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2018년 8월 1일부터 매주 수요일 ‘그리스 로마 원전을 연구하는 사단법인 정암학당’에서 열리고 있는 “이정호 교수와 함께하는 플라톤의 『국가』 상설 강좌”의 강의록입니다. 이 강의록은 매주 열리는 강좌 진행에 맞추어 본 웹진에 정기적으로 연재될 예정입니다. 원고를 게재해 주신 이정호 선생님과 정암학당에 감사드립니다. 독자 여러분의 많은 관심 바랍니다~

강 사 : 이정호(정암학당 이사장, 방송대 문화교양학과 명예교수)
대 상 : 학당 회원, 방송대 동문, 일반 시민
텍스트 : 플라톤의 『국가』, 박종현 역주, 서광사

플라톤의 『국가』 강해 ④ [이정호 교수와 함께하는 플라톤의 『국가』]

플라톤의 <국가> 강해

 

서론에 이어 본문 강해는 앞에서 밝힌 강해취지에 따라 텍스트를 처음부터 빠짐없이 천천히 읽어가며 주요 부분을 설명하는 형식으로 진행한다. 정암학당 현장 강의에서는 텍스트의 일정 단락을 청중들과 함께 읽고 난 다음, 강사가 다시 읽어가며 설명을 하지만, 이곳 강의록에는 본문 내용이 생략되어 있다. 그러므로 독자들은 텍스트 해당 부분 독서를 병행하며 본 강해를 참고하시기 바란다.

 

[1 ]

 

<세부 목차 >

 

  1. 도입부(327a-328b) : 소크라테스와 글라우콘은 페이라이에우스에서 열린 벤디스 축제 에 갔다가 폴레마르코스의 집에 초대를 받는다.

 

  1. 케팔로스와 대화 : 노년의 즐거움과 재산(328b~331d)

2-1(328b-328c) : 소크라테스, 케팔로스를 만나 노년의 즐거움을 묻는다.

2-2(329a~329d) : 케팔로스의 대답 – 노년의 즐거움은 노령이 아닌 생활방식에서 온다.

2-3(329e~330c) : 노령을 수월하게 견디게 해주는 것이 과연 생활 방식인가 재산인가?

2-4(330d~331d) : 노령의 즐거움과 재산의 관계를 논하다 정의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다.

 

  1. 폴레마르코스의 정의(331d~336a)

3-1(331d-332b) : 폴레마르코스, 시모니데스를 인용하여 ‘각자에게 갚을 것을 갚는 것이 정의이다’라고 말하다.

3-2(332b~334b) : 정의는 ‘각자에게 합당한 것을 갚는 것’ 즉 ‘친구들과 적들에 대해 각각 이득을 주고 손해를 입히는 기술’인가?

3-3(334c~336a) : 기능과 훌륭함(덕) – 정의는 사람을 나쁘게 할 수 없다.

 

  1. 트라쉬마코스의 정의(336b~354c)

4-1(336b~338b) : 트라쉬마코스의 저돌적 등장과 소크라테스의 당부

4-2(338c~339a) : 트라쉬마코스, ‘정의는 강자의 이익이다’라고 주장하다.

4-3(339b~340b) ; 폴레마르코스와 클레이토폰이 잠깐 끼어든다.

4-4(340c~341a) : 트라쉬마코스, 통치자는 실수를 하지 않는다고 주장하다.

4-5(341a~342e) : 소크라테스, 기술 일반의 특성을 토대로 트라쉬마코스를 비판하다.

4-6(343a~344c) : 트라쉬마코스, 현실론으로 돌아와 속내를 적나라하게 드러내다.

4-7(344d~345e) : 소크라테스의 절망과 분노

4-8(345e~346e) : 기술과 그 기술에 수반하는 보수획득술은 구분해야 한다.

4-9(347a~347e) : 통치자에게 보수는 강제나 벌이다.

4-10(348a~349a) : 소크라테스, 검토방식을 재정비. 정의와 부정의는 각각 덕과 악덕.

트라쉬마코스, 정의는 고상한 순진성, 부정의야말로 덕과 지혜.

