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너지는 패턴과 수신인 미상 / 나의 다이애나에게 [유운의 전개도 접기]
무너지는 패턴과 수신인 미상
이유운
들립니까? 말하겠습니다
지금은 계속해서 무너지는 중입니다
괴기하고 아름다운 모양으로 무너지는 저를 구경하러 사람들이 모이고 있습니다
아주 많이요
다들 불안한 표정을 하고 있는데 나에게는 좀 우습기도 해요
무너지고 나면 나는 더 이상 금이 갈 수가 없으니 내가 여기서 가장 단단한 존재일 텐데
나를 타고 넘어가는 연인들이 있습니다
내 핏줄을 우두둑 뜯어내며 철골로 된 반지를 만들어주겠다고 속삭여요 “이건 끊어지지도 죽지도 사라지지도 않을거야”
다 거짓말이죠 제가 바로 그 증거니까
이상하게 나와 당신을 닮았어요 그 연인들
서로를 부르는 이름을 듣고 싶은데 이름 없이 입만 맞추고 있어요 그 축축하고 슬픈 소리…….
무너질 때 우는 건 부끄럽고 못된 일이라서 입술 안 쪽을 꼭 깨물고 있어요 비린내가 나요 뭔가를 잡아 먹은 사람처럼
당신은 나에게 왜 이렇게 자주 무너지고 있느냐고 물었었지요 부스러기와 먼지가 너무 많이 날린다고 코를 풀면서 무너지는 나 때문에 비염이 도무지 낫지를 않는다고
그냥 그런 거 있잖아요, 나도 낫지 않는 병이 있을 수도 있고
내가 그런 병일수도 있고
있고
없고
방금 무너지고 있는 나의 가장 내밀한 곳으로 연인들이 들어와 앉았어요
서로 이름을 부르기 위해서는 그래, 이런 곳이 필요하지
나는 귀를 기울이는데 내가 무너지는 소리가 너무 커서 잘 들리지가 않아요
마지막 연인 같아, 부럽다 우리도 저럴 때가 있었는데. 우리도 무너지는 누군가 안에 들어 앉아서 서로 이름을 최초로 부르고 좋아하는 색깔을 물었어요 그거 엄청난 비밀이잖아요, 당신은 파란색을 좋아한다고 했고
눈을 감았다 떠요 그때 눈동자가 파란색이면 좋겠다고 생각했습니다 깨지기 쉬운 유리 거품처럼
거품 바깥으로 연인을 봐요
우리가 함께 모욕하고 돌 던질 수 있는 유일한 과거
그런데 그 때 우리가 앉아 있던, 무너지던 사람은 누구였을까요
이제야 이런 게 궁금하다니 나도 참 못됐어요 물론 당신도 마찬가지
우리는 닮았으니까
입술을 뒤집고 네모난 이를 모두 드러내 보여줘요
나는 그렇게 웃을 줄 몰라서 일부러 입술을 누르는 그 장난이 좋았어요
이렇게 웃을 때 뭔가가 한꺼번에 와장창 깨지는 소리가 납니다
푸른 소리
들려요?
이 소리가 부럽고 궁금했지요?
내가 무너져야 이런 소리가 납니다
이제
다 무너졌습니다
도망쳐도 좋아요
또 편지할게요
나의 다이애나에게
잠깐 인천에 살았을 때의 이야기이다. 동네 근처에는 해체 작업 중인 건물들이 많았다. 삼사층 짜리의 작은 빌라들을 부수고 아파트들을 짓는 작업이 한창이었기 때문이었는데, 어린 내가 다 알 수 없는 이유들 때문에 공사는 빨리 진행되지 않았다. 나는 그 황폐한 풍경이 좋았다. 도시 한복판에 시간이 멈춘 것처럼 황량하게 뼈를 드러내고 있는 건물들. 나는 반쯤 무너진 건물들이 아무것도 입지 않은 사람 같았다.
그런 건물들은 아이들에게 좋은 아지트가 되었다. 어느 건물에 들어가도 바닥에는 본드와 봉투, 그리고 브랜드가 다른 몽당만한 담배 꽁초들이 어지럽게 버려져 있었다. 손톱보다 짧아진 담배 꽁초를 보면서 나는 신기해했다. 이렇게까지 짧게 태운 담배는 처음 본다. 나는 아빠나 삼촌이 버리는 담배보다 훨씬 짧은 담배 꽁초들을 보면서 그 꽁초에 입술을 댄 사람을 상상하기도 했다.
나는 보통 햇빛이 사선으로 들어오는 오전 즈음에 그런 건물 안에 들어가 앉아 있는 걸 좋아했다. 조용했다. 내가 이 세계의 마지막 생존자 같았다. 그 때 읽은 책이 참 이상하게도 기억에 오래 남는다. 예를 들면 최승자의 ‘내 청춘의 영원한.’ 나는 이 시를 모두 외울 수 있다.
