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상윤, 최초의 근대적 체제의 조선사상사를 짓다 [길 위의 우리 철학] – 10
윤태양
1.
1945년 우리나라는 광복을 맞이했다. 일제치하에서는 그토록 어려웠던 ‘민립대학’의 설립이, 광복과 함께 속속 진행되기 시작했다. 고려대학교의 전신인 보성전문학교도 1946년 9월, 대학으로 승격되었다. 초대총장 현상윤(玄相允, 1893~1950?)은 1946년 2월 보성전문학교 교장으로 취임해, 대학 승격과 함께 총장이 되었다. 지금 고려대학교에는 그의 동상이 세워져 있다. 대학원 건물 앞 두 동상 중 서양식 옷차림에 동그란 안경을 낀 인물이 바로 그이다.
현상윤은 고려대학교 대학원의 첫 박사이자, 국내 1호 박사이기도 하다. 1953년 3월 25일, 고려대학교는 그의 저서 『조선유학사』로 그에게 문학박사학위를 수여했다. 하지만 그에게 직접 전할 수는 없었다. 1950년 7월, 한국전쟁 때 납북된 뒤 생사를 알 수 없게 되었기 때문이다.
2.
현상윤은 고려대학교 총장으로 재직하던 중인 1948년부터 한국 사상사를 직접 강의했다. 이 강의는 훗날 『조선유학사』로 우선 발전·정리되었다. 『조선유학사』는 1948년 11월 25일 완성, 12월 5일 민중서관에서 초판이 출간되었으며, 우리나라 사람이 우리의 전통사상에 대해 근대적 체제를 갖추어 쓴 첫 사상사 저술로 평가된다. (그는 이어 『조선사상사』를 탈고했지만, 출판사에 넘긴 원고가 난리통에 유실되는 바람에 일부만이 전해질 뿐이다.)
『조선유학사』는 이 땅에 유학이 처음 전해졌다고 여겨지는 신라와 고려시대로부터 시작하여 근대의 척사위정파와 그 이후까지를 다루고 있는 통사적 사상사 저술이다. 현상윤은 우리나라의 오랜 유학적 전통에 있어 특히 조선시대의 유학을 으뜸으로 여겼다. <서문>에서 그는 ‘상고와 중고 시대 신교와 불교에 비해 유교는 이지적이고 귀족적인 성격 탓에 다수의 이해를 받지 못했고, 그러므로 조선 유학이라고 한다면 조선시대의 유학만이 탐구의 가치가 있는 것’이라며 그 까닭을 댔다. ‘중국에 비교해도 뛰어났던 조선 성리학의 이론적 수준’과 ‘일본 유학 발전에 큰 영향을 주었다는 것’ 역시 까닭 중 하나였다.
사실 조선 유학사에 대한 근대적 탐구는 그 전에도 있었다. 아마도 그 최초의 것은 일제의 관학자인 다카하시 도루(高橋亨, 1878~1967)의 식민사관에 기초한 「이조유학사에 있어서 주리파와 주기파의 발달」(1929)일 것이다. 141면에 달하는 방대한 논문에서 그는, 퇴계 이황과 율곡 이이를 주리파와 주기파로 분류하고 이들의 계통이 조선정치계의 붕당을 형성했으며, 이들 붕당 간의 당쟁이 조선사회를 지배했다고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그는 조선민족이 고착적이고 창의적이지 않으며 낙천적이고 문약하고 형식주의적이며 당파적이라고 폄훼했다. 그의 폄훼는 조선총독부의 입맛에 맞춘 편협한 것일 뿐 아니라 조선사상의 특정한 사례들로부터 민족적 특성을 부정적으로 도출하는 근거없는 논리적 비약까지 포함하고 있다는 점에서 문제의 소지가 다분하다.
다카하시 도루는 이 논문을 발표하기 전, 『조선유교연원』(1917)을 쓴 장지연(張志淵, 1864~1921)과 논쟁을 벌인 바 있다. 양자의 논쟁은 1915년 <매일신보>와 <경성일보>를 통해 수차례 진행되었는데, 요점은 조선 성리학자들에 대한 다카하시 도루의 비판에 대한 장지연의 대응이었다 할 수 있다. 다카하시 도루의 비판은 경전연구와 수양에 치중한 조선 성리학은 수기치인(修己治人)이라는 유학의 본령을 잊었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장지연은 그러한 것은 단지 일부 ‘썩은 학자들(腐儒)’의 문제였다고 대응했지만, 다카하시 도루의 주장을 완전히 뒤엎지는 못했다.
분명 다카하시 도루의 비판 중 일부는 납득할 만한 것이 있으며, 또한 당쟁 등의 문제는 당시 민족학자들 역시 공통적으로 지적한 것이긴 하다. 그러나 그의 주장은 명백히 식민사관에 기초하고 있으며, 특히 그러한 학문적·정치적 사례로부터 민족성으로 일반화시키고이를 통해 조선의 사상과 민족을 폄훼한 저의는 받아들여질 수 없는 것이다.
4.
