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짝이는 것 이면의 일그러진 것(자본론 에세이2 – 1장: 상품) [내가 읽는 『자본론』]
반짝이는 것 이면의 일그러진 것
김보경(경희대 사회학과)
내가 즐겨 입던 바지가 있다. 신축성이 아주 뛰어나고 춥지 않을 만큼 두꺼우며 덥지 않을 만큼 얇아서 4계절 내내 입을 수 있었던 바지였다. 바지의 큰 주머니 안에는 작은 주머니가 하나 더 있어서 동전이나 열쇠 같은 것을 보관하기에 편리했다. 그 바지에 유일한 단점이 있었다면, 그건 그 바지가 아주 잘 찢어진다는 것이었다. 나는 바지가 찢어지면, 같은 가게에 가 같은 바지를 샀다. 비싼 가격이 아니어서 그럴 수 있었다. 하지만 바지는 3개월 정도 입고 다니면 어김없이 같은 부위가 찢어졌다. 사이즈가 나한테 작은 것도 아니었는데 말이다. 같은 바지를 새로 사고 버리기를 4번쯤 반복한 뒤, 나는 다시는 그 바지를 사지 않았다. 내 애정과 신뢰에 매번 실망만 안겨주는 바지에 이제는 질려버린 것이다.
나는 그 바지의 정체가 궁금해지기 시작했다. 이 바지는 대체 왜 이렇게 잘 찢어지는 걸까? 이 바지는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그리고 대체 어떤 기업이 이렇게 잘 찢어지는 바지를 만들고 싶어 할까? 어렸을 때 엄마는 종종 직접 내가 입을 바지를 만들어주시곤 했는데, 그럴 때면 엄마는 늘 가장 질긴 천을 사서 절대 찢어질 일이 없도록 박음질을 촘촘하게 했다. 하지만 이 바지는 왜 이렇게 나약한 걸까. 얼마 지나지 않아 나는 패스트패션(Fast Fashion)에 관해 알게 되었다. 패스트 패션이란, 주문하자마자 음식이 나와 바로 먹을 수 있는 패스트푸드처럼 최신유행의 의류를 세계적인 수준에서 짧은 주기로 만들어내고 저가로 대량생산·판매하는 상표와 업종을 말한다. 주로 젊은 층이 소비하는 H&M, ZARA, GAP 그라고 Benetton과 같은 기업들이다. 이들은 빨리 입고 버릴 수 있도록 낮은 질과 가격의 옷을 생산해낸다. 그래야 사람들이 옷을 빨리 버리고 곧 또 새 옷을 산다. 그게 이들 산업이 돈을 만들어내는 방식이다.
이러한 패스트 패션 산업이 전 세계에 미치는 영향은 엄청나다. 환경에 미치는 예부터 몇 가지 들어보자. 말하자면 사실 끝도 없다. 패스트 패션 산업에서 하나의 면(綿)티가 만들어지기 위해서는 3,000ℓ의 물이 필요하고, 레이온을 만들기 위해서는 연간 865억 그루의 나무가 희생된다. 버려진 면이 환경에서 분해되기 시작하기까지는 80년이, 폴리에스터는 수백 년이 걸린다. 평균적으로 우리는 패스트 패션 의류를 5번 내외로 입고, 35일 이내에 버린다.1 북미에서만 1년에 120억 톤의 의류 폐기물이 발생한다고 한다.2
이제 노동의 문제로 넘어가 보자. 세계적으로 6명의 노동자 중 1명이 의류산업에서 일한다. 그중 80%가 여성이고, 이들 중 2%만이 생계를 꾸릴 수 있을 정도의 임금을 받는다. 패스트 패션 산업은 개발도상국의 가장 값싼 노동만을 사용한다. 개중에 아동노동도 포함된다. 노동자 대부분은 굉장히 열악한 환경에서 일하고 있는데, 그 실제 사례로는 2013년 4월에 발생한 방글라데시의 의류공장 붕괴사건을 들 수 있다. 이 사건은 방글라데시 수도 다카(Dakha)의 의류공장이었던 ‘Rana Plaza’가 붕괴되어 그곳에서 일하고 있던 노동자 1,100여 명이 사망하고 2,500명가량이 부상을 당한 참사였다. 대부분의 희생자는 어린 여성이었다. 방글라데시는 봉제 의류산업의 신흥 강국으로, 높아진 중국의 인건비를 대체할 인력시장을 찾던 서구 의류업체들의 진출지였다. 방글라데시의 시간당 임금은 24센트로 중국의 1달러 26센트3 보다 훨씬 낮은 수준이다. 2013년의 사고가 방글라데시에서 발생한 첫 사고는 아니었다. 2006년부터 2010년 사이에 230여 개의 공장에서 사고가 발생해 500여 명의 노동자가 사망했다. 꼭 건물 붕괴의 위험이 아니더라도, 노동자들은 의류를 제조할 때 들어가는 각종 화학물로 인해 건강에 위협을 느끼며 노동해야 한다. 많은 노동자들은 피부질병, 호흡곤란 등의 문제에 시달리는데4, 이는 마르크스가 자본론을 썼던 당시의 노동환경과 별반 다르지 않다.
