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명하고 무거운 / 사랑의 모양은 네모 [유운의 전개도 접기]
필자 이유운은 시인이자 동양철학도. 2020 경인일보 신춘문예 시부문에서 <당신의 뼈를 생각하며>로 등단했다. ‘油雲’은 『맹자』에서 가져왔다. 별일 없으면 2주에 한 번씩 자작시와 짧은 노트 내용을 올리려 한다. 유운의 글은 언젠가는 ‘沛然下雨’로 상쾌히 변화될 세상을 늠연히 꿈꾸는 자들을 위해 있다.
투명하고 무거운 / 사랑의 모양은 네모
이유운
투명하고 무거운
그러면 우리는 도래하자
이해할 수 없는 시제와 선언
“나는 나의 기원” 이런 말들은 자주 소리내어 말할 필요가 있었다 사랑하는 입술을 매만져본다 아직 멸망이 오지 않았다는 증거를 찾아서 멍든 복숭아와 풋내가 나는 무화과의 껍질을 벗기는 네 손을 본다 춤추는 나무나 빛무리 같아
아무것도 바라지 않아
아무것도 미워하지 않아
네가 만진 나의 부분들은 아주 단단해졌어 나는 이걸 사랑이라고 자랑하고 다닌단다 이제 네가 만지지 않은 부분은 눈동자 뿐 연약하고 언제나 젖어 있는 이 검은 동그라미
돌아가는 테이프
오토리버스
또 돌아가는 테이프
멈추는 장면마다
어디선가 자라온 사랑으로 불거진 네 손가락 마디
손이 데일 것 같이 차갑기도 한
너무 가깝게 있어서 만지기가 어려워
둥근 어깨. 깨무는 둥근 이. 남는 둥근 자국. 모두 만지며 사랑이 둥글다고 배우는. 둥글고 슬픈 학습
무릎을 꼭 붙이고 함께 앉아 있다
기울어진 모양으로
내기 하자. 더 사랑하는 사람이 먼저 일어나기로.
사랑의 모양은 네모
어렸을 적 가장 좋아하던 영화 세 편을 나열하면 지금의 인생과 취향을 알 수 있다는 말이 한창 트위터에 돌았었다. 나는 그 말이 조금 꺼림직하고 소름이 끼쳤다. 뭐, 당연하게도 그 명제의 결과가 마음에 들지 않으니까 그런 거다.
그 말이 마음에 들지는 않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렸을 때부터 내가 좋아하는 영화 세 편을 꼽아 보자면 《8월의 크리스마스(1998년, 허진호 감독)》, 《클래식(2003년, 곽재용 감독)》,《해피투게더(1997년, 왕가위 감독)》다. 너그럽게 다섯 편까지 허락해준다면 《퐁네프의 연인들(1991년, 레오스 카락스 감독)》과《쉬리(1999년, 강제규 감독)》도. 이 영화들로만 보면, 지금의 나는 내가 농담처럼(사실 아니지만) 자주 하는 말인, 나를 ‘사랑의 헐값에 팔아넘기는’ 어른처럼 자란 것 같다.
《8월의 크리스마스》에서 가장 좋아하는 장면은 지원이 정원에게 ‘왜 결혼 안 했어?’ 라고 물었을 때, 정원이 웃으면서 ‘너 기다리느라고.’하고 대답하는 장면이다. 미소를 지으며 이 말이 꼭 사랑 고백이 아니라는 것처럼 가볍게 대답하는 정원의 얼굴. 나는 정원의 그 얼굴과 목소리에서 진한 사랑과 그리움을, 그토록 짙고 무거운 마음을 가지고 투명하게 말할 수 있는 표정을 보았다. 그때부터 나는 그런 어른이 되고 싶었던 것 같다. 오래도록 투명하고 무거운 사랑의 모양을 가질 수 있는 어른. 하트 모양이 아니라 네모난 사랑의 모양을 가지고 있는 어른.
나는 나에게 처음으로 사랑의 모양을 알려 준 어른과 그가 나를 사랑한 풍경을 떠올린다.
정성스레 닦고 말린 오래된 선풍기가 돌아가는 사아악, 사아악 소리. 꼭 숲 한가운데에 서 있는 것 같다. 비가 오고 있다. 축축한 여름. 바람과 나를 찾는 숨이 함께 분다. 손톱을 깎고 버린다. 저것을 주워 먹고 내가 될 다른 존재들에 대해서 아직 걱정하지 않아도 될 만큼 어린 내가 있다. 마루에 볼을 대고 눕는다. 차가운 바람. 햇빛이 따갑지 않아서 눈을 가늘게 뜨면 그 사이로 나뭇잎과 창문 살의 모양과 색으로 빛이 들어온다. 나보다 먼저 태어난 손이 내 눈꺼풀 위로 손차양을 만들어준다.
