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게 과연 인류의 훌륭한 유물일까? [책익는 마을 책읽는 소리]

Spread the love

임명옥 (책익는 마을 주민)

 

런던의 대영박물관

4년 전에 나는 런던에 한 달 동안 머문 적이 있었다. 엄마와 아이와 나까지 세 여자가 짐을 꾸려 남동생 가족이 사는 런던에 갔던 것이다. 엄마는 아들이 어떻게 사는 지 궁금해 하셨고, 나는 당시 5학년이었던 아이에게 이국적인 문화를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주고 싶었고, 나 자신에게는 내가 여태까지 배우고 누려 왔던 서구 문물을 직접 경험해 보고 싶었다.

런던에 있는 박물관과 미술관은 거의 다 돌아봤는데 그 중에서 가장 인상적인 곳은 대영박물관이었다. 박물관은 건물 자체가 문화유산이었고, 그 곳에 전시된 유물은 너무나 많고도 흥미진진했다. 이집트 관에는 로제타석을 비롯한 미이라와 석상, 오천 년 전에 만들어진 그림 문자 히에로클리프가 전시되어 있었고, 앗시리아 관에는 메소포타미아 문명이 만들어낸 쐐기문자와 돌로 조각한 벽화들이 생생하게 살아 있으며, 그리스 관에는 네레이드 신전을 그대로 옮겨 놓은 아름다운 이오니아식 기둥과 살아 움직이는 듯한 대리석 조각들이 이천 년의 세월을 거슬러 올라와 장엄함과 생동감을 뿜어 내고 있었다.

그 밖에도 그리스 로마, 이슬람, 중세 유럽, 동남아시아와 한국, 일본, 중국, 아프리카에 걸쳐 옛 시대의 유물들이 석상과 도자기, 타일과 모자이크, 벽화와 그림 등의 형태로 남아서 박물관을 견학하는 많은 이들에게 인류가 어떤 길을 걸어 왔는지 배우고 생각할 수 있는 기회를 주고 있었다. 나는 이 박물관을 네 번 찾아 갔는데, 갈 때마다 이전에는 보지 못 했던 새로운 유물들이 눈에 띄어 보고 또 봐도 재미가 있고 흥미로웠다.

 

런던의 내셔널갤러리

두 번째로 좋았던 곳이 런던의 내셔널갤러리였다. 이 미술관 역시 건물 자체가 보존해야 할 가치가 있는 웅장함과 장엄함을 띠고 있었는데, 그림의 규모는 자그마치 2,300여 점이고, 그것도 13세기부터 20세기에 걸쳐 인류의 문화를 빛낸 유명한 화가의 작품들이 소장되어 있는 곳이다. 나는 이 미술관을 런던에 있는 동안 세 번 방문했는데, 좋아하는 화가의 그림을 몇 번이고 몇 시간이고 구경하다 올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 고흐 그림은 7점이 전시되어 있었는데, 나는 고흐의 ‘해바라기’ 앞에 오래도록 서 있었다. 노란색 유화 물감이 한 잎 한 잎 해바라기 잎이 되어 액자 속에서 꿈틀거리는 붓터치가 마치 고흐의 그림에 대한 열정과 비극적인 삶을 연상시켰기 때문이었다.

렘브란트 그림 중에서는 그의 자화상 두 점이 인상적이었다. 젊었을 때의 자신만만하고 부유했던 모습과 나이 들어서 가난해지고 인생살이에 지친 모습이 그려진 대조적인 두 그림이 나 자신의 인생을 돌아보게 하고 앞으로의 삶에 대해 고민하게 만들어 자꾸만 찾게 되는 그림이었다. 루벤스의 그림은 그리스 신화나 고대 로마 시대의 역사적인 사건, 성경에 나오는 내용들을 그린 한쪽 벽면을 가득 채운 그림들이 나를 매혹시켰다. 거대한 그림의 크기가 주는 웅장함과 그림의 내용에서 상상되는 이야기가 생동감과 화려함에 더해져 나는 루벤스 방에서 편안한 소파에 앉아 시대를 거슬러 올라 살아 숨쉬고 있는 듯한 그의 그림을 넋을 잃고 감상하곤 했었다.

