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성 신화, 그 불편함에 대하여[배운년 나쁜년 미친년]
무한 경쟁 시대의 모성
왜 나는 요즘 여성주의(페미니즘)에 시큰둥하는가? 여성주의의 가치로는 이 세상을 바꿀 수 없을 것이라는 막연한 패배주의에 빠졌기 때문에? 여성주의에 힘을 보탰던 진보의 목소리를 사그라지게 만든 지금의 상황 때문에? 미래를 짊어질 젊은 층이 스펙 쌓기에 여념 없고 정치적인 무관심을 넘어서서 아예 보수화되는 듯한 모습이 목도되기 때문에? 혹은 여성주의를 못난 여성들의 푸념거리로 치부해 버리는 냉소주의가 만연하기 때문에?
미래를 바꿀 수 있다는 막연한 낙관주의적 열정이 시들어버린 지금, 나는 도대체 무엇을 할 수 있을까 하는 무기력감이 여전한 즈음이다.
올 여름은 유난히도 길고 더웠다. 가마솥 더위, 불볕 더위, 찜통 더위에 부엌에서 가스불을 켜고 매일 밥해 먹는 것은 무엇보다도 끔찍한 일이었다. 당장 부엌문을 닫아 집안 살림 다 팽개치고 북극이든 남극이든 줄행랑치고 싶은 심정이 굴뚝같았다. 예전에 소설가 김훈의 에세이집 제목인 『밥벌이의 지겨움』이 나에게는 정말 엄마 노릇하기, 주부 노릇하기의 지겨움으로 다가 왔다. 우리들의 어머니들은 이 삼복 더위에 어땠을까?
우리가 기억하는 어머니상은 언제나 자식을 위해 희생하는 엄마, 자신을 지워가면서 자식을 위해 모든 것을 다 감수하는 엄마이다. 이러한 어머니상은 당당한 현대 여성의 모습이 주류인 이 시대에 박물관에나 전시되고 말 것일까? 우리 사회에서 자립적으로 성장한 현대 여성들은 이러한 어머니와 다른 것일까? 희생의 대명사였던 전통적 어머니와 자식 교육에 올인하는 요즘의 현대 엄마들은 모성에서 과연 차이가 있을까? 무한 경쟁 시대, 자식을 살아남게 하기 위해 현대의 엄마들은 더 지독한 모성을 발휘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이 시대, 모성 이데올로기는 표나지 않은 채 교묘하게 작동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이 막강한 모성 이데올로기는 미래를 바꿔 보려고 몸부림치는 여성주의자들이 뚫고 들어갈 수 없는 철옹성, 산성은 아닌지 생각해 보게 된다. 무한 경쟁 시대, 내 자식만 잘되고 남의 자식은 어떻게 되더라고 상관없다는 막가파식의 모성 이데올로기가 나를 숨막히게 한다.
그러나 이러한 강한 모성을 대놓고 비난하는 사람들을 나는 주변에서 별로 만난 적이 없었던 것 같다. 강한 모성과 강한 엄마가 되지 않을 수 없는 살벌한 경쟁의 시대, 그리고 무능한 엄마를 질타하는 사회.
나는 왠지 엄마가 주인공이거나 제목인 것은 나도 모르게 외면해 버리고 마는 의식적, 무의식적 습성이 있다. 나도 모르게 ‘엄마’라는 상표로 포장된 많은 드라마, 소설, 영화에 경계심을 갖게 된다. 왜일까? 이러한 것들이 모성 신화를 부추길 것이 뻔해서, 왠지 ‘엄마’를 떠올리면 나도 모르게 눈물샘에 자극되는 것을 두려워한 까닭에? 누구나 다 엄마가 되는 것은 아니지만, 누구나 다 엄마가 있는 것은 틀림없기 때문에 엄마는 영원한 소재가 되고 있다.
잃어버린 모성 신화를 찾아서
작년 2009년 인터넷에서 신경숙의 『엄마를 부탁해』라는 소설이 은밀하게 독자들에게 무서운 속도로 퍼져 나가고 있다는 기사를 본 적이 있다. 이 소설의 경우, 출판사들이 앞다퉈 베스트셀러를 만들려고 요란한 광고를 해 대는 것과는 달리, 독자들 스스로가 자기 고백, 고해 성사 식으로 『엄마를 부탁해』를 읽은 소감을 인터넷에 토해 낸다는 것이다. 이런 입소문을 타고 조용히 『엄마를 부탁해』는 100만부를 넘는 베스트셀러가 되고 있었던 것이다.
