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파성’이 ‘객관성’에 앞선다.[철학을다시 쓴다]-⑤

Spread the love

‘당파성’이 ‘객관성’에 앞선다.[철학을다시 쓴다]-⑤

 

윤구병(도서출판 보리 대표)

 

* 이 글은 보리출판사의 허락을 받아 게재한 것임을 알립니다.

 
 

이제부터 파르메니데스가 이미 없는 것으로 규정했던 과거와 아직 없는 것으로 규정했던 미래와 있는 것으로 규정한 현재의 관계가 어떻게 형성되는지 몇 개의 문장으로 나타내 볼까요?

1-1. 있었던 것이 있었다.
1-2. 있었던 것이 없었다.
1-3. 없었던 것이 있었다.
1-4. 없었던 것이 없었다.

2-1. 있는 것이 있었다.
2-2. 있는 것이 없었다.
2-3. 없는 것이 있었다.
2-4. 없는 것이 없었다.

3-1. 있을 것이 있었다.
3-2. 있을 것이 없었다.
3-3. 없을 것이 있었다.
3-4. 없을 것이 없었다.

위에 적은 열두 개의 문장은 모두 이미 없는 것의 관점에서 본 과거─과거, 현재─과거, 미래─과거의 관계들을 나타냅니다. 여기에서,

1-1은 과거의 실재를 단순히 확인하는 문장으로 볼 수도 있고 과거의 어느 시점에서 그보다 앞선 과거가 지속되어 왔음을 가리키는 문장으로 볼 수도 있습니다.

1-2는 하나도 없었다는 말의 다른 표현으로 해석할 수도 있고, 또 그보다 앞선 과거에는 있었던 것이 과거의 어느 시점에서 보니 없어졌음을 나타내는 문장으로 볼 수도 있습니다.

1-3은 빠진 것이 있었다는 말의 다른 표현이거나 그보다 앞선 과거에는 없었던 것이 과거 어느 시점에서 있게 됨을 나타낸 문장으로 볼 수도 있습니다.

1-4는 다 있었다는 말의 다른 표현으로 해석될 수도 있고, 또 그보다 먼 과거에도 없었던 것이 과거의 어느 시점에서도 없었다는 것을 확인하는 문장으로 해석될 수도 있습니다.

하나의 문장이 하나의 사태를 가리키지 않고 여럿(둘 이상)의 사태를 가리키는 까닭(다시 말해서 언어의 모호성)은 사태의 무규정성을 반영합니다. 우리가 이미 없는 것, 지나간 것, 끝난 것으로 파악하는 과거에도 여전히 규정되지 않는 것, 유동적인 것, 바뀔 수 있는 것, 변화의 계기가 들어 있고, 바로 이 과거에, 이미 없는 것으로 규정된 것에 남아 있는 변화와 운동의 숨은 힘이 어떤 계기에 현재와 미래를 바꾸는 힘으로 작용합니다.

파르메니데스(Παρμεν?δη?, 기원전 510년경 – 기원전 450년경) /출처: athenakanenas.blogspot.com

1-1에서 1-4까지 살펴본 문장이 이미 없는 것 사이의 내부 관계를 드러내는 것이라면, 2-1에서 2-4까지는 지금 있는 것(지금 없는 것)과 이미 없는 것 사이의 관계를 드러내는 문장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2-1은 실재하는 것이 지난날에도 있었다는 뜻으로 해석할 수도 있고, 지금 있는 것이 지난날에도 있었다는 뜻으로 해석할 수도 있습니다.

2-2는 하나도 없었다는 말의 다른 표현일 수도 있고, 지금은 있는 것이 지난날에는 없었다는 뜻으로 해석될 수도 있습니다.

2-3은 빠진 것이 있었다는 말의 다른 표현일 수도 있고, 지금은 없는 것이 지난날에는 있었음을 뜻할 수도 있습니다.

2-4는 다 있었다는 말의 다른 표현일 수도 있고, 지금 없는 것이 지난날에도 없었음을 뜻할 수도 있습니다.

얼핏 보면 2-1과 2-4 문장은 현재까지 이어져 온 과거의 사태를 가리키고, 2-2와 2-3 문장은 변화된 사태를 가리킵니다. 그러나 상황은 그렇게 간단하지 않습니다. 2-2, 2-3, 2-4 문장이 단순히 과거의 관점에서 본 현재와 과거의 지속이냐, 변화냐를 나타내지 않고, 이미 없는 것 자리에서 하나와 빠진 것과 여럿(다는 여럿 모두를 가리키는 말입니다.)을 문제삼고 있지 않습니까? 말하자면 이미 없는 것에 지금 있는 것(지금 없는 것)이 문제 상황으로 이미 담겨 있는 것입니다.

