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다란 무협, 『검우강호』/최인실 [보고 듣고 생각하기]

Spread the love

[보고 듣고 생각하기]

커다란 무협, 『검우강호』

글: 최인실(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 졸)

 

1.『검우강호』의 줄거리

 

『검우강호』는 달마의 시신에 관한 프롤로그로부터 시작한다. 이제 관객들이 기대하는 것은 무림 맹주를 만들어준다는 달마의 시신을 차지하기 위한 강호인들의 혈투이다. 그리고 관객의 기대에 부응하듯이, 강호 최대의 살해집단 흑석파의 소개와 함께 장해단 일가가 살해된다. 하지만 곧 흑석파 최고 살수 세우가 팀을 배신하고 달마의 시신을 훔쳐서 달아난다. 흑석파는 세우의 목과 달마의 시신에 현상금을 건다. 그녀를 쫓는 강호인들. 세우는 이들을 피하기 위해 얼굴을 바꾼다.

이 숨 막히는 15분이 지나고 나면 『검우강호』는 세우가 그런 것처럼, 자신의 얼굴(장르)을 바꾼다. 증정이 된 세우는 등장과 함께 집을 구하고 비단 장수란 직업을 갖는다. 그리고 그녀는 우편배달부 강아생을 만난다. 강아생은 증정의 테스트를 모두 통과한 다음에야, 그녀와 결혼을 할 수 있었다. 초반 15분 동안의 빠른 전개와는 다르게, 증정과 강아생의 사랑은 느긋하게 진행된다. 영화는 스피디한 무협에서 느긋한 로맨스로 변화한다.

증정의 도피 생활이 탄로가 난 것은, 강아생을 구하기 위해 어쩔 수 없이 그녀가 자신의 무공을 드러낸 이후이다. 세우가 얼굴을 바꿨지만, 그의 무술을 바꾸진 못했다. 그리고 영화는 다시 한 번 얼굴을 바꾼다. 이제 『검우강호』는 흑석파에 속한 인물들의 욕망, 그리고 그들의 관계를 주로 다룬다. 세우라는 개인으로부터 시작해서 남녀 관계(로맨스)로 그리고 마지막에는 흑석파라는 모의 가족 관계로, 영화가 다루는 단위는 점차 복잡해진다. 그리고 영화는 육죽이 가르쳐준 4개의 초식으로 전륜왕을 물리친 증정과 강아생이 행복하게 맺어지는 것으로 엔딩을 맞는다.

 

2. 거세된 아버지들

?

영화 『검우강호』에서 흑석파의 수령, 전륜왕은 이름 그대로 강호의 절대고수이다. 그러나 그의 또 다른 모습은 9품 서한잡이 환관 조봉이다. 강호에서 조봉은 절대 고수이지만, 그의 실체는 거세당한 환관에 불과하다. 그는 비유적으로가 아니라 말 그대로 국가에 의해 남성성을 거세당한 인물이다. 그가 라마의 시신을 욕망하는 유일한 이유는, 거세된 자신의 신체를 정상인으로 돌려놓기 위해서이다. 명나라에 살던 조봉은 페니스를 거세당함으로써 국가의 폭력을 자신의 신체에 각인한다. 여기선 결핍이 곧 (통제의) 흔적이다. 『검우강호』에서 그가 했던 모든 행동은 자신의 신체적 결핍, 즉 자신의 신체에 남아 있는 국가 폭력의 흔적을 지우기 위함이었다. 그는 자신의 신체를 국가의 통제 이후가 아닌, 온전히 자신의 것이었던 시절로 되돌리고자 동분서주한다.

그런데 여기서 주목할 것은 조봉이 흑석파의 수령이라는 점이다. 무술을 가르쳐주는 스승이자 전륜왕으로 불리는 수장으로서 조봉은, 흑석파 일원의 아버지 자리에 위치한다. 하지만 조봉은 페니스가 없는 아버지, 거세된 아버지이다. 그리고 그의 뒤에는 더 큰 아버지, 명나라 황제가 버티고 있다. 그러나 전륜왕을 통제하는 아버지, 황제는 『검우강호』에서 언급되지 않는다. 단지 조봉의 신체에 각인되어 있을 뿐이다. 혹은 황제의 존재는 이 영화에서 그리 중요한 것이 아일 수 있다. 이 영화에서 중요한 것은, ‘거세된 아버지들’, 더 구체적으로는 거세된 아버지들의 욕망이다.

