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톤의 『국가』 강해 ⑦ [이정호 교수와 함께하는 플라톤의 『국가』]
플라톤의 <국가> 강해 ⑦
2-4(330d~331d): 케팔로스와 노령의 즐거움과 재산과의 관계를 논하다가 정의에 대한 문제를 제기한다.
[330d]
* 소크라테스는 케팔로스가 점잖게 생활방식을 강조하고 있음에도 집요하리만치 재산에 관련해서만 질문을 던지고 있다. 그 과정에서 케팔로스는 노령을 수월하게 견디게 해주는 것으로 생활방식 외에 재산도 필요하다는 것을 인정함으로써 생활방식이 유일한 원인이라는 자신의 주장을 스스로 뒤엎는다. 그리고 연이어 소크라테스는 케팔로스가 재산에 대한 애착이 없는 것 같다고 말은 하지만 그 또한 현재, 돈을 자신의 작품인양 애착을 갖고 있는 ‘돈을 모으는 자’οἱ χρηματισάμενοι임을 환기시킨다. 그리고 그 바탕 위에서 케팔로스에게 그렇게 모은 ‘많은 재산을 가지고 덕을 본 것들 가운데 가장 좋은 것이 무엇인지’τί μέγιστον οἴει ἀγαθὸν ἀπολελαυκέναι τοῦ πολλὴν οὐσίαν κεκτῆσθαι를 연이어 묻고 있다. 소크라테스는 케팔로스가 말하는 생활방식이 자신의 개인적 안녕을 위한 소극적 방책이자 결국 재산 때문에 가능한 것임을 드러내 보이려는 것이다. 그러나 케팔로스는 그 의도를 아는지 모르는지 아니면 처음부터 아예 상관없다고 여기는지, 재산이 가장 값어치 있다고 여기게 하는 것들을 제법 상세하게 늘어놓는다.
* 먼저 케팔로스는 누구나 노령에 접어들어 죽음을 앞두게 되면 ‘두려움과 근심’δέος καὶ φροντὶς이 생기고 그 동안 웃음거리로 여겼던καταγελώμενοι, ‘저승’과 관련해서 전해오는 여러 이야기 이를테면 ‘이승에서 올바르지 않은 짓을 저지른 자는 저승에서 그 벌을 받아야 한다’ὡς τὸν ἐνθάδε ἀδικήσαντα δεῖ ἐκεῖ διδόναι는 이야기도 진짜인가 싶어 마음이 괴로워진다στρέφω고 말한다.
* 여기서 저승의 원어는 ‘하데스’Ἅιδης이다. 하데스는 제우스, 포세이돈과 함께 세계 분할 즉 하늘, 바다, 땅을 누가 맡을 것인가를 정하는 자리에 참여한 최초의 신이다. 여기서는 ‘사후에 혼들이 가는 지하세계’의 의미로 쓰였다. 추첨에 의해 이루어진 영역 배당과 상호 불가침은 운명(Moira) 앞에서 그들이 행한 맹서대로 신들 사이의 관계를 지배하는 율령이다. 제우스조차 아들 사르페돈의 죽음을 막지 못한다. 사람의 죽음은 하데스의 몫이기 때문이다. 이를 어기는 행위는 즉각적으로 네메시스(nemesis)의 응징을 불러일으킨다. 사람들이 죽음을 앞두고 두려워하는 이유는 신들조차 피해갈 수 없는, 부당한 행위에 대한 심판이 사후일지라도 반드시 실행된다는 믿음 때문이다. 케팔로스가 전하는 고대 그리스인들의 인과응보에 관한 관념은 위와 같은 신화적 세계관에서 나온 것이다.