이것이 아닌 다른 것을 갖고 싶다
여기가 아닌 다른 곳으로 가고 싶다
나는 이 시를 읽으면서 아무도 없는 무너진 건물의 뱃속에서 연극배우처럼 서서 눈을 감았다. 감은 눈꺼풀 위로 햇빛이 내려앉았다. 간지럽고 따뜻했다. 세상이 멸망해도 햇빛은 여전히 따뜻할 거라고 생각하면 멸망이나 죽음 같은 것들이 두렵지 않았다.
괴로움
외로움
그리움
나는 이 세 가지를 잘 알지도 못하면서 담배가 입술을 델 정도로 짧게 피우는 자들이 이런 세 가지 움을 가지고 있을 거라고 상상했다. 나는 어린 자가 그렇듯 그 세 가지 움을 가지고 있을 나를 상상했고 그 상상 속의 나는 언제나 사랑을 하고 있어서 좋았다. 그러니까 나는 비참한 어른이 되기를 꿈꿨던 것이다.
내 청춘의 영원한 트라이앵글.
트라이앵글. 나는 그 발음을 좋아했다. 입이 쫙 벌어지는 그 발음. 나는 이 시를 외우고 무너지는 건물 안을 빙글빙글 돌았다. 부서지는 계단에 누워서 바나나 우유를 마시고 옥상 문 앞에서 책을 읽었다. 그리고 점심 즈음이 지나면 그 곳에서 나왔다. 옷에 묻은 먼지를 털고 집으로 돌아가면서 나는 살인마처럼 깊은 비밀을 간직한 것 같은 쾌감에 빠졌다.
나는 그걸 ‘건물’이라고 부르지는 않았다. 건물보다는 어떤 다른 이름이 필요할 것 같았다. 이건 정말 처음 말하는 내 비밀인데, 나는 내가 가장 좋아하는 그 무너지는 건물에 ‘다이애나’라는 이름을 붙여주었다. 인천 부평구의 황폐한 건물에 멋들어진 아가씨 같은 ‘다이애나’라는 이름을 붙여준 이유는 그때 내가『빨간 머리 앤』을 열심히 읽었기 때문이다. 나는 끝에 e가 붙은 앤처럼 발랄하거나 다른 사람들이 나를 사랑하게 만드는 재주는 없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팔꿈치 끝이 포동포동한’ 귀엽고 예쁜 친구인 다이애나가 있었으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나는 갈까마귀 같은 검은 철골을 드러내고 있는 건물에 다이애나라는 이름을 붙이고 그가 나의 가장 친한 벗이라고 여겼다. 조금 부끄럽고 웃긴 일이다. 하지만 그건 멋진 일이었다. 나는 다이애나의 품 안에서 처음 시를 읽었다. 내가 막역하다고 생각하는 존재의 안에서 처음으로 시를 읽는다는 건, 아무튼 멋진 일 중에 하나니까 말이다.
그리고 어른이 된 나는 이 때를 떠올린다. 어린 내가 함부로 꿈꿨던 비참한 어른이 되지 않아서 다행이다. 사랑하는 사람의 부드러운 목에 대고 숨을 오래 그리고 느리게 쉰다. 어른이 된 나는 비참한 어른보다 이런 방식으로 숨을 쉬는 고대 생물이 되는 것을 꿈꾸기로 한다. 이것도 처음 말하는 비밀이다. 나는 최근에도 종종 다이애나의 안에 들어가 있는 것을 자주 상상했다. 다이애나와 나는 함께 폐건물이 되어 있다. 그리고 그곳에 숨어드는 사람들을 지켜본다. 그들은 대부분 추방자들이다. 이방인이라고 하기에는 너무나도 같은 얼굴과 눈을 가지고 있다. 그들은 사랑이나 젊음을 이유로 어디에도 속하지 않으려고 뛰어내린 자들이다. 나와 다이애나에게로. 나는 내가 쓴 것이 분명한 편지들을 그들의 어깨 너머로 훔쳐본다. 나를 이렇게나 멀리서 바라본다. 이런 것들이 보통 어른이 하는 일인지는 잘 모르지만 이런 것을 편지에 모두 적어 넣는 일은 어른의 일일 수 있다.
필자 이유운은 시인이자 동양철학도. 2020 경인일보 신춘문예 시부문에서 <당신의 뼈를 생각하며>로 등단했다. ‘유운(油雲)’은 『맹자』에서 가져온 이름. 별일 없으면 2주에 한 번씩 자작시와 짧은 노트 내용을 올리려 한다. 유운의 글은 언젠가는 ‘沛然下雨’로 상쾌히 변화될 세상을 늠연히 꿈꾸는 자들을 위해 있다.
Leave a Reply
Want to join the discussion?Feel free to contribu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