벼락이 떨어져도 나는 내 서재를 뜰 수가 없다,『임종국 평전』/나태영 [보고 듣고 생각하기]

Spread the love

[보고 듣고 생각하기]

벼락이 떨어져도 나는 내 서재를 뜰 수가 없다

정운현이 쓴 『임종국 평전』
글: 나태영(교육강좌 수료, 한철연 회원)

 

‘특유의 씨익 웃음’(240, 241쪽)

책 얼굴에서 임종국 선생이 웃으신다. 웃으신다. 해맑게 웃으신다. 장마비 내린 뒤 방긋웃는 햇님처럼 밝게 웃으신다. 달님이 시기할 정도로 밝게 웃으신다. 나도 덩달아 웃는다. 『임종국 평전』 책 얼굴 디자인 한 사람 참말로 멋지다. 은은한 바탕색에 개구쟁이같이 웃는 임종국선생 사진을 책 얼굴에 멋지게 올렸으니 말이다. 당신이 해맑게 웃을 수 있었기에 친일문학론을 쓸 수 있었다. 많은 어려움 속에서도 『친일문학론』을 쓸 수 있었다. 벼락이 떨어져도 임종국 선생은 당신 서재를 뜨지 않으셨다. “죽어서 하느님 앞에 가서 너 다시 태어나고 싶으냐 하고 물으시면, 연자맷돌에 온 몸이 갈리더라도 다시는 태어나지 않겠다”(456쪽)고 말했을 정도로 선생 삶은 감당하기 힘든 삶이었다. 그런데도 선생은 당신 서재를 뜨지 않으셨다. 벼락이 선생을 무서워했다.

 

임종국 선생은 왜 『친일문학론』을 썼는가?

‘한 일본군 병사가 그에게 물었다.

“우리는 전쟁에 졌다. 너는 어떻게 생각하나?”

“예! 조선이 독립하게 돼서 기쁩니다.”

순간 그 일본군 병사는 마치 죽일 듯이 그를 노려보았다. …

“20년 후에 다시 만나자!”

▲ 임종국 평전, 정운현 지음, 시대의 창 펴냄

그로부터 꼭 20년 후인 1965년 여름, 한일회담 반대 데모로 그해 여름은 뜨거웠다. “꼭 20년 후에 만나자”더니, 정말 20년 만에 쪽발이 놈들이 다시 몰려오게 되는구나! 그놈들은 일개 병사조차 “20년 후에 다시 만나자”는 신념을 갖고 있었는데 우리는 장관이란 사람이 “제2의 이완용이 되더라도” 타령을 하는 판이었다. …

회담이 타결되기도 전에 그런 타령부터 나온다면, 그것이 타결된 후의 광경은 뻔한 것이라고 생각되었다. 물밀듯이 일세日勢는 침투해올 것이요, 거기에 영합하는 제2의 이완용이, 제2의 송병준이, 제2의 박춘금이가 얼마든지 또 생겨날 것이다. 묵은 친일파들이 비판받는 꼴을 본다면, 제2의 이완용, 박춘금이 그래도 조금은 주춤하겠지? 이런 생각에서 친일문학론을 쓰기로 작정했다.(237, 238쪽)

1592년 일본이 조선을 침략했다. 318년 후 1910년 일본이 조선을 강점했다. 2012년은 일본이 조선을 침략한 지 7주갑(420년)이 되는 해이다. 대통령 이명박은 2008년 7월 15일 일본 후쿠다 총리와 정상 회담을 했다. 이 회담에서 일본 총리가 “다케시마의 내용을 일본 교과서에 싣지 않을 수 없다”고 했다. 대통령 이명박은 “지금은 곤란하다. 조금만 더 기다려 달라”고 말했다. 임종국 선생이 『친일문학론』을 쓴 지 여러 해가 지났는데도 대통령이 지닌 역사의식이 참으로 낮다는 생각이 든다. 이 땅에 이런 대통령이 다시는 나와서는 안 된다. 그리 되려면 『친일문학론』, 『친일파는 살아있다』, 『임종국 평전』 이 세 책이 이 나라에서 많이 읽혀야 한다. 학교 선생님과 이 나라에서 여론을 이끌어가는 사람들이 열심히 해 주길 기대해 본다.