4-11(349b~350c) : 소크라테스 능가개념을 토대로 정의가 덕과 지혜임을 밝히다.

4-12(350d~352c) : ‘부정의는 강하다’라는 주장에 대한 검토

4-13(352d~354a) : ‘정의로운 사람이 부정의한 사람보다 잘 살고 행복한가?’에 대한 검토

4-14(354b-354c) : 마무리와 탄식

 

<본문 강해>

 

  1. 도입부(327a-328b) : 소크라테스와 글라우콘은 페이라이에우스에서 열린 벤디스 축제에 갔다가 폴레마르코스의 집에 초대를 받는다.

 

[327a]

* <국가>는 소크라테스가 어제 나눈 대화를 누군가에게 전해주는 형식을 취하고 있다. 대화는 그가 글라우콘과 함께 아테네 외항 페이라이에우스에서 처음 열리는 트라케인들이 주최하는 벤디스 축제에 갔다가 축원과 구경을 마친 후 돌아오는 모습을 그리는 것으로 시작한다.

* ‘어저께 나는 글라우콘과 함께 페이라이에우스로 내려갔네.’κατέβην χθὲς εἰς Πειραιᾶ μετὰ Γλαύκωνος <국가>의 그리스어 텍스트는 ‘내려갔네.’κατέβην라는 동사로 시작한다. 이 첫말이 갖는 함축을 제7권 서두의 동굴의 비유에서 지혜로운 자가 다시 동굴로 내려가는 상황과 연결 지어 생각하는 학자도 있다. 당연히 동굴의 비유 부분에서도 그 동사가 나온다.(516e) 대화편의 구조를 크게 보면 소크라테스가 페이라이에우스로 내려가 그곳에서 만난 사람들의 주장들을 논박하거나 깨닫게 하여 지혜의 세계로 이끌어가는 형식을 취하고 있다고 생각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 소크라테스는 ‘어제’χθὲς 거의 밤이 샐 정도로 오랫동안 토론을 했음이 분명함에도 그에 이어 오늘 누군가에게 그 긴 이야기를 전하고 있다. <티마이오스>도 이처럼 ‘어제’ 대화에 이어 오늘도 이야기를 나누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그런데 흥미롭게도 <티마이오스>에서 ‘어제’(17a)했다고 요약 인용되고 있는 이야기가 <국가> 4권의 내용과 거의 일치한다. 이를 근거로 <티마이오스>의 대화 설정 시기가 <국가>에서 이루어진 대화 다음날이고 그에 따라 <국가>의 이야기를 전해 듣는 사람들이 <티마이오스>의 등장인물들 즉 티마이오스, 크리티아스, 헤르모크라테스라고 주장하는 사람도 나타났다. 실제로 5세기 플라톤 주석가로 유명한 프로클로스는 이를 근거로 <국가>, <티마이오스>, <크리티아스>를 3부작으로 쓰여진 것이라 주장하기도 했다. 그러나 <티마이오스>에서 언급된 내용은 <국가> 전체 내용도 아니고 4권의 내용도 일부만을 요약한 것에 불과하다. 게다가 소크라테스는 <티마이오스>에서 그 내용이 어제 이야기한 내용에서 빠진 것 없이 그대로라고 말하고 있는데 (19a~b). 이 또한 앞뒤가 맞지 않는다. 이미 <국가> 내용을 다 알고 있는 소크라테스가 <티마이오스>에서 일부 요약에 불과한 내용을 가지고 그렇게 말했을 리는 없기 때문이다. 게다가 그 내용이 플라톤의 핵심 정치사상임을 고려하면 그러한 중요한 내용을 그 날 하루만 표명했을 리도 없을 것이다. 이러한 것들을 고려하면 두 대화편의 대화 설정시기가 연속적이라는 주장은 신빙성이 희박하다.

