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산의 헤겔; 이방인과 소통, 이해, 그리고 연대[한철연 교육강좌]-③

Spread the love
[한철연 교육강좌]-③

3강 안산의 헤겔; 이방인과 소통, 이해, 그리고 연대

강사: 이정은 (연세대 외래교수)
후기: 한길석(한철연 교육분과장)

 

한철연 교육부 강좌가 어느덧 세 번째에 접어들었다. 이번 강좌는 ‘안산의 헤겔; 이방인과 소통, 이해, 그리고 연대’이라는 주제로 이루어졌다. 강의에는 열 여섯 명 남짓의 수강생들이 참여하였다.

이정은 (연세대 외래교수)/ 사진: 조배준 한철연 회원

강좌를 맡은 이정은 교수는 한국 사회가 문화적 소수자와 다수자 간의 문화 충돌이 일어나는 다문화 사회로 진입했다고 규정한다. 따라서 다른 문화에 대한 이해와 소통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남북 분단에서 비롯된 새터민 문제도 이러한 관점에서 접근할 수 있다. 대부분의 새터민은 이념에 대한 반발보다는 생계를 이유로 이주를 감행한 것이다. 그렇다면 그들이 지녀왔던 정체성(이념, 가치관, 생활양식 등)이 폄훼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하는 것이다.

서구에서 다문화주의는 근대 국민(민족)국가가 등장한 이후 발생한다. 새로 재편된 근대국가의 틀 속에서 새로운 사회통합을 이루기 위해서는 단일 언어에 의한 국민 교육이 요구됐다. 획일적 국민 교육은 사회통합에는 기여했지만, 소수 집단의 문화가 훼손되는 현상을 낳았다. 결국 다문화주의는 소수 문화의 존중이라는 문제 의식에서 형성된 것이다.

다문화주의에 대한 논의는 미국, 호주, 캐나다 등의 이민국가들에서 활발하다. 이들 국가에서는 다양한 문화 집단의 정체성을 권리 보호의 문제로 변환시켰다. 자유주의적 정치철학에 기초하고 있는 이러한 입장은 각 집단에 고유한 문화적 선택권을 보호해주는 제도적 여건을 제공한다는 이점을 지닌다. 하지만 자유주의적 다문화주의는 문화적 지배권을 쥐고 있는 다수 집단이 소수자 문화를 관용적으로 포용함으로써 마침내 동화를 이루는 방향으로 진행된다. 또한 자유주의적 다문화주의는 의도하지 않게 소수자들의 처지를 불리하게 만들기도 한다. 소수 문화자가 자신의 고유한 문화를 자유롭게 선택하게 되면, 중심을 이루고 있는 다수자 사회에 적응하지 못하게 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지적 때문에 최근 서유럽에서는 상호문화주의적 입장이 등장하고 있다.

상호문화주의는 1990년대 초 독일 및 오스트리아 등의 서유럽 선진국에서 새롭게 등장하고 있는 견해이다. 이들 국가는 이민국가가 아니라 단일 민족국가적 특성을 강조하면서 이민자 정착에 대한 제도적 조치를 회피해왔던 다문화주의 정책의 후진국이었다. 그렇지만 이민자 2세, 3세 문제가 심각해지자 이들 국가에서도 다문화주의적 정책이 모색되고 있다. 그러나 독일 등의 연구자들은 자유주의적 다문화주의보다는 상호문화주의적 접근을 강조하고 있다. 상호문화주의는 각 집단이 보유한 문화의 동등한 위치를 강조한다. 이 입장에는 주도 문화 및 중심 문화라는 관점이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주도 문화를 중심으로 하는 동화를 고려하지 않는다. 물론 상호문화주의도 문화 집단 간의 통일을 지향한다. 하지만 이 통일은 각 문화 집단의 고유성을 인정하면서 이루어진다. 따라서 여기에서의 문화적 통일은 문화 집단 간의 긴장과 갈등을 함축하는 상호작용 속에서 이루어진다. 이런 면에서 볼 때 상호문화주의가 지향하는 문화적 통일은 헤겔의 변증법적 통일의 형식을 활용하고 있다. 물론 헤겔 철학 내부에는, 특히 그의 역사철학에는 오리엔탈리즘의 흔적이 강하다. 하지만 헤겔 철학의 근본이라 할 수 있는 변증법적 사고 형식이 문화적 갈등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 강렬한 영감을 제공하는 것도 무시할 수 없는 사실이다. 또한 헤겔은 자기 이해는 타자 이해를 통해서 이루어진다는 입장을 제시했다. 이러한 발상은 상호문화적 관점에서 적극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각 문화 집단은 이방인을 통해 자신의 문화를 이해하게 되고, 이방의 문화와 자기 문화 간의 갈등적 상호작용 속에서 새로운 문화를 창조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은 면에서 볼 때 헤겔의 철학은 오늘날 제기되는 문화적 다원주의 문제의 해결에 일정한 의미를 부여해준다고 할 수 있다.

 

사진: 조배준 한철연 회원

 

3강 후기

안산에 헤겔이 없었습니다. 헤겔에 대한 좀 더 깊은 철학적 강의였으면 좋았겠다 싶습니다. 헤겔 이론과 외국인 노동자 간의 관계가 조금 끼워맞춘 듯해서 이해하기 어려웠습니다.

짧은 시간에 많은 내용을 설명해 주시려다 보니 몇 부분 빠진 내용이 있는 것처럼 생각되었지만 열정적인 강의 무척 흥미롭게 들었습니다. 상호문화 교육이라는 언뜻 보면 이상적이어 보이는 이론을 생각해 볼 수 있는 계기를 만들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독일의 선례를 통해 이 이론을 실제 우리나라에서 일어나고 있는 다문화적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구체적 고민들로 연결해 봐야 할 것 같습니다.

어느덧 우리 곁에 다가온 다른 피부색, 다른 언어의 이방인들이 단순한 ‘타인’이 아닌, 우리 외부의 또 다른 ‘우리’일 수 있다는 생각의 단초를 얻었습니다.

다문화국가(이민국가)의 현 사회상을 잘 짚어줘서 좋았으나 문제 의식을 가질 수 있는 현실 측면이 이야기가 안 돼서 조금 아쉬웠습니다.

헤겔의 ‘변증법’이 이렇게까지 현실 문제의 해결 방안의 이론적 근거가 될 수 있다는 점이 흥미롭다. 특히, 다문화주의의 한계를 지적한 점이 큰 수확이다. 상호문화주의라는 개념이 반갑다.

매 강의가 1시간 30분으로 소화되기에는 다소 부족한 듯 합니다. 2시간 강의에 중간 10분 휴식하는 걸로 하는 것이 좋을 듯.

한국의 다문화 상황을 생각해 볼 수 있는 좋은 강의였음.

내실있는 강연 잘 들었습니다. 이주민 노동자 자녀가 빈곤의 악순환 당하는 일이 가슴 아픕니다.

1, 2강에 비해 이론적인 측면의 접근을 하셨던 것 같은데, 제 개인적인 생각으로도 이러한 방향의 강의가 도움되는 것 같습니다.

0 replies

Leave a Reply

Want to join the discussion?
Feel free to contribute!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