현상윤은 1913년 보성학교를 졸업 후 1914년(22세)부터 1918년(26세)까지 일본 와세다 대학 사학급사회학과에서 유학했다. 귀국 후 중앙고등보통학교 교사로 재직하다 1921년, 29세의 나이로 중앙고등보통학교 교장으로 취임했다. (교사로 재직하던 1919년, 송진우, 최린, 최남선, 김승훈, 이승훈 등과 함께 3.1 운동을 주도했고, 2년의 옥고를 치르기도 했다.) 그에게 저 일본 유학기간은 최신의 학문을 배우고 익혔던 기간이었을 것이다. 그래서 어쩌면 다카하시 도루의 관점 자체에 대한 직접적이고 전적인 비판의식을, 그는 가지지 못했는지 모른다.
조선 유학에 대한 현상윤은 관점은 일견 다카하시 도루에서 완전히 벗어나지 못했다. 그는 조선 유학의 죄(罪)로 ‘모화사상(慕華思想)’, ‘당쟁(黨爭)’, ‘가족주의의 폐해’, ‘계급사상’, ‘문약(文弱)’, ‘산업능력의 저하’, ‘상명주의(尙名主義)’, ‘복고사상’ 등을 지적했다. 모화사상이나 당쟁, 문약 등은 모두 다카하시 도루가 조선 유학의 문제로 지적한 것들이다. 나아가 조선 유학의 영향으로 한국 민족의 사상과 민족적 성격이 바뀌었다는 것은 이런 것들이 우리의 민족성이라는 말에 다름이 아니다.
그러나 그의 『조선유학사』는 다카하시 도루와 같은 식민사관에 머물러있지만은 않았다. 그는 조선 유학에 공(功) 역시 있으며, 그것은 ‘군자학(君子學)의 면려(勉勵)’, ‘인륜도덕의 숭상’, ‘청렴절의의 존중’ 등이라고 주장했다. 조선 유학에 대한 당시의 비판적 지적들을 거론하면서 그와 함께 조선 유학의 긍정적 이면을 조명한 것이다.
5.
현상윤이 흔들어 놓은 조선 유학에 대한 비판 일변도의 관점은, 이후 한국 유학에 대한 더 많은 연구가 이뤄짐에 따라 이제 더 이상 주류 해석으로 받아들여지지 않고 있다. 현상윤이 제시한 조선 유학의 공은 전부 인정하고, 그가 언급한 과 역시 유학 자체의 문제는 아니라고 주장했던 이상은(李相殷, 1905~1976)의 「한국에 있어서의 유교의 공죄론」은 현상윤에 이은 가장 가까운 되치기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조선 유학에 대한 연구는 지금, 이 순간에도 이뤄지고 있다. 과거에 대한 근래의 연구를 분석하는 것은 과거 자체에 대한 연구만큼이나 중요하다. 그것이 특히 바로 ‘우리의 철학’에 대한 것이면 더욱 그러할 것이다. 현상윤은 우리 철학을 돌아보는 것의 중요성을 일치감치 깨닫고 있었다. 우리의 철학은 곧 우리의 정신이기 때문이다. 맹목적인 찬양도 근거없는 비판도 우리는 부수고 나아가야 한다. 우리의 정신, 우리 철학은 지금도 진행 중이다, 이 길 위에서.
기고자: 윤태양(건국대학교, 한국철학사상연구회 회원)
건국대학교에서 순자로 석, 박사를 마쳤다. 교양으로서의 인문학을 지역시민에게 퍼뜨리는 것과 권리중심사회에 걸맞는 도덕철학의 규명에 관심을 두고 있다.
블로그진 ‘길 위의 우리철학’은 한국현대철학을 함께 공부하고 토론하는 한국철학사상연구회의 ‘한국현대철학분과’에서 만든다. ‘길’은 과거로부터의 역사이기도 하고, 오늘의 삶이기도 하고, 미래로 열린 희망이기도 하다. 그 위에 서서 우리는 언제나 어느 길이 더 나은 길인지, 바른 길인지 생각하고 선택한다. 그렇게 ‘길’은 지향志向이기도 하고, 그래서 철학이기도 하다. 한국현대철학분과는 앞으로 월 2회 블로그진을 통해 우리철학이 서 있었던 길, 우리철학이 만들었던 길을 이야기 하려고 한다.
- 광장에 서다 – 촛불의 승리 그리고 박정희 시대의 종언 [길 위의 우리 철학] -1 : 박영미
- 대통령 탄핵, 그 후 – 박은식(朴殷植)의 개혁론, 독립운동, 임시정부 [길 위의 우리 철학] – 2 : 이지
- 송곡의 길가에서 최시형을 만나다 [길 위의 우리 철학] –3 : 구태환
- 붉은 얼굴의 경계인(境界人), 신남철 [길 위의 우리 철학] – 4 : 이병태
- 어린이를 노래하는 방정환을 만나다[길 위의 우리 철학] – 5 : 김세리
- 국가의 철학, 철학의 부재(不在), 안호상 – [길 위의 우리 철학] – 6 : 박민철
- 정치의 중심에서 주변을 배회한 타고난 근대인 몽양(夢陽) 여운형 [길 위의 우리 철학] – 7 : 유현상
- 우리, 나라, 사랑 – 윤치호와 관련한 애국에 대한 단상 [길 위의 우리 철학] – 8 : 배기호
- 서일- 잊혀진 어느 무장투쟁 사상가의 초상 [길 위의 우리 철학] – 9: 김정철
Leave a Reply
Want to join the discussion?Feel free to contribu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