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항로의 위정척사, 당신들만의 진리 [길 위의 우리 철학] – 17

구태환

 

1.

두물머리에서 북한강을 따라 거슬러 올라가다 보면 북한강 지류인 벽계천(檗溪川)이 흐르는 계곡이 나온다. 이 계곡을 따라 한참 들어가면 말 그대로 ‘궁벽한’ 마을이 나온다. 지명이 경기도 양평군 서종면 노문리인 이곳은 화서(華西) 이항로(李恒老)가 태어나고 죽은 곳으로서, 그의 생가가 남아 있고 기념관이 세워져 있다. 그는 61세에 강원도 홍천의 삼포라는 곳으로 잠깐 이사했을 때와, 1866년 병인양요(丙寅洋擾)가 있던 해에 중앙 정계의 부름으로 한양에 기거했던 때를 제외하고는 평생 이곳에서 생활했다.

이항로생가 전경

 

독자들은 학창시절에 이항로에 대해서 한번쯤은 이야기를 들어봤을 것이다. 조선말기의 ‘위정척사(衛正斥邪)’ 사상과 운동의 거두로서 말이다. ‘옳음을 지키고 사악함을 배척한다’는 이 구호는 비장함마저 풍기는데, 실제로 그는 자신이 옳다고 여기는 것에 대한 굳건한 믿음과 그르다고 생각하는 것에 대한 비타협적인, 꼬장꼬장한 태도를 보였다.

그래서일까? 생가라고 찾아온 필자 앞에 서있는 거대한 기와집들이 생소하기만 하다. 물론 이러한 느낌이 부유함에 대한 필자의 왜곡된 시선 때문일 수도 있다. 꼿꼿한 선비라고 반드시 궁핍해야 하는 것은 아니지 않은가. 하지만 춘향전에서 이몽룡이 읊조리듯이 당시 지배층의 부는 일반 백성의 고혈이 농축된 것이 아니던가. 더구나 물산이 풍족할 리 없는 이런 국벽한 시골에 이처럼 거대한 기와집이 있다는 것은 아무래도 거슬린다.

 

2.

이항로는 1792년 2월13일 옛 지명 양근군(楊根郡)에 속한 이곳에서 처사 이회장(李晦章)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는 17세 되던 해 반시(泮試)에, 18세에 한성시(漢城試)에 합격했으나 이미 이른 나이부터 관계의 진출을 단념하고, 학문에 몰두했다. 그 결과 22세에 이미 스승을 따르지 않을 정도[不由師承]로 뛰어난 학자가 되었고, 그의 주변에는 수많은 제자들이 모이기 시작했다고 한다.

이런 그에게 유일한 스승은 중국 송대의 주희(朱熹)라고 할 수 있을 것 같다. 그의 주희에 대한 태도는 다음 언급에서 잘 드러난다.

“하는 말마다 모두 옳은 사람이 주자(朱子-‘주희’에 대한 존칭)이다. 하는 일마다 모두 옳은 사람이 주자이다. 주자는 공자 이래 가장 뛰어난 사람이다. 이때부터 나는 주자의 글을 읽고 그의 뜻을 추구했다. 나는 주자의 말이 아니면 감히 듣지 않았고, 주자의 의도가 아니면 감히 따르지 않았다. … 다른 이들이 저렇다고 하는데 주자가 이렇다고 하면 나는 다른 이들의 견해를 버리고 대신 주자의 견해를 따랐다.”

조선시대의 지배 이념이 성리학이었고, 따라서 성리학의 완성자 주희에 대한 절대적인 존경은 조선시대의 학자들에게 일반적인 것이었다. 그들의 주희에 대한 태도는 신앙에 가까웠으며, 이항로도 예외는 아니었다. 그리고 그의 ‘위정척사’에서 ‘옳음을 지킨다’는 것은 주희의 사상을 견지하는 것에 다름 아니었다.