『검우강호』에서 조봉을 포함한 나이 든 남자는 모두 라마의 시신을 욕망한다. 채희서(마법사)는 자신의 병든 몸을 고치기 위해, 그리고 앉은뱅이 은행장 장대경은 다시 걷기 위해 라마의 시신을 욕망한다. 흥미로운 것은 그들 모두가 무림맹주라는 강호의 큰아버지를 욕망하는 게 아니라는 점이다. 그들은 거세 이전의 완전했던 자신의 신체를 욕망한다. 단지 그뿐이다. 또 그들은 자신이 거세된 이유나 시스템에 대해선 감히 불만을 품지 않는다. 그리고 여기서 흥미로운 것은 그 시체가 중국 외부인인 인도인 라마의 신체라는 점이다. 나이 든 남자들은 중국 외부의 신체로 자신들의 몸을 재구성하려고 한다. 즉 그들은 중국인의 정체성을 버림으로써 자신들의 결핍을 극복하려고 하는 것이다.

하지만 그 외부인인 라마의 신체는 800년 전 시체이다. 게다가 반 토막이 난 시체이다. 바로 여기가 그들의 욕망이 실현 불가능함을 드러내는 지점이다. 고목에서 꽃이 피기를 기다리는 것처럼, 『검우강호』 속 나이 든 남자들은 시체를 통해 자신의 결핍을 채우려 한다. 그들은 이미 죽어버린 것 속에서 새로운 생명 혹은 건강한 신체를 욕망한다. 그리고 그들은 마치 시간屍姦에 몰두하는 병자처럼 광기에 사로잡혀있다. 『검우강호』의 풍경은 이 불가능성, 그리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욕망하는 사람들로 가득 차 있다. 그리고 이는 장 이머우의 2002년 작품 『영웅』과 정확히 반대되는 지점이다.

 

3. 중국으로부터 무협, 홍콩(대만)으로부터의 무협

 

“(…) 유가의 ‘의(義)’가 통치계층의 경전중심주의와 결합한 것과는 다르게, ‘협의(俠義)’는 피압박계층의 도덕적 준칙을 이루고 있는 것이라는 점에서 큰 차이를 보인다. 이것은 ‘협의’가 약자의 철학임을 시사한다. 그리고 그것은 광범하게 중국대중의 심층을 형성하고 있는 요인이 되었다. 중국의 무협문화는 유가와 법가 통치의 경전중심주의적 권력에 대항하는 수단이었다.” – 박병원,「시가, 경극, 무협-중국 영화 속의 시의와 국가 상상」,『중국학논총中國學論叢 제19집』, 고려대학교 중국학연구소, 2006, p,107

중국 무협장르는 『와호장룡』 이후와 이전으로 나뉜다. 2000년 『와호장룡』이 세계화된 무협블록버스터 시대를 예고했다면, 이 흐름을 본격화한 것은 2002년작 장 이머우의 『영웅』이다. 그런데 흥미로운 것은 『와호장룡』이 전 세계적으로 흥행에 성공했지만, 중국대륙에서만큼은 예외였다는 사실이다. 중국 관객들과 평단은 대만식, 그리고 미국식으로 변형된 이안의 무협에 불편함을 드러냈다. 반면 장 이머우의 『영웅』은 중국 ‘본토’인들의 열렬한 호응을 받았다 (이 영화는 중국에서 본토 내 흥행에서 처음으로 할리우드 블록버스터를 앞선 작품이다). 그러나 『영웅』 속 진왕의 ‘천하통일’에서 드러나는 중국인의 제국주의적 욕망은 중국 ‘외부인’들에게는 불편함을 주었다.