* 페이라이에우스Πειραιεύς는 아테네 도심으로부터 8㎞ 떨어진 아테네 외항이다. 페이라이에우스는 페리클레스의 제국화 정책 이후, 국제적인 교역이 급증하고 상업이 발달함에 따라 아테네와 외부지역을 연결하는 핵심 항구이었을 뿐만 아니라 에게 해를 오가는 배들의 기항지로서도 중심적인 기능을 했다. 페르시아 전쟁이 끝나면서 그리스의 패권을 둘러싸고 스파르타와의 전쟁 기운이 커지자 페리클레스는 기원전 457년 막강한 스파르타의 육군의 침공으로부터 아테네를 방어하고 아테네 도심의 고립을 피하기 위해 도심 성곽과 페이라이에우스를 잇는 장성(μακρὰ τείχη)을 구축한다. 페리클레스는 스파르타가 아티카를 침공하면 지역 농민들을 소개(疏開)시켜 장성으로 피신케 한 후 스파르타 군이 복귀하면 해군을 동원하여 스파르타 해안 마을을 공격하는 전략을 썼다. 그의 이러한 전략은 큰 효과를 거두었지만 앞서 살폈듯이 좁은 장성 내에 수많은 사람들이 집단 거주함에 따라 기원전 429년에는 참혹한 역병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되기도 했다.

* ‘그 여신께 축원도 드릴 겸’προσευξόμενός τε τῇ θεῷ이라는 말에서 표명되고 있는 여신신은 354a에서 지금 열리고 있는 축제가 벤디스 축제(Bendideia)로 언급되고 있다는 점에서 벤디스(Bendis) 여신임이 분명해 보인다. 벤디스 여신은 아테네의 아르테미스(Artemis) 여신에 해당하는 트라케 지방의 여신으로서 다산과 풍요를 상징한다. 고대 그리스에는 각 나라마다 숭배하는 주신이 있었고 주신들 이외에도 또 각 도시와 지방, 마을 마다 자신들을 가장 잘 돌봐줄 것으로 여겨지는 각기 다른 여러 신들을 섬기고 있었다. 그에 따라 그리스 전역에는 국가가 관리하는 신전을 비롯해 지역별, 개인별로 공물을 바치고 안녕을 기원하는 크고 작은 수많은 신전들과 제단들이 산재해 있었고 정기적으로 제의와 축제가 열리곤 하였다. 이처럼 고대 그리스인들에게 종교 생활 즉 제우스를 비롯한 여러 신들에 대한 신앙은 오랜 동안 전통적인 규범이자 관습으로서 그들의 일상적 삶에 뿌리 깊게 자리 잡고 있었고 그 신들에 대한 기록을 담고 있는 호메로스 시가는 그리스인들에게 그들의 의식을 지배하는 경전과 다름없었다. 정기적으로 열리는 제의와 축제는 물론 공적 기부금까지 동원하여 수시로 펼쳐지는 시가를 주제로 한 합창극·연극 공연은 이러한 믿음을 공유하는 일종의 교양교육이자 세계관 내지 가치관 교육이기도 했다. 이런 측면에서 플라톤의 시가와 시인 비판은 단순한 예술 비판의 문제가 아니다. 그것은 당대 세계관·가치관에 대한 비판적 성찰인 것이다. 수호자 교육에서 시가 교육이 생각 외로 큰 부분을 차지하는 것도 그러한 연유에서 비롯된 것이다. 이 문제는 수호자 교육을 다룰 때 보다 자세히 살필 것이다.

* 소크라테스도 위와 같은 아테네의 종교적 전통과 관습에 따라 제의에 참석하여 신들에게 기원을 드리고προσεύχομαι 있다. 이곳에 나오는 ‘본바닥 사람들(ἐπιχώριοι)의 행렬’은 아마도 트라케 사람들의 벤디스 축제를 동반 축하하기 위해 본토 주민들이 펼친 아르테미스 여신 경배 행렬일 것이다. 이미 국제화된 아테네에서 본토 주민과 거류외인이 큰 거리감 없이 매우 자연스럽게 공존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한 장면이다.

