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tries by Jin Bosung

[내용 수정 재공지] (사)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24년 가을 제66회 정기 학술대회(12월 14일, 토, 오전11시~오후17시) 알림 [한철연소식]

(사)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24년 가을 제66회 정기 학술대회 <철학의 뉴페이스: 신진 연구자들의 목소리>를 안내합니다. <알림> 안녕하세요. 한철연 학술 3부입니다. 학술 발표회 일정 조정에 대한 양해를 구합니다. 지난 12월 3일 우리는 대통령에 의한 내란 시도라는 초유의 사태를 겪었습니다. 다행히 1차 시도는 불발하였으나 내란을 일으킨 자가 여전히 대통령직을 수행하면서 국군 통수권을 비롯한 통제 권력을 유지하는 상황이라 마음을 놓을 수 […]

[신간안내] 『슈티르너 비평가들』(막스 슈티르너 지음, 박종성 옮김·주석|알렙|(2024년 11월 25일) [한철연 소식]

『슈티르너 비평가들』(막스 슈티르너 지음, 박종성 옮김·주석)   웹진 <ⓔ 시대와 철학> 블로그진에 [유령(Spuk)을 파괴하는 슈티르너(Stirner)]를 연재하고 있는 박종성 회원(건국대)이 신간 번역서를 내놓았습니다. 이미 2023년 『유일자와 그의 소유』를 독일어 원전으로 최초 완역하여 발간(2023년 학술원 우수학술도서)했던 역자는  이번에도 역시 국내 최초로 막스 슈티르너의 『슈티르너 비평가들(Recensenten Stirner’s)』 독일어 원전을 완역하였습니다. 주요 구문에는 옮긴이가 충실히 주석을 달아 독서의 편의와 […]

경탄할 나라에서 모험들 [천 하룻밤 이야기]

소설(小雪): 경탄할 나라에서 모험들 – {# 앨리스가 경탄할 나라에서 겪은 모험(Alice’s Adventures in Wonderland)} — 2024 11 22. 소설(小雪): 산간에서 눈이 오는 것을 대비해야…   누구나 배워서 세상을 널리 이롭게 하는 삶을 살고자 한다. 행복, 열락(悅樂), 즐김, 고요, 소박함을 추구 하고 산다. 탐욕의 쾌락, 지식과 독단의 오만, 하나의 방식을 다른 모든 것에 적용하려는 치졸함, 탐만치가 […]

플라톤의 <국가> 강해(65) [이정호 교수와 함께하는 플라톤의 『국가』]

플라톤의 <국가> 강해(65)   C. 철인 통치자의 교육 목표와 교과목(502c-541b) 최상의 배움, 좋음의 이데아 서론(502c-507a)   * ‘지혜를 사랑하는 부류(철학자)가 나라를 장악하게 되기 전에는 나라에도 시민들에게도 나쁜 일들이 종식되지 않을 것이다.’(501e) 플라톤은 마침내 소크라테스의 입을 통해 그토록 꺼내고 싶었던 생각 즉 철학과 정치의 결합이 갖는 필연적 정당성을 과감하게 선언한다. 사실 플라톤은 <국가> 제1권에서 통치자를 언급하기 […]

사유(思惟)의 두 갈래 [천 하룻밤 이야기]

사유(思惟)의 두 갈래 – 삶의 사유에서 삼태극을 생각하며 — 상강(霜降) – 가을이 매우 짧은 시대를 맞이 할 것인가?   이스라엘이 가자에서든 시리아에서든, 전쟁을 수행하는 것에 막을 내릴 수 있는 나라는 미국 밖에 없다고들 한다. 이 말은 이 전쟁의 배후에는 미국의 지지와 지원이 있다는 것이다. 우크라이나에서도 마찬가지이다. 결국 미국이 세상의 전쟁을 일으키는 것이다. 전쟁과 평화, 전쟁을 […]

헤겔 형이상학 산책 14-엥겔스 자연변증법에 관해[흐린 창가에서- 이병창의 문화비평]

