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tries by Jin Bosung

최소한의 합리성이 없는 정치 [시대와 철학]

최소한의 합리성이 없는 정치   정동훈(성공회대 대학원)   모두의 주목을 받은 화제의 보궐선거가 끝났기 때문에 윤석열 정부에 대한 조금 이른 중간평가를 해도 적절할 것 같다. 처음 이 글을 쓰려고 했을 때 생각보다 막막했다. 어디서부터 어디까지 얘기해야지? 라는 생각이 제일 처음 들었다. 비판할 주제가 너무 많아서 1주에 3번씩 글을 써도 6개월은 버티겠다는 생각부터 들었다. 아마 6개월이 […]

시몬느 드 보부아르, 『제2의 성』(하) “섹스(sex)와 젠더(gender)의 기원 그리고 현대 페미니즘 영향사” [페미니즘 고전을 찾아서 2]

시몬느 드 보부아르, 『제2의 성』(하) [페미니즘 고전을 찾아서 2] 섹스(sex)와 젠더(gender)의 기원 그리고 현대 페미니즘 영향사   연효숙(여성과철학 분과) 페미니즘 역사에서 『제2의 성』이 미친 영향은 ‘서양철학사 다시 쓰기’에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는 면에서 굉장하다. 서양 철학사에서 인간을 논의할 때 구체적인 보편자인 ‘인간’을 거론하지만, 이 인간은 항상 ‘남성’으로서의 인간이었다. 인간이 남성과 여성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성별 정체성을 확실하게 […]

[신간안내] 『계몽의 변증법 함께 읽기 – 비판은 어떻게 우리의 삶을 구원하는가』(한상원 지음|에디스코|2023년 9월 15일) [한철연 소식]

『계몽의 변증법 함께 읽기 – 비판은 어떻게 우리의 삶을 구원하는가』(한상원 지음)   한상원 회원의 신간을 소개합니다. 활발한 저술활동을 펼치고 있는 충북대 철학과 한상원 회원이 지난 2018년 『앙겔루스 노부스의 시선』이후 또 한 권의 단독 저서를 출간했습니다. 이 책은 지난 겨울 필로버스에서 진행한 『계몽의 변증법』 강독 세미나 녹취를 바탕으로 엮은 것입니다. 청중들과 소통하며 써낸 책이다보니 책을 읽는 […]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23년 9월 월례발표회 “빌렘 플루서의 이미지 현상학과 현상학적 철학하기”(발표:이진욱 박사) 영상 [월례발표회·세미나]

2023년도 한철연 월례발표회는 학문후속세대 발표로 진행합니다. 9월 월례발표회는 최근 학위[「빌렘 플루서의 이미지 현상학에 대한 연구」(2023)]를 취득한 건국대학교 이진욱 박사의 발표로 진행합니다. …………………………………………………………………………………… 주    제: 빌렘 플루서의 이미지 현상학과 현상학적 철학하기 발표자: 이진욱(건국대학교) 토론자: 김성우(상지대학교) 일    시: 2023년 9월 21일 오후 4시 – 6시 방    식: 줌(zoom)회의 유튜브 링크: https://youtu.be/hN2Xyjl2mHQ?si=MM5HmInGU0OaX7RL

이규성 철학 연구회 2023년 8월 제7차 정기세미나 “이규성 선생의 사상에 미친 불교 사상의 영향(이규성과 불교)” 2023.08.11. (발표:최유진) 영상 [월례발표회·세미나]

이규성 철학 연구회 일곱 번째 정기 세미나 영상입니다. 이번 세미나는 불교 전공자인 경남대 최유진 명예교수의 발표로 진행합니다. 이규성 선생의 저서에서 불교를 언급한 사례를 소개하여 이규성 선생의 사상에 미친 불교의 영향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주제: ‘이규성 선생의 사상에 미친 불교 사상의 영향(이규성과 불교)’ 발표: 최유진(경남대 명예교수) 장소: 서대문구 서소문로 45, SK리쳄블 1305호 […]

[신간안내] 『일상이 철학이다』(이종철 지음|도서출판 모시는사람들|2023년 9월 30일) [한철연 소식]

『일상이 철학이다』(이종철 지음)   이종철 회원의 신간을 소개합니다. 저자는 2021년 ‘에세이 철학의 부활을 위해’란 부제로 『철학과 비판』을 출간하여 철학계에서 ‘에세이 철학’이라는 자신만의 독창적인 분야를 개척하였습니다. [2021년 웹진에 실린 •연효숙 회원의 서평, •저자의 답글] 2023년에 출간된 이종철의 『일상이 철학이다』 (삶의 지평을 넓히는 에세이철학)에는 ‘에세이철학’이라는 이름으로, 일상의 철학화, 철학의 일상화를 주창해 오는 저자의 철학이 고스란히 담겨 있습니다. […]

[신간안내] 『생물철학』(최종덕 지음|씨아이알|2023년 9월 20일) [한철연 소식]

『생물철학』(최종덕 지음)   최종덕 회원의 신간을 소개합니다. 저자는 지난 2014년에 ‘생명의 역사를 관통하는 변화의 철학’이라는 부제를 달고 동명의 책을 출간한 바 있습니다. 이번 2023년에는 ‘다양성의 변화와 관계성의 공생’이라는 부제 아래 새 목차와 내용을 담아 새로운 버전으로 출간하였습니다. 최종덕의 『생물철학』은 현대 생물학의 관련 분야들을 철학과 역사의 시선에서 바라봅니다. 생물학과 철학이 이미 내재적으로 연관되어 있음을 밝혀 과학과 […]

플라톤의 <국가> 강해(54) [이정호 교수와 함께하는 플라톤의 『국가』]

플라톤의 <국가> 강해(54)   III. 본론 2 : 정의의 실현 조건 – 철학과 철학자 왕(제5권-제7권) A. 난관과 고려 사항, 가능성 : 3개의 파도(449a-474c)   첫 번째 파도(양성의 평등, 여성의 지위 : 451c-457b)에 대한 해설   * 앞서 살폈듯이 여성과 아이들의 공유 문제는 수호자 집단 내에서 벌어질 수호자들의 배우자 공유와 그들 사이에서 생긴 아이들의 양육과 교육에 […]

이판사판 [천 하룻밤 이야기]

이판사판 2023. 09. 08. 백로(白露) – 아침 오솔길 가장자리의 풀잎에 이슬이 맺는다. — 결로(結露)는 더운 쪽이 찬 쪽을 만나 결실을 보여주는 현상이다. 인류가 정보와 지식을 전달하려는 방식은 구석기와 신석기시대부터 있었다고 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것을 아는 것은 지층이 보존하였던 유물 정보들이다, 돌에서 쇠의 시대로 전환과정에서 구리와 청동을 지나 철기가 시작된 것은 기원전 1200년경이라 한다. 각 […]

시몬느 드 보부아르, 『제2의 성』(상) – “여성은 태어나는 것이 아니라, 만들어지는 것이다.” [페미니즘 고전을 찾아서 2]

시몬느 드 보부아르, 『제2의 성』(상) “여성은 태어나는 것이 아니라, 만들어지는 것이다.”   연효숙(여성과철학분과)   “여성은 태어나는 것이 아니라, 만들어지는 것이다”라고 번역되어 시중에 유통되는 이 문장은 페미니즘(여성주의)에 대해 무지하거나 적대적인 사람들도 한 번씩은 들어 봄 직한 말이다. 이 문장의 출전이 『제2의 성』(Le Deuxième Sexe, Gallimard, 1949)이며, 이 책의 필자가 ‘시몬느 드 보부아르’(Simone de Beauvoir)인 것을 아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