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나쁜나라] 공동체 상영 후기

Spread the love

영화 [나쁜나라] 공동체 상영 후기

이지영(학술1부 부장)

 

다시 4월이 왔다. 4월은 얼었던 황무지에서 생명을 키워내는 잔인한 달이라고 영국의 한 시인은 노래했다. 새로운 생명이 움트는 찬란한 일에는 고통이 따르는 법이다. 그러나 2014년 4월 16일 세월호 침몰 사고 이후 우리에게 4월은 힘들게 움튼 생명이 만개하기도 전에 속절없이 사라지는 것을 그저 바라보아야만 했기에 잔인한 달이 되어버렸다. 생명의 존귀함에 경중이 있겠느냐마는 300여 명의 세월호 희생자들 중 상당수가 세월호를 타고 수학 여행길에 올랐던 고등학교 2학년 어린 학생들이었기에 그 아픔은 더욱 배가 되었다. 세월호 침몰 사고 2주기를 앞둔 2016년 3월 26일 토요일 오후 3시, 영화 “나쁜 나라” 한국철학사상연구회 공동체 상영 및 김진열 감독과의 토론을 위해 회원들 및 그 친구들이 하나 둘 씩 연구회 사무실 문을 열고 들어서기 시작했다. “나쁜 나라”는 세월호 침몰 사고 이후 이 사고로 가장 많은 희생자가 나온 단원고 희생 학생 유가족들의 대정부 진상 규명 요구의 진행 과정을 다룬 다큐멘터리다.

보다 좋은 질의 영상을 함께 보기 위해 공동체 상영을 기획한 이들은 1시부터 한철연 사무실에 나와 영사기를 설치하고 영상과 음질을 체크하는 등 공을 들였다. 정성이 헛되지 않았는지 상영은 조용한 분위기 속에서 순조롭게 진행되었다. 사고 이후 50일이 지난 시점에서 영화는 시작한다. 카메라의 눈은 팽목항, 진도 체육관, 광화문 광장, 국회 등에서 ‘세월호 침몰의 진실을 밝혀 달라’고, ‘다만 내 아이가 왜, 어떻게 죽었는지 알려달라’고 외치는 유가족들의 모습을 따라간다. 뭐든 해줄 것 같았던 정부는 책임을 회피하거나 축소하려하고, 언제든지 청와대로 찾아오라는 대통령은 끝내 그 모습을 드러내지 않는다. 진상 규명을 요구하는 유가족들의 아픈 몸짓과 절규가 차가운 청와대의 거대한 침묵과 대비를 이룬다. 영화가 진행됨에 따라 정숙했던 관람 분위기는 무겁게 가라앉기 시작했다. 청와대 진입을 막는 이들을 향해 ‘아이들이 죽어갈 때 마지막에 엄마를 불렀을 것이라고, 내가 바로 엄마라고’라고 외치는 한 어머니의 뒷모습에 여기저기서 흐느끼는 소리가 들리기 시작했다. 영화가 끝나고 김진열 감독과의 대담이 시작되었다.

긴 시간 세월호 유가족들과 밀착 동행해 내부 사정을 잘 알고 있던 김진열 감독에게 참석자들은 여러 가지 질문을 던졌다. 세월호 유가족을 만나면 어떻게 대하는 것이 좋은가, 유족들이 국가에 바라는 구체적인 요구 사항은 무엇인가, 영화가 sns 인터넷 뉴스 보도 등과 달리 극적인 면이 떨어지는데 의도가 있었는가, 인문학 연구자들이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인가 등으로 이어졌다. 김진열 감독은 차분하게 질문 하나 하나에 응했다. 유가족을 만나면 최대한 자연스럽게 대하는 것이 좋겠다, 타인들의 시선에 감시당하는 듯한 느낌에서 벗어나고 싶어한다. 유가족들은 다만 진실을 원한다, 정부가 진상 규명을 회피한다는 정황을 만들기 때문에 의혹도 깊어지는 것이다. 이 영화는 세월호 유가족들의 동의 아래 만들어졌다. 유가족들은 자극적인 사고 사진이나 증언들을 접하고 싶어하지 않는다. 그분들의 정신적 고통의 깊이를 감안하여 자극적인 면은 피하고 최대한 객관적 시선으로 자취를 쫒았다. 인문학자들이 유가족들을 만나러 와서 시민 학교를 열었던 적이 있는데 유가족 반응이 좋았던 것으로 안다. 인문학자들은 인문학자대로 자신들이 할 역할을 찾아서 해주면 좋겠다 등의 답변이 있었다. 그러나 영화를 보며 침울해진 분위기는 쉽게 사라지지 않았다.

1시간 반에 걸친 대담이 끝나고 김진열 감독이 참석한 뒷풀이가 이어졌다. 오히려 대화는 참석자들 대다수가 참여한 뒷풀이 장에서 활봘하게 오갔다. 김진열 감독이 오프 더 레코드를 요구한 이야기도 오갔다. 밤이 술과 함께 깊어질수록, 세월호 참화에 대한 울분과 분노 반성의 말들이 격렬하게 오갔다. 단원고 학생만한 자식을 둔 부모로서, 참사에 객관적으로 접근하고자 하는 인문학자로서, 사회의 부조리에 분노하는 젊은 학도로서 우리는 어우러져 함께 생각을 나누고 아직은 함께 무엇인가를 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는 희망을 가졌다. 침묵하는 정부가 숨기고자 하는 것이 무엇인지는 모르겠지만, 거짓은 진실을 요구하는 민중의 열망을 이긴 적이 없다. 시간과 함께 우리의 기억이 사라지지 않는다면 말이다. 숨기고 싶어하는 이가 있는 진실을 밝히는 힘은 오래 지속되는 기억과 정의의 요구에 있기 때문이다. 우리는 너희를 잊지 않을 것이다.

공동체상영2

0 replies

Leave a Reply

Want to join the discussion?
Feel free to contribute!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