헤겔 형이상학 산책 14-엥겔스 자연변증법에 관해 1) 헤겔은 정신현상학 끝에 순수지에 이르러서, 마침내 학문 그 가운데서도 형식적 학문인 논리학이 시작된다고 한다.(실제적 학문은 자연철학과 정신철학-법, 예술 종교- 등이 속한다) 앞에서 정신현상학의 구별은 역사적으로 전개된 형태이고, 반면 논리학의 구분은 사유 순수지, 또는 논리의 영역 내에서의 구별이라고 했다. 이는 정신현상학과 논리학의 차이가 무엇인가 하는 의문을 다시 불러일으키는데, 이는 […]

이규성 철학 연구회 2024년 10월 제14차 정기세미나│『중국현대철학사론』(2020) 1장 ‘주권재민’과 사회주의: 진독수(陳獨秀) -발제: 인현정 선생님│2024.10.18. 영상

◎ 이규성 철학 연구회 2024년 10월 제14차 정기세미나 『중국현대철학사론』(2020)   -주제: 1장 ‘주권재민’과 사회주의: 진독수(陳獨秀) -발제: 인현정 선생님 -일시: 2024년 10월 18일(금) 오후 4시 -장소: 한철연 강의실 & 줌(zoom) 병행 이규성 사상 연구 모임에서는 요즈음 이규성 선생이 지은 『중국현대철학사론』(2020)을 강독하고 있습니다. 지난 8월 비트겐슈타인 발표로 한 번 건너 뛰고, 6월에 읽은 서론에 이어서 1장 진독수(陳獨秀) […]

이규성 철학 연구회 2023년 12월 제9차 정기세미나|’이규성 선생의 동학사상 연구 -발제: 이병창(동아대)’|2023.12.08. 영상

지난 영상을 올립니다. 이규성 철학 연구회 2023년 12월 제9차 정기세미나 -주제: ‘이규성 선생의 동학사상 연구’ -발제: 이병창 동아대 명예교수 -일시: 2023년 12월 8일(금) 오후 4시 -장소: 서울시 서대문구 서소문로 45 SK리쳄블 1305호(zoom 병행) 이번 모임에서는 이규성 선생의 동학사상에 관한 연구를 살펴보고자 합니다. 동학사상에 관한 철학적 해석은 여러 갈래입니다만, 이규성 선생은 내외 합일이라는 자신의 관점에서 동학사상을 […]

한국철학사상연구회 기획 / 강지은 지음, 『칸트의 순수이성비판: 내가 진짜 아는 것은 무엇인가』(2023) [EBS 오늘 읽는 클래식]

『칸트의 순수이성비판: 내가 진짜 아는 것은 무엇인가』(2023)   서평: 함태원(한철연, 건국대)   이제 조금은 알려나?   『순수이성비판』을 처음 읽었을 때 당혹감을 잊을 수 없다. 문장에서 모르는 단어가 없었는데도, 심지어 그 글이 한글로 번역된 글인데도 이해가 안 되었기 때문이다. 아는 단어를 다시 국어사전에 찾아봐도 여전히 이해가 안 되어 같은 문장을 몇 번이나 다시 읽어야 했다. 그때 […]

이규성 철학 연구회 2024년 8월 제13차 정기세미나 ‘이규성 선생의 비트겐슈타인 연구’-발표:이영철(부산대) 2024.08.16.영상 [월례발표회·세미나]

이규성 철학 연구회 2024년 8월 제13차 정기세미나 -주제: ‘이규성 선생의 비트겐슈타인 연구’ -발표: 부산대학교 철학과 명예교수 이영철 -일시: 2024년 8월 16일(금) 오후 4시 -장소: 서울시 서대문구 서소문로 45 SK리쳄블 1305호(zoom 병행) 이규성 선생의 사상 가운데 비트겐슈타인은 독특한 위치를 차지합니다. 비트겐슈타인에 관한 이규성 선생의 관심은 상당히 특이합니다. 비트겐슈타인은 말할 수 없는 것에 관해서는 침묵하라 했는데, 그것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