 

웨스터민스터 사원

그리고 웨스터민스터 사원을 비롯한 솔즈베리 성당과 성 폴 성당이 있다. 우리 나라의 문화 유산이 불교의 영향으로 절집이 많은 것에 비해 서양 건축 문화의 원동력은 단연코 성당이라 할 것이다. 런던에서 가장 유명한 성당은 웨스터민스터다. 천 년 정도 되는 역사를 가지고 있고, 영국 왕실의 결혼식과 장례식을 치루는 장엄함과 화려함을 함께 갖춘 곳이며 뉴턴이나 세익스피어, 엘리자베스 1세와 같은 역사적인 인물들이 잠들어 있는 곳이기도 하다.

건물의 외양을 볼 것 같으면 하늘을 찌를 듯한 고딕 양식의 첨탑이 건물 꼭대기를 균형 있게 장식해서 보는 이로 하여금 위압감과 함께 숙연함이 느껴지게 만들고, 사원 정문에는 성인들을 돌로 새긴 부조가 가득 해서 섬세함과 미려함이 조화를 이루어 감탄사가 절로 나온다. 내부 역시 신의 영광을 찬미하고 숭배하기 위한 아름다운 장식과 석조물들로 가득하다. 가운데는 예배를 보는 장소이고, 양 옆으로는 옛 시대 영국의 위엄과 발전을 이룬 유명인들의 관이 전시되어 있다. 전체적인 건물 분위기는 몇 백 년 전 돌의 느낌이 그대로 보존되어 있어 전통이 살아 숨쉬는 듯한 고풍스러움이 느껴졌다.

나는 사실 영국인들이 만들어 놓은 빅벤이나 성당들, 박물관과 미술관을 보고 나도 모르게 주눅이 들었다. 그들이 부를 적나라하게 과시하는 것 같아 시샘하는 마음이 생기기도 했고, 고대 이집트나 앗시리아, 그리스 로마의 유물들을 전시해 놓은 것을 보고 침략자의 자기 과시라는 생각도 들었다. 하지만 다른 한 편으로는 런던에서 산다면 인류가 남긴 문화유산을 마음껏 볼 수 있을 거라는 생각에 부러움을 금할 수가 없었다. 그것 때문에라도 나는 런던이 마음에 들었고, 살고 싶은 생각이 들게 되는 도시였다.

 

훌륭한 문화유산은 무엇일까?

그리고 지금 나는 유홍준의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6권을 읽었다. 저자는 우리나라의 문화유산을 널리 소개하고 대중화시키는 데 많은 기여를 한 인물이다. 저자를 통해 나 역시 우리 문화에 대해 새롭게 보는 시각을 갖게 되었다. 하지만 나는 전 국토를 박물관이라 생각하고 우리 문화를 소중히 여기는 삶과 서양 문물에 익숙하고 서양식 교육에 전염되어 우리 것을 무시하고 얕잡아 보는 태도 속에서 갈팡질팡하고 있다.

어려서 나는 공교육을 통해 민요나 아악보다 성악이나 기악곡을 더 많이 배웠고, 단원이나 혜원보다 레오나르도 다 빈치나 미켈란젤로를 더 많이 접했다. 이황이나 이이의 철학보다 소크라테스와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을 더 자세하게 배웠으며, 홍대용이나 정약용보다 뉴턴이나 다윈과 같은 과학자에 대해 더 상세하게 배웠다. 또한 초가집과 기와집은 불편해 하고 양옥이나 아파트의 편리성에 더 일찍 눈을 떴다. 서양식 합리주의와 효율성에 힘입어 우리 문화는 불편하고 고루한 것이라는 인식을 가지게 되어 관심은 그저 서양의 역사와 문화, 서양 것에 대한 호기심 뿐이었다. 그래서 나는 어쩌면 내가 배워온 서양 문화의 원류를 찾아보고 싶어 런던에 갔었고, 나의 지식과 생각이 어디에서부터 시작되었는지 근원을 찾고 싶었는지도 모르겠다.