원래 무협은 약자의 장르이다. 무협에서 (유)협은 국가의 해체를 시도하고, 그들은 체제 밖에서 체제를 감시했다. 하지만 장 이머우의 『영웅』은 기존의 무협 장르를 뒤집는다. 영화 『영웅』에서 무명(자객 형가)은 사라지고, 진왕의 업적만이 남는다 (『영웅』의 마지막 장면은 만리장성을 배경으로, 진왕의 업적을 기록한 문자텍스트와 이를 읊는 나레이션이다). 2002년 중국의 욕망이 ‘진시황’으로 구체화되어 스크린에 등장했다. 피압박계층의 문화이자 도덕 준칙이었던 협객 문화가 2000년대에 들어와서는 세계를 향한 중국의 제국주의적 욕망을 드러내는데 이용된 것이다. 그 이후에도 장 이머우는 『연인』, 『황후화』 등을 통해 이 경향을 이어갔다.

하지만 홍콩 출신 오우삼과 대만 출신 수 차오핑이 만든 영화 『검우강호』는 다르다. 의리가 땅에 떨어진 강호에서의 고아들의 생존기, 그것은 홍콩 누아르 장르인 동시에 홍콩 영화 자체이다. 홍콩 누아르의 시작은 오우삼 감독의 1986년 작품 『영웅본색』 부터라고 할 수 있다. 여기서 송자호(적룡)과 송자걸(장국영) 형제의 아버지는 병들어 침대에만 누워있다가 영화 중반에 죽는다. 그리고 소마(주윤발)에겐 처음부터 아버지가 없었다. 『영웅본색』 이후 오우삼의 영화에서 아버지의 존재는 아예 사라진다. 이는 비단 오우삼만의 특징은 아니었다. 홍콩영화에는 대부분 아버지와 어머니가 등장하지 않는다. 그들에겐 형제가 있고, 연인이 있을 뿐이다. 그래서 마치 홍콩은 고아들이 만든 도시처럼 느껴진다.

중국 대륙에 의해 거세된 아버지 조봉, 마술사로도, 무술인으로도 완전할 수 없었던, 그래서 죽는 순간까지 두 가지 정체성을 가진 채희사, 최고의 경제적 부를 가졌지만 정작 걷지 못하는 장대경. 이 나이 든 세 명의 남자는 묘하게 홍콩을, 그리고 대만을 상기시킨다. 홍콩영화에서 사라졌던 아버지는 그렇게 온몸에 결핍의 흔적을 가득 갖고서 2010년 다시 등장한다. 하지만 그들의 결핍은 결코 채워지지 못한다. 그리고 결핍(거세)된 아버지들의 아들과 딸의 이야기가 펼쳐진다.

4. 살부, 가족의 해체 그리고 커다람

 

『검우강호』의 모티브 중 하나는 원수 집안의 딸과 아들의 사랑이야기인 『로미오와 줄리엣』이다. 세우와 장인봉은 이름과 얼굴을 버리고, 두 번의 죽음을 경험한 후에 사랑을 이뤄낸다. 둘의 사랑이 이뤄지는 과정은 언뜻 불교에서의 업보와 윤회, 그리고 결국 깨달음을 얻는 과정으로 보인다. 하지만 더 정확히 그것은 세우와 장인봉의 가족이 살해되고, 둘이 각자의 가족으로부터 해방되는 과정이다. 『로미오와 줄리엣』의 줄리엣은 로미오에게 “아버지를 거부하고, 당신의 이름을 버리라”라고 로미오에게 요청한다. 그들은 사랑의 도피를 계획하지만 결국 둘의 사랑을 가로막고 죽음에 이르게 한 것은 여전히 살아 있던 그들의 가족이었다. 하지만 중국의 줄리엣과 로미오는 다른 방식을 택한다. 세우와 장인봉은 서로의 가족을 죽인다.

세우가 처음 스크린에 등장해서 하는 일은, 장해단 일가의 살해이다. 그리고 곧 그녀는 자신을 쫓는 강호인들로 이루어진 모의 가족을 살해한다. 하지만 정작 세우는 자신의 가족인 흑석파로부터 쫓긴다. 그녀는 얼굴과 이름을 바꾸지만 “細雨池上看 微風木末知 이슬비(세우)는 못 가운데에서 볼 수 있고, 가는 바람은 나무 밑에서 알 수 있다.” 라는 말처럼, 세우는 자신의 무공인 벽수검법으로 인하여 정체를 들키게 된다. 세우는 얼굴은 바꿨지만 자신의 무술을 바꾸진 못했다. 그녀가 자신의 정체성을 완전히 바꾸기 위해서는 조봉에게서 배운 무술을 버려야 했다.