주희가 완성한 성리학에서는 우주만물이 원리로서의 이(理)와 질료로서의 기(氣)로 이루어져 있다고 한다. 원리로서의 이는 절대선(絶對善)으로서 그것이 인간에게 부여된 것이 인간의 선한 본성이다. 하지만 모든 인간이 선한 것은 아니니, 그 이유를 질료로서의 기에서 찾는다. 기는 그 자체로는 선도 악도 아니지만, 그것이 맑은가 탁한가에 따라 그 안에 포함된 원리로서의 이가 잘 드러나는가 그렇지 못한가가 결정된다. 기가 맑아서 이가 잘 드러나면 선한 인간이, 반대로 기가 탁해서 이가 잘 드러나지 않으면 불선한 인간이 된다. 따라서 인간은 자신에 부여된 선한 이, 즉 본성을 잘 보존해야 할 뿐 아니라, 자신을 이루는 기를 끊임없이 맑게 수련해야 한다. 그러한 수련의 결과가 이 사회를 지배할 자격을 갖는 군자(君子)이다. 따라서 지배층으로서의 군자는 종교인과 같은 삶을 살아야 할 존재이며, 조선시대의 지배층 사대부에게는 이러한 삶이 요구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이(理)를 기반으로 해서 인간이 따를 도덕률이 나오는데, 그것이 흔히 삼강오륜(三綱五倫)이라고 한다. 이처럼 성리학적 도덕률은 외부에서 주어지는 제어 수단이 아니라 인간 내면에 있는 이의 발현이다. 따라서 이러한 삼강오륜을 거부하는 것은 사회적 지탄 대상일 뿐만 아니라 나아가 우주의 원리를 거스르는, 인간이기를 포기하는 것이다.

또한 우주의 원리인 이가 인간 사회의 변화에 따라 변화한다는 것은 납득할 수 없다. 즉 이(理)는 불변하는 원리이다. 따라서 불변하는 이에 기반한 삼강오륜은 인간에 내재된 도덕률이기 때문에, 이것을 어기는 것은 인간이 아니다.

이항로가 말하는 ‘위정’이란 바로 이러한 삼강오륜의 도덕률을 수호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척사’에서 말하는 배척해야 할 ‘사악함’은 이러한 삼강오륜을 거부하는 기독교 세력으로 대표되는 서양의 문물이다. 즉 기독교 세력이 군신(君臣), 부자(父子), 남녀[부부夫婦], 장유(長幼)의 구분을 무너뜨리니 이들은 짐승과 같은 무리이고, 이러한 무리들이 입은 옷, 타고 온 배, 이들이 사용하는 물건 등은 모두 짐승의 것이다. 따라서 이항로에게 위정척사란 단순히 기존의 학문사상적 체계를 수호를 넘어서는 것이다. 짐승의 삶으로부터 인간의 삶을 지키기 위한 저항인 것이다.

 

3.

청화정사

 

생가의 계단을 올라 문을 지나자 담에 둘러싸인 아담한 방이 나온다. ‘청화정사(靑華精舍)’라는 편액이 걸려 있다. 생가가 청화산의 서편에 자리 잡았기 때문에 그는 ‘화서(華西)’라는 호를 사용하였고, 자신이 기거하는 방을 이처럼 이름하였다. 이곳에서 그는 독서와 사색을 하고, 자신을 찾아오는 선비, 제자들과 함께 학문에 대해, 그리고 당시 시국에 대해 담론했을 것이다.

 

노산사

 

다시 문을 나와 왼편(동쪽)으로 가면 사당 하나가 자리하고 있다. 노산사(蘆山祠)이다. 김평묵, 최익현, 유인석 등 그의 제자들이 스승 이항로를 기리며 지은 사당으로서, 원래의 것은 6.25 때 불타고 후일에 다시 지은 것이다. 여기에는 이항로만이 아니라 그가 존경했던 주희와 우암(尤庵) 송시열(宋時烈)의 영정과 위폐가 모셔져 있다.

앞에서도 언급했듯이 이항로는 주희를 추앙했는데, 그와 함께 송시열도 매우 존숭하였다. 그래서인지 그는 벽계천이 흐르는 생가 주변을 ‘벽계구곡(檗溪九曲)’이라 하였다. 중국 복건성(福建省) 출신인 주희가 무이산의 계곡을 노래한 ‘무이구곡가(武夷九曲歌)’를 송시열이 본떠서 자신이 은거하던 괴산의 계곡을 ‘화양구곡(華陽구곡)’이라고 이름하였는데, 이항로는 바로 이들을 본뜬 것이다.

