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제 1 권 트라시마코스와 소크라테스의 논의

Spread the love

올바름에 대하여 Ⅱ

 

가만히 듣고 있던 트라시마코스가 분노를 참지 못하며 논의에 끼어든다. 트라시마코스는 소크라테스에게 올바름이 무엇인지 진정 알고 싶다면 묻기만 하지 말고 누군가가 하는 대답을 논박하고서 뽐내려고만 하지 말고 직접 대답하기를 요구한다. 하지만 소크라테스는 적절히 대처하며 결국 트라시마코스가 직접 말을 하도록 만든다.

 

(1) 트라시마코스의 1정의 : 올바른 것은 강한자의 편익 이외에는 다른 것이 아니다. 338c

 

(2) 소크라테스의 검토 : 강한자라는 것이 이해가 되지 않는다. 그것이 단순히 물리적인 힘이 강한자인 팡크라티온 선수 같은 자를 말하는 것이냐? 338d

 

(3) 트라시마코스의 1정의 수정 : 나라마다에 있어서 힘을 행사하는 것은 지배하는 쪽이며, 법률을 제정함에 있어서 각 정권은 자기의 편익을 목적으로 삼는다. 그것이 자신이 주장하는 것이다. 즉 올바른 것은 통치자의 편익이다. 로 수정된다. 339

 

(4) 소크라테스의 반론 : 올바른 것이 편익이 되는 것이라는 점은 동의하나 다른 것은 더 검토해 보아야 한다고 하며 통치자들은 전혀 실수를 하지 않는 자들인지 실수를 하는 자들인지 묻는다. 트라시마코스가 실수를 할 수도 있는 자들이라고 하자 소크라테스는 그렇다면 어떤 것은 그들이 옳게 법을 제정하고 어떤 것은 옳지 못하게 제정한다. 옳게 제정한다는 것은 자신e들의 편익이 되는 것들을 제정하는 것이지만, 옳지 못하게 제정하는 것은 편익이 못 되는 것들을 제정하는 것이다. 그러니 결국 그것은 통치자의 편익뿐만 아니라 편익이 못 되는 것도 이행하는 것이 올바른 것이 된다. 339d~339e

 

(5) 트라시마코스의 반론 : 어떤 사람이 실수를 저지를 때, 그 실수를 저지른 사람은 강한자로 부를 수가 없다. 엄밀한 뜻으로 말 한다면 어떤 전문가도 실수를 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통치자는 그가 통치자인 한에 있어서는, 실수하지 않으며 실수를 하지 않는 자로서 자신을 위한 최선의 것을 제정하게 되고, 다스림을 받는 입장에서는 이것을 이행해야 한다. 따라서 올바름은 강한자의 편익이라는 것이 정당하다. 340c~341a

 

(6) 소크라테스의 반론 : 엄밀한 뜻의 의사는 돈벌이를 하는 사람인지 환자를 돌보는 사람인지 묻는다. 트라시마코스는 환자를 돌보는 사람이라고 답하고 키잡이는 선원들의 통솔자인지 선원인지 묻자 트라시마코스는 다시 선원들의 통솔자라고 대답한다. 그들이 키잡이로 불리는 이유는 항해를 하고 있어서가 아니라 선원들에 대한 통솔에 관한 기술 때문이다. 고로 기술도 원래 각각(선원들)에게 편익이 되는 것을 구하기 위한 것이다. 그런데 기술은 엄밀한 의미에서 온전한 것 정확한 것이기에 그 기술 자신에 대한 편익을 생각하기보다 그 기술이 관여하는 대상에 편익이 되는 것을 생각한다. 고로 어떤 통솔을 맡은 사람이든 그가 통솔자인 한은(통솔의 기술을 가진 자는) 자신에게 편익이 되는 걸 생각하거나 지시하지 않고 통솔을 받는 쪽 그리고 자신이 일해 주게 되는 쪽에 편익이 되는 걸 생각하거나 지시한다. 341d~342e

 

(7) 트라시마코스의 재반론 및 정의 추가 : 트라시마코스는 소크라테스에게 보모가 있었는지를 언급하며 새로운 반론을 제기한다. 양을 치는 이들이나 소를 치는 이들이 양이나 소한테 좋은 것을 생각하며 이것들을 살찌게 하고 돌보는 것이 주인한테 그리고 자신들한테 좋은 것을 위해서 하는 것이지 양이나 소를 위한 것이 아님을 언급하며 통치자들도 마찬가지라고 이야기한다. 그리고 덧붙임에 있어서 올바름 올바른 것은 실은 남에게 좋은 것을 하는 것이고 자신에게는 해가 되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결국 올바르지 못한 자는 가장 행복하게 되고 반면에 올바르지 못한 짓이라고는 아예 하려고 하지 않는 자들은 가장 비참하게 된다고 주장한다.