내가 옷을 사러 매장 안으로 들어가 가장 좋아하는 그 바지 앞에 섰을 때, 지금 내가 알아차린 것과 다르게 패스트 패션에 관련한 사실들에 대해서는 전혀 알지 못했다. 또 그때는 앞으로 내가 자본론 에세이를 쓰면서 패스트 패션 산업에 대해 이토록 긴 설명을 늘어놓을 것이라고 예상하지도 못했다. 나의 이런 경험은 바로 마르크스가 1장에서 이야기하는 ‘물신’ 개념과 직접 관계한다.
마르크스는 1장에 걸쳐 여러 상이한 생산물이 어떻게 화폐라는 공통된 옷을 입게 되고, 그로 인해 자기들이 놓인 사회적 관계가 표백되는지를 다룬다. 그리고 그렇게 표백된 생산물들은 마치 복잡한 연애사 따위는 존재하지 않을 것만 같은 백마 탄 왕자님의 모습으로 우리 앞에 선다. 오직 나만을 위해 나타난 왕자. 우리는 이 왕자가 우릴 비참한 현실로부터 구원해줄 거라고 굳게 믿는다.
마르크스는 우리의 환상을 깨고 왕자의 연애사를 낱낱이 밝혀냈다. 알고 보니, 왕자는 성에서 바로 말을 타고 달려온 것이 아니라 여러 장소와 여러 사람을 거쳐 많은 짓(?)을 저지른 후 나에게로 왔다. 그리고 왕자의 종착지는 내가 아니다. 그는 아직 갈 길이 많이 남았다. 우린 감쪽같이 속았다. 왕자의 비유를 이해하지 못한 사람들을 위해 다시 설명하자면, ‘왕자’는 우리가 일상에서 마주하는 상품이고 왕자의 ‘복잡한 연애사’는 상품을 생산한 노동자, 그리고 모든 생산과정을 일컫는다. 왕자에게 아직 남은 ‘가야 할 길’은 상품이 내 손을 거쳐 간 후 다른 곳, 다른 사람에게 미칠 영향이다. 마르크스가 지적했듯이, 상품은 그 자체로 가치를 가지는 것(물신)이 아니라, 그 배후에는 여러 사회적 관계가 얽혀있다는 의미이다. 마르크스는 물신을 환상, 또는 허상이라고 한다. 우리는 물건의 값을 지불하기만 하면 그 전과 후에 어떤 일들이 벌어지는지에 대해선 알 필요가 없다. 알려고 하지도 않는다.
나는 세컨핸드(중고) 옷을 꽤 즐겨 입는 편이다. 1년에 몇 번 동묘나 광장시장, 명동의 중고 옷가게들을 돌면서 내가 좋아하는 밝고 강렬한 색감과 독특한 무늬를 가진 옷들을 건진다. 대개 거기서 판매되는 옷들은 거의 누가 입은 게 티가 나지 않는 중고 옷들이지만, 그중 몇은 헤진 데가 있거나, 희미한 얼룩이 져 있거나, 작은 구멍이 나 있다. 나는 그게 세컨핸드 나름의 매력이라 생각하고 개의치 않는다. 내가 교환학생을 다녀온 헝가리의 경우, 중고의류산업이 꽤 크다. 중고의류를 전문으로 다루는 ‘Humana’, ‘Creme’과 같은 체인들이 부다페스트 도심에만 수십 개 자리 잡고 있다. 특히 세일하는 날이면 매장은 사람들로 북적북적하다. 하지만 내가 아는 많은 사람 중 중고 옷을 기피하는 사람들도 있다. 누군가의 손을 거쳐 갔던 것이라 찝찝하다는 이유에서다. 그 사람들은 깔끔한 새 옷을 사는 걸 선호한다. 물론, ‘손을 거쳐 갔다’는 것이 중고 옷과 새 옷에서 같은 의미를 갖는 것은 아니지만, 새 옷도 누군가의 손을 전혀 거쳐 가지 않은 것은 아니다. 옷을 비롯한 모든 ‘새’ 상품은 상품사슬(Commodity Chain)을 거친다. 세계화 시대에서 그 사슬의 길이는 어마어마하다. 청바지 브랜드 ‘Calvin Klein’은 “나와 캘빈 사이엔 아무것도 없어요(Know what comes between me and my Calvins? Nothing!”5라고 광고하지만, ‘나와 캘빈 사이’에는 사실 아주 많은 것들이 있다. 예컨대, 미국에서 디자인된 데님은 베냉에서 자란 목화로 만들어져 독일에서 만든 염료를 사용해 이탈리아에서 직조되고 염색된다. 이 데님은 청바지로 가공되기 위해 바다 건너 튀니지에 보내지고 나중에 프랑스 소재 일본 기업에서 만든 지퍼를 달게 된다. 청바지의 주머니 안감으로 사용된 면은 파키스탄에서 재배된 목화가 사용되었고, 버튼은 독일에서 만든 황동으로 만들어졌다. 황동을 위한 구리는 나미비아에서, 아연은 호주에서 왔다. 