[330e]
* 그래서 사람들은 그제에서야 ‘이전에 무슨 일로 어떤 이에게 정의롭지 못한 일을 한 적이 있는지 스스로 따져 보며 곰곰이 생각하게 되고’ἀναλογίζεται ἤδη καὶ σκοπεῖ εἴ τινά τι ἠδίκησεν 그 결과 자기가 ‘정의롭지 못한 일’ἀδικήματα을 많이 저질렀다고 생각되는 자들은 겁에 질린 채 잠도 잘 못 이루고 불길한 예감 속에서 살아가게 된다고 케팔로스는 말한다. 여기서 ‘스스로 따져 보며 곰곰이 생각하다’의 동사 ἀναλογίζομαι와 σκοπέω의 일차적 의미는 각각 ‘계산하다’와 ‘살펴보다’이다. 과거 타인에게 저지른 행위들을 말 그대로 ‘세어 보며 확인하는 것’이다. ‘반성하는 마음으로 자신의 내면을 되돌아보는 것’과는 거리가 있다.
[331a]
* 그러나 ‘정의롭고 경건하게 인생을 산 사람’ὃς ἂν δικαίως καὶ ὁσίως τὸν βίον διαγάγῃ의 경우는 그러한 걱정이나 두려움 없이 노령에 들어서도 즐겁고 밝은 희망이 늘 함께 있으면서 핀다로스의 말처럼 ‘유쾌한 희망’γλυκεῖά이 노년의 부양자γηροτρόφος가 된다고 말한다. 여기서도 케팔로스는 자기 생각을 뒷받침하는 근거로 습관처럼 시인의 말을 인용한다. * 인용된 핀다로스의 시에서 ‘유쾌한 희망’의 원어 γλυκύς는 ‘delightful’의 의미도 있지만 기본적으로 ‘달콤한’의 뜻을 가지고 있다. ‘사멸하는 인간들의 변덕스런 마음을 으뜸으로 조종하는 게 희망인지라’ἐλπὶς ἃ μάλιστα θνατῶν πολύστροφον γνώμαν κυβερνᾷ에서 ‘사멸하는’의 원어 θνητός는 죽지 않는 신과 대비하여 ‘죽는 존재로서 인간’을 표현할 때 쓰는 말이다. 그리고 ‘조종하는’의 원어 κυβερνάω는 플라톤이 정치술을 선장의 기술로 비유할 때 자주 쓰는 표현이다. 핀다로스는 사멸하는 인간의 변덕스런 마음을 으뜸으로 조종하는 게 희망ἐλπὶς이라고 말을 하지만 플라톤은 인간의 삶을 으뜸으로 조정하는 것은 어디까지나 ‘지성’νόῦς(nous)이다. 그럼에도 희망 또한 중요하다. 희망은 미래와 관련된 것이지만 희망의 위대함은 미래가 아니라 희망을 갖는 현재에서 나온다.
* 핀다로스(Πίνδαρος Pindaros 기원전 522-443)는 그리스 서정시에 발군의 발자취를 남긴 시인으로서 테베에서 얼마 떨어지지 않은 보이오티아 지방 귀노스케팔라이(Kynoskephalai) 출신 명문 귀족이다. 그는 뛰어난 능력을 인정받아 당대 귀족과 참주(僭主)들에게 초빙되어 그들을 위한 합창송가의 가사를 헌정할 정도로, 젊은 시절부터 왕족과 귀족들의 후원과 총애를 받으며 귀족 사회를 찬미하는데 정열을 바쳤다. 그는 귀족정이 몰락하고 민주정이 들어선 이후에도 기원전 6세기 말의 귀족들의 삶을 기리며 그들의 삶과 자부심, 종교적 신앙을 찬양하고 미화하는 노래를 지었다. 그의 시가 신과 영웅들의 장대함과 고귀한 영혼의 부활을 절규하고 있는 것도 그러한 배경에서 나온 것이다. 다행히 그의 절규는 풍부한 창조력으로 승화되어 후세에 ‘핀다로스풍(風)’이라 불리는 송가(頌歌ode)의 완성자로 평가될 정도로 신과 영웅. 경기 우승자들 및 이상적인 인간상을 찬양하는 불후의 명시들을 남기는 원동력이 되었다. 여기에서 인용된 그의 시는 핀다로스의 토막글 214로 분류되어 전승되고 있다.
