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말과 거짓말[철학을다시 쓴다]-25

Spread the love

참말과 거짓말[철학을다시 쓴다]-25

 

 

윤구병(도서출판 보리 대표)

 

*이 글은 보리출판사의 허락을 받아 게재한 것임을 알립니다.

 

(짝짝짝짝.)

“안녕하세요.?앉아서 해도 상관없겠습니까?”

“네.”

“제가 여기 계시는 선완규 선생님하고,?또 다른 한 분에게 그런 말씀을 드린 적이 있습니다. ‘어차피 모든 학문은 거짓말에서부터 시작한다.?그리고 특히,?제가 하는 거짓말은 멀쩡한 거짓말이어서 윤구병과 함께 하는?‘거짓말 잔치’?이렇게 강좌 제목을 붙였으면 참 좋겠다.’?그런 이야기를 한 적이 있습니다.?거짓말이 된다는 각오 없이는 입도 벙긋 할 수 없는,?그런 지점이 있거든요,?그래서 선불교에서 스님들이?‘입만 벙긋하면 틀린다’는 말을 합니다. ‘개구즉착’(開口卽錯),?입만 벌리면 거짓말한다는 뜻이죠.

제가 말하는 한마디 한마디가 왜 거짓말일 수밖에 없는지에 대해 이야기하죠.

우리가 무엇이 참말이고 무엇이 거짓말이냐 라고 물어볼 때 여러 가지 대답이 있을 수가 있죠.?여기서 가장 총명해 보이는 분에게 여쭤 볼까요??여기 어머니,?학구열이 대단하신 거 같은데 우리는 어떤 때 참말을 한다고 그러고 어떤 때 거짓말을 한다고 합니까?”

“마음에서 우러나지 않는 말은 거짓말이고 마음에서 우러나는 말은 참말이라고…….”

“저는 마음에서 우러나서 거짓말하는 건데요.(일동 웃음.?하하하하.)?제가 워낙 여자를 좋아하니까 이번에는 저쪽에 있는 여자 분에게 여쭤 보겠습니다.?우리는 거짓말을 허위라고 하기도 하고 오류라고 하기도 하고 착오라고 하기도 하고,?참말은 진리라고 하기도 하고 진실이라고 하기도 하고 그러는데,?우리는 어떤 때 참말을 한다고 하고 어떤 때 거짓말을 한다고 합니까?”

“똑같은 말을 해도 어떨 땐 거짓이 되고 어떤 땐 참이 되고…….”

“지금 철학 선생 앞에 두고 철학하실래요?”(일동 웃음.)

여러분들이 죄다 우리말 공부를 제대로 하지 못하고 어렸을 때부터 생각을 어렵게 어렵게 하는 연구만 하고 그런 교육만 받았기 때문에 쉽게 생각하고 쉽게 대답할 줄 모릅니다.

내가 우리 동네 할머니 할아버지들한테 여쭤 보면 바로 튀어 나오거든요. “있는 것을 있다 하고 없는 것을 없다고 하는 게 참말이고 없는 걸 있다 하거나 있는 걸 없다 하면 거짓말이지.?안 그려?”?이렇게 대답하십니다.?여러분들 그 말 틀렸습니까??있는 것을 없다 하고 없는 것을 있다 하면,?그건 거짓말이죠.?참말은 있는 것을 있다 하고 없는 것을 없다 하는 게 참말이고.?인 걸 아니라 하고 아닌 걸 이라 하는 게 거짓말 아닙니까,?그렇죠?

실제로 참과 거짓의 구별이 왜 이렇게 중요한지 말하자면,?어차피 사람도 생명체니까 제 앞가림을 해야 하는데 사람 가운데 혼자서 자기 앞가림하는 사람은 드물죠.?지금 끼고 계시는 안경,?곱게 매만지는 생머리,?두텁게 껴입은 양복,?이거 다 스스로 만드신 거 아니죠??이렇게 사람은 혼자 살 수 없고 더불어 살 길을 찾아야 살 수 있는 운명을 안고 태어났습니다.?저는 사실은 제가 맹수였으면 더 좋겠습니다.?그러나 제가 사람 탈을 썼으니 여러 가지로 다른 사람들에게 신세를 끼치고 이렇게 삽니다.?사람으로 살아가려면 서로 말을 주고받아서?‘나 지금 뭐 없는데 너 지금 가진 거 있냐?’?라든지 서로 이렇게 의사소통을 해서 남거나 모자라는 것을 주고받고 나누면서 살 길을 찾지 않습니까??그런데 입에서 나오는 게 죄다 거짓말이다.?그렇게 되면 의사소통할 길이 차단돼 버려요.?그러면 혼자 살기 싫어도 혼자 웅크리고 살 수밖에 없는 그런 형편이 되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참말을 하고 살 수밖에 없습니다.