나는 그들의 문화유산이 한없이 부러웠고, 다른 한편으로는 많이 불편했다. 서양의 박물관이라는 것이 대부분 아시아와 아프리카, 아메리카를 식민지 삼아 부를 축적하고, 그를 기반으로 남의 나라 유물을 약탈해 오거나 도둑질 해 온 결과물들이라는 것을 알기 때문이다. 그런 점에서 사실 나는 그들의 문화적 유산에 주눅들 필요가 없다. 크고 화려하고 장엄하고 사치스러운 게 도적질의 결과라면, 남에게 피해 안 주고 소박하고 검박하며 질박한 문화유산이 훨씬 낫다는 생각 때문이다. 그런 의미에서 본다면 장엄하고 웅장하며, 보는 사람을 압도하고 주눅 들게 만드는 서양의 건축물보다 단아하고 고상하며 자연친화적인 우리의 건축물이 훨씬 더 인간적일런지도 모르겠다.

훌륭하다고 평가 받는 인류의 문화유산이 일반 백성들의 고혈 속에서 혹은 식민지 백성들의 힘겨운 시름 속에서 탄생했다면 그게 훌륭하다고 할 수 있는 건지 나는 생각해 본다. 무조건 크고 높고 거대하게 짓는 건축물들이 후세 사람들의 눈요기 거리가 되기 위해 혹은 그 당시 지배 계층의 권세를 과시하기 위해 수많은 사람들의 삶을 고통으로 물들인다면 그건 과연 인류의 훌륭한 유물이 될 수 있을까? 생각해 본다.

 

잃어버린 보물찾기

저자가 140여 쪽을 할애해 설명한 경복궁에 대해서도 장엄함이나 웅장함보다는 화려하지만 사치스럽지 않다는 표현을 쓰는 것으로 미루어 보아 우리의 건축물은 편안하고 여유로워 보인다. 저자는 이 책 속에서 경복궁뿐만 아니라 순천 선암사에 대해서, 거창의 서원과 정자들에 대해서, 부여의 유물과 유적지에 대해서 산뜻한 비유적 표현과 깔끔한 문장으로 읽기 쉽게 풀어내고 있다.

뿐만 아니라 동네 사람들과 식당 아주머니들, 시장에서 만난 사람들에 대한 소박한 이야기까지 담아내고 있다. 문화유산은 유형적인 것도 있겠지만, 무형적인 바로 오늘을 살아가는 사람들의 땀내와 유머와 노동과 놀이에서도 찾을 수 있겠다 싶은 저자의 의도가 행간에서 읽히는 것 같아 나는 사람들과 저자의 만남을 재미있게 읽을 수 있었다.

경복궁을 여러 번 가 보았지만 여태껏 나는 근정전 어좌 뒤의 병풍에 일월오악도가 그려진 지도 몰랐고, 월대에 석견이 조각되어 있는 줄도 몰랐다. 영재교에 천록이 있어 메롱, 하는 표정을 짓고 있는 줄은 더더구나 몰랐다. 저자의 말대로 아는 만큼 보인다고 했으니 다음 번 경복궁에 갈 때는 좀 더 자세히 궁을 보고 보인 만큼 많이 느꼈으면 싶다.

더구나 내가 사는 고장 보령의 유적지 성주사터와 가까이에 있는 소박하지만 아름다운 절집 무량사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나에게 기쁨이었다. 전통 문화에 대한 어떤 분위기도 느끼지 못 하고 사는 나에게 성주사터와 무량사의 5층 석탑과 극락전은 보물찾기처럼 내가 잃어버리고 사는 나의 정체성이 생각날 때마다 들춰 보며 찾아갈 수 있는 하나의 방법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어서이다.

???????????????????????????

 

* 이 글은 <e시대와철학>과 <책익는 마을>의 공동기획 연재물입니다. 책과 더불어 건전한 시민문화를 만들어가는 보령 책익는 마을 주민들의 다양한 세상살이, 세상보기 이야기가 펼쳐집니다. 유홍준 지음, <나의 문화유산답사기>(창작과 비평 펴냄>에 관한 임명옥 책익는 마을 회원의 글입니다.

0 replies

Leave a Reply

Want to join the discussion?
Feel free to contribute!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