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여섯 번째 시간, 경지 [시가 필요한 시간]

Spread the love

열여섯 번째 시간, 경지

 

마리횬

 

최근에 부쩍 더워진 날씨 탓에 ‘이제 진짜 여름이구나’하고 느끼게 되는데요, 여름의 계절이 찾아왔다는 것을 말해주는 것이 더위 말고 하나 더 있습니다. 요즘 부쩍 나무 그늘이 많아진 것을 혹시 보셨나요? 자주 산책하는 공원을 거닐 때 3-4월, 아니 5월까지만 해도 손으로 햇빛을 가리며 걸었던 것 같은데, 며칠 전에 가보니 그 사이에 나무가 무성해져서, 어느 새 산책로에 나무그늘이 만들어졌더라구요. 푸르러진 나무들이 서로 맞닿아서 만들어낸 시원한 그늘을 보면서, 새삼 ‘아 여름이구나’하고 느끼게 됩니다. 어쩜 나무들은 늘 그 자리에 서서 무수한 겨울과 여름을 보내며 소리도 없이 자신만의 시간을 살아내는지. 그 나무들을 보면서 떠오른 시가 있어서 오늘 가져왔습니다. 정병근 시인의 시 ‘나무의 경지’입니다.

 

 

나무의 경지

                                         정병근

 

그래도 그냥 서 있는 것이 더 좋았다

누구에겐가 가서 상처를 만들기 싫었다

아무에게도 가지 않고 부딪히지 않고 상관하지 않으면서

혼자만의 생을 죽도록 살고 싶었다

 

자신만의 생각으로 하루의 처음과 끝을 빽빽이 채우는

나무는 지독한 이기주의자다

그게 한계다 치명적인 콤플렉스다

콤플렉스를 가진 나무는 아름답다

 

까마득한 세월을,

길들여지지 않고 설득 당하지 않고

설명할 필요도 없이 서 있는 그 한 가지로

마침내 가지 않고도 누군가를 오게 하는

한 경지에 이르렀다

 

많은, 움직이는, 지친 생명들이

그의 그늘 아래로 들어왔다

 

정병근 시인의 시 “나무의 경지” 들어 봤습니다. ‘경지’라는 말은 그 뜻을 쉽게 알 수 있는 단어인데요, 사실 ‘경지’에는 세 가지 뜻이 있어요. 똑같은 한자[境地]를 쓰면서도 뜻이 조금씩 다릅니다. 첫 번째로는 ‘일정한 경계 안의 땅’이라는 뜻이 있습니다. 어떤 ‘경계’가 있는 ‘땅’이라는 뜻으로 ‘경지’가 되는 거죠. 두 번째로는 ‘학문, 예술, 인품 따위에서 일정한 특성과 체계를 갖춘 독자적인 범주나 부분’ 이라는 뜻이 있습니다. 완전 다른 뜻인 것 같지만 가만 생각해보면 첫 번째 뜻에서 의미가 이어져서 나오고 있습니다. 자신만의 특성과 체계가 있는 독자적인 경계(범주)라는 뜻이니까요.

그렇다면 세 번째 뜻은 뭘까요? 세 번째 뜻은 아마도 여러분이 이 단어를 듣고 가장 많이 생각하셨을 법한 뜻으로, ‘몸이나 마음, 기술 따위가 어떤 단계에 도달해 있는 상태’ 라는 뜻입니다. ‘높은 경지에 이르렀다’라고 할 때의 그 ‘경지’죠.

 

출처 https://ko.dict.naver.com/#/entry/koko/c343e140fd0d4d089f309c6455e159ec 네이버사전

 

그런데 정병근 시인의 <나무의 경지>가 흘러가는 흐름과 이 ‘경지’라는 말의 세 가지 뜻이 신기하게도 맞닿아 있습니다. 이 시의 제목과 방금 설명 드린 ‘경지’의 세 가지 뜻을 잘 기억해두시면서 시를 읽어 보시기 바랍니다.