조봉은 세우에게 잘못된 초식을 가르쳐 주고, 소림사 스님 육죽이 이를 바로잡아준다. 그리고 이는 세우의 스승, 즉 아버지가 조봉에서 육죽으로 변화하는 과정이다. 여기서 다시 한 번 불교가 중국 외부로부터 들어온 종교라는 것이 상기되어야 한다. 세우는 자신에게 잘못된 가르침을 주던 결핍된 신체의 아버지를 버리고, 올바른 가르침을 주는 건강한 아버지를 선택한다. 육죽이 라마의 시체를 푸는 열쇠가 불심이라고 한 것은, 또 영화 내내 ‘돌다리’라는 모티브가 계속 등장한 것은 그들이 받아들여야 할 것이 중국 안의 이미 죽은 시체가 아니라 중국 ‘외부’에 있다는 것을 드러낸다. 아버지 세대는 이를 깨닫지 못했고, 세우는 이것을 깨달았다. 그리고 세우는 이름을 버리고, 얼굴을 버리고, 무공을 버리고, 아버지이자 스승인 조봉을 살해함으로써 겨우 증정이 되었다. 장인봉은 흑석파를 제거하고, 아버지를 죽인 세우를 용서하고서(혹은 망각하고서) 강아생이 되었다.

『검우강호』 속 나이 든 남자들은 모두 죽는다. 장해단, 채희사, 장대경, 조봉은 자신의 욕망, 혹은 결핍을 메우지 못하고 죽임을 당한다. 거세된 아버지의 욕망은 애초부터 이뤄질 수 없었다. 그들의 몸에 새겨진 ‘거세’의 흔적은 극복되지 못하고, 아들과 딸에 의해 그들과 함께 통째로 제거된다. 그리고 남은 아들과 딸은 무덤가에서 되살아난다. 때문에 『검우강호』의 터무니없이 낙천적인 마지막 장면은 사실 무섭도록 냉정한 결론이다. 이 마지막 장면에는 거세된 아버지 세대를 죽여야지만 새로운 세대가 다시 태어날 수 있다는 메시지가 숨어 있는 것이다. 또 그 새로운 세대는 중국 내부가 아닌 중국 바깥에서 새로운 스승, 아버지를 찾아야 한다. 거세된 아버지들이 신체에 집착하는 반면, 아들과 딸은 신체가 아닌 정신을 받아들여야 한다고 주장한다. 어쩌면 이 새로운 세대들이 말하는 것은 영토를 넘어선 국가, 진정한 세계인으로서의 정체성일지도 모른다. 중국 대륙으로부터 파생된 국가 정체성이 아닌, 자기 자신으로서의 정체성을 가지기 위해 홍콩, 대만(그리고 마카오)이라는 거세된 국가성은 제거해야 한다. 무덤으로부터의 부활, 탄생.

많은 사람들이 『검우강호』가 기존의 무협블록버스터에 비해 소작인 것에 아쉬움을 표하였다. 특히 우리나라 배우 정우성이 주연한 영화라는 점에서 더욱 그러했던 것 같다. 하지만 장 이머우의 『영웅』이 중국으로 모아지는 한 점, 단지 일一을 말하고 있다면 수 차오핑의 『검우강호』는 중국을 넘어서는 세계, 다多를 말한다. 『영웅』이 모든 걸 한 점으로 모으는 깔데기라면, 『검우강호』는 뒤집힌 깔데기이다. 작은 점으로부터 무한히 확장될 수 있는 뒤집힌 깔데기 말이다. 또 『검우강호』는 영토 국가, 민족 국가를 넘어선, 세계인으로서의 상생을 말하고 있다. 때문에 내가 보기에 『검우강호』는 작은 영화가 아니라 오히려 굉장히 커다란 영화이다.

 

0 replies

Leave a Reply

Want to join the discussion?
Feel free to contribute!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