* ‘트라케인들’οἱ Θρᾷκες 이들은 본토 주민들과는 구별되는 거류외인들((metoikoi 혹은 synoikoi)로서 대부분 아테네의 상업 장려 정책에 의해 페이라이에우스에 정착한 트라케 출신 즉 발칸반도 동북부에서 내려온 상인들 또는 라우레이온 은광 채굴을 위해 초청된 광산 기술자들일 것이다. 이들의 유입이 늘어남에 따라 아테네는 그들의 관습과 제례도 허락하였고 그런 배경에서 페이라이에우스에 트라케인들의 여신인 벤디스 신전도 세워졌고 축제도 개최되었을 것이다. 벤디스 축제 관련 비각문에 대한 연구 가운데 최근에 이루어진 연구 결과에 따르면 벤디스 축제가 아티카에서 열린 시기는 기원전 429년까지 거슬러 올라간다는 새로운 주장이 제기되었다. 만약 이 주장이 옳다면 앞서 살핀 대화편 상정 시기를 최대 429년까지 높여 잡을 수 있는 하나의 근거가 될 수도 있다.(Christopher Planeaux, ‘The Date of Bendis Entry into Attica’, The Classical Journal 96.2, December, 2000. pp165-195)

* 아테네를 비롯한 고대 그리스의 폴리스 주민들은 자유민(eleutheros)과 비자유민으로 구분된다. 자유민은 다시 시민(politēs, 참정권을 가진 완전 시민으로서 성인 남성들과 불완전 시민으로서 그들의 가족)과 비시민(거류외인+ 그의 가족, 시민과 비시민의 자식 등)으로 나누어진다. 이처럼 시민은 곧 자유민이지만 자유민이 곧 시민은 아니다. 그리고 비자유민에는 농노(농업노예)와 가사노예(가정교사, 보모 등)가 있었다. 이러한 계급분화는 그리스의 모든 국가가 정복국가였다는 사실에 기인한다. 소크라테스가 활동하던 기원전 425년 경 아테네의 인구는 시민은 29,000명 그들의 가족은 87,000명 거류외인은 7,000명 그들의 가족은 1,4000명, 농노와 노예는 81,000명, 총 218,000명 정도였다. 완전한 시민권은 곧 참정권(koinōnein archēs)을 의미했다는 점을 고려하면 아테네 민주정은 주민 14%에 해당하는 성인 남성 이른바 완전 시민들만의 민주정이었다.

* 아테네에 타 지역 그리스인이 유입되기 시작한 것은 기원전 6세기 초 클레이스테네스가 자신의 정치적 배후세력으로서 민중의 수를 늘이려 한데서 비롯되었다고 하나 본격적으로 늘어난 것은 아테네가 급성장하기 시작한 기원전 480년 이후로 알려져 있다. 이때까지만 해도 아테네에 거주하는 타 지역 그리스인 출신이 시민이 되는 것은 크게 어렵지 않았다. 그리고 비교적 국제적인 도시였던 코린토스 정도를 제외하면 나라마다 외국인도 별로 없었고 스파르타는 아예 정책적으로 외국인을 추방 또는 통제하고 있었다. 그러나 아테네에서만은 해를 거듭할수록 외국인의 수가 크게 늘어나자 이후부터 이른바 metoikos 즉 거류외인이라는 공식명칭이 붙여지면서 법적인 제한이 따르게 되었다. 어떤 이는 metoikos라는 단어가 처음으로 사용 된 것은 427년 초연된 아이스퀼로스의 연극<페르시아인(Persai)>이었다고도 주장한다. (James Watson. “The Origin of Metic Status at Athens”. The Cambridge Classical Journal 56, 2010. p. 265) 이후 거류외인은 시민권은 취득할 수 없었지만 여전히 자유인으로서 영주권과 전문 직업을 가질 수 있었고 각종 종교행사와 제례에도 참가할 수 있었다. 또한 이들은 참정권을 제외한 기타 공공사업에 권리와 부담을 함께 가졌으며 때로는 군역을 지기도 하였고 일부 부유층은 자비무장인(hopla parechomenoi)이 되어 전투에 나서기도 하였다. 다만 그들은 시민이 아니어서 법정에 설 때에는 한 시민을 보호자(prostates)로 내세워야 했다. 그리고 세금의 경우, 이들은 식솔의 수에 따라 소정의 인두세(metoikion)를 내야했다. 그러나 아테네의 상업 진흥정책에 따라 다른 세금에서는 면제되어(ateleia) 점차 이들의 지위는 향상되었다.(빅터 에렌버그 <국가> 63쪽 참고) 이후 이들의 상당수가 부를 축적하여 아테네 부유층으로 성장함에 따라 그들에게도 공공기부금 헌납(leitourgia: 비극·희극의 상연에 불가결한 합창대 운용비용, 함선의 장비 및 시설 등 공공사업비를 위한 기부제도)이 요구되었고 부정기적으로 과세된 특별재산세(eisphora)의 납부 대상이 되기도 하였다. 그리고 이들 중 일부는 아테네의 국운이 기울기 시작한 4세기에 들어서 그들의 부를 이용하여 시민권을 획득하기도 하였다.