특히 송시열은 병자호란 이후에 ‘존중화양이적(尊中華攘夷狄-중화를 높이고 오랑캐를 물리친다)’을 주장하던 이이다. ‘중화’란 중국인들이 자기 문화의 위대성을 가리키는 용어로서, 조선의 사대부들은 공자, 맹자, 주희로 이어지는 유학의 정통 문화를 가리키는 용어로 사용했다. 이러한 중화문화는 한족인 명나라에 의해 계승되었는데, 오랑캐 만주족인 청나라가 명나라를 멸망시키고 중국을 차지하게 되어 중국에서는 중화문명을 찾아볼 수 없게 되었다는 것이 송시열을 비롯한 당시 사대부들의 인식이었다. 더구나 명나라는 임진왜란 때 우리를 구원하였고, 그러한 명나라를 멸망시킨 청나라는 병자호란 때 우리에게 씻을 수 없는 치욕을 안겨줬으니, 마땅히 우리는 명나라를 존숭하여 청나라를 징벌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명나라가 망한 마당에 중화문명은 우리 조선에만 남아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조선, 특히 조선의 유학자 사대부들에게는 이러한 중화문명을 수호할 임무가 있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책임 의식은 이항로에게도 그대로 이어진다.

 

4.

노산사는 야트막한 동산 위에 놓여 있는데, 그 사당 앞에는 동산 위라고 보기에는 제법 넓은 마당이 있다.

이항로의 제자들은 매월 이항로의 집이나 명승지, 사찰에서 모임을 가졌는데, 갈수록 제자의 수가 많아졌다. 그래서 앞에서 본 ‘청화정사’에는 많은 제자가 들어갈 수 없었을 것이고, 결국 그의 나이 56에 이곳에 야외교단을 만들었다고 한다.

이처럼 궁벽한 곳에 왜 그리 많은 사람들이 모였을까? 당시에 한양에서 온다고 했을 때, 배편으로 북한강을 거슬러 올라와야 하고, 그후에도 육로로 상당히 험한 산길을 넘어야 했을 텐데 말이다. 가슴에 학문에 대한 열정, 옳음을 지키려는 열정을 가지고 모인 수많은 학자들이 모여 스승의 강의를 경청하고, 질문하고, 토론하는 모습은 상상만 해도 기분이 좋아진다.

그래서일까. 이 장소의 이름이 제월대(霽月臺)이다. ‘제월’은 ‘비가 막 갠 뒤에 부는 상쾌한 바람과 비가 막 갠 뒤에 나타난 깨끗한 달’을 가리키는 ‘광풍제월(光風霽月)’의 줄임이다. 비온 후의 달처럼 깨끗한 마음을 가진 제자들과 만나, 깨끗한 마음으로 진리를 나누는 곳에 참 어울리는 이름이라 할 것이다.

 

제월대

 

그런데 ‘제월대’라는 글이 새겨진 돌에서는 별로 세월의 흔적이 느껴지지 않는다. 이러한 의문은 이곳을 내려가 생가 서쪽에 자리한 ‘기념관’에 들러서야 풀렸다. 원래의 돌이 기념관에 모셔져 있었고, 이것은 모조품인 것이다. 아마도 비바람에 훼손될까 우려하여 그렇게 한 것 같다.

 

5.

다시 서울로 발걸음을 돌린다. 앞에서도 언급했듯이 그가 한양에 간 것은 병인양요 때이다. 그 이전에도 조선의 중앙 정부에서는 그에게 여러 차례 관직을 내리지만, 그는 나아가지 않았다. 하지만 자국 선교사의 죽음에 대한 책임을 묻는다는 핑계로 한강의 양화와 서강까지 군함을 몰고 와서 시위를 하는 프랑스의 행태에 75세의 이항로는 결국 정부의 부름에 응하고, 노구를 이끌고 한강에 나가 시찰하기도 한다.

벽계구곡을 떠나 한양 나들이를 했을 때, 그의 눈에는 무엇이 보였을까? 한강에 버티고 선 낮선 배[異樣船]는 그에게 어떻게 보였을까? 아마도 그 배는 짐승같은 놈들의 배로만 보였을까? 아마도 그랬을 것이다. 그는 저 배가 왜 이곳에 왔는지, 그리고 저 배와 우리 배의 차이가 무엇인지, 저들이 어떻게 저처럼 거대한 배를 그리도 빨리 움직일 수 있는지, 더 나아가 저러한 기술이 조선에 어떠한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지는 않을지에 대해 생각하지 않았을 것이다.

