섦 – 거꾸로 [별과 달과 바람의 노래] -23

 거꾸로

김설미향(그림책 작가)

있어야 할 곳에 있지 않고
가야 할 곳에 가지 않고
죽음이 두려워 회피하는 삶은
절망과 좌절 속의 희미한 빛조차 삼켜버린다.
나는 절망과 좌절을 두려워 하고
두려움을 용기삼고
피하는 용기의 무기를 덛쓰고
퇴행하는 삶을 선택했다.
그것이 두려워 두려움을 꼭 껴안고
민낯을 보려하지 않고
거짓을 진실삼아 진실을 왜곡하여
보이는 것만 보고 보고 싶은 것만 보며 살아있다.
반성을 생각하는 사유만이 철창을 부수고
자유를 허락하여 맑은 공기를 마시는 기쁨을 얻을 수 있고
한 겨울의 눈도 비가 되는 변화를 볼수 있고
거꾸로 가는 왜곡의 거울을 깨트릴 수 있다.
나는 어디로 가고 있는가?
나는 어디로 흘러가고 있는가?
나는 무엇을 보고 있는가?

2016-12-31

작가의 블로그 http://dandron.blog.me


작업노트

거꾸로의 현상은 우리의 삶을 불편하게 하고
거꾸로 된 사물을 바라보는 것 자체도 우리의 인식을 불편하게 합니다.
이번 한 해 우리 사회 전체에 거짓으로 포장된 거짓이 난무하는 것을 보며
사람들은 세상이 거꾸로 가고 있다고 했습니다.
사람들은 민주주의가 후퇴하여 몇 십년 전의 독재정권을 다시 보는 듯 하다고 했습니다.
제대로 된 역사 교육의 부재, 역사 의식의 부재, 왜곡된 역사가 진실로 포장되어
국민들을 기만하였고 소수 개인의 이권을 위한 대통령과 비선실세,정경유착에 의한
온갖 거짓으로 점철된 부정이 나라를 뒤덮었습니다.
정치인과 재벌가들의 소수의 경제 나눠먹기식 통치와 유지가 지금까지 가능했으며
이들 소수를 배불리기 위한 경제 논리가 여전히 통했고 권력과 경제는 정경계가
나눠먹기 하며 나라의 재정이 어렵다고 경제적 부담은 고스란히 시민들에게 안겨줬습니다.
가난은 일반 시민들의 몫이고 가난의 이유는 열심히 노력하지 않은 댓가라고
자기 타협적인 결과로 귀결하게 하는 소수의 지배자들의 지배 이념을 국민들에게 주입시켜
개인은 스스로를 채찍질하게 하거나 자신을 토닥이는 좌절의 구렁텅이로 집어넣었으며
우리 삶이 다 그런거야라고 희망이없는 지배체제에서 그들은 배부르게 호의호식하며
대다수 국민들에게 고통과 희망이 없는 절망을 주었고 이것이 지난 수십년 간의 행해져 온
대한민국의 현실입니다.
시장의 논리에 약자는 자기 결정권, 선택권, 기회가 없습니다.
분배의 결정권은 소수의 독점적 형태로 유지되어 왔고 힘없는 시민은 이끌려가는 삶을
살아갈 수 밖에 없습니다.현실을 저항하는 자는 죽음으로 가는 지름길을 선택하는 것이나 다름 없습니다.
전기세,가스요금이 없어 자살을 선택하는 세상이고 부정을 씌어 자살을 하게 만드는
소수의 정치체제이며 부정한 자들은 잘살고 정직하고 정의로운 사람은 가난이 당연한 사회입니다.
부패비리로 얼룩진 자들이 권력을 갖고 있는 것이 정상으로 여겨지는 사회입니다.
배가 터져 죽을지언정 부정과 비리의 온상인 그들에게 그 욕심을 채우는 삶은 너무도 당연하고 정상적인 삶입니다.
‘이게 나라냐”고 할 정도로 사회를 혼란스럽게 만들어 놓은 소수의 비정상적인 정상화는
후퇴하는 민주주의를 만들었습니다.
그러나 다행스럽게도 많은 국민들이 얼룩진 사회를 청산하기 위해 광화문에서 한 목소리로
거짓에 분노하는 모습을 보고 희망을 보았습니다. 이제 우리나라도 모든 국민이 보다 깨끗한 사회에서
행복하고 조금 더 안전하게 살아갈 수 있을 것이라는 희망을 보았습니다.
많은 시간 동안 진실을 보고 거짓을 진실처럼 믿으며 귀를 막고 눈을 감고
진실을 보려하지 않고 스스로의 안위를 걱정하며 두려움을 밟고, 두려움을 넘지 못하고
회피하는 삶을 지금까지 살아온 건 아닌지 반성하는 시간이 되었습니다.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이다. 대한민국의 주권은 국민에게 있고, 모든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온다.’
이 대한민국헌법 제1조가 우리 사회의 국민 개개인에게 깊이 뿌리 내리길 소망합니다.
새해에는 희망이 현실로 이뤄지길 바랍니다.
행복한 새해, 소망이 이뤄지는 새해 되시길 바랍니다.