선생은 『친일문학론』을 내면 책이 많이 팔릴 것이라고 확신 했다. 뭔가 지식인 사회에서 치열한 논쟁이 벌여질 것이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현실은 그렇지 못했다. 우선 출판사들이 책 출판을 꺼렸다. 용케도 나서는 출판사가 있어서 어렵사리 책이 출판되었다. 하지만 반응은 그리 신통치 못했다. 『친일문학론』에서 이야기 대상이 된 당사자들과 그들과 관련된 인간들이 서로 이 책을 무시했기 때문이다.

‘선숙의 증언에 따르면, 평화출판사 이전에 몇몇 출판사에 출판을 제안했으나 모두 거부당했다고 한다. 특히 그의 고대 동문인 신일철, 민영빈 등은 “나중에 안 좋다”며 책 출간을 말리기도 했다고’

‘허 사장은 초판 1000부를 찍으려다 500부를 더 얹어 1500부를 찍기로 결정했다. 그런데 결과는? 역시 허사장의 예측이 맞았다. 초판 1500부를 소화하는데 꼬박 13년이 걸렸다. 1979년 10?26이 난 뒤에 가서야 겨우 재판을 찍었다. 하나 놀라운 사실은 초판 1500부 가운데 500부는 국내에서 소화되고 나머지 1000부는 일본으로 건너갔다고 허 사장은 전했다.’(253, 254쪽)

‘문단의 내로라하는 거물들을 실명으로 비판하고 나섰으니 상식적으로 본다면 언론도 대서특필하고 또 당사자들도 이런저런 이유를 대며 명예훼손이니 어쩌니 난리법석을 피웠을 만도 하다. 그러나 이런 예상은 보기 좋게 모두 빗나갔다. 마치 서로 입을 맞추기라도 한 듯 언론도, 문단도 모두 의외로 조용했다.(물론 전연 보도가 안 된 건 아니다. 다만 비중이나 관심도가 낮았다는 애기다).’(255, 256쪽)

『친일문학론』이 많이 팔리지 않게 되어 임종국 선생은 크게 실망한다. 지식인 사회의 무반응이 그를 더 힘들게 했을 것이다. 이혼, 힘겨운 밥벌이 등이 그를 힘들게 했다. 임종국 삶을 알게 되면 ‘목구멍이 포도청이다’라는 속담이 떠오른다. 사진은 많은 것을 말한다. 글이 말하는 것보다 더 많은 것을 말한다. 『임종국 평전』 452쪽 사진은 선생의 삶이 힘들었음을 잘 말해 준다. 이 책을 쓴 정운현은 그 사진 밑에 이렇게 썼다. ‘죽어서는 ‘바람’이 되고자 했던 종국, 요산재 옆 눈밭에 서 있는 그의 모습이 한없이 쓸쓸해 보인다.’

 

임종국을 만든 사람들?

『이순신을 만든 사람들』이라는 책이 있다. 거북선을 만든 나대용 장군, 조선 최고의 해전 전문가, 정걸 장군, 물길 연구에 삶을 바친 어영담 등이 그들이다. 임종국을 만든 사람들은 이순신을 만든 사람들보다 더 많다. 임종국 할머니, 할아버지, 임종국 엄마, 아버지, 김대기, 임경화 등이 그들이다. 임종국 아버지 임문호는 호연지기의 대명사이시다.

‘끝으로 종국이 부친 임문호의 친일 행적을 친일문학론에 싣게 된 경위를 알아보자. 이에 대해서는 경화의 증언이 있다(순화도 같은 증언을 했다).