 

그래도 그냥 서 있는 것이 더 좋았다

누구에겐가 가서 상처를 만들기 싫었다

아무에게도 가지 않고 부딪히지 않고 상관하지 않으면서

혼자만의 생을 죽도록 살고 싶었다

 

이 시가 이렇게 시작하죠. “그냥 서 있는 것이 더 좋았다. 아무에게도 가지 않고 부딪히지 않고 상관하지 않으면서 ‘혼자’만의 생을 죽도록 살고 싶었다”라고요. 이 첫 부분이 “일정한 경계 안의 땅”이라는 ‘경지’의 첫 번째 뜻과 연결됩니다. 누군가에게 다가가서 상처를 만들기 싫어서, 아무에게도 가지 않고 부딪히지 않고, 상관하지 않으면서 자신만의 ‘일정 경계 안의 땅’에만 머물고 있는 나무의 모습이죠.

두 번째 연에서 “자신만의 생각으로 하루의 처음과 끝을 빽빽이 채우는/나무는 지독한 이기주의자다./그게 한계다. 치명적인 콤플렉스다….”라고 이어지는데요, 그런데 그 콤플렉스가 그저 콤플렉스로 끝나는 게 아니라, 이어서 시인은 “콤플렉스를 가진 나무는 아름답다”라고 말합니다. 콤플렉스가 아름다움으로 변하는 순간이자, 독자적인 그만의 영역으로 만들어지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는 ‘경지’의 두 번째 뜻, “학문, 예술, 인품 따위에서 일정한 특성을 갖춘 독자적인 범주나 부분”과 이어지죠.

일정 경계 안에 스스로를 세워 놓고 있는 나무를 ‘한계’와 ‘콤플렉스’를 가진 존재로, ‘이기적인’ 존재로만 볼 수도 있겠지만, 그것이 치명적인 아름다움이 되면서 자신만의 독자적인 범주를 만들게 됩니다. 그리고 이제 그 나무가 또 다른 경지에 이르면서 시가 마무리 되고 있습니다.

 

까마득한 세월을

길들여지지 않고 설득 당하지 않고

설명할 필요도 없이 서 있는 그 한 가지로

마침내 가지 않고도 누군가를 오게 하는

한 경지에 이르렀다

 

일정 경계 안에 있었던 나무의 경지, 그리고 특정한 독자적인 범주를 만든 나무의 경지, 그리고 이제는 다가가지 않고도 누군가를 오게 하는 나무의 경지. 이렇게 세 가지의 나무의 경지를 읽어 낼 수가 있습니다. 이 시는 형식적으로도 크게 세 부분으로 되어 있는데요, 어쩌면 시인이 시의 제목을 ‘나무의 경지’라고 하면서 이 세 가지 뜻의 경지를 모두 말하고 싶었던 것이 아닐까 싶습니다.

크게 세 부분으로 된 시는 마지막에 두 줄로 이렇게 끝납니다.

 

많은, 움직이는, 지친 생명들이

그의 그늘 아래로 들어왔다

 

다른 사람에게 피해를 주지 않으려고 혼자만의 삶을 유지하면서, 어떻게 보면 지독하게 이기적인 삶을 산 것인데.. 그런데 그것이 또 다른 매력이 되어서, 다른 사람들을 불러 모으는 아름다움이 된다니… 이 시가 참 많은 이야기를 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나무는 한 곳에 뿌리를 내리고 서서 어디로도 가지 않고, 가령, 춥다고 따뜻한 곳으로 가거나 덥다고 시원한 곳으로 움직이지 않고, 늘 그 자리를 그대로 지키면서 서 있죠. 그럼에도 불구하고, 마침내 ‘가지 않고도 누군가를 오게 하는 한 경지’에 이릅니다. 그것이 얼마나 어려운 일이겠어요. 이 시의 표현처럼 어쩌면 “까마득한 세월”이 걸릴 수도 있겠죠. 잠시 마음먹기는 쉬워도, 사실 그 마음가짐을 계속 고집한다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우리에게는 누가 나를 좀 알아봐주기를 바라는 기본적인 욕심, 인정받고자 하는 본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내가 먼저 나를 PR해야지만 살아남을 것처럼 삽니다. 그렇지 않으면 잊힐 것 같고, 그렇기 때문에 끊임없이 남에게 먼저 다가가고, 다른 누군가의 취향에 맞추려고 나 자신을 바꿀 때도 있지 않은가요? 여론이 기우는 쪽으로 내 생각을 바꿔버리기도 참 쉽죠. 대세에 따르는 게 정답인 양, 그러지 않으면 도태될 수 있다는 불안한 심리를 가지고 살아갈 때가 있습니다.