 

다름과 틀림은 분명히 다르다. 다름의 반대말은 같음이고 틀림의 반대말은 옳음이다. 이것은 너무도 당연하기에 길게 이야기하면 구차해진다. 하지만 이 다름과 틀림의 문제가 간단하지 않게 다가올 때도 있다. 틀림이란 옳음과 다른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옳음의 범위가 좁은 이에게는 이 세상의 일들이 자신의 생각과는 다른 것보다는 틀린 것이 많다. 물론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신의 옳다고 생각하는 것과는 다른 것들 중에서 틀리지 않은 것이 있음을 인지하기도 하며, 그 순간 그 사람은 지적, 인격적으로 성장한다. 하지만 옳음에 대한 굳건한 확신을 가진 이는 그 옳음의 기준을 쉽게 바꾸지 않는다. 아니 바꿀 수 없다. 그들은 상대가 왜 나와 다른 행동을 하고 다른 사고를 하는지 이해할 수가 없다.

평생동안 하나의 진리를 추구하고, 그 진리를 참이라고 믿는 삶에 대해서 함부로 재단할 수는 없다. 하지만 나와 다른 생각과 행동에 대해 이해해보고자 하는 노력도 없이 자신의 것만이 옳다는 사고는 매우 위험하다. 아무리 광풍제월의 맑고 깨끗한 의도를 가졌다 하더라도 이러한 사고는 자신과 다른 이를 배척한다. 이러한 태도는 현재에도 우리 세계에도 존재한다. 종교, 사상, 인종, 성적 취향이 자신과 다른 이를 틀렸다고 규정하고 배척하는 경우가 우리 주변에 얼마나 많은가.

당신의 진리만이 참인가?

 

기고자: 구태환(상지대, 한국철학사상연구회)

최한기의 인체론과 관련된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본 분과에서 동학에 대해서 공부하고 있으며, 배타적 소유권에서 벗어난 ‘인권’의 가능성에 대해 관심을 갖고 있다.

 


 

블로그진 ‘길 위의 우리철학’은 한국현대철학을 함께 공부하고 토론하는 한국철학사상연구회의 ‘한국현대철학분과’에서 만든다. ‘길’은 과거로부터의 역사이기도 하고, 오늘의 삶이기도 하고, 미래로 열린 희망이기도 하다. 그 위에 서서 우리는 언제나 어느 길이 더 나은 길인지, 바른 길인지 생각하고 선택한다. 그렇게 ‘길’은 지향志向이기도 하고, 그래서 철학이기도 하다. 한국현대철학분과는 앞으로 월 2회 블로그진을 통해 우리철학이 서 있었던 길, 우리철학이 만들었던 길을 이야기 하려고 한다.

 

  1. 광장에 서다 – 촛불의 승리 그리고 박정희 시대의 종언 [길 위의 우리 철학] -1 : 박영미
  2. 대통령 탄핵, 그 후 – 박은식(朴殷植)의 개혁론, 독립운동, 임시정부 [길 위의 우리 철학] – 2 : 이지
  3. 송곡의 길가에서 최시형을 만나다 [길 위의 우리 철학] –3 : 구태환
  4. 붉은 얼굴의 경계인(境界人), 신남철 [길 위의 우리 철학] – 4 : 이병태
  5. 어린이를 노래하는 방정환을 만나다[길 위의 우리 철학] – 5 : 김세리
  6. 국가의 철학, 철학의 부재(不在), 안호상 – [길 위의 우리 철학] – 6 : 박민철
  7. 정치의 중심에서 주변을 배회한 타고난 근대인 몽양(夢陽) 여운형 [길 위의 우리 철학] – 7 : 유현상
  8. 우리, 나라, 사랑 – 윤치호와 관련한 애국에 대한 단상 [길 위의 우리 철학] – 8 : 배기호
  9. 서일- 잊혀진 어느 무장투쟁 사상가의 초상 [길 위의 우리 철학] – 9: 김정철
  10. 현상윤, 최초의 근대적 체제의 조선사상사를 짓다 [길 위의 우리 철학] – 10: 윤태양
  11. 구도와 구세의 길, 운명적 불화 – 한용운 [길 위의 우리 철학] – 11: 송인재
  12. 태백산에서 최후를 맞은 서양철학 1세대, 박치우 [길 위의 우리 철학] – 12: 조배준 
  13. 시대정신을 찾는 여정의 첫 발걸음: 신채호와 서울 [길 위의 우리 철학] – 13: 진보성
  14. 큰 이룸을 위해 한 걸음씩 나아간 삶의 철학자, 도산 안창호 [길 위의 우리 철학] – 14: 배기호
  15. 밑바닥에서 진리를 찾은 이- 장일순 [길 위의 우리 철학] – 15: 구태환
  16. 서재필과 개화운동, 계몽을 통해 근대를 꿈꾸다 [길 위의 우리 철학] – 16: 박영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