나는 이러한 기사가 영 마땅치가 않았다. 『엄마를 부탁해』라는 소설을 읽고 싶은 마음이 들기는 커녕, 이 소설에 열광하는 독자들의 미묘한 심리가 이해되지 않거나 이해하고 싶지 않은, 어떤 마음의 뒤틀림이 있었다. 흥! ‘엄마’라는 가장 흔하면서도 가장 감동적인 상징이 우리의 정서를 어떻게 뒤흔들고 있는 것일까….. 하는 꽁한 마음이 있었다. 그 후로도 나는 그 책을 읽지 않고 계속 피해 다녔다. 왜 그랬던 것일까? 그 책에 대한 어떤 두려움이 있었던 것일까? 왜 나 혼자서 그 책에 대한 일종의 마녀사냥(?)을 해대고 있었던 것일까?
예전에 신경숙의 『풍금이 있던 자리』를 읽은 기억이 있다. 문단에서는 신경숙 특유의 지독히도 섬세하고 내면을 긁는 문체를 놀라와 했다. 나는 『풍금이 있던 자리』에서는 그다지 감응을 얻지 못했는데, 우연히 손에 넣은 『외딴 방』을 읽고서는 신경숙의 또 다른 신선한 충격과 감동의 전율을 느끼게 되었다.
그러다가 유난히 더웠던 이번 여름 방학 때 미뤄 놓았던 숙제를 해 내야 하는 의무감에서 『엄마를 부탁해』라는 소설을 드디어 손에 넣고 읽기 시작했다. 내가 산 책은 벌써 137쇄를 거듭하고 있었으니, 137만부 이상 팔려 나갔다는 소리가 된다.
이 책은 “엄마를 잃어버린 지 일주일째다.”라는 한 줄의 문장으로부터 시작한다. 1인칭인나, 3인칭인 그, 그녀가 아니라, 2인칭 ‘너’가 등장함으로써 일단 독자의 호흡을 확 밀어 당긴다. 그리고 에필로그는 “엄마를 잃어버린 지 구개월째다.”로 시작해, “엄마를, 엄마를 부탁해 ―”로 막을 내린다. 소설 속에서 엄마는 아버지, 장남, 장녀 등 가족들의 무관심과 방치로 이미 실종된, 존재하지 않은 존재가 되어 있었다. 다만 가족들의 기억의 편린 속에서만 엄마는 아련하게 혹은 선명하게 떠올려질 뿐이었다.
우리의 현실에서 엄마는 언제나 당연히, 우리가 호출하면 금방 달려 와 줄 존재로 각인된다. 그러나 우리는 자주 엄마의 존재를 무시하고 망각한다. 엄마에 대한 이러한 미안함, 죄책감이 독자들을 다 한꺼번에 엄마의 실종 사건의 공범으로 만든다. 독자들은 눈시울이 뜨거워지거나 가슴이 뭉클해진다. 『엄마를 부탁해』를 한 번 손에 넣고 읽기 시작한 독자는 쉽게 책을 놓지 않는다. 이 독자들이 이 소설의 조용한 신드롬에 일조한 것이다.
이렇게 처연한 심정으로 이 소설을 읽었을 많은 다양한 독자들의 심정을 알 것도 같다. 그러나 나는 이 소설을 읽으면서 내내 좀 불편했다. 작가가 의도한 것은 아니겠으나, 엄마의 희생적이고 감동적인 모습보다는, 엄마를 희생양으로 삼아 만들어지는 ‘모성 신화’의 혐의가 떠올랐기 때문이다. 왜 하필 힘빠지는 이 시절에 ‘엄마를 부탁해!’ 일까 하는 짜증도 섞여 나왔다.
『엄마를 부탁해』의 엄마는 매우 강한 엄마이다. 현대의 젊은 유능한 엄마와 속성은 다르지만, 마치 가제트 형사처럼 부엌에서 뚝딱 어떠한 것도 만들어내는, 무에서 유를 창조하는 신의 모습과 닮아 있다. 다만 가끔 끝없이 이어지는 농사일과 부엌일에서 오는 스트레스를 항아리 뚜껑들을 신나게 깨서 풀고, 헛돈 들여 다시 사는 일을 되풀이하기도 한다. 슬쩍 웃음이 나오는 인간적인 면모가 엿보이는 대목이다.
이 소설을 읽은 후, 나는 『엄마를 부탁해』의 신드롬 현상을 조망하는 몇몇 평론들을 읽어 보았다. 이 소설에 대한 평단의 평가는 다소 엇갈렸다. 대체로 남성 평론가들은 이 소설 속의 감동어린 엄마의 모습을 그린 작가의 노고에 후한 점수를 주었다. 반면에 여성 평론가들은 조금은 인색하게 엄마의 감동을 담거나, 엄마 바이러스, 엄마라는 유령, 엄마에 대한 비판적 읽기 등을 통해 오늘날 우리가 사는 이 공간에서 모성의 의미를 재평가하였다.