* 케팔로스가 생활방식을 이야기 하면서 소포클레스, 데미스토클레스, 핀다로스를 인용하고 있는 것에도 다분히 플라톤의 숨은 의도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소포클레스는 케팔로스처럼 무기제조업으로 발흥한 가문 출신이면서 그가 선망하는 귀족이고, 데미스토클레스는 원래 시민이 아니었으나 클레이스테네스의 시민 확대 정책에 의해 간신히 시민권을 획득한 후 최고 권력에 이른 사람이고, 또 핀다로스는 자기가 꿈꾸는 귀족들의 풍요롭고도 품격 있는 삶, 승자들의 삶을 찬양하는 사람이기 때문이다.
* 재산의 소유가 가져다주는 가장 큰 가치에 대한 케팔로스의 답을 통해 드디어 ‘정의(正義)’δικαιοσύνη에 관한 어휘들이 처음으로 등장한다. 재산의 가장 큰 가치는 바로 사람들에게 ‘정의롭고 경건한’δίκαιος καὶ ὅσιος 삶을 가능하게 해준다는 것이다. 물론 이곳에서도 케팔로스는 그것이 모든 사람에게서가 아니라 ‘도리를 아는 사람에게’τῷ ἐπιεικεῖ서나 가능한 것이라고 조건을 붙인다. 여기서 ‘도리를 아는 사람’으로 번역된 말의 원어는 τὸ ἐπιεικής인데 이 말은 앞에서 절도와 자족이라는 생활방식을 갖춘 ‘훌륭한 사람’에 쓰인 말과 같은 말이다. 여기서도 정의롭고 경건한 삶의 조건으로 ‘재산의 소유’τὴν τῶν χρημάτων κτῆσιν와 도리가 함께 거론되고 있다. 이렇듯 재산의 소유와 훌륭한 생활방식을 하나의 조건으로 줄곧 병존시키고 있다는 점에서 보면 케팔로스의 주장은 나름 일관성을 유지하고 있다.
* 이곳에서도 텍스트의 일부 내용이 수정되어 있다. 옥스퍼드 구판에는 ‘훌륭하고 절도 있는 이’τῷ ἐπιεικεῖ καὶ κοσμίῳ’로 나타나 있지만 신판에서는 ‘절도 있는 이’καὶ κοσμίῳ’가 빠지고 그냥 τῷ ἐπιεικεῖ만 살려 ‘도리를 아는 사람’으로 번역하고 있다. 새로운 판본이 발견된 것일까? 아니면 케팔로스의 태도가 절도와 상관없어 보였기 때문일까?
[331b]
* 그러나 이제 주목할 것은 이후 케팔로스가 말하는 ‘정의롭고 경건한 삶’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이다. 케팔로스는 ‘재산의 소유가 가장 값어치 있다’τὴν τῶν χρημάτων κτῆσιν πλείστου ἀξίαν εἶναι고 여기게 하는 사례로서 ‘마지못해 남을 속이거나 거짓말을 하지 않아도 되는 것’τὸ γὰρ μηδὲ ἄκοντά τινα ἐξαπατῆσαι ἢ ψεύσασθαι 또는 ‘신께 제물을 빚지거나 남한테 재물을 빚진 채로 저승으로 가 버리게 되지 않을까 두려워하는 일이 없도록 해주는 것’μηδ᾽ αὖ ὀφείλοντα ἢ θεῷ θυσίας τινὰς ἢ ἀνθρώπῳ χρήματα ἔπειτα ἐκεῖσε ἀπιέναι δεδιότα을 들고 있다. 그런데 두 가지 삶의 태도들 모두 ‘무엇을 해야 한다’는 적극적인 삶의 방식이 아닌 ‘하지 않아도 된다’는 소극적인 삶의 방식에 머물러 있다. 게다가 두 가지 태도의 동기 모두 적극적인 도덕적 당위와 정당성에 서 비롯된 것이 아니라, 다만 개인의 안녕과 사후의 평안을 바라는 개인적 소망과 관련되어 있다. 첫째 태도에 나타나는 정직의 덕목 역시 내적 자발성에 기초한 것이 아니라 ‘마지못해ἄκοντά 저지르는 거짓말’을 피하는 수준의 것이고. 둘째 태도 역시 ‘채무 상환’에 대한 적극적인 도덕적 의지에서 나온 것이라기보다는 당대 아테네에서 채무 미상환이 초래하는 비참한 결과와 그에 따른 사후의 처벌에 대한 두려움에서 나온 것이다.
