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자의 말, 맹자의 말[천하무적 맹자왈]
공자의 바른 말[正言]
노나라의 실권자였던 계강자가 공자에게 이렇게 물었다.
“도둑질하는 백성들이 많은데 어떻게 하면 좋겠습니까?”
공자왈
“당신이 도둑질하지 않으면 백성들에게 상을 주어도 도둑질하지 않을 게요.”
“…”
공자는 노나라에서 벼슬할 생각이 없었던 모양이다.
제자 자로가 이렇게 물었다.
“선생님, 위나라 임금이 선생님을 모셔서 정치를 하려 합니다. 위나라에 가시면 무슨 일부터 하시겠습니까?”
공자왈
“반드시 윗사람의 명분부터 바로 잡아야지.”
“글세, 이렇다니까. 선생님, 그딴 건 뭣하러 바로 잡습니까?”
“모르면 잠자코 있거라. 명분이 바로 서지 않으면 백성들이 손발 둘 곳이 없어진다.”
“…”
공자는 위나라에서도 벼슬할 마음이 없었나 보다.
공자의 초상
제나라 경공이 공자에게 물었다.
“정치를 어떻게 해야 합니까?”
공자왈
“임금은 임금답고 신하는 신하다워야 합니다.”
공자는 제나라에서도 벼슬할 생각이 없었던 게다. 모름지기 통치자를 바로잡으려 하면 벼슬하기 어려운 법이니.
등용되기 위해서 이리 저리 돌려서 말하는 법이 없다. 그게 공자의 바른 말이다.
맹자의 직언(直言)
제나라 선왕이 맹자에게 물었다.
“신하의 도리에 대해 말씀해주시기 바랍니다.”
“어떤 신하 말입니까? 동성지신(同姓之臣 : 왕과 같은 성씨로서 신하 노릇하는 사람, 왕과 혈연이기 때문에 때에 따라 왕이 될 수도 있다) 말입니까? 아니면 이성지신(異姓之臣 : 다른 성을 가진 신하) 말입니까?”
“우선 같은 성씨를 가진 신하에 대해 말씀해주시지요.”
맹자왈
“동성지신은 임금이 잘못을 저지르면 간하고 간해도 듣지 않으면 임금을 바꿔 치웁니다.”
“…!”
왕의 얼굴색이 안정을 찾은 뒤에 다시 이성지신에 대해 물었다.
“이성지신은 임금이 잘못을 저지르면 간하고 간해도 듣지 않으면 떠납니다.”
“…”
이러니 맹자가 제나라에서 끝내 벼슬하지 못한 게 하나도 이상할 것이 없다.
제나라 선왕은 맹자에게 어떤 대답을 기대했을까? 아마도 신하는 임금에게 충성을 다해야 한다는 상투적인 대답이었을 게다. 그럼 맹자는 상투적인 말을 전혀 하지 않았던가? 그렇지는 않다. 맹자도 하나마나한 이야기를 했다.
제나라가 등나라에 가까운 설나라에 공격용 성을 쌓자 등나라 문공이 걱정하면서 맹자에게 이렇게 물었다.
“제나라가 설나라에 성을 쌓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를 공격해올까 두렵습니다. 어떻게 하면 좋겠습니까?”
맹자왈
“목숨을 걸고 지키든가 아니면 떠나가는 수밖에 없습니다.”
“…”
등나라 문공은 속으로 ‘이것도 조언이라고 하는가?’하지 않았을까?
아무리 봐도 맹자의 이야기는 조언이라기엔 너무나 무모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분명 곧이곧대로 일러준 말이다. 도리가 본래 이런 것이다. 도리를 벗어나 뭔가를 하려하면 마침내 상앙이나 이사, 한비자처럼 권모술수에 빠지게 된다.
맹자의 고국인 추나라가 이웃 노나라와 싸워서 패했다.
추나라 목공이 맹자에게 물었다.