그런데 그것만이 답이 아니라는 것을 오늘 이 시를 통해 시인은 말하고 있습니다. 나무처럼 한 자리에 가만히 있다는 것이, 어쩌면 요즘 같은 시대에 뒤쳐지고 잊혀지는 것처럼 보이기 마련이지만, 내 자리를 올바르게 지키고, 그 자리에서 내 생각(가치관)을 가지고 뿌리 내리고 이파리를 키워 놓는다면, 마침내 많은 지친 생명들에게 위로를 줄 수 있는 경지에 이르게 될 것이라는 메시지를 읽을 수 있습니다.

그렇게 해서 마침내 이르는 것이 진짜 ‘경지’이겠죠. 여기 저기 쫓아다니면서 내 생각도 없이, 그저 유행만 좇다가 올라간 자리는 결코 ‘경지’가 아니라 일시적인 ‘거품’일겁니다. 쉬우면 너도나도 다 경지에 오르겠죠.

여러분 각자가 겪어내고 공부하고 있는 자신만의 분야가 있을 테고, 첫 번째와 두 번째 뜻으로의 ‘경지’가 각자 하나씩 있을 겁니다. 그 자리에서, “길들여지지 않고, 설득 당하지 않고, 흔들리지 않으면서” 자신만의 ‘경지’에 오르시길 바랍니다.

이 시와 함께 들으면 좋을 곡으로, 클래식 연주곡을 가져왔습니다. 영화 OST인데요, 러시아의 위대한 작가 레프 톨스토이의 삶과 말년을 다룬 영화 <The Last Station(2009)>에 삽입된 같은 제목의 연주곡입니다. 톨스토이야 말로 자신만의 경지에 오른 작가 중 한 사람이 아닐까 싶어요. 물론 그의 삶이 도덕적으로 비판 받는 부분들도 있지만, 귀족으로 태어났음에도 농민의 계몽과 교육을 주장했고, 농민들을 위한 학교를 세웠으며, 귀족들의 부의 축적을 비판하는 문학활동을 하는 등 자신이 옳다고 생각하는 가치를 몸소 실천하고자 노력한 사람입니다. 톨스토이 자체도 그리고 그의 작품들도 모두 이 시에서 말하는 경지에 이른 것들이 아닐까요? 어쩌면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그의 작품을 지금도 다시 찾고 있고, 그것을 통해 많은 깨달음과 위로를 받는 거겠죠. 이 영화의 ost도 참 아름답습니다. 마치 시원한 나무 그늘아래 들어와 있는 기분을 느끼게 해 주는 곡인데요, 이 음악을 들으면서 정병근 시인의 <나무의 경지>를 다시 읽어봐도 좋을 것 같습니다. 그럼, 오늘도 시원한 하루 보내시기 바랍니다.

♬Sergey Evtushenko – The Last Stationhttps://youtu.be/scUVwhUvyJw


필자 마리횬

아이폰 팟케스트 <마리횬의 시와 음악공간(2012)>에서 러시아의 시와 노래를 직접 번역하여 소개하는 방송을 진행하였고, 호주 퀸즐랜드주 유일의 한인라디오방송국에서 시를 읽고 생각을 나누는 <시가 필요한 시간(2016-2018)>을 진행하며 많은 사랑을 받았다. 연세대학교에서 노어노문학을 전공하였고, 현재 동대학원에서 러시아 문학을 공부하고 있다.  

0 replies

Leave a Reply

Want to join the discussion?
Feel free to contribute!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