“1966년 1월쯤이라고 생각됩니다. … ‘아버지! 친일 문학 관련 책을 쓰는데, 아버지가 학병 지원 연설한 게 나왔는데, 아버지 이름을 빼고 쓸까요? 그러면 공정하지가 않은데…’ 하자 아버지께서는 ‘내 이름도 넣어라, 그 책에서 내 이름 빠지면 그 책은 죽은 책이다’고 하셨습니다.”(366쪽)

평화출판사 허창선 사장은 『친일문학론』을 이 세상에 낸 사람이다. 재혼한 아내 이연순과 김대기, 임경화는 임종국선생 말년 5년을 함께한 사람들이다. 백기완 선생은 감옥에서 『친일문학론』을 퍼뜨린 사람이다. 이근성, 서화숙, 나문순은 기자로서 임종국 선생을 언론 매체에 알린 사람들이다. 백기완 선생은 “한국의 진보는 임종국부터 시작했다”고 말했다. 리영희 선생은 임종국 선생을 직접 만나지는 못했지만 임종국 선생을 크게 칭찬한 사람이다.

‘당대의 지성’ 리영희(1929년생, 77세, 전 한양대 교수)는 지난 1984년 한길사에서 펴낸 『분단을 넘어서』에서 “임종국이라는 사람은 참으로 훌륭한 일을 했다고 나는 생각한다. 나와는 일면식고 없지만 이 분이 펴낸 『친일문학론』은 앞으로 세워질 독립기념관의 현관, 제일 눈에 띄는 위치에 진열될 만한 가치가 있다.”고 극찬을 아끼지 않았다(독립기념관은 1987년 8월 15일 개관됐기 때문에 리영희의 글은 미래시제이다.)(294쪽)

이외에도 임종국을 만든 사람들이 이 책에 많이 나온다. 선생을 사랑한 사람, 선생을 존경한 사람, 선생을 애틋하게 바라본 사람, 그들이 임종국을 만들었다. 그들이 『친일문학론』이라는 책을 만들었다.

임종국선생은 이 사회를 상식이 통하는 사회로 만들었다.

선생이 어려움 속에서도 친일파 청산에 나섰기 때문에 이 땅에서 『친일인명사전』이 나오게 되었다. 이 땅 친일파 후손들이 친일인명사전이 나오지 못하게 막았다. 이 땅 친일파 국회의원들이 친일인명사전 나오는 것을 막았다. 하지만 이 땅에 깨어있는 민주시민이 있었다. 김호룡씨가 『친일인명사전』 편찬을 위한 네티즌 모금운동을 맨 처음 제안했다.

‘2004년 1월 8일 오후에 시작된 『친일인명사전』 제작비 국민모금은 만 4일이 채 지나지 않은 12일 오전 11시 30분 이미 1억원을 넘어섰다. …

이번 캠페인은 『오마이뉴스』에 실린 7일자 정운현 칼럼 ‘다떨어진 헌 고무신짝을 부여잡고’ 아래 독자의견으로 붙은 ‘참세상(kimhr)’이란 네티즌의 ‘『친일인명사전』 발간비용을 모읍시다’라는 글이 도화선이 됐다.’(《오마이뉴스》, 홍성식, 2004. 01.12)

이 켐페인은 시작된지 열 하루만에 5억원의 사업비를 민족문제연구소에 안겨놓고 말았다. 최종적으로 7억원이 모금되었다. 그리하여 친일파 국회의원이 막았던 『친일인명사전』이 바로 이 땅에 나오게 되었다. 임종국 선생이 땅 속에서 ‘특유의 씨익 웃음’을 지으실 것 같다.

 

호방하고도 섬세한 시인 임제(林悌)선생이 황진이와 당신 직계 자손 임종국(林鍾國) 죽음을 슬퍼하며 이 시를 지었나보다.

 

‘청초 우거진 골에 자난다 누었난다

홍안은 어디 두고 백골만 묻혔난다

잔 잡아 권할 이 없으니 그를 슬허하노라‘

『몸은 곤궁하나 시는 썩지 않네』, 송재소 씀, 한길사, 147쪽

 

나도 시간 내서 임종국 선생 묘소에 한 번 들러야겠다. 정운현이 쓴 『임종국 평전』을 한 권 들고 선생 묘소에 한 번 들러야겠다. 선생께 『임종국 평전』에 싸인 해주십사 부탁하러 당신 묘소에 한 번 들러야겠다. 독자 여러분도 그리 해주세요.

 

 

0 replies

Leave a Reply

Want to join the discussion?
Feel free to contribute!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