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거라투스투라 소설가 김숨을 만나다[자거라투스트라 시장에 가다]
이병창(MEGA 사업단 공동대표, e 시대와 철학 자문위원)
자거라투스투라야, 왜 눈이 벌겋지? 요새 불면증이라도 생긴 거냐?
아니에요. 니체 아부지, 소설책 읽느라고요.
그 나이에, 아직도 소설을 읽느냐? 한심하다고 생각되지 않니? 니 친구들은 나라를 위해 큰일을 하려 호시탐탐 노리고 있다는데…넌 권력의지란 없느냐?
니체 아부지, 아부지가 말한 ‘권력의지’라는 것 때문에 철학자들이 죽을 지경이에요. 아부지를 위해 변명하느라고 말이에요. 저는 그걸 인간의 내면 속에서 솟구치는 자유로운 생명력을 의미한다고 설명해서, 사람들의 의심을 풀어주려 하지만, 솔직히 저 스스로 그 개념이 좀 수상하긴 해요.
뭐가 수상하다는 말이냐?
그럼, 니체 아부지, 토스토예프스키의 소설 ?악령?에 나오는 음모적인 무정부주의자도 그런 생명력을 가진다고 할 수 있지 않을까요?
자거라투스투라야, 니는 아직 도덕의 울타리를 벗어나지 못했구나. 네가 그 속에 들어가 앉은 것은 세상의 위험으로부터 너 자신을 보존하기 위한 작은 욕망 때문이지. 나는 그런 사람을 ‘종말인’이라고 부른다.
니체 아부지, 자유로운 생명력이 보편적인 선을 지향할 수는 없는 것일까요? 예를 들어 신학자 샤르댕은 그런 해석을 하고 있지만, 역시 신을 개입시키지 않을 수 없을 거 같아요.
보편적인 선이라는 굴레조차 내 던져 보렴. 그때는 이 세상이 또 다르게 보일 것이야. 왜 불교의 선사들은 백척간두에서 자기 몸을 던진다 하지 않니. 너도 그렇게 너를 버려 보렴.
니체 아부지, 솔직히 전 그게 두려워요. 제가 할 수 있는 것은 제 자신이 아니라 겨우 교수직을 던지는 정도이죠. 그런데 아부지, 요새 아주 엄청난 소설가를 제가 발견했어요? 니체 아부지, 소설가 김숨이라고 알아요?
자거라투스투라야, 숨 막힌다. 이름이 왜 이렇게 숨 막히냐? 물론 예명이겠지만 너무 팍팍하게 지은 것이 아닐까? 그런데 어떻게 알은 거지?
우연히 술자리를 같이 하게 되었어요. 잘 아는 시인을 찾아갔더니, 그 자리에 있었어요. 처음부터 끝까지 말없이 돼지고기를 굽기만 하고 전혀 먹지는 않더라고요. 그 침묵이 심상치 않아서 제가 지은 책하나 드리고, 그가 지은 소설책 한권을 받았죠. 장사치고는 제가 훨씬 이득이죠. 안 팔리는 책과 잘 팔리는 책을 교환했으니까요. 그 소설책 이름이 또 숨 막혀요. 『간과 쓸개?라니까요.
간에 붙었다 쓸개에 붙었다 하는 그런 거 말이냐? 그럼 풍자소설이겠네?
그렇지는 않아요. 대개 200년도 후반 미국발 금융위기 전후에 쓴 단편소설들을 끌어 모은 책이에요. 그 중 첫 번째 소설의 제목이 ?간과 쓸개?이고, 그 제목을 따서 책 이름으로 했어요.
소설책 한권 읽는다고 그렇게 눈이 충혈되었냐? 소설이야 그저 전철에서 읽으면 충분한 거 아니냐.
니체 아부지, 소설가 들으면 도끼 들고 나오겠어요. 김숨의 소설이 하도 재미있어서 그의 소설을 대부분 구했어요. 많이도 썼는데 지금까지 제가 구해 읽은 것은 『간과 쓸개』 말고도 『투견』, 『백치』, 『침대』가 있어요.
그래 자거라투스투라, 니가 보기에 어떻드냐?
