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3절 화폐(2)[자본론강독]-12

Spread the love

제 3절 화폐(2)

정리 : 나태영

 

 

제2편 : 화폐의 자본으로의 전화, 제4장 화폐의 자본으로의 전화

제1절 자본의 일반적 정식

 

‘상품유통은 자본의 출발점이다. 상품 생산과 발달된 상품유통〔즉 상업〕은 자본이 설립하기 위한 역사적 전제이다. 16세기에 세계무역과 세계시장이 형성됨으로써 자본의 근대적 생활사는 시작된다.

상품유통의 소재적 내용이나 다양한 사용가치들 사이의 교환은 무시한 채 이 과정이 만들어내는 경제적 형태만을 고찰한다면, 우리는 이 과정의 최종 산물로 화폐를 발견하게 된다. 이 상품유통의 최종 산물은 자본의 최초의 현상형태이다.

역사적으로 자본은 어느 곳에서나 처음에는 일단 화폐의 형태로〔즉 상인자본과 고리대자본이라는 화폐자산의 형태로〕 토지소유와 대립한다.’(225쪽)

‘화폐로서의 화폐와 자본으로서의 화폐는 무엇보다도 단지 양자의 유통형태의 차이에 따라 구별된다.’

‘그런데 우리는 이 형태 외에 그것과 구별되는 제2의 독자적 형태인 G-W-G라는 형태, 즉 화폐의 상품으로의 전화와 상품의 화폐로의 재전화, 또는 판매를 위한 구매를 발견하게 된다. 바로 이 운동을 통해 후자의 유통을 담당하는 화폐는 전화되어 자본이 되는 것이며, 이미 그 성격상 자본인 것이다.’

‘이 모든 과정이 사라지고 남는 결과는 화폐와 화폐의 교환, G-G이다. 내가 100파운드스털링으로 2,000파운드의 목화를 사고 그 2,000파운드의 목화를 110파운드스털링에 팔았다면 결국 나는 100파운드스털링을 110파운드스털링과, 즉 화폐를 화폐와 교환한 셈이다.’(226쪽)

‘이와 반대의 형태인 G-W-G에서는 구매자가 화폐를 지출하는 것이 판매자로서의 화폐를 취득하기 위해서이다. 그는 상품을 구매하면서 화폐를 유통에 투입하지만, 그것은 그 상품을 팔아서 다시 유통으로부터 끌어내기 위한 것이다. 그가 화폐를 내놓는 것은 단지 그것을 다시 손에 넣으려는 숨겨진 의도에서일 뿐이다. 그러므로 화폐는 단지 선대(先貸)된(vorgeschossen) 것일 뿐이다.’(228쪽)

‘유통 W-G-W에서는 화폐의 지출이 화폐의 환류와 아무런 관계가 없다. 반면 G-W-G에서는 화폐의 환류가 화폐의 지출방식 자체에 따라서 결정된다.’

‘반면 순환 G-W-G는 화폐에서 출발하여 결국 똑같은 화폐로 돌아온다. 그러므로 이 순환의 동기와 목적은 교환가치 그 자체이다.’(229쪽)

‘100파운드스털링을 주고 구매한 면화가 100+10파운드스털링〔즉 110파운드스털링〕으로 다시 판매된다. 그러므로 이 과정의 더욱 정확한 형태는 G-W-G′이고, G′〓G+?G, 즉 ‘처음 투하된 화폐액+일정 증가분’이 된다. 이 증가분〔또는 처음의 가치 이상의 초과분〕을 나는 잉여가치(Mehrwert)라고 부른다.’

‘이 운동은 이 가치를 자본으로 전화시킨다.’(230, 231쪽)

‘물론 처음 투하된 가치 100파운드스털링은 유통을 통해서 부가된 10파운드스털링의 잉여가치와 일시적으로는 구별되지만 이 구별은 곧 없어져버린다. 과정의 끝부분에서는 원래의 가치 100파운드스털링과 잉여가치 10파운드스털링이 각기 따로 나오지 않는다. 거기에서 나오는 것은 110파운드스털링이라는 하나의 가치이며, 이것은 시작부분에 있는 100파운드스털링과 마찬가지로 가치증식과정을 시작할 수 있는 바로 그 형태이다. 화폐는 운동의 끝부분에서 다시 운동의 시작부분으로 나오는 것이다. 그러므로 판매를 위한 구매가 행해지는 순환 각각의 끝부분은 자연히 새로운 각 순환의 첫 부분을 이루게 된다.