* 시민들 가운데 중추적인 계층은 조상 대대로 이어 받은 토지 소유자로서 2, 3명의 노예를 두고 농업 또는 목축업에 종사하는 중소 자영농들이었고 이에 따라 전통적으로 농업이야말로 자유인에 어울리는 직업으로 여겨졌으며 상공업은 시민이 아닌 자들에게 맡겨졌다. 그러나 기원전 5세기 이르러 상업이 발달하고 이오니아 등 외지에서 올리브 수요가 급증하자 토지는 식량생산 보다는 부가가치가 높은 수출용 올리브 재배지로 크게 바뀌어 무역업은 물론 그것을 담을 수 있는 도자기 산업도 크게 발달하였다. 이른바 기원전 5세기 아테네 경제는 식량생산과 물물교환 중심의 전통적인 경제 틀에서 벗어나 교환가치 중심의 화폐경제, 상업경제로 급속하게 재편되고 있었던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아테네의 변화는 농업경제 중심의 전통적인 시민적 삶의 방식을 해체하는 배경이 되었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상업주의적 재편은 특히 페리클레스 등장 이래 아테네가 제국화되면서 전통 그리스 사회의 급격한 변화와 그에 따른 혼란과 내분을 초래하는 근본 원인이 되었다. 당대 주변 국가들 특히 아테네와 패권경쟁을 하던 스파르타인들에게는 농업을 통한 자급자족 이외의 상업주의적 부의 축적이라는 개념은 여전히 낯설고 이질적인 것이었다. 그런데 아테네는 페르시아 전쟁 승리 이후 동맹국으로부터의 조공에 힘입어 경제적으로 크게 성장하였지만 장기적인 경제입국을 위한 비축과 투자 개념은 희박했고 대부분의 경비가 파르테논 등 대규모 신전 건축을 포함하여 시민들의 정치 참여 및 배심원 수당으로 지출되었다. 예산개념도 따로 없었고 실제로 근대국가가 재정적으로 관계하고 있는 몇몇 분야( 예컨대 공교육, 공공수송 등 사회간접자본)는 아예 존재하지 않았다. 군비를 비롯한 나라에 필요한 경비 또한 기본적으로 동맹국의 조공과 국가가 관리하는 신전의 공물 그리고 부유층의 공공기부제(leitourgia)에 크게 의지하였다. 그리고 나라가 시민에게 세금을 물리는 것은 최대한 자제되었으며 직접세는 필요할 경우 민회의 동의를 얻어야 했다. 이에 따라 비교적 상시적인 세입의 주요항목은 무역업의 증대로 생긴 관세 수입정도였다. 아테네는 최소한 재정운용에 한해서는 오늘날의 최소국가와 소비주의를 지향했던 것이다. 이러한 경향은 페리클레스 사후 실권을 잡은 클레온 치하에서 더욱 강화되어 동맹국의 조공 요구도 크게 늘어났고 그에 따라 시민의 정치 수당도 인상되었다. 기원전 5세기 초이기는 하지만 데미스토클레스가 라우레이온 은광이 발견되자 그곳에서 생긴 막대한 부를 시민들에게 분배하지 않고 페르시아 전쟁을 대비하기 위해 삼단노선 건조에 투자한 것은 극히 예외적인 경우였다. 시민 모두가 국가 연금자이다시피한 이러한 포퓰리즘적 경향과 원시적인 재정정책, 행정의 비전문주의는 5세기 중반 아테네의 전성기 동안에는 민주정하 민중들의 정치참여를 유도하는 기폭제 역할도 하였지만, 시라쿠사 원정 실패 이후 펠로폰네소스 전쟁의 참담한 패배를 지나 4세기에 들어서면서부터는 각자도생을 위한 민중들의 이기심과 선동정치, 부자 갈취, 무고와 소송 등 사회적 병폐의 원인이 되면서 공동체의 분열과 몰락을 재촉하는 배경이 되기도 하였다.(빅터 에렌버그 <국가>, 123-130쪽 참고) 이러한 점에서 <국가>가 이 혼란기를 배경으로 아테네의 상업주의를 대표하는 세력이자 오랜 전쟁기간 동안 무기 판매업을 통해 막대한 부를 축적한 케팔로스와의 대화로부터 시작하는 것도 주목할 만한 일이다. <국가>의 집필 또한 이후 아테네가 더욱 쇠락하여 거의 재기 난망의 상태로 접어들던 기원전 375년 전후에 이루어졌다.

