도 서구로 변해버린 세상.

영화에서도 비슷한 감정이 느껴진다. 외국인 노동자는 한국인과 동등한 위치에 놓일 수 없다. 심지어는 다문화 정책에 대한 비판도 서슴없이 나오고 있다. 외국인 노동자들의 취업이 늘면서 정작 내국인의 취업이 줄어들고 있다고 한다. 심지어 외국인 노동자의 범죄 사실을 통해서 그들을 추방시켜야 한다고 한다. 그러나 생각해보자. 우리에게 노동력이 아니라 자본을 갈취하는 이들은 누구인가? 투자라는 미명 하에 국내 자본을 잠식하는 세력은 누구인가? 왜 같은 피해를 입히는데 누구는 미워하고 누구는 좋아하는 것인가?

파농의 <검은 피부 하얀 가면>을 읽으면 우리 의식 속에 자리 잡고 있는 콤플렉스, 어렵게 말하면 옥시덴탈리즘의 가면을 발견하게 된다. 이 책의 문제를 우리 의식의 문제로 확대해서 읽어본다면 상상 속에서 날조된 우리의 모습을 반성할 수 있을 것이다.

0 replies

Leave a Reply

Want to join the discussion?
Feel free to contribute!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