“여러분들 가운데 이제까지 살아오면서 나는 거짓말 한 번도 하지 않고 살아왔다는 분 손들어 보세요.?그런 뻔뻔한 분이 있는지 한번 보고 싶습니다.예,?없을 겁니다.?누구나 경우에 따라 거짓말은 할 수밖에 없고 어쨌든 거짓말은 필요악이기도 합니다.

러셀을 비롯해서 널리 실증주의자들에게 난제로 알려졌던 것들 가운데 이런 말이 있습니다.?어떤 크레타 사람이 아테네에 와서 이야기하기를?‘크레타 사람은 죄다 거짓말쟁이다’라고 했대요.?그 사람 말이 참말이겠어요,?거짓말이겠어요??여러분들 생각은 어떠세요??해답을 알고 계신 분 한번 이야기를 해 주시죠.?참말입니까 거짓말입니까?”

“참말이요.”

“참말입니까??그 사람은 크레타 사람이니까 거짓말쟁이입니다.?그런데 거짓말쟁이가 참말을 해요?”

그 형편입니다.

여러분 앞에 선 제가 그 크레타 사람이라고 여기십시오.

제가 하려는 이야기가 그 거짓말인데 넘어가지 마세요.?거짓말에도 계보가 있고,?전제하는 근거가 있습니다.?거짓말의 계보를 여러분들에게 잠깐 알려 드리겠습니다.

여기 한번 써 봅시다.(칠판에 적음.)

 

참말?: 1.?있는 것을 있다고 하고,?없는 것을 없다고 하는 것

2.?인 것을 이라고 하고,?아닌 것을 아니라고 하는 것

3.?같은 것을 같다고 하고,?다른 것을 다르다고 하는 것

 

거짓말은 여러분들이 거꾸로 대입해 보면 되겠죠.?따로 쓰지 않겠습니다.

귤과 무화과는 다르죠.?그럼 한번 적어 보죠.(칠판에 적음.)

 

*?귤과 무화과는 다르다?:?일상 언어의 차원(보통 말)

 

‘같다/?다르다’라는 말이 철학에서는 굉장히 중요한 말입니다.?요즘 철학자들은 이런 천한 말을 안 쓰고,?차별성과 동일성,?이런 말을 써서 그런데,?실제로?‘같다/?다르다’라는 말이거든요. ‘귤과 무화과는 다르다’?우리가 왜?‘같다/?다르다’라는 말을 많이 쓰냐면,?같은 것끼리 모아서 일반화하고 추상화해야 말에 효율성이 생기고,?의사소통을 빨리 할 수 있거든요.?그러려고 어떤 때는 추상화하기도 하고 어떤 때는 구체화하기도 하는데 만일에?‘같다/다르다’라는 말로 이 귤과 무화과를 구별하지 못하고 이 매직펜과 마이크를 구별하지 못하면 참 여러 가지로 불편하고 힘들겠죠.?이 세상은?‘여럿’과?‘움직임’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합니다.?다(多)와 운동으로 이루어졌다고 말하는 것이 여러분들에게 익숙할지 모르겠습니다.?보통 말(일상 언어)에서?‘귤은 무화과와 다르다’고 하는데 이 말을 참과 거짓이 갈라서는 논리 언어로는 어떻게 나타냅니까?

귤과 무화과는 왜 다르다고 하느냐고 물어보면 어떻게 대답해야 할까요? (학생들이 대답이 없자)?꿀들 안 잡수셨죠?(일동 웃음.)

간단합니다.?굉장히 쉽게 생각하십시오.?제 강의는 제가 알고 있는 낱말이 몇 개 안 되기 때문에 복잡하게 설명할 수가 없어요.?복잡하게 생각하지 마세요.