저마다 뜻은 다르지만 1-1에서 2-4까지 여덟 개의 문장은 전체로 보아 모두 과거의 관점에서 내린 사실 판단의 틀 안에 들어 있습니다.

그러나 앞으로 살펴볼 3-1에서 3-4까지 문장은 사실 판단의 틀을 벗어납니다. 물론 이 문장들이 지닌 뜻의 일부는 사실 판단의 틀 속에 가둘 수도 있지요. 그러나 사실 판단의 틀을 아무리 넓혀 놓아도 여전히 그 밖에 서 있는 의미의 계열을 확인할 수 있을 것입니다.

3-1은 앞으로 있으리라 예상되는 사태가 지난날에도 있었다는 뜻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이 해석의 틀 안에서 보면 이 문장은 사실 판단의 한 갈래입니다. 그러나 이 문장은 또 있어야 할 것이 있었다는 뜻으로 해석해도 손색이 없습니다. 앞으로 있게 될 것이 아니라 지난날 마땅히 있어야 한다고 여겼던 것이 있었다는 뜻도 지니고 있다는 거지요. 3-2, 3-3, 3-4 문장 모두 마찬가지입니다.

이미 없는 것과 아직 없는 것 사이에 사실 판단뿐만 아니라 가치 판단까지 내릴 수 있는 관계가 성립한다는 게 기묘하지 않습니까?

판단 주체의 문제로 돌아가자고요? 그 주체가 무엇입니까? 누구입니까? 인간의 의식인가요? 아니면 초월의식인가요? 혹시 개미나 선인장은 그 주체 안에 들어가지 않습니까?

나머지 문장들을 분석해 보고 논의를 진행시키기로 하지요.

아래에 다른 열두 개의 문장이 있습니다. 이 문장들은 지금 있는 것의 관점에서 본 이미 없는 것과 아직 없는 것과 있는 것의 관계를 드러내는 문장들입니다.

가-1. 있었던 것이 있다.
가-2. 있었던 것이 없다.
가-3. 없었던 것이 있다.
가-4. 없었던 것이 없다.

나-1. 있는 것이 있다.
나-2. 있는 것이 없다.
나-3. 없는 것이 있다.
나-4. 없는 것이 없다.

다-1. 있을 것이 있다.
다-2. 있을 것이 없다.
다-3. 없을 것이 있다.
다-4. 없을 것이 없다.

여기에서, 문장 가-1은 ‘지난날에 있는 것이 지금도 있다.’는 뜻으로 읽힐 수 있습니다. 또 ‘지난날에는 하나도 없었단 말이냐?’라는 질문에 ‘아니다. 지난날에도 무엇인가 있었다.’는 답변의 뜻으로 이 말을 했을 수도 있습니다.

문장 가-2는 ‘지난날에 있는 것이 지금은 없다.’는 뜻으로 읽힐 수 있습니다. 또 ‘하나도 없었다.’는 뜻으로 읽힐 수도 있습니다. 이 두 번째 뜻풀이에서 없다는 현재가 없었다는 과거로 때 매김이 바뀌었다는 사실을 눈여겨보십시오.

문장 가-3은 ‘지난날에 없는 것이 지금은 있다.’는 뜻으로 해석할 수도 있고 또 ‘빠진 것이 있었다.’는 뜻으로 해석할 수도 있습니다. 현재에서 과거로 시점 전환이 또 한 번 더 이루어졌습니다.

문장 가-4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이 문장이 지닌 뜻 하나는 ‘지난날 없는 것이 지금도 없다.’이지만 다른 뜻은 ‘다 있었다.’입니다. 여기서도 지금 있는 것(지금 없는 것)이 의미 전환을 통하여 이미 없는 것으로 때매김이 바뀌어 버렸습니다. 말하자면 우리의 의식 속에서도 불가능한 일이 일어난 것입니다. 과거와 현재, 과거와 미래, 현재와 과거, 현재와 미래, 미래와 과거, 미래와 현재를 이어 주는 비밀의 통로가 없고서야 어떻게 이런 일이 일어날 수 있나요? 현실은 그렇지 않은데 우리의 의식이 만들어 낸 가상의 통로일 뿐이라고요? 글쎄요, 과연 그럴까요?

나머지 문장들을 살펴보기로 하지요.

문장 나-1에서 나-4까지는 이 강의 처음 시작할 때부터 이제까지, 또 앞으로도 두고두고 되풀이되는 분석의 대상이므로 여기에서는 빼기로 합니다.

문장 다-1에서 다-4까지는 모두 가치 판단을 내포하고 있다는 사실이 한눈에 보일 것입니다. 물론 다른 해석의 가능성이 없는 것은 아닙니다.