그리고 인터넷을 뒤져서 이 책을 읽고 올린 독자들의 댓글을 대강 주욱 훑어 보았다. 이 소설의 그 엄청난 독자들의 반응을 일일이 다 점검할 수는 없었지만, 전반적인 기조는 알 듯도 했다. 이 책의 독자들은 누구인가? 그야말로 다양한 것으로 짐작된다.
특히 중년층 독자들의 목소리가 들려 오기도 했다. 장남, 장녀인 중년층은 유년기 시절 기억 속에 남아 있었던 엄마에 대한 기억을 떠올리고 눈물을 훌쩍였던 것으로 보인다. 그들은 아마도 장남 콤플렉스, 장녀 콤플렉스로부터 자유로와지고 싶었던 모양이다. 이들이 불러낸 엄마 바이러스가 전염이 되어 엄마의 유령이 출몰하고 실종된 엄마를 애도하면서 자신 속 깊이 엄마에 대한 죄의식을 씻어 내고자 한 것은 아니었을까 싶다.
모계 사회로의 회귀인가?
한국 사회 현대 여성의 모성성은 전통적인 어머니상과 결별했는가? 혹시 현대판 새로운 모성 신화가 창조되고 있는 것은 아닌가? 아직도 우리는 엄마라는 유령을 신격화해서 모성 신화를 쓰고 싶어 하는 것은 아닌가? 우리는 고달프고 힘든 삶으로부터 탈출하기 위해 엄마를 희생양으로 삼는 교묘한 공범자들은 아닌가? 엄마라는 영원한 고향을 아우라로 만들어 엄마를 착취하고 있는 것은 아닌가?
부권이 무너진 사회 속에서 여전히 우리들은 누군가 의지하고픈 도피처를 찾는 것일까? 아버지 없는 사회에서 이제 대신 어머니를 내세우고 있는가? 그러나 이 방법은 좀 비겁한 것은 아닐까? 전통적인 어머니를 불러내, 그 어머니를 희생양으로 세우고 그 희생양 속에 죄의식을 떨어 버리는 것은 아닌가?
『엄마를 부탁해』의 에필로그에 나오는 피에타상의 성모마리아에 비유되는 어머니. 짐짓 모성 신화의 냄새가 나지 않은가. 불편하다. 성모마리아의 온화함 속에서 이미 사라져 버린 권위의 상징인 대타자를 찾고자 하는 것은 아닌가? 이 피곤한 시대에 영원한 안식처로 인식되는 어머니 품! 고단한 일상 때문에 어머니 자궁 속으로 들어가고 싶은 본능 회귀가 있는가?
왜 『엄마를 부탁해』에 많은 독자들이 빠져 드는가? 권위적인 아버지가 사라진 시대, 사람들은 뭔가 허전해 하는 것일까? 우리는 피에타상에 각인되어 있는 성모마리아, 희생의 화신인 어머니를 다시 찾고 있는지도 모른다. 나는 이러한 신드롬 현상에 심드렁하다. 새로운 모계 사회로 가고픈 대중들의 열망을 슬쩍 엿보았기 때문일까?
여성주의자들은 미래 어떤 사회를 희망하는가? 대중은 어떤 사회를 희망하는가? 여성주의자들은 가부장제가 하루바삐 멸망하기를 희망한다. 대중의 바람은 무엇인지 분명하지 않다. 그러나 자신의 고단함과 불안함을 보듬어 줄 새로운 권위인 대타자를 희망하고 있는지도 모르겠다. 그 열망이 새로운 모계 사회와 비슷한 것은 아닐까? 모계 사회로의 회귀! 여성주의가 바라는 것이 아니다. 전혀 달갑지 않다.
시중에 여성주의자들은 모계사회로의 회귀를 반기고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더러 있는 듯하다. 이것은 전혀 오도된 일임이 분명하다. 우리 사회 드센 여성들의 이미지를 한껏 받고 있는 여성주의자들이 부권을 패스받아 새로운 강권한 모권 사회를 건설하려고 한다고 생각한다면, 위험천만한 일이다. 이러한 일은 나도 뜯어 말리고 싶다. 어떤 신화도 만들어내지 않는 사회, 어떤 우상도 내세우지 않는 사회, 이러한 사회가 진짜 우리가 꿈꾸는 사회가 아닐까?
여성주의에 시큰둥한 요즘, 그래도 나는 모계 사회로의 회귀를 꿈꾸지는 않는다.
연효숙(연세대) / adin@admin.com
Leave a Reply
Want to join the discussion?Feel free to contribu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