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멜랑콜리아[흐린 창가에서-이병창의 문화 비평]
영화 멜랑콜리아
1)
영화 멜랑콜리아는 감독 라스 폰 트리어의 영화이다. 60년대 프랑스에서 누벨 바그가 등장했을 때, 독일에서는 노이에 키노 바람이 불었다. 이들의 주축은 파스빈더, 헤어쪼그, 벤더스 등이다. 네델란드 출신 라스 폰 트리어도 한세대 후이지만 이들을 계승하는 작가로 간주된다. 그것은 그가 68세대와 공통의 정신적 지반을 가지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그의 영화 대부분은 아주 독특한 주제를 다루고 있으며 그 속에서는 서구 문명에 대한 그의 분노를 읽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국내에서 그를 알리는 데 공헌한 영화인 ‘백치’는 백치를 내세워 정상인의 세계를 조롱하며, 영화 ‘도그빌’은 마피아의 보스가 자기 딸이 마을 사람들로부터 집단 강간당하자 마을 사람들을 집단으로 징벌하는 법과 불법이 전도된 세계를 보여준다.
영화 ‘멜랑콜리아’는 혜성(그 이름이 ‘멜랑콜리아’다)이 지구와 충돌하여 지구가 종말에 이른다는 종말적 상황을 배경으로 하고 전개된다. 지구 종말은 다른 한편, 지구 문명에 대한 분노와 최후의 심판을 의미하기도 한다.
이 영화에서 가정된 지구 종말은 실제로는 있을 것 같지 않은 상황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이런 지구 종말적 상황은 감독이 서구 문명에 대한 자신의 분노와 심판을 드러내기 위한 이야기 장치로 이해해야 할 것이다. 이것은 극 중 두 주인공 쥐스틴과 클레어의 대화 속에서도 드러난다. 쥐스틴은 지구 종말의 두려움에 떨고 있는 클레어에게 이렇게 말한다.
“지구는 사악해, 그러니 애석해 할 필요 없어.”
2)
영화는 도입부에 이어서 주인공 자매의 이름을 따서 1부 쥐스틴(동생) 2부 클레어(언니)로 이루어진다. 구성상 두 주인공이 각기 독립적으로 다루어지는 것처럼 보이지만 두 주인공은 항상 함께하며, 오히려 1부와 2부의 구분은 다루어지는 이야기 주제에 따른다고 하겠다.
1부에서 시종일관 쥐스틴의 결혼식 장면이 펼쳐진다. 1부를 시작하면서 거대한 리무진이 시골의 굴곡진 좁은 도로를 빠져나가지 못하고 갇힌 모습을 감독은 상당히 길에 보여주는데, 이는 감독이 앞으로 보여줄 서구 문명의 한계를 상징하는 장면이라 하겠다.
쥐스틴은 카피라이터로서 성공적인 경력 여성이다. 이제 막 마이클과 결혼하게 되었으니 행복할 만하다. 하지만 이 결혼식을 계기로 쥐스틴은 정식적 파국에 직면한다. 감독은 쥐스틴을 둘러싼 남자들, 회사 사장, 아버지와 어머니, 남편인 마이클을 스케치하면서 쥐스틴을 파국에 빠뜨린 원인이 무엇인지를 그려낸다.
쥐스틴을 고용한 사장은 쥐스틴이 쏘아붙인 대로 “권력에 눈이 먼 옹졸한 인간”이다. 그녀의 아버지는 이혼하고서 새로 사귄 애인인 두 명의 베티를 데리고 결혼식장에 온다. 어머니는 딸의 결혼식장에서 결혼이 무슨 필요가 있냐고 말하는 이제는 세상에 지친 여인이다. 그녀가 막 결혼하려는 마이클은 소시민적인 행복을 추구하는 인물이다. 그는 늙어서 함께 살 과수원 사진을 보여주지만, 그것은 쥐스틴의 갈망과는 거리가 먼 것이다.
서구 문명의 대표적 두 축인 사회와 가족의 표면적으로 우아하고 화려한 모습 뒤에는 이처럼 끔찍한 모습이 감추어져 있다. 이것을 통해 우리는 감독의 서구 문명에 대한 비판적 의식을 잘 알 수 있다.
쥐스틴이 정신적 파국에 처한 것은 이런 사회적 조건 때문만은 아니다. 감독은 1부에서 쥐스틴이 아버지와 할 얘기가 있다면서 아버지를 붙드는 것을 보여주는데, 그 장면은 그녀가 아버지를 갈망하고 있음을 암시한다. 그런 갈망은 2부에서 행성이 지구에 다가오면서 쥐스틴이 밤에 나체로 행성과 교감하듯이 누워 있는 모습을 통해 더욱 분명하게 드러난다. 그 때문에 행성이 다가오자 쥐스틴은 오히려 안정된 모습을 보여주게 된다.
3)
2부에서는 행성이 다가와 지구와 충돌하는 상황이 그려진다. 2부에서는 쥐스틴보다는 오히려 클레어가 전면에 등장한다.
그녀의 남편 존은 18홀 골프코스를 지닌 대저택에 살면서 천체 관측을 즐기는 자기 과시적 또는 가부장적 인물이다. 클레어는 그런 남편 아래 살면서 결혼식을 진두지휘하는 모습에서 그려졌듯이 가족에 대한 자신의 의무에 철저한 주부이다.
표정이 극과 극을 오가는 쥐스틴과 달리 클레어는 시종일관 무표정하다. 우리는 클레어의 얼굴을 통해 그녀가 행복하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가부장제 아래 주부로서 남들이 보면 부러워할 지도 모르겠지만, 그녀는 내적으로는 이미 무너지고 있다.
그녀의 삶 어딘가 균열, 틈이 생겼으며 그녀는 이를 철저히 막으면서 살아왔다. 조금도 빈틈을 보여주지 않으려는 그녀의 꼿꼿한 태도가 거꾸로 그녀가 필사적으로 자신의 균열과 싸우고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그러나 행성이 지구와 다가와 충돌한다는 종말적 상황이 펼쳐지자, 클레어는 더는 자신의 내적인 균열을 틀어막을 힘을 상실하다. 그녀는 두려움에 떨면 급기야 숨을 쉬지 못하게 된다. 그녀 역시 강박증에 사로잡히며 정신적 파국에 이른다. 그녀는 자살에 필요한 약을 사 놓는다.
4)
정작 최종 충돌 즉 최후의 심판이 가까워졌을 때, 클레어나 쥐스틴보다 존이 먼저 무너진다. 존은 클레어가 사 놓은 약을 먹고 자살하고 만다. 존의 죽음은 서구 문명이 내적으로 얼마나 허약한가를 암시하는 것이 아닐까?
반면 클레어나 쥐스틴은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한다. 그 가능성은 클레어의 아들 레오와 쥐스틴의 대화를 통해 미리부터 예고되었던 것이다. 바로 마법의 동굴을 짓는 것이다. 그 모습은 인디언의 텐트 같기도 하고 교회의 모습이기도 하다. 마법의 동굴에서 레오와 쥐스틴, 클레어는 손을 서로 잡고 다가오는 종말을 기다린다. 영화의 마지막 장면은 행성 충돌과 대폭발이지만 그 환한 빛은 어쩌면 새로운 창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보이기도 한다.
이 마법의 동굴이 의미하는 것이 무엇일까? 그것은 서구 문명에 대한 감독의 대안으로 제시되는 것으로 보이는데, 마법의 동굴이라는 말이 상징하듯이 비합리적이지만 공동체적인 삶을 의미하는 것이 아닐까?
Leave a Reply
Want to join the discussion?Feel free to contribu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