다-1을 ‘앞으로 있게 될 것이 지금 있다.’는 뜻으로, 다-2를 ‘앞으로 있게 될 것이 지금 없다.’는 뜻으로, 다-3을 ‘앞으로 없게 될 것이 지금 있다.’는 뜻으로 또 다-4를 ‘앞으로 없게 될 것이 지금 없다.’는 뜻으로 해석하자면 못 할 것도 없지요. 그러나 이 문장들을 그런 사실 판단의 틀 속에 억지로 끼워 맞추려는 데는 무리가 따릅니다.

그러면 여기에서 이런 의문이 떠오를 것입니다.

‘왜 과거와 현재의 상관관계에서는 사실 판단만 성립하는데 미래가 끼어들면, 다시 말해 지금까지 살펴본 바로는 미래와 과거, 미래와 현재가 관계를 맺을 때는, 그리고 미래가 주체가 될 때(미래를 나타내는 말이 주어의 자리에 올 때)는 가치 판단이 성립할까?’

이 문제에 대한 해명은 나머지 문장들을 살펴보고 난 뒤로 돌리기로 하지요.

이제 아직 없는 것의 관점에서 본 ‘이미 없는 것과 아직 없는 것’, ‘있는 것과 아직 없는 것’, ‘아직 없는 것’ 들 상호 관계를 드러내는 열두 개의 문장을 적겠습니다.

ㄱ-1. 있었던 것이 있을 것이다.
ㄱ-2. 있었던 것이 없을 것이다.
ㄱ-3. 없었던 것이 있을 것이다.
ㄱ-4. 없었던 것이 없을 것이다.

ㄴ-1. 있는 것이 있을 것이다.
ㄴ-2. 있는 것이 없을 것이다.
ㄴ-3. 없는 것이 있을 것이다.
ㄴ-4. 없는 것이 없을 것이다.

ㄷ-1. 있을 것이 있을 것이다.
ㄷ-2. 있을 것이 없을 것이다.
ㄷ-3. 없을 것이 있을 것이다.
ㄷ-4. 없을 것이 없을 것이다.

ㄱ-1에서 ㄱ-4까지 이미 없는 것이 주어가 되고 아직 없는 것이 술어가 되는 과거와 미래의 관계에서 있을 것, 없을 것이라는 판단은 있어야 할 것이나 없어야 할 것이라는 당위나, 있으리라 또는 없으리라는 예상이 아니라 추측의 성격을 띱니다. 칸트의 분류에 따르면 이른바 개연 판단이라고 할 수도 있겠지요.

물론 ㄱ-1을 ‘지난날 있는 것이 앞으로 있으리라 예상된다.’ 또는 ‘무엇인가 있었을 것이다.’ ㄱ-2를 ‘지난날 있는 것이 앞으로 없으리라 예상된다.’ 또는 ‘지난날 하나도 없었을 것이다.’ ㄱ-3을 ‘지난날 없는 것이 앞으로 있으리라 예상된다.’ 또는 ‘지난날 빠진 것이 있었을 것이다.’ ㄱ-4를 ‘지난날 없는 것이 앞으로 없으리라 예상된다.’ 또는 ‘지난날 다 있었을 것이다.’로 뜻풀이하자면 할 수도 있겠지요. 그러나 특별한 경우에 생략 어법에 따라 현재라는 관계 고리가 빠져도 이해되는 그런 상황에서가 아니라면 이 문장들을 보고 예상이나 예측이 강조되어 있다고 할 수 없을 것입니다.

여기에서는 ‘무엇인가 있었을 것이다.’ ‘하나도 없었을 것이다.’ ‘빠진 것이 있었을 것이다.’ ‘다 있었을 것이다.’라는 의미가 각각의 문장에 함축되어 있어서 술어에서 아직 없는 것이 이미 없는 것으로 시점 전환이 일어납니다. 말하자면 과거의 미래가 현재의 과거로 바뀌는 상황인데 이러한 변화는 나중에 변화와 운동을 통틀어 다룰 때 자세히 이야기하기로 합시다.

ㄴ-1에서 ㄴ-4까지 문장도 예상, 예측의 뜻으로 새길 수 있습니다. 그러나 ㄱ-1에서 ㄱ-4까지 문장과 마찬가지로 이 문장들에서도 추측의 측면이 두드러집니다.

ㄴ-1은 ‘무엇인가 있으리라 추측한다.’

ㄴ-2는 ‘하나도 없으리라 추측한다.’

ㄴ-3은 ‘빠진 것이 있으리라 추측한다.’

ㄴ-4는 ‘다 있으리라 추측한다.’

의 뜻으로 자연스럽게 풀이할 수 있습니다.”

0 replies

Leave a Reply

Want to join the discussion?
Feel free to contribute!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