“과인의 신하 33명이 이번 전쟁에 죽었습니다. 그런데 백성들은 한 명도 죽지 않았습니다. 백성들을 죽이자니 이루 다 죽일 수 없고 그대로 두자니 윗사람이 죽는 것을 구하지 않은 것이 미우니 어떻게 하면 좋겠습니까?”
맹자왈
“임금께서는 백성들을 원망하지 마십시오. 백성들이 이제야 보복을 한 것입니다.”
“…”
자신의 고향이라고 해서 예외가 없다. 그저 곧이곧대로 대답하니 통치자로서는 당연히 듣기 괴롭다.
상앙의 허튼 소리[浮言]
강대국 진나라의 승상이 되었던 상앙은 일찍이 양나라 혜왕 밑에 있었지만 등용되지 않자 앙심을 품고 진나라 효공을 찾아갔다. 상앙은 효공의 측근이었던 경감의 소개로 효공을 만났다.
첫 번째 대면이 끝나고 나자 효공은 경감에게 “그대가 소개한 자는 미친 놈이야. 어찌 쓸 수 있겠는가?”하고 크게 꾸짖었다. 경감이 그대로 전하자 상앙은 한 번 더 만나게 해 달라고 요청했다. 두 번째 만남이 끝나고 나자 효공은 이번에도 경감을 꾸짖었다. 경감이 다시 상앙을 꾸짖자 상앙은 한 번 더 만나게 해 달라고 요청했다. 상앙을 세 번째 만나고 난 뒤 효공은 경감에게 이렇게 말했다.
“그대가 소개한 객은 훌륭한 사람이다. 함께 이야기를 나눌 만하다.”
상앙이 다시 효공을 만났는데 이번에는 며칠을 함께 이야기를 나누었는데도 효공이 싫증내지 않았다. 나중에 경감이 상앙에게 어떻게 임금의 환심을 얻었느냐고 물었다. 상앙은 이렇게 대답했다.
“처음에 나는 요순의 정치 곧 무위를 근간으로 하는 제도(帝道)정치에 관해 이야기를 했지요. 임금께서 하품을 하며 들은 체 하지 않더군요. 그래서 두 번째 만날 때는 인의를 종지로 삼는 왕도(王道)정치를 이야기했더니 이번에도 임금께서 좋아하지 않더군요. 그래서 세 번째는 힘으로 나라를 다스리는 패도(覇道)정치에 관해 이야기를 했더니 임금께서 크게 관심을 보이고 좋아하시더군요. 그래서 네 번째 만남에는 다시 가혹한 법률로 백성들을 통치하여 나라를 강하게 하는 법술을 이야기했지요. 그랬더니 저리 좋아하시는 겁니다.”
진나라 효공이 원했던 정치는 어떤 것이었을까? 말 할 것도 없이 ‘강국지술(强國之術)’로 나라를 부강하게 하는 것이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럼 상앙이 원했던 정치는?
한 마디로 말하자면 그런 거 없다. 상앙은 그저 상대가 원하는 대답을 해줄 뿐이다. 그래서 제도, 왕도, 패도, 법치를 차례대로 말한 것이다. 뭐든지 팔 수 있다는 뜻이다. 그러니 사마천이 그가 한 말을 두고 허튼 소리[浮說]라고 낮추어 볼 만 하다.
한비자의 난언(難言)
상앙이야 출세에 눈이 어두웠으니 그렇다 치고 춘추전국시대를 통틀어 유일한 공족 출신 사상가였던 한비자는 어떨까? 그는 한 마디로 유세란 참으로 어려운 일이라고 규정했다.