* 사실 아테네인들에게 ‘채무’의 의미는 단순히 ‘빚을 진다’의 의미를 훨씬 넘어서 있다. 이미 종교가 생활인 그들에게 제물을 빚지는 것은 불경을 의미했다는 점에서도 당연히 심각한 일이었겠지만 일상의 채무와 관련해서도 우리의 상상을 넘어서 있다. 왜냐하면 소규모 자영농으로 근근이 생활을 유지하는 대부분의 아테네 시민들에게 채무 미상환의 종말은 토지의 상실을 의미했고 토지의 상실은 곧 시민권의 상실이라는 ‘신분의 박탈’ 그 자체를 의미했기 때문이다. 케팔로스가 재산이 가져다주는 가장 큰 값어치의 하나로 왜 ‘채무 상환 능력’을 들고 있는 것도 이러한 배경에서 나온 것이다. 참고로 고대 그리스의 식민 활동은 강자들의 적극적인 침략의지에서 비롯되었다기보다는 기본적으로 이러한 신분 피박탈자, 토지 상실자 내지 가난한 자들의 불가피한 해외 이주에서 비롯된 것이다. 기원전 소크라테스가 의신(醫神) 아스클레피오스에게 닭 한 마리를 갚아달라고 유언을 남긴 것을 두고 ‘인생이라는 질병’에서 벗어난 것에 대한 감사 표시라는 등 여러 해석이 있지만(아테네에서는 질병에서 벗어나면 아스클레피오스에게 닭 한 마리를 제물로 바치는 습관이 있었다고 한다.) 이런 의미에서 보면 어떤 이에게 그것은 말 그대로 유언에 포함할 만한 중대사가 될 수도 있는 것이다. 실제 이곳에서 ‘빚을 진다’를 나타내는 동사ὀφείλω가 단순히 ‘빚을 지다’라는 채무행위를 나타내는데 그치지 않고 ‘반드시 하지 않으면 안 된다’, ‘반드시 갚아야 한다.’라는 의무의 뜻을 함께 가지고 있는 까닭도 채무에 대한 당대의 아테네인들의 의식을 반영한 것이라 하겠다. 이에 따라 이 단어는 앞으로 문맥에 따라 ‘갚아야 한다’는 말로도 번역된다.