 

*?귤은 무화과가 아니고 무화과는 귤이 아니다. (논리 언어)

 

우리가?‘이다/?아니다’로 나타낼 수 있는 것,?임자말과 풀이말을?‘이다’와?‘아니다’로 연결시키게 되면 거기서 참과 거짓이 쉽게 드러납니다.?그래서 이것을 논리적인?‘진술’이라 부르기도 하고?‘판단’이라 하기도 하고?‘명제’라 유식하게 말하기도 하고 그렇습니다.

“혹시 대학 다닐 때 논리학 강의를 들어 보신 분 있습니까??우리는 논리학시간에?‘프로포지션’(proposition)이라는 끔찍한 낱말,?괴물 같은 낱말을 배웁니다.?그것을 또 괴물 같은 한자로?‘명제(命題)’라고 번역하는데,?이 낱말을 그냥?‘논리 언어’라고 부릅시다.?여러분들이 조금 더 쉽게 알아들을 수 있게요.?그럼 왜 귤은 무화과가 아니고 무화과는 귤이 아니라고 그러죠?”

“귤은 귤이고 무화과는 무화과니까.”

“어휴.(일동 웃음.)?이거 보세요.?제가 질문을 다시 하고 여러 사람의 답변을 충분히 들어보고 싶습니다마는 지금 시간이 별로 없기 때문에 나중에 토의 시간 때 자세히 이야기합시다.”

‘귤에 있는 어떤 것이 무화과에는 없고,?귤에 없는 어떤 것이 무화과에는 있다.’(존재언어)가 정답입니다.?왜 귤과 무화과는 다르냐고 했을 때에,?귤은 무화과가 아니고 무화과가 귤이 아니기 때문이라고 대답할 수 있고,?그럼 왜 귤은 무화과가 아니고 무화과는 귤이 아니냐고 물었을 때 귤에 있는 어떤 것,?그것이 형태가 됐든 맛이 됐든 색소가 됐든 무엇이든지 귤에 있는 어떤 것이 무화과에는 없고,?귤에 없는 어떤 것이 무화과에는 있기 때문에 우리가 귤은 무화과와 다르다 하고 귤은 무화과가 아니라고 합니다.?여러분들이 여기에 동의 안 하면 저는 더 이상 강의를 진행하지 않겠습니다.

그렇죠??바로 여기까지!

‘있다’, ‘없다’는 말이 끼어들기 때문에 우리는 이것을?‘존재 언어’라고 합니다.

‘있음’과?‘없음’을 나타내는 말을?‘존재 언어’라고 하니까 뭔가 있어 보이죠?그런데 여러분들 지난 한 주일 동안?‘존재’나?‘무’(無)같은 말을 한 번이라도 입에 올린 분이 있으면 손들어 보세요.?없을 겁니다.?그러면 여러분 중에 단 오 분이라도?‘있다/?없다’, ‘이다/?아니다’라는 낱말을 쓰지 않고 이야기를 이어갈 수 있는 분은 손들어 보세요.

있습니까??없죠.?우리가 다(多)와 운동 속에 있는 서로 다른 삼라만상을 가려보는데?‘있다/?없다’, ‘이다/?아니다’, ‘같다/?다르다’라는 말이 아주 요긴하게 쓰이기 때문에 우리는 이 말을 쓰지 않고는 우리의 생각을 펼쳐 나갈 수 없습니다.

“지금까지 제가 한 말이 모두 다 참말인가요?”

“네.”

“여러분 같은 분들만 있으면 제가 농사 안 짓습니다.?힘들여서 농사지을 까닭이 없어요.?속여서 먹고 살 수 있는데 무엇 때문에 땀 흘리며 힘들여서 농사짓습니까??제가 한 말을 참말이라고 보시다니 참 딱합니다.(일동 웃음.)

말하자면 여기까지 제가 지꺼린 말 재주도?‘기술’입니다. ‘설득술.’?제 말을 듣고 내적인 확신이 여러분에게 생겼습니까??아직 아닙니다.?다 동의를 했지만(처음부터 끝까지 동의를 얻지 않고 진행시킨 말이 없지요.)?왜 동의를 했지요??그럴듯하게 말했기 때문입니다.?이게 바로?‘설득술’인데 제가 오늘은 여러분들에게 상당히 강력한 설득력을 지니고 이야기해 갑니다.?곧 파탄이 나게 되고요.”(일동 웃음.)

 

0 replies

Leave a Reply

Want to join the discussion?
Feel free to contribute!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