청바지를 만드는 실은 영국, 터키, 헝가리에서 만들어졌고, 스페인에서 염색되었으며, 이 실을 위한 폴리에스테르 섬유는 일본에서 만들어졌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완성된 청바지는 영국 리버풀의 한 의류 매장에 입고되어 소비자에게 판매된다.6 이 어마어마한 상품사슬은 인간사슬이기도 하다. 청바지의 모든 생산과정에는 노동이 개입하기 때문이다. 전 세계적으로 수많은 노동자들이 하나의 청바지 생산에 기여한다. 우리 중 누구는 세컨핸드 의류가 누군가의 손을 한 번 거쳤다는 이유로 찝찝해하지만, 이처럼 새 옷도 타인의 손을 거치지 않은 건 아니다. 우리에게 안 보일 뿐이다. 그래서 우린 찝찝하지 않지만, 그래서 또 우리는 어떤 상품이 생산되기 전과 후에 어떤 일들이 일어나는지 알지 못한다. 2만 원 내고 청바지를 사서 3개월 입고 버리면 끝이다. 더 이상 내가 지고 있는 빚은 없다.
물신을 인스타그램으로 이해하면 쉽다. 상품의 가격은 핸드폰의 좁은 화면을 통해 인스타그램이 선별하여 보여주는 아름다운 이미지에 불과하다. 화려한 이미지 뒤에, 그 이미지가 만들어진 과정이나 그 후에 벌어지는 일들은 가려져 있다. 다음 이미지들은 한때 온라인에서 화재가 되었던 이미지들이다.
인스타그램 속에서 보여 지는 것과 현실의 간극이 얼마나 큰지를 풍자한 것이다. 우리의 삶은 아주 복잡한 사회적 관계들과 상황들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인스타그램에 우리가 사진을 올릴 때는 그러한 것들을 곧잘 드러내지는 않는다. 우리의 가장 좋은 순간, 가장 아름다운 모습만을 내보이고 싶어 한다. 내가 팔로우 하고, 나를 팔로우하는 사람들과 대면하는 대신 삶의 파편으로서의 이미지들만 올리고 또 보면서 우리 모두의 삶은 퍽 괜찮은 삶으로 비쳐진다. 하지만 그렇지 않기 때문에 인스타그램을 하는 많은 사람들은 ‘다른 사람들은 다 잘 사는데 나만 현실이 시궁창’이라고 불평한다.
자본론을 읽으면, 마르크스가 특정 현상의 역사성을 살피는 걸 얼마나 중요하게 여겼는지 알 수 있다. 그는 착취에 관한 이야기를 시작하기 위해 화폐가 생겨나기도 전의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가기도 한다. 착취가 발생하게 된 긴 역사든, 청바지가 나에게로 오기까지의 짧은 역사든 그 과정을 무시할 때 물신이 꿈틀거리기 시작한다. 그것은 착취를 눈감아주며 개인을 단절시켜 서로에 대해 아무런 책임도 없다고 느끼게 한다. 하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다. 백마 탄 왕자는 연애사가 복잡하다. 이상한 놈한테 당하지 않으려면 캐물어야 하듯이 우리는 반짝이는 것 뒤의 일그러진 것, 인스타그램 사진 너머의 현실, 상품 이면의 노동을 포착하는 것이 중요하다. 우리가 소비하는 모든 것은 어디에서 와서 어디로 가는가?
허핑턴 포스트, 「The Problem With fast Fashion」, https://www.huffpost.com/entry/problem-fast-fashion_n_57ebfeafe4b0c2407cdb22c0↩
https://www.bwss.org/fastfashion/↩
배윤정, 「방글라데시 의류공장 붕괴 사례로 알아본 기업의 사회적 책임」, CGS Report, 2013-11↩
Shwowp, 「The Dark Side of the Fast Fashion Industry」, http://www.shwowp.com/the-dark-side-of-the-fast-fashion-industry/↩
광고의 맥락상 의역하면 섹슈얼한 의미다.↩
조철기, 「일곱 가지 상품으로 읽는 종횡무진 세계지리」, 서해문집, 2017-06-21↩
Leave a Reply
Want to join the discussion?Feel free to contribu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