* 결론적으로 케팔로스에 따르면 ‘재산의 소유’’ἡ τῶν χρημάτων κτῆσις가 가져다주는 큰 기여는 재산을 소유한 사람으로 하여금 위와 같은 훌륭한 생활방식을 가능하게 해주는 것이다. 즉 그것이야말로 ‘부가 제일 쓸모 있게 되는 경우’πλοῦτον χρησιμώτατον εἶναι이다. 그러나 케팔로스가 말하는 ‘정의롭고 경건한 삶’은 내용을 들여다보면 그것은 일단 ‘정의로운 마음 상태’, ‘경건한 마음 상태’라는 내면의 의식 상태와는 무관하게 외적으로 드러난 행위와 관련한 것들이다. 사실 경건ὅσιος의 일차적 의미가 ‘신들이 정한 계율들을 잘 지키는 것’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최대한 거짓말을 피하고 계율에 따라 제물도 잘 바치고 신에게나 남에게 빚지지 않는 것이야말로 케팔로스의 말대로 정의롭고 경건하게 사는 것이라고 말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플라톤이 말하고자 하는 진정한 의미에서의 ‘정의롭고 경건한 삶’이란 케팔로스가 말하는 그러한 외적인 행위에서뿐만 아니라 ‘내면의 조화’ 즉 내적인 혼의 상태에서의 자유와 평화, 덕과 지혜를 동반하는 삶이다. 물론 케팔로스도 ‘분별 있는 이에게’ἀνδρὶ νοῦν ἔχοντι라는 조건을 붙이고는 있지만, 케팔로스가 말하는 그것은 내면의 혼의 조화, 덕과 지혜에 기초한 분별νόος이라기보다는 그가 고백하고 있는 그대로 계율에 기초한 자기 규율적 생활 습관에 불과하다. 그리고 그것을 준수하려는 동기 또한 적극적인 덕에 따른 실천의지에서가 아니라 앞서 살폈듯 자신의 개인적 소망에서 나온 것이고, 분별 또한 재산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 짐짓 내세우는 남들에게 내보이기 위한 격조와 품위 차원에서 요구된 것이다.
[331c]
* 그래서 소크라테스는 도대체 그가 말하는 ‘정의롭고 경건한 삶’이 무엇인지 제대로 알기나 하고 그런 말을 하는지 정식으로 제대로 캐묻고 싶어 한다. 그래서 소크라테스는 이 관심사를 보다 명확하게 밝히기 위해 정의에 관한 케팔로스의 생각을 본격적으로 검증하기 시작한다. 우선 소크라테스는 케팔로스의 정의관을 정의δικαιοσύνη는 ‘정직함ἀλήθεια과 남한테서 받은 것은 갚는 것’τὸ ἀποδιδόναι ἄν τίς τι παρά του λάβῃ으로 단순화한 후 그 규정의 허점을 파고들기 시작한다. 마침내 이 부분에서 ‘정의란 무엇인가?’라는 이 대화편의 주제가 전면에 등장한다.
* 소크라테스는 먼저 정의가 그러한 것이라고 한다면, ‘어떤 사람에게서 멀쩡했을 때의 친구로부터 무기를 맡았다가 그가 미친 상태로 와서 그것을 돌려달라고 요구할 경우’εἴ τις λάβοι παρὰ φίλου ἀνδρὸς σωφρονοῦντος ὅπλα, εἰ μανεὶς ἀπαιτοῖ, ὅτι οὔτε χρὴ τὰ τοιαῦτα ἀποδιδόναι ‘그런 것을 돌려주어서도 안 되거니와 그런 걸 되돌려 주는 사람이 그리고 더 나아가 그와 같은 상태에 있는 사람에게 진실을 죄다 말해 주려고 드는 사람이 결코 정의로운 것은 아니다’οὔτε χρὴ τὰ τοιαῦτα ἀποδιδόναι, οὔτε δίκαιος ἂν εἴη ὁ ἀποδιδούς, οὐδ᾽ αὖ πρὸς τὸν οὕτως ἔχοντα πάντα ἐθέλων τἀληθῆ λέγειν라고 말한다. 여기서 소크라테스의 지적은 케팔로스에게 괜한 트집을 잡아 그를 곤혹스럽게 만들려는 의도에서 나온 것이 아니다. 소크라테스의 예시는 다만 정의를 정의(定義) 또는 ‘의미 규정’하려고 할 때, 케팔로스가 하듯 단순하게ἁπλῶς 사례들을 내세워 규정하려들 경우 반드시 예외적 사례에 직면한다는 것을 보여주려는데 있다. 소크라테스에게 ‘그것은 무엇인가?’라는 물음은 대상이 갖는 우연적 속성이나 사례들을 묻는 것이 아니라 그것의 본질을 묻는 것이다.
* 무기상인 케팔로스에게 무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는 것도 흥미를 끈다.
Leave a Reply
Want to join the discussion?Feel free to contribu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