 

[327b]

* 소크라테스는 시내로 서둘러 돌아오는 길에 폴레마르코스의 시동παῖς을 통해 기다려 달라는 부탁을 받는다. 여기서 시내τὸ ἄστυ는 폴리스 ‘아테네’의 중심을 이루는 아테네 성곽 내 도심 지역을 말한다.

* ‘시동이 내 뒤에 와서 옷을 붙잡고서’καί μου ὄπισθεν ὁ παῖς λαβόμενος τοῦ ἱματίου.

말을 걸기 전 옷을 붙잡는 장면은 <국가> 제5권 서두에서 폴레마르코스가 아데이만토스에게 귓속말을 건네는 장면에서도 나온다.(449b)

 

[327c]

* 폴레마르코스는 아테이만토스, 니케라토스 그 밖에 몇 명과 함께 소크라테스에게 다가와 시내로 가지 말고 그곳에 머물러 달라고 부탁한다. 니케라토스는 아테네의 장군이었던 니키아스의 아들(Νικήρατος ὁ Νικίου)이다. 니키아스(기원전 약 470-413)는 422년 클레온이 암피폴리스 전투에서 전사하자 그 뒤를 이어 아테네의 지도자가 되어 스파르타와 일시 평화협정을 성사시켰으나 기원전 413년 시라쿠사 원정 중 포로로 잡혀 처형된다. 그의 아들 니케라토스는 함께 있는 폴레마르코스와 함께 404년 30인 과두정권에 의해 처형된다. 기원전 406년에는 페리클레스의 아들 페리클레스도 아르기누사이 해전에 장군으로 참전했다가 시신 수습 문제로 문책을 당해 다른 장군들과 함께 처형된다.

* 이 사람을 ‘이겨내시거나(더 힘이 세거나)’의 원어(κρείττους)는 나중에 트라쉬마코스가 ‘강자’를 표현할 때도 나오는 말이다. 이런 식의 힘에 의한 물리적 윽박지름은 이어서 언급되는 소크라테스의 설득(πείθειν)의 방법과 대비된다. 그리 심각한 대화 국면은 아니긴 하지만 폴레마르코스에게 설득의 방법은 아예 대안으로 고려되고 있지도 않다. 이런 식의 농담조 윽박지름은 <필레보스> 16a, <파이드로스> 236c에도 나온다.

* ‘들으려고도 하지 않는 사람들을 설득하실 수가 있을까요?’ἦ καὶ δύναισθ᾽ ἄν πεῖσαι μὴ ἀκούοντας;라는 폴레마르코스의 반문에 글라우콘이 ‘그럴 수는 없을 겁니다.’οὐδαμῶς라고 답하는 부분은 앞으로 소크라테스가 직면하게 될 상황을 미리 알려주는 복선처럼 느껴진다. 잠시 후 소크라테스는 트라쉬마코스를 만나 어떻게든 그를 설득하려고 최선의 노력을 기울인다. 그러나 소크라테스는 종국에 이르러 트라쉬마코스가 이미 처음부터 아예 들으려고도 하지 않는 사람임을 깨닫는다. 글라우콘의 말대로 그런 사람을 설득하기란 결코 가능한 일이 아니다. 그런 사람에 대한 바른 대응은 이제 설득이 아니라 그와 같은 주장을 완전하게 제압하고도 남을 정도의 대안적 주장을 제시하는 것이다.

