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대학강좌] 공자의 『논어』와 일상

Spread the love

공자의 『논어』와 일상

 

김정철(한국학중앙연구원)

 

1. 일상 언저리의 사상, 유학

한 번이라도 『논어論語』를 읽은 사람들의 반응은 매우 다양합니다. 경전이라고 알고 읽었는데, 별로 경전답지 못하다는 반응도 있고, 주로 대화를 통해 풀어나가기 때문에 이해하기 쉽다면서 시시하다는 반응을 보이기도 합니다.

『논어』는 왜 경전이 되었을까요? 바로 유학에서 성인(聖人)으로 높이는 공자의 행동과 가르침이 들어있기 때문입니다. 선비들은 『논어』를 읽으면서 성인의 가르침을 직접 보고 들을 수 있는 기회를 얻는다고 생각했습니다. 『논어』에서는 공자가 제자들과 예禮, 정치, 경제부터 음악과 시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에 대해 묻고 답하고 있습니다. ‘논어論語’라는 제목 자체가 묻고 답하는 형식의 어록이라는 뜻이기도 합니다.

간단히 공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공자는 약 기원전 6세기 춘추시대 말기에 살았던 사람입니다. 거의 2500년 전에 살았던 셈이지요. 노魯나라 곡부 창평향昌平鄕 추읍鄹邑에서 태어난 공자는 노나라를 떠나 제나라, 위나라 등을 떠돌다가 다시 노나라로 돌아와 73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습니다. 『사기史記』에 따르면 아버지 숙량흘은 지역의 낮은 관리였고, 어머니 안顔씨와 야합野合하여 공자를 낳았다고 전해집니다. 좋은 집안에서 유복하게 자란 사람은 아니었던 셈이지요.

공자는 키가 9척 장신에 머리모양이 울퉁불퉁했다고 합니다. 공자의 이름이 구丘였다는 사실에서 알 수 있습니다. 자는 중니仲尼로 그가 둘째라는 것을 알 수 있지요. 그는 재정을 담당하는 벼슬(委吏) 등을 지내기도 했지만 공자는 무엇보다 배우고 익혀서 다양한 제자들을 길러내는 역할에 충실했던 좋은 선생님이었습니다. 논어의 처음도 배움에 대한 예찬으로 시작됩니다.

“배우고 때로 익히면 기쁘지 아니한가. 벗이 먼 곳에서 찾아오면 즐겁지 아니한가. 남이 알아주지 않아도 성내지 않으면 군자가 아니겠는가!”

子曰, 學而時習之, 不亦說乎!, 有朋自遠方來, 不亦樂乎! 人不知而不慍, 不亦君子乎!

또 공자는 스스로 자신의 일생을 몇 마디 말로 요약하기도 합니다.

공자(孔子)께서 말씀하셨다. “나는 열다섯 살에 학문(學問)에 뜻을 두었고, 서른 살에 스스로 섰고(自立), 마흔 살에 의혹(疑惑)하지 않았고, 쉰 살에 천명(天命)을 알았고, 예순 살에 귀로 들으면 그대로 이해되었고, 일흔 살에 마음에 하고자 하는 바를 좇아도 법도(法度)를 넘지 않았다.”

子曰, 吾十有五而志于學, 三十而立, 四十而不惑, 五十而知天命, 六十而耳順, 七十而從心所慾不踰矩.

이 부분은 얼핏 나이가 듦에 따른 깨달음의 과정처럼 보이기도 합니다. 그래서 누구나 나이가 들면 자연스럽게 이렇게 될 수 있다고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공자는 성인으로 불리었던 사람이었지요. 아마 누구나 이렇게 될 수는 없을 것입니다. 그만한 노력이 필요하지요. 이미 성인의 경지에 있었던 공자가 굳이 자신이 걸어온 인생을 이야기한 이유는 제자들에게 나아갈 길을 보여주기 위해서였습니다.

우리의 일상과 일생에 비추어 생각해봐도 이 구절은 쉽게 지나칠 부분은 아닙니다. 무엇인가 목표를 정하고 꿋꿋하게 자신만의 길을 걸어가며 살고 있는지 반성해 볼 기회를 주고 있지요. 천명을 안다는 말이나 귀가 순해진다는 말도 마찬가지입니다. 자신에게 주어진 일에 충실하고, 다른 사람의 말을 들을 때에는 있는 그대로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합니다. 이것은 단지 나이가 든다고 해서 얻어질 수 있는 능력은 아닙니다. 공자가 여러 제자들에게 각각의 성격과 상황에 맞는 가르침을 주었던 이유는 일상 속에서의 배움과 노력을 강조하기 위해서였던 것입니다.

 

2.  <논어>속의 일상 직접 읽어보기

– 도道는 일상 속에 있다.

중궁이 인仁에 대해 물으니,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집 문을 나가서는 큰 손님을 대하듯 하고, 백성을 다스릴 때에는 큰 제사를 받들 듯이 하고, 자기가 바라지 않는 일은 남에게도 베풀지 말아야 한다. 나라에 있어서도 원망이 없고 집에 있어서도 원망이 없어야 한다.” 중궁이 대답하였다. “제가 비록 명민하지 못하지만, 이 말씀을 실천해보겠습니다.”

仲弓問仁, 子曰出門如見大賓, 使民如承大祭, 己所不欲, 勿施於人, 在邦無怨, 在家無怨, 仲弓曰雍雖不敏, 請事斯語矣.