343b~344a

 

(8) 소크라테스의 반론 : 목자가 양을 살찌우는 것은 그가 목자인 한, 양의 최선의 상태를 염두에 두고 하는 것이며 목자가 돈벌이를 하는 사람처럼 그것을 팔 것을 염두에 두고서 하는 것이 아니다. 그러나 양을 치는 기술에 있어서 그 기술이 맡아 돌보도록 되어 있는 대상을 위해 최선의 것을 제공토록 하는 것 이외의 다른 어떤 것도 아니며 그 기술이 최선의 것이 되기 위해서 갖추어야 할 것들을 이미 충분히 갖추어 갖고 있기 때문이다. 345c~345e 그리고 통치자들이 자신해서 통치를 맡는 것이 아니며, 그들은 통치를 맡음으로 인해서 보수를 요구한다. 이 점에 있어서 통치술 자체만으로는 통치를 하는 자들에게 이득이 생기는 것이 아님을 보여줄 수 있다고 이야기한다. 조타술을 통해서 건강하게 되었다고 조타술을 의술로 부르는 것이 아닌 것처럼 노동을 하는 자가 건강해졌다고 해서 보수획득술을 의술로 부르지 않는 것처럼 전문가들이 각각의 기술들을 활용해서 이득을 보는 것은 보수 획득술을 추가적으로 이용함으로써 되는 것이다. 즉 의술은 건강을 생기게 하나 추가되는 보수 획득술이 보수를 생기게 한다. 또한 다른 모든 기술도 이와 마찬가지로 저마다 제 기능을 하며 각각기 맡도록 되어 있는 그 대상을 이롭도록 한다. 그리고 그 기술에 보수획득술이 추가되지 않는다면 그 전문가가 그 기술로 해서 이득을 얻는 일이 없다. 고로 통치술만으로 통치자가 이득을 얻는 것이라는 주장이 반박된다. 그러므로 다스리는 일을 하는 사람들이 자발적으로 맡아 남의 나쁜 일들을 바로 잡으려 하지는 않고 보수를 요구하는데 그 이유는 그 일을 맡으려 하지 않을 경우에는 그것이 벌이되기 때문이다. 자신들이 일을 맡지 않음으로 받는 최대의 벌은 자기보다 못한 사람한테 통치를 당하는 것이며 자신들이 통치를 맡게 되는 것은 그런 벌을 두려워함으로써 부득이하게 맡게 되는 것이다. 고로 ‘올바름은 강자의 편익이다.’ 라는 주장이 논파 된다. 345c~347e

 

(9) 트라시마코스의 두 번째 주장에 대한 소크라테스의 반박 1 : 올바르지 못한 사람의 삶이 더 훌륭하고 올바른 사람의 삶이 훌륭하지 못하다는 두 번째 주장을 검토하기 시작한다. 올바른 사람은 저와 같은 사람에 대해서는 능가하려 하지 않으면서도, 같지 않은 사람에 대해서는 능가하려 하지만, 올바르지 못한 사람은 올바르지 못한 사람에 대해서도 올바른 사람에 대해서도 능가하려 한다는 것이 드러난다. 그렇다면 시가에 능한 사람과 시가를 모르는 사람이 있을 경우에 시가에 능한 사람은 분별력이 있고 훌륭하나 시가를 모르는 이는 분별력이 없다고 말한다. 그러나 이렇게 시가에 능한 사람은 리라를 조율할 때 현을 죄거나 늦춤에 있어서 역시 시가에 능한 다른 사람을 능가하고자 하거나 능가할 자격이 있다고 여기지는 않음이 드러난다. 반면에 시가에 능하지 못한 사람에게는 능가하려 함이 인정된다. 그리고 전문지식이 있는 이는 지혜롭고 지혜로운이는 훌륭함이 인정된다. 고로 훌륭한 이(올바른 이)는 자기와 같은 사람(올바른 사람)에 대해서는 능가하려 하지 않을 것이나 같지 않은 사람(올바르지 못한 사람)에 대해서는 능가하려 함이 드러난다. 여기서 올바른 사람은 지혜롭고 훌륭한 이를 닮았고, 올바르지 못한 사람은 못되고 무지한 이를 닮았다는 것이 논리적으로 도출되며 트라시마코스의 주장이 논파 된다. 348a~350d

 