 

단순 상품유통-구매를 위한 판매-은 사용가치의 취득〔또는 욕망의 충족〕이라는 유통 외부의 최종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된다. 반면 자본으로서의 화폐유통은 그 자체가 목적(Selbstzweck)인데, 왜냐하면 가치의 증식이 끊임없이 갱신되는 이 운동 내에서만 존재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자본의 운동은 무한히 계속된다.’(232쪽)

‘화폐소유자는 이 운동을 의식적으로 수행하는 담당자로서 자본가가 된다.’“이재학에서는 유통이 부의 원천이다. 그리고 이재학은 화폐를 중심으로 하여 돌아가는 것처럼 보인다. 왜냐하면 화폐야말로 이러한 종류의 교환에서 시작부분이자 끝부분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재학이 추구하는 부에는 한계가 없다. 즉 목적을 위한 수단만을 추구하는 지식은 목적 그 자체가 자신의 한계를 설정하기 때문에 무한한 것이 될 수 없지만, 목표가 수단이 아니라 궁극적인 최종 목적인 지식은 끊임없이 그 목적에 접근하려 하기 때문에 그 추구에는 한계가 없다….경제학은 이재학과 달리 일정한 한계를 안고 있다…. 전자는 화폐 그 자체와는 다른 것을 목적으로 삼으며 후자는 화폐의 증식을 목적으로 삼는다….”(아리스토텔레스, 앞의 책, 제1권, 제8장과 제9장)(233쪽)

‘화폐축장자는 화폐를 유통에서 구출해냄으로써 가치의 쉴 새 없는 증식을 추구하지만, 좀 더 영리한 자본가는 끊임없이 반복하여 화폐를 유통에 투입함으로써 가치의 끊임없는 증식을 달성한다.’‘스스로 증식하는 가치가 생명활동의 순환과정에서 번갈아 취하는 각각의 현상상태를 고정시키면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주장을 얻을 수 있다. 자본은 화폐이다. 그리고 자본은 상품이다. 그러나 사실 여기에서는 가치가 전체 과정의 주체이며 가치는 이 과정을 통해 화폐와 상품으로 번갈아 형태를 바꾸면서 자신의 크기를 변화시키고 또한 자신의 본래 가치로부터 잉여가치를 만들어냄으로써 스스로를 증식시킨다. 왜냐하면 가치가 잉여가치를 부가하는 운동은 가치 자신의 운동이며 가치의 증식이고 따라서 자기증식이기 때문이다. 가치는 그것이 가치이기 때문에 가치를 낳는다는 신비한 성질이 있다. 그것은 살아 있는 자식을 낳든가 아니면 적어도 황금의 알을 낳는다.’

‘화폐는 모든 가치증식 과정에서 항상 출발점과 종점을 이룬다.’

‘상품형태를 취하지 않고서는 화폐는 자본이 되지 못한다. 그래서 화폐는 여기에서 화폐축장의 경우처럼 상품에 대해 적대적인 태도를 취하지 않는다. 자본가는 모든 상품이-비록 그것이 아무리 초라해 보이고 악취가 난다 해도-맹세코 진실에서는 화폐이며 내면적으로는 할례를 받은 유대인이고 나아가 화폐를 더 많은 화폐로 만드는 기적을 행하는 수단임을 알고 있다.’

‘이제 가치는 상품들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이른바 자기 자신에 대한 사적 관계 속으로 들어간다. 그것은 본원적 가치로서의 자신과 잉여가치로서의 자신을 서로 구별 짓는다.’(234, 235쪽)

‘사실상 G-W-G′는 유통영역에서 직접 나타나는 모습 그대로의 자본의 일반적 정식이다.’(236쪽)

 

0 replies

Leave a Reply

Want to join the discussion?
Feel free to contribute!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