내 눈가에 얼룩처럼 남은 기미와 주근깨를 만져본다. 그렇게 그 손이 나를 자주 가려주었는데도 햇빛과 시간의 자국은 생겼다. 아무리 내가 어딘가 숨는다 하더라도 사랑이 나를 찾아내듯.
나는 이렇게 사랑받고 컸다. 이 때는 아직 사랑의 모양이 없었다. 빛무리처럼 춤을 추고 있을 뿐이었다.
어렸을 때 살던 오래된 동네의 그보다 더 오래된 건물에는 유호철물이 있었다. 일층에는 유호철물, 이층에 진실다방과 당구장이 있었고 삼층에는 전당포와 창문에 검은 종이를 바른 알 수 없는 방이 있었다. 그 위로는 철문이 항상 굳게 닫혀 있어서 한 번도 올라가 보지 못했다. 가끔 그 위로 올라가려고 하면 이층의 진실다방 이모가 고개를 내밀고 나를 불렀다.
거기 가면 안 돼.
뭐 있는데?
진실다방 이모는 대답 대신 모나카를 줬다. 어른들은 진실을 감추는 댓가로 나에게 단 것들을 줬다. 진실다방 이모만 그런 건 아니었지만 나는 거짓말을 할 때마다 진실다방 이모의 멋쩍은 웃음과 그가 주었던 모나카의 단 맛이 떠오른다. 혀가 떫다. 진실다방 이모의 기울어진 아몬드 모양의 눈. 움켜쥐면 타원 모양으로 우그러질 것 같은 그 모양이 사랑의 모양이라고 생각했다.
유호철물은 주인 아저씨 아들의 이름이 유호라서 유호철물이었다. 유호는 나보다 아홉 살이 많았고 차이나 칼라 교복을 입었다. 유호는 종종 나를 자전거 뒷좌석에 태워줬다. 유호의 자전거는 쌀집 자전거여서 뒷좌석이 판판하고 바른 모양이었다. 그 뒷좌석에 앉아 유호의 등에 얼굴을 대면 햇빛 냄새가 났다. 나는 유호가 햇빛으로 만들어진 사람이라고 생각했다. 유호는 내가 종종, ‘난 커서 너랑 살 거야.’라고 말하면 곤란한 것처럼 웃었다. 어린 내 앞에서 거짓말은 하기 싫고 솔직해질 필요도 없는, 나이가 많은 사람이 나를 볼 때 보통 유호 같은 표정을 지었다. 내가 《8월의 크리스마스》를 좋아하는 이유는 유호와 정원이 닮아서였는지도 모르겠다. 둘 다 살구비누를 쓸 것 같다. 비누로 머리를 감아 뻣뻣해진 머리카락 끝에서 여름 냄새가 날 것만 같다.
유호의 등에서 나던 햇빛 냄새가 이상할 정도로 나이가 들면서 점점 뚜렷해진다. 나는 시력이 나빠서 안경을 쓰지 않으면 나뭇잎 사이로 들어오는 햇빛이 둥근 알사탕 모양처럼 보인다. 그런 모양으로 내가 기억할 수 있는 사랑이 처음 만들어졌다.
나는 언제나 누군가를 사랑했고 무언가를 사랑했다. 쉽게 사랑하고 자주 사랑했지만 어떤 사랑의 형태에도 능숙해본 적은 없다. 그래서 내가 받아온 사랑의 연원을 떠올릴 때마다, 이토록 희고 단단한 사랑을 받아왔는데 왜 지금의 나는 그런 사랑의 모양을 가지지 못했는지 나를 탓하고는 한다. 어린 눈 위로 손차양을 만들어주는, 거짓말 대신 모나카를 주는, 등에서 햇빛 냄새가 나는 그런 사랑과 내 마음의 모양이 달라서 가끔 놀란다.
아직까지는 둥근 모양이 되는 사랑을 배우고 있다. 학습의 과정은 자주 슬프고 오래 사랑스럽다. 점차 네모낳게 단단해질 것이라고 믿는다. 지금 나의 마음은 자외선 차단제를 바르지 않고 바닷가에 한참 서 있던 사람의 어깨처럼 엉망으로 껍질이 벗겨진 모양이다. 하지만 이렇게 훼손된 마음도 섬세하게 마련할 수 있다. 나는 이 훼손된 마음을, 섬세하게 마련한 모양을, 시라고 부른다.
그렇다고 해서 온종일 사랑만 생각하고 있지는 않습니다
이화여대에서 철학을 공부했다.
Leave a Reply
Want to join the discussion?Feel free to contribu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