놀라운 소설가예요. 뭐랄까 힘이 넘쳐요. 위에 말한 책 가운데 가장 빨리 나온 게 『투견』인데 (2005년 정도) 그의 소설은 거의 대부분 현실에 짓밟힌 채 무기력하게 그리고 두려워하면서 살아가는 사람들을 다루고 있어 든든한 리얼리즘의 바탕 위에 서있죠. 그런데 강열한 이미지들, 철학적인 사색들로 해서 투박한 힘이 느껴지죠. 여성 작가라고 전혀 생각되지 않을 정도예요. 그게 꼭 김기덕 감독의 영화들을 연상시킨다니까요.
아, 김숨이 여성 작가이냐? 나는 이름 때문에 정말 김기덕처럼 생긴 남자가 아닐까 했는데…
그런데 니체 아부지, 소설가 김숨에게 200년도 후반에 아마 2007-8년 사이에 무슨 일이 일어난 것 같아요. 무언가 변화가 있어요. 그저 한번 쓱 훑어보았기에 정확히 알지는 못하겠지만, 예를 들어 혹 종교적인 개종과 같은 사태가 아닐까 싶어요.
그럼 김숨이 기독교인이란 말이냐?
그건 몰라요. 저는 한 번도 김숨과 예기한 적은 없다니까요? 아까 말했잖아요. 그저 말없이 돼지고기만 굽고 있었다니까요.
그럼 종교적 개종이란 무슨 말이냐?
아니 그와 유사한 사태라는 거죠. 니체 아부지, 말 귀를 그렇게 못 알아들어요?
알겠다. 니가 그렇게 생각하는 이유를 말하라는 얘기지. 니는 나의 말귀를 그렇게 못 알아듣느냐? 자식이 애비한테 대드는 것을 나는 못 본다.
글쎄 소설가 김숨이 다루는 대상은 항상 그래요. 예를 들어 『백치들』에서는 IMF 사태로 직장을 잃은 백수들을 다루고 있죠. 어떤 사람들인지는 충분히 짐작되죠. 그런데 김숨은 이들을 묘사하면서 마치 『백년동안의 고독』에서 마르케스가 시도했던 것처럼 마술적 리얼리즘의 기법과 비슷한 것을 구사해요. 그래서 마술적인 분위기가 백수들의 어두운 삶을 에워싸고 있죠. 그들의 패배와 그들의 무기력 속에 그들이 가진 간절한 소망이 그렇게 표현되어요.
음. 마르케스는 남미의 원시림의 느낌이 들지 않나? 김숨도 그런가?
그런 원시림의 느낌은 아니에요. 오히려 썩고 끈적끈적한 물웅덩이 느낌이 들죠. 그러나 그 속에서도 생명은 살고 있는 거죠. 그런데 『간과 쓸개』에 와서 소설가 김숨에게 또 다른 변신이 일어났어요. 물론 여전히 다루고 있는 것은 우리 사회에서 짓밟힌 하층민의 삶이죠. 하지만 이 책에서는 마술적 리얼리즘을 넘어서 거의 카프카적인 느낌이 들어요.
카프카라니?
그 중의 한편을 제가 오늘 소개해 드릴 께요. 그러면 저의 말이 무슨 뜻인지 이해하실 거예요. ?모월 모일?이나 ?룸 미러?가 있는데, 그 중에 ?룸 미러?가 좋겠네요.
‘두 부부가 토요일 오후 차를 타고 구리에서 강변도로를 거쳐 파주로 가죠. 아내가 이 소설의 화자인데, 그들은 남편의 이모부의 장례식장에 가는 길이죠. 남편의 이모가 20년 전에 죽은 이후, 남편은 이모부를 만난 적이 없다고 해요. 당연히 왜 죽었는지도, 그가 어떤 사람인지도 모르죠.’
‘차의 뒷자리에는 아이들(두 남자아이)이 타고 있는데 그들은 차를 타자말자 자고 있어요. 남편은 끊임없이 룸 미러를 힐끗힐끗 보면서 아이들이 깨어나지 않을까 두려워하죠. 그건 화자인 아내도 마찬가지이에요.’
두 남자아이가 깨어나면 어떤 소동을 벌일지 짐작이 되죠. 그래서 차라리 그 아이들이 잠들어 있기를 바라는 것은 우리 사회에서 숨죽이고 살아가는 사람들의 일반적인 태도일 거예요. 그들의 삶은 그저 장례식장에서 만나는 정도이죠. 니체 아부지, 짐작이 되요?
글쎄다. 그건 아파트에 사는 한국인이나 알겠지 19세기 독일에 살았던 내가 어떻게 알겠느냐?