살아있는 죽음 [퍼농유]

우쑵니다.

정치는 쑈라고 하지만 정치는 쇼이어야만 한다는 강고한 믿음을 가진 사람들의 쇼를 지켜보는 것만으로도 지겨움을 넘어 역겨울 지경입니다. 애덜의 쇼에는 그래도 천진난만함이라도 있지 이건 뭐 비열함만이 가득합니다. 어찌 헤쳐나가야할지 신의 가호가 아니라 신뢰의 연대와 냉정한 지혜가 있기를 ……. 물리적으로 너무 바쁜 10월입니다. 간단한 글하나 올립니다. 꾸뻑

82113073, 3/26/07, 2:55 PM, 8C, 4074x5354 (958+1512), 100%, Winogrand_11x1, 1/60 s, R78.0, G63.3, B72.6

82113073, 3/26/07, 2:55 PM, 8C, 4074×5354 (958+1512), 100%, Winogrand_11x1, 1/60 s, R78.0, G63.3, B72.6

난 어릴 적 고생을 몰랐다. 아버지 덕택이다. 아버지는 2016년 2월 15일 응급실에서 돌아가셨다. 한밤중에 응급실에서 깨어났을 때 아버지의 “뭣 하러 왔어”라는 무심한 한마디에 “어서 주무세요, 아침에 다시 올께요”라고 했지만 아버지의 눈빛을 제대로 쳐다 볼 수가 없었다. 왜 그랬을까에 대한 답변은 알고 있는 듯 모르는 척하는 듯 말할 수 없지만 다시 새벽 병원 응급실에서 아버지는 이미 의식을 잃고 계셨다. 아버지는 이 자식의 작별 인사도 제대로 받지 못하고 너무 성급하게 떠나셨다.
죽음에 대해서 생각했던 그런 때가 있었다. 그때 우연치 않게 손에 들었던 책이 노베르트 엘리아스의 《죽어가는 자의 고독》이었다. 그때 깨달았다. 난 추상적인 죽음을 알고 싶었던 것이 아니었다. 오히려 구체적인 사람들의 죽음, 죽은 사람들, 그리고 죽어가는 사람들이 알고 싶었던 것이라는 사실을. 엘리아스는 이렇게 말한다.
“우리 시대에 죽어가는 사람들 곁에서 살아 있는 사람들이 느끼는 각별하다고 할 당혹감은 죽음과 죽어가는 사람이 사회생활로부터 최대한 배제되어 있다는 점, 그리고 죽어가는 사람들을 다른 이들로부터 철저히 격리한다는 사실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죽어가는 사람 앞에서 사람들은 마땅히 할 말을 알지 못한다.”
난 죽어가는 아버지에게 무엇을 말할 수 있었을까. 아니 난 죽어가는 아버지에게 무엇을 말할 것인가를 고민하지 말았어야 했다. 살아 있는 아버지께 무엇을 말할 것인지를 생각해야 했으며 살아 있는 아버지께 “어서 주무세요, 아침에 다시 올께요”라고 말해서는 안 되었던 것이었다.
엘리아스는 죽음의 병상에서 무덤으로 너무도 완벽하게 처리되는 죽어가는 사람들의 고독을 말하고 있지만, 사실 죽어가는 사람들은 병원에만 있는 것은 아니다. 이 사회 그 어딘가에는 이 사회가 철저히 배제해버린 살아있으면서도 죽은 듯이 살아가는 사람들이 있다.
죽음은 은폐되고 삶은 전시되고 있다. 죽어가는 자들은 음침한 뒷골목으로 내몰리고 산 자들은 양양한 대로를 뻔뻔하게 거닐고 있다. 하여 자신은 이 양양한 대로를 뻔뻔하게 걸을 생각만을 하면서 죽어가는 사람들에게 “어서 주무세요, 아침에 다시 올께요”라고, 나는 어쩌면 우리는 그런 무심한 말을 죽은 듯 살아있는 사람에게 해서는 안 되는지도 모른다.

%ec%9e%84%ec%a2%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