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직도 설렌다, ‘아름답다’는 말 [아이들과 책보며 두런두런]
『아름다운 책』(비룡소)을 소개합니다.(편집자)/
『아름다운 책』(클로드 부종 글·그림, 최윤정 옮김, 비룡소 펴냄)
선생님을 생각하면 저 깊은 곳, 가슴 밑바닥부터 저절로 기분 좋게 찰랑이기 시작한다. 그리고 내 과거, 현재, 미래까지도 동시에 환하게 빛나는 느낌. 중학교 3학년 때였다. 그분이 담임선생님이 되셨다. 선생님은 생물을 가르치셨다. 내가 아직까지 과학 쪽을 기웃거리는 데도 그분 영향이 틀림없이 크다. 생물학과 과학을 넘어서, 인간과 삶을 진지하게 바라보는 첫눈을 뜨도록 친절하게 도닥여주신 분이기도 하다.
그 분 곁에서 자라던 중학 시절은 언제 돌아봐도 내 인생에서 가장 기분 좋게 빛나는 시간이다. 선생님은 염색체, 완두콩, 멘델을 징검다리 삼아 우리 자신을 들여다보도록 자연스럽게 이끌어주시곤 했다. 언젠가 생물 시간, 선생님은 우리 자신이 어떤 사람이 되고 싶은지를 마음으로 결정해 보는 것도 좋겠다고 말씀하셨다. 사람을 설명할 땐 ‘어떤’ 사람이라는 형용사를 붙일 수 있는데 그 형용사는 과학 법칙을 넘어서 우리 자신이 만들고 결정할 수 있다는 말씀도 기억난다.
“멋있는 사람, 지혜로운 사람, 훌륭한 사람, 재미있는 사람······. 이제부터 우리 스스로 선택하고 그 길로 나갈 수 있다. 자, 여러분은 어떤 사람이 되고 싶지?”
그 며칠, 나는 생각이 많아졌다. 내가 사랑하고 깊이 존경하는 선생님의 말씀이니 허투루 들리지 않았다. 꽤 여러 날을 진지하게 고민했다. 그 말을 고르는 일이 곧 내 인생을 결정하는 일 같기도 했다. 그리고 나는 ‘아름답다’는 형용사를 조심스레 건져 올렸다.
막상 대답을 찾고 나니 내 안은 순식간에 아름다운 사람이 되고픈 열망으로 가득 찼다. 그러니까 그 뒤부터 나의 성장기를 감히 말한다면 ‘아름다움을 찾아 헤맨 과정’이라 해도 괜찮겠다. 내 마음은 아름다움과 관련 있는 모든 말과 내용을 모으는 이야기 상자와도 같았다.
눈물이 주르르 흐르거나 가슴이 콩당대는 책을 찾아 읽었고 아름다운 말씨, 아름다운 행동이라면 무엇이든 흉내 내려고 했다. 친구들에겐 다 괜찮다, 너그러이 품어주는 사람이 되고 싶었고 거리에서 불쌍한 사람을 만나면 지켜보고 쫓아가고 가진 푼돈을 털어 주기도 했다.
아름다움을 쫓으면서 내가 어렴풋이 깨달은 건 아름다움은 아무래도 겉에 있는 게 아니라 안에 숨어 있는 것 같다는 사실. 안에서 가만가만 스며나와서는 그 빛과 향기로 사람들을 감동시키고 행복하게 해 준다는 사실. 그런 건 쉬 흉내 낼 수 있는 게 아니어서 안타깝기도 하고 고통스럽기도 했다.
내 작은 내면을 아름답게 가꾸는 일조차 만만치 않다는 걸 느낄 즈음, 한 개인의 아름다운 삶과 사회적으로 아름다운 삶 사이에 미묘한 틈이 있다는 것 또한 깨달았다. 크게 보면 분명 하나이련만 내 깜냥으로는 도무지 통일시킬 수가 없어 분열의 아픔을 겪기도 했다.
그러저러한 굴곡을 겪으면서도 절대자에게 신심을 바치듯, 중학 시절 선택한 ‘삶의 잣대’를 마음 깊이 품고 살아온 것 같다. 멋진 말이나 용기 있는 모습, 감동을 주는 행동을 하는 사람을 볼 때면 지금도 아름답단 말이 먼저 나온다. 세상의 구체적인 차이들이 내 감성의 거름망을 거치면 그저 아름답다, 한 마디로 획일화되곤 한다. 나는 점점 더 단순무식하게 느끼고 판단하고 행동하면서 이렇게 나이 들어간다.