“유세의 어려움은 나의 식견이 유세할 만한가 아닌가에 있는 것도 아니고 내 말재주가 뛰어난가 아닌가에 달려 있는 것도 아니며 내가 말을 잘 못하여 뜻을 제대로 전달하기가 어려운 데 있는 것도 아니다. 유세의 어려움은 오직 유세의 상대인 군주가 무엇을 좋아하는지 알아내 거기에 내 말을 맞추기가 어렵다는 데 있다. 유세의 상대가 고명한 도리를 숭상하는데 실리를 가지고 유세하면 하급의 인물로 보고 천시할 것이다. 반대로 상대가 이익을 좋아하는데 고명한 도리로 유세하면 세상일에 어두운 자라 여겨 거두어들이지 않을 것이다. 그런데 유세의 상대가 속으로는 이익을 좋아하면서 겉으로는 고명한 도리를 좋아하는데 이런 경우에 고명한 도리로 유세하면 겉으로는 받아들이는 척하면서 실제로는 멀리할 것이고, 이런 경우에 실리로 유세하면 몰래 그 계책을 쓰면서도 겉으로는 버릴 것이다…”
그럼 한비자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
“겉으로는 고명한 도리를 내세우면서 실제로는 이익을 챙길 수 있게 유세해야 한다.”
하지만 그렇게 한다고 해서 성공이 보장되는 것은 아니다.
무릇 권력자의 변심이란 언제 일어날 지 알 수 없는 일이기 때문이다. 한비자도 그걸 잘 알고 있었다.
“용(龍)이란 짐승은 유순할 때는 살살 달래서 타고 놀 수도 있다. 하지만 목 아래에 거꾸로 돋아난 비늘 역린(逆鱗)이 있는데 자칫 그걸 잘못 건드리면 반드시 사람을 물어 죽인다. 군주에게도 역린이 있다. 유세하는 사람이 군주의 역린을 건드리지 않는다면 유세에 성공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렇게 유세하는 방법에 밝았던 한비자도 진나라에 갇혀 그 잘난 유세술을 제대로 한 번 펼쳐보지도 못하고 죽고 말았으니 사마천이 슬피 여길 만하다.
하지만 나는 한비자가 자신을 유세술을 펼칠 기회를 가졌다 하더라도 성공하지 못했을 것을 안다. 모름지기 권력자의 변심은 그가 스스로 미자하의 여도지죄(餘桃之罪)에서 말한 것처럼 아무런 까닭이나 이유가 없기 때문이다. 그러니 그 아래에 있는 사람이 어찌해 볼 수 있는 게 아니다. 그 아래에서 상대의 기분에 맞추려고 애쓰는 사람은 권력자에게 하절(下節)로 폄하되어 유세에 성공하지 못할뿐더러 설혹 운이 좋아 유세에 성공하더라도 두고두고 오욕의 삶으로 비난받을 것이다.
일찍이 정이천이 신불해나 한비자는 천박하고 비루하다(申韓則淺陋易見)고 낮게 평가한 것은 참으로 까닭이 있다 할 것이다.
그럼 뒤따르는 수레가 수십 대에다 수행하는 제자 수백 명과 함께 위세 당당하게 제후들 사이를 돌아다니며 밥 얻어먹으면서도 하고 싶은 말 다 했던 맹자는 어떤 방법으로 유세했을까? 맹자는 일찍이 송구천에게 유세하는 방법에 대해 이야기 한 적이 있다.
맹자왈
“남이 알아주더라도 떳떳하고 당당하며 남이 알아주지 않더라도 떳떳하고 당당하게 행동할 뿐이다. 옛 사람들은 뜻을 얻어서는 은택이 백성들에게 미쳤고, 뜻을 얻지 못해서는 몸을 닦아서 세상에 드러났다. 곤궁하면 홀로 자신을 선하게 하고 영달하면 천하 사람들과 함께 선을 실천한다. 곤궁해도 의리를 저버리지 않기 때문에 자신을 잃어버리는 일이 없고 영달해도 도리를 벗어나지 않기 때문에 백성들이 실망하지 않는다.”
전호근(민족의학연구원, 철학) /
Leave a Reply
Want to join the discussion?Feel free to contribu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