* 아무려나 이러한 윽박지름식 강권은 소크라테스에게 익숙하지도 받아들여지기도 힘든 것이다. 그래서일까? 곁에 있던 아데이만토스는 이 상황의 어색함을 금세 알아차리고 다른 방식으로 소크라테스의 체류를 청한다.

 

[328α]

* 아테이만토스는 밤에 횃불 경기도 있고 철야제παννυχίς도 열리니 그것도 구경하고 젊은이들과 대화도 나눌 겸 재차 머물기를 청한다. 횃불 경주 λαμπὰς : λαμπὰς는 횃불 경기의 공식이름이기는 하지만 λαμπὰς는 뒤에 나오는 λαμπάδια와 마찬가지로 그냥 ‘횃불’을 뜻한다.

* 트라케 지방은 광산업이 크게 발달한 지역으로 광산노예들이 많았다. <국가>에 나오는 동굴의 비유 또한 트라케 광산에 묶여 지낸 광산 노예들의 삶에서 착상되었다는 설도 있다. 또 몸과 영혼의 이원론, 영혼불멸설 또한 고대 아티카에서는 그리 발달하지 않은 사고인데 광산 동굴노예의 참혹한 삶이 영혼만이라도 자유롭고 영원하길 바라는 소망과 욕구의 일환으로 생겨나 점차 아티카에도 전해진 것이라는 설도 있다. 트라케지방에서 디오뉘소스 신앙이 발달한 것도 그러한 배경에서 비롯되었을 것이다. 벤디스 축제에서 열린 횃불 경기도 그들이 광산 동굴에서 늘 함께 했던 횃불에서 유래했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광산에서 말을 타고 달릴 수는 없었을 것이다. 그래서일까? 소크라테스는 마상 횃불 경기에 의아해하며 관심을 보인다.

* 이 후 전개된 대화의 분량으로 시간을 추정해보면 아마도 철야제 구경은 밤샘토론으로 대치되었을 것이다. 소크라테스에게는 말잔치(συμποσίον)가 축제 구경보다 좋은 잔치이다. 그렇게 밤을 새우고 나서도 소크라테스는 지금 누군가에게 그 긴 이야기를 또 전하고 있는 것이다. 가히 소크라테스의 열정과 체력이 얼마나 큰 지를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다.

 

[328b]

* 아테이만토스의 말에 소크라테스가 관심을 보이자 폴레마르코스도 그제야 상황을 깨닫고 그의 말을 거들고 글라우콘도 소크라테스에게 머물기를 권한다. 그리하여 소크라테스는 그들의 청을 받아들여 함께 폴레마르코스의 집으로 간다. 그곳에는 뤼시아스, 에우튀데모스, 트라쉬마코스, 카르만티데스, 클레이토폰이 이미 와 있었고 뜰에서 제물을 바치고 앉아있는 폴레마르코스의 아버지 케팔로스와 만나 인사를 나눈다.

* 뤼시아스 Λυσίας (약459-약378)는 폴레마르코스의 아우이다. 기원전 404년 형 폴레마르코스와 함께 민주파의 편을 들어 30인 과두정에 맞서다 형은 재산을 몰수당한 후 처형되고 그 자신은 도피하여 죽음을 면했다. 이로써 유복했던 케팔로스 가문은 몰락한다. 무기 제조 판매업을 통해 치부한 신흥 상공인 계급이자 거류외인이었던 케팔로스 집안으로서는 전통적인 농업국가인 스파르타와 과두정 세력에 대해 그리 호의적이지 않았을 것이다. 뤼시아스는 기원전 403년 민주파에 의해 30인 과두정권이 무너지자 아테네로 돌아와 유명한 법정 연설문 작성자로 명성을 얻었고 민주파를 적극 지지하였다. 소크라테스는 기원전 399년 이 민주파에 의해 희생된다. 플라톤이 <국가>를 저술한 시기가 기원전 375년 경 그러니까 이러한 모든 사태를 목도한 후임을 고려하면 <국가>에서 플라톤이 이미 몰락한 케팔로스 가문을 어떤 시각에서 끌어들이고 있는지를 추정하는 하나의 실마리가 될 수도 있을 것이다.