인仁은 공자 사상의 핵심입니다. 그러나 공자는 인을 직접적으로 설명하지 않습니다. 스스로 잘 모르겠다는 말도 하지요. 대신 구체적인 예를 통해 인이란 무엇인지 보여줍니다. 바로 위 인용문이 대표적입니다. 집 문을 나서고, 백성을 다스리며, 다른 사람과 관계를 맺는 일은 모두 선비의 일상에 해당합니다. 지금의 기준으로 보면 집 밖으로 나가 각자 일을 하고, 사람들과 만나 어울리는 일이 모두 일상에 해당하겠지요. 공자는 이러한 일상 곳곳에서 인仁을 실천하라고 가르칩니다.

큰 손님 대하듯이 한다는 말은 자신을 낮추고 겸손함을 나타내고, 제사를 받드는 태도는 엄숙하고 신중해야 하죠. “자기가 바라지 않는 일은 남에게도 베풀지 말아야 한다.”라는 말은 논어에서 자주 인용되는 말입니다. 역지사지의 태도로 상대를 배려하는 마음을 뜻합니다. 이러한 일상의 모든 공간이 인仁의 실천 무대인 셈이지요. 공자는 인仁의 경지를 특별한 것으로 설명하지 않았습니다.

공자의 가르침은 제자들에게도 계승됩니다. 하지만 제자들 사이에도 생각의 차이는 있었던 것 같습니다. 이런 차이는 다음 인용문에 잘 드러나 있습니다.

자유가 말하였다. “자하의 문인 젊은이들은 물 뿌리고 쓸며 대답하고 답변하며 나아가고 물러나는 일을 담당하면 잘 한다. 그러나 지엽枝葉(사소한 일)이니, 근본을 보면 볼만한 것이 없다. 어찌할꼬?”

子游曰, 子夏之門人小子, 當灑掃應對進退, 則可矣. 抑末也, 本之則無, 如之何?

자하가 이를 듣고 말하기를, “아, 자유가 지나치구나! 군자의 도가 무엇을 우선하여 전할 것이며, 무엇을 나중으로 미루어 게을리 하겠는가? 초목에 비유하면, 구획을 그어 구별하는 것과 같으니, 군자의 도가 어찌 속임이 있겠는가? 처음도 있고 끝도 있는 사람은 아마 성인이시겠지.”

子夏聞之曰, 噫. 言游過矣. 君子之道, 孰先傳焉, 孰後倦焉? 譬諸草木區以別矣, 君子之道焉可誣也? 有始有卒者, 其惟聖人乎.

‘물 뿌리고 쓸며 대답하고 답변하며 나아가고 물러나는 일’은 유학자들의 매우 기초적인 행동수칙입니다. 주로 처음 학문을 시작하는 단계에서 교육하는 내용이었지요. 자하는 이러한 기본적인 원칙을 실천을 강조했지만, 자유는 자하의 제자들이 시시하고 사소한 일에 얽매여 근본에 다가서기 어렵다고 판단한 것입니다. 하지만 유학에서는 일상의 사소한 일을 결코 내버려두지 않습니다. 자하는 자유의 지적을 정면으로 받아칩니다. 일상의 사소한 일과 근본(道/仁)의 체현은 선후를 나눌 수 없다고 말입니다. 이런 공자의 생각은 다음과 같은 말에서도 잘 알 수 있습니다.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사람이 길을 넓히지, 도가 사람을 넓히는 것이 아니다.

子曰, 人能弘道, 非道弘人.

도(道)는 매우 다양한 의미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일상과는 거리가 먼 근본적인 원리 혹은 진리라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이러한 도의 실천은 오직 사람을 포함한 사물들을 통해야만 가능합니다. 공자의 말은 바로 실천의 주체인 사람을 강조한 것이죠. 일상의 실천을 벗어나지 않는 공자의 가르침은 유학의 성격을 잘 보여줍니다. 중국의 풍우란(풍우란)이라는 학자는 다음과 같은 『중용』의 구절을 인용하여 유학의 핵심을 설명하기도 합니다.

군자(君子)는 덕성(德性)을 높이고 학문(學問)으로 말미암으니, 광대(廣大)함을 지극히 하고 정미(精微)함을 다하며, 고명(高明)을 다하고 중용(中庸)을 따르며, 옛 것을 잊지 않고 새로운 것을 알며, 후(厚)함을 돈독히 하고 예(禮)를 높이는 것이다.

君子尊德性而道問學, 致廣大而盡精微,  極高明而道中庸, 溫故而知新, 敦厚以崇禮.

이 문장에는 일종의 대구가 있습니다. ①덕성(德性)을 높이고 학문(學問)으로 말미암으니, ②광대(廣大)함을 지극히 하고 정미(精微)함을 다하며, ③고명(高明)을 다하고 중용(中庸)을 따른다는 것입니다. 덕성은 하늘이 부여해준 선한 본성을 뜻합니다. 학문은 배우고 익히는 학습의 과정이지요. 유학은 이 두 가지를 모두 추구한다는 것입니다.

②와 ③도 같은 방식으로 해석해야 합니다. 무엇이 광대하고 정미하다는 것일까요? 바로 우리가 추구해야할 길(道)을 뜻합니다. 이 길은 사람이라면 누구나 따라야할 길이고, 끝없이 펼쳐져 있기에 광대합니다. 하지만 직접 이 길을 걷는 입장에서 생각해보면, 한발씩 내딛는 순간순간의 노력이 필요하겠죠. 이것을 정미하다고 표현한 것입니다. ③도 비슷한 관점에서 이해할 수 있습니다. 풍우란은 불교, 도교와 비교하면서 일상을 떠나지 않으면서 근본적인 원리(道)를 추구하는 것이 유학의 특징이라고 설명합니다. 한마디로 유학은 일상의 철학이며 사상인 셈입니다.

 

 

0 replies

Leave a Reply

Want to join the discussion?
Feel free to contribute!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