어쨌거나 선생님 덕분에 나는 상대적으로 내면에 충실한 삶의 태도를 배웠다. 참 고마운 일이다. 이 외모로 겉에 매달렸다면 틀림없이 절망만 깊었을 터이다. 그나마 결정되지 않았고 그래서 가능성을 많이 지닌 내면을 가꾸는 쪽으로 마음을 돌린 건 다행스런 선택이었다. 그리고 나는 아직도 아름다운 느낌을 주는 사람이나 사건을 만나면 가슴이 뛰고 설렌다.
나는 아이들과 만나는 일을 한다. 무슨 공부를 한다, 딱 꼬집어 말하기가 쉽지 않다. 그래서는 ‘마음공부’를 한다고 얼버무리곤 한다. 마음공부라! 참 멋진 얘기지만 이렇게 외연이 넓어서야 무책임하단 말을 들을 법도 하다. 아이들과 만나고 이야기를 나누면서도 내가 좋을 때는 “아름답다!”는 말부터 튀어나오는데, 이제 아이들은 으레 그런 줄 알고 자기들이 알아서 분류하고 때로 구체적인 차이를 되묻기도 한다.
아이들과 하는 주된 공부가 책 읽고 토론하고 글 쓰는 일이라지만 소소한 일상을 놓고 이야기 나누는 시간이 많다. 수다를 떤다고도 볼 수 있는데, 우리 수다가 삶의 진실 어느 자락에 맞닿아 있다는 느낌이 들면 주저 않고 책을 덮는 편이다. 삶이, 이 세상이 커다랗고 심오한 책이라고도 하지 않던가? 하지만, 내 아이가 책을 많이 읽고 글 잘 쓰길 바라서 데려왔을 부모 입장에서는 속이 탈 때도 많으리라. 수업하는 몇 주 동안이고 책을 읽지 않을 때도 있다. 책을 읽는다 해도 다 큰 아이들과도 그림책을 자주 읽는다.
제목부터가 『아름다운 책』(클로드 부종 글·그림, 최윤정 옮김, 비룡소 펴냄)이라는 그림책이 여기 있다. 유아용으로 분류돼 있는 이 책은 내용이 아주 간단하다.
『아름다운 책』중에서
토끼인 형 에르네스트가 길에서 책을 한 권 주워온다. 동생 빅토르는 생전 처음 책을 본다. “그게 뭐 하는 건데?” “책은 읽는 거야. 글씨를 읽을 줄 모르면 그림을 보는 거고.” 형과 동생은 같이 책을 읽는다. 책 속 주인공은 당연히 토끼들이다. 재미나게 구슬치기를 하는 토끼, 용을 때려눕히는 토끼 이야기 같은 것들. “나도 이렇게 할 수 있을 것 같아.” 빅토르가 책을 보며 꿈을 꾸기 시작한다. “빅토르, 꿈을 꾸는 건 좋아. 하지만 책에 나오는 걸 그대로 다 믿으면 안 돼. 나름대로 판단을 해야지.” 무지무지 큰 토끼가 콩알만한 여우를 갖고 노는 장면을 보니 둘은 기분이 더없이 좋다. 자기들 같은 보통 토끼가 사자와 여우를 훈련시키는 장면에선 “진짜로 이러면 얼마나 좋겠어!” 한숨까지 나온다.
이렇게 둘이 책읽기에 빠져 있을 때 바로 앞에 진짜 여우가 나타난다. ‘크흐흐’ 입을 벌리고 달려드는 여우. 당장 잡아먹힐 순간인데, 둘이 가진 거라곤 책밖에 없다. “책! 그렇지!” 에르네스트는 책으로 여우를 내려치고는 여우 입에다 책을 쑤셔 넣는다. 여우는 책을 문 채 도망가고 만다. “봤지, 책은 정말 쓸모 있는 거야.” 에르네스트는 때를 놓치지 않고 동생에게 일러준다.
내가 평생을 마음으로 조물락거리며 애지중지한 말 때문인지, 이 책은 제목만으로도 내 마음을 붙잡았다. 책이 우리를 꿈꾸게 하고, 때로 현실을 바로 보게 하고, 우리 삶의 문제를 해결하도록 돕는다는 걸 두 형제는 책을 보며 직접 겪고 배운다. 형제를 보며 ‘그래, 책은 세상과 삶과 우리 마음 사이에 놓인, 참 재미있고 튼튼하고 믿음직스런 징검다리다’ 생각한다. 그런 생각 끝에 절로 흘러나오는 소리, “책은 참 아름답다!”