‘남편은 전에 아이들이 키우던 도마뱀을 죽이려 했어요. 그리고 아이들에게 박제가 된 새를 선물로 합니다.’
이게 바로 아이들을 재우는 방식이죠. 아마 도마뱀이 아이들에 내재하는 생명력이라면, 박제가 된 새는 이를 감시하는 초자아를 의미하겠죠. 어떻든 그 결과 이 중산층 부부는 평온하면서 질서 있는 삶을 살죠. 물론 거세된 삶이겠죠.
자거라투스투라야, 니가 해설까지 덧붙이지 말고, 그저 소개만 하렴. 그래야 나도 나름대로 감상하지 않겠느냐?
알겠어요. 해설은 자제하죠. 하지만 해설하지 않고 설명하는 법을 제가 몰라요. 아니면 직접 읽어보시죠.
알았다. 하여튼 계속해 보렴.
한강을 끼고 달리면서 그들은 아주 진부한 사건들을 만나죠. 관광버스를 만나는데, 그 버스 회사의 이름이 ’우주 관광‘이에요. 처음에는 빈차였는데 이상하게도 나중에는 사람이 가득 타고 있어요. 그 가운데 잠든 노인이 있는데 화자가 들여다보니 혀가 없어요. 또 살찐 돼지를 싣고 아마도 도축장으로 가는 트럭도 만나죠. 화자는 돼지들에게서 역겨운 냄새를 맡고 구역질을 느끼죠. 이런 것들은 모두 우리가 살고 있는 현실에 대한 알레고리 같아요. 거세된 삶, 그것은 곧 죽음 속에 들어있는 삶이죠. 바로 이런 세계는 니체 아부지가 유럽의 종말로 묘사한 그런 삶의 모습이죠.
그런데 차가 자유로로 들어가면서 점차 지체되기 시작해요. 비구름이 몰려와서 날은 저녁처럼 어두워지죠. 주인공이 잠깐 잠들었는데 그 사이(꿈이지 아니면 생시인지 불분명해요) 강변을 질서 있게 나르던 새들이 위협적으로 나르더니 갑자기 살찐 돼지들을 공격해요. 그리고 뒤차에서 상향등을 켜서 비현실적인 빛이 그들의 차안에 비추어 들죠. 그래서 땅에서 기던 차가 갑자기 공중에 떠있는 느낌이 들어요. 여기서부터 현실이 환상적인 세계로 바뀌는데 그런 변화가 꼭 카프카적인 세계 같아요. 하여튼 이런 일들은 무언가 다가오는 어떤 것을 암시하는 알레고리죠.
그래서 제가 소설가 김숨에게 무슨 일이 있었다고 짐작하는 거죠. 실제로 ?룸 미러?의 마지막에 무슨 일이 생겨요. 갑자기 차들이 정지해 버리고 사람들은 내려서 걸어가죠. 화자도 무슨 일이 생겼는지 알고 싶어 내려서 사람들을 따라 걸어요. 사람들 중 어떤 여인은 딸을 안고 가는데 그녀의 긴 머리칼이 딸의 숨을 막는데도 그것도 모르고 그냥 미친 듯이 걸어요. 주인공이 마침내 사람들이 멈추어 서서 모여 있는 곳에 도착하죠.
그래, 도대체 무슨 일이 생겼는데?
아니 소설은 거기서 끝나요.
“그리고 마침내 내 눈앞에 펼쳐진 그 광경을 보았다. 지금쯤 내 아이들이 잠에서 깨어났을지도 모르겠다는 끔찍한 생각을 하며…”
이게 소설의 마지막 구절이에요.
그럼, 자거라투스트라 너는 어떤 일이 일어났다고 생각하니?
글쎄요. 모르죠. 적어도 분명한 것은 그 사건은 잠든 아이들을 깨어나게 할 만한 사건이라는 거죠.
그게 뭐냐?
글쎄요. IMF 사태 같은 거? 아니면 노무현의 죽음? 하여튼 아이들이 깨어난다는 것은 적어도 니체 아부지가 말한 생명력이 솟구친다는 뜻이겠죠. 죽음과 같은 현실을 깨뜨리는 그런 힘 말이에요. 그래서 저는 긍정적으로 해석해요. 하지만 부정적일 수도 있죠. 그것은 소란과 폭동을 동반하는 것일 테니까요.
Leave a Reply
Want to join the discussion?Feel free to contribu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