(10) 트라시마코스의 두 번째 주장에 대한 소크라테스의 반박 2 : 다음으로 올바르지 못함이 올바름보다 더 유력하고 강하다고 했던 트라시마코스의 두 번째 주장에 대한 소크라테스의 반박이 이어진다. 9)에서 논의 되었던 데로 올바름이 지혜이며 사람의 훌륭함이라면 올바름이 올바르지 못함 보다 더 강할 것이 쉽게 드러날 것 같다고 한다. 올바르지 못한 나라가 있어서 다른 나라들을 부당하게 굴복하게 하여 예속화하고 실제로 그렇게 많은 나라를 속국화 해서 갖고 있다는데서 출발한다. 그러한 올바르지 못한 나라가 다른 나라보다도 강하게 될 그 나라가 올바름 없이도 그런 힘을 지닐 수 있게 되었는지 아니면 올바름을 갖추어야 되는지가 올바름은 지혜라는 이전 논의의 결론을 통해 올바름을 갖춰야만 하는 것으로 쉽게 귀결이 난다. 그렇다면 나라 같은 어떤 집단이 올바르지 못하게 뭔가를 공동으로 도모할 경우에 자기들끼리 올바르지 못한 짓을 저지른다면 그 일(다른 나라를 예속시키는 것과 같은 올바르지 못한 짓)을 도모하지 못할 것이 확인된다. 고로 자신들끼리는 올바르지 못한 짓을 저지르지 말아야 하며 이 올바르지 못함이 서로 간에 대립과 증오 및 다툼을 가져다주나 올바름은 합심과 우애를 가져다주기 때문임이 확인된다. 이로써 두 사람의 사이에서도 한 사람의 안에서도 올바르지 못함은 갈등이 생기게 되어 아무것도 해낼 수가 없도록 만들게 된다. 고로 올바르지 못한 이들은 아무것도 서로 어우러져 해낼 수가 없는 것으로 밝혀진다. 고로 일종의 올바름이라도 깃들어져 있어야 무엇이든 할 수 있으며 올바르지 못함이 한 개인 안에 깃들이게 되었을 때는 자기 자신에 대해서도 갈등이 생기게 하고 한 마음이 되지 못하게 함으로써 아무것도 해낼 수가 없도록 만들 것이며, 자기 자신에 대해서 그리고 올바른 사람들에 대해서도 적이 되게끔 만들고 말 것이라는 것으로 올바르지 못함이 올바름보다 유력하고 강하다는 논의는 논파된다. 351a~352b

 

(11) 트라시마코스의 두 번째 주장에 대한 소크라테스의 반박 3 : 마지막으로 올바르지 못한 이들이 올바른 자들보다도 또한 더 훌륭하게 살며 더 행복하다는 것을 검토한다. 이 논의는 어떤 방식으로 살아가야 하는지에 관한 것이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고 말하며 신중하게 논의를 시작한다. 눈에 맞는 기능이 있고, 귀에 맞는 기능이 있는 것처럼 어떤 기능이 부여되어 있기도 한 각각의 것에는 훌륭한 상태 또한 있다는 것이 합의된다. 그렇다면 눈의 훌륭한 상태 또한 있고 귀의 훌륭한 상태 또한 있다. 그렇다면 그 특유의 훌륭한 상태에 의해서는 그 기능이 제 할 일들을 훌륭하게 수행하게 되지만, 나쁜 상태에 의해서는 나쁘게 수행하게 되는 것이라는 접이 합의된다. 또 그것이 자기의 훌륭한 상태를 빼앗겼을 때에는 자기의 기능을 잘못 수행하게 된다. 그렇다면 그 밖의 모든 것에 대해서도 같은 이치를 적용시킬 수 있으므로 혼(psyche)에는 돌봄, 잘사는 것 등등의 기능이 있는데 이 혼에도 훌륭한 상태가 또한 있다고 말 할 수 있게 된다. 그렇다면 혼이 고유의 훌륭한 상태를 빼앗기고도 자신의 기능을 훌륭하게 수행하지 못함은 자연스럽게 귀결된다. 그런데 앞의 10)번 논의에서 한 사람에서의 올바름을 논의 할 때 올바름은 혼의 훌륭한 상태 그리고 올바르지 못함은 혼의 나쁜 상태임에 이미 동의한 바 있다. 그렇다면 올바른 사람은 혼의 훌륭한 상태를 지녔으므로 그것의 고유한 기능인 잘 살게 될 것임이 필연적이고 올바르지 못한 사람은 혼의 훌륭하지 못한 상태를 지녔으므로 고유한 기능을 상실한 것이니 잘 살지 못하게 될 것이 필연적이게 된다. 그러니까 올바른 사람은 행복하고 올바르지 못한 사람은 불행하다는 것이 입증되며 트라시마코스의 주장이 논파된다. 352d~354a

 

마무리

소크라테스는 올바른 것이 도대체 무엇인지 알아내기도 전에 그것은 내버려둔 채로 그것이 나쁨이며 무지 인가 지혜이며 훌륭함인가에 대한 검토만 착수했다고 말한다. 그리고 올바르지 못함이 올바름보다도 더 이득이 된다는 주장에 반박하느라 올바름이 무엇인지 고찰하지 못하였다고 한다. 고로 올바름이 무엇인지 모르는 상황에서는 그것이 일종의 훌륭함인지 아닌지 그것을 지닌 자가 불행한지 행복한지 알게 될 가망이 거의 없을 것이라고 하며 1권이 마무리 된다. 354b~354c

0 replies

Leave a Reply

Want to join the discussion?
Feel free to contribute!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