작가 클로드 부종은 다른 작품을 봐도 그렇고, 짧은 이야기만으로도 충분히 재미있고 게다가 좋은 생각거리를 던져주는 재주가 있다. 다들 왜 그렇게 책을 읽어야 한다고 아우성인지, 몇 장 안 되는 이야기로 할 말을 다 한다. 현실을 보고, 꿈꾸고, 꿈을 이루기 위해 문제로 달려드는 것. 책을 보며 우리는 이런 힘을 얻는다. 그러니 책을 안 보고 어찌 제대로 살 수 있을까. 책이 지닌 이런 힘을 ‘아름답다’고 바라보는 작가의 시선은 나를 기분 좋게 한다. 마음 맞는 친구를 만나기라도 한 것처럼.
고맙다, 책들아!
책은 웃음, 천진함, 무, 다정한 저녁들,
텅 빈 충만, 대 숲에 이는 바람의 직계(直系)다.
······
그것들은 내가 먹은 밥, 내가 마신 물,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었다.
어느 덧 피가 되고 살이 되었다.
엄청난 다독가로 알려진 시인 장석주가 한 말이다. 책을 이렇게 대하는 사람은 왠지 딱 시인이 되지 싶다. 장석주는 책을 보며 저리도 아름다운 것들을 발견하고 느끼며 몸과 마음을 키운다. 그리고 자라나는 존재가 시키는 대로 시를 쓴다. 그러면서도 장석주는 “엄정하게 말하자면 책읽기에 힘씀은 도피에 지나지 않는다.”는 말을 덧붙이고 있다. 말 그대로 아주 엄정해서 가슴이 철렁할 정도다. 우리를 잡아먹으려는 여우를 내려치는 것, 책읽기가 결국에는 삶으로, 세상으로 나가야 한다는 얘기를 장석주는 다른 방식으로 말하는지도 모른다. 클로드 부종이 재미있고 명쾌하게 책의 아름다움을 보여주고 있다면, 장석주는 따뜻하면서도 한편 처절하게 책의 힘과 자기 존재의 한계를 고백하고 있다는 생각도 든다.
사실, 책을 읽는 일은 그 자체만으로도 존재를 휘어잡는 힘이 있다. 그래, 존재를 휘어잡는다. 그러니 책을 ‘제대로’ 읽는 사람은 책이 존재가 되고 삶이 되지 않을까. ‘책읽기가 삶으로, 세상으로 나가야 한다’고 앞서 한 말은 ‘책읽기는 삶으로, 세상으로 나간다’고 바꿔야 정확하지 않을까. 달려드는 여우를 책으로 물리칠 때 책밖에 없었던 건 우연일까.
가만 보니 ‘아름답다’는 말 하나 때문에 『아름다운 책』을 붙잡아서는 쩔쩔매고 있다. 겉으로 드러난 일치만이 아니라, 내가 부여잡는 아름다움과 이 책이 말하는 아름다움이 다르지 않다는 걸 밝혀 보겠다고 이리 헤매나 보다.
그런데 내 마음을 들여다보니 어떤 이야기를 자꾸 피해가는 느낌이 든다. 말로 하기 힘들 때도 많지만 어떤 건 말로 하고 싶지 않다. 말과 말 사이에 남겨 두고 싶다. 이런 느낌에 대해서도 언젠가는 이야기 나눠보고 싶다. 책을 읽다가 활자들 사이에 놓인 그 무엇에 사로잡혀 본 적은 없는지. 그건 작가가 만드는 게 아니라 책을 읽는 우리 자신이 만드는 건지도 모른다. 이제 그 비슷한 느낌에 기대어 이야기를 마무리하는 수밖에 없겠다.
나는 ‘아름다운 선생님’이 되고픈 꿈이 있다. 『아름다운 책』같이 재미있는 책을 보며 꿈을 키우고 다듬고 아이들과 꿈을 나눈다. 내가 중학교 시절에 만났던 선생님처럼 될 수 있을까? 선생님이 내게 주었던 느낌들을 나도 아이들에게 줄 수 있을까? 쉬운 일이 아니다. 아이들이 나를 만나며 어떤 느낌을 받는지는 자신이 없다. 하지만 나는 아이들이 곁에 있어서 세상에서 아름다움을 발견하고 싶었던 옛 꿈을 여전히 꾼다. 아이들과 있어서 감히 나 자신이 아름다운 사건이 되면 좋겠다던 어린 시절 바람을 아직은 간직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요즘은 이렇게 스스로 다독인다. 그저, 아이들이 가끔은 ‘이런 사람 만나서 좋다’는 생각을 하면 좋겠다고. 내가 내 삶을 치장할 소중한 형용사를 선생님과 함께 발견했듯이, 아이들이 자기 빛깔을 살릴 그 무엇을 찾는 시간을 나와 함께 가지는 거라면 참 좋겠다고.
김호경(어린이철학 선생님) /
Leave a Reply
Want to join the discussion?Feel free to contribu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