* 여기 나오는 에우튀데모스Εὐθύδημος는 폴레마르코스의 아우로 플라톤의 대화편 <에우튀데모스>에 나오는 키오스 출신 에우튀데모스와 동명이인으로서 달리 알려진 것이 없다.

* 카르만티데스 Χαρμαντίδης는 훗날 유명한 연설가 이소크라테스의 제자가 된다.

 

———–

 

* 읽기에는 다소 방해가 되겠으나 텍스트 내용에 대한 보다 깊은 이해와 주요 개념의 원래 의미를 알고 싶어 하는 분들이 많아, 앞으로 본 강해에서는 중간 중간 고전 그리스어 원문을 병기할 예정이다. 그리스 로마 시대 고전어 원전 텍스트 대부분이 실려 있는 아래 사이트에 들어가, 저자별 목록에서 ‘Plato’을 찾아서 을 클릭한 후, 플라톤의 <국가> 텍스트(Republic, Greek)와 해당 페이지 및 섹션(327a, 338c 등으로 표기)을 찾아가면 버넷(J. Burnet)판 그리스어 원문과 쇼리(P. Shorey)의 영어 번역, 아담(J. Adam)의 주석 등을 참고할 수 있다. 특히 실린 고전 그리스어 원문의 해당 단어를 클릭하면 자세한 단어별 사전(Liddell & Scott’s Greek-English Lexicon)풀이가 나와 있어, 최소한 고전 그리스어 알파벳 정도만 익힌 분들도 쉽게 해당 개념에 대한 세부 정보를 얻을 수 있다.

* Perseus Digital Library, Perseus Collection, Greek and Roman Materials

http://www.perseus.tufts.edu/hopper/collection?collection=Perseus:collection:Greco-Roman

 

플라톤의 『국가』 강해 ③ [이정호 교수와 함께하는 플라톤의 『국가』]

6. <국가>의 구성과 전체 구도

 

<국가>는 전체 10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편지들>을 제외하면 플라톤의 대화편 가운데 이렇게 여러 권으로 나누어진 대화편은 <국가>와 <법률>(12권) 뿐이다. <국가>가 그처럼 10권으로 나누어진 것이 플라톤 자신에 의한 것인지 혹은 그 이후 사람들에 의해서인지, 언제부터인지는 확실하게 알려진 것이 없다. 일부 고전 문헌학자들은 <국가>가 처음에는 6권으로 출간되었다고 주장하기도 하지만, 플라톤 대화편의 전체 목록에 대한 가장 오래된 정보를 전해주고 있는 기원후 1세기 트라쉴로스에 따르면 <국가>와 <법률>은 각각 10권, 12권으로 분할되어 있다. 내용상 구분의 필요성은 차치하고서라도 <국가>와 <법률>이 그렇게 여러 권으로 분할될 수밖에 없었던 데에는 불가피한 측면도 있었다. 왜냐하면 두 대화편의 분량은 다른 대화편과 달리 각기 당시 파피로스 두루말이(卷, biblion, volumen) 한 권의 최대 분량(장당 약 가로 37㎝, 세로 23㎝ 크기의 파피로스 20-30개 정도를 이어 붙인 분량)을 크게 넘어서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콘퍼드(F. M. Cornford)는 <국가>가 10권으로 구성된 것은 고대의 제본 기술상의 문제에서 비롯된 것이므로 그것을 논의의 내용과 구조와 연관 지어 생각할 필요가 없다고 주장한다.1)

콘퍼드의 이러한 주장은 일부는 맞고 일부는 동의하기 힘들다. 왜냐하면 제2권에서 4권까지, 제5권에서 7권까지, 제8권과 9권까지는 콘퍼드의 지적대로 각 권의 구분이 무색할 정도로 화제의 연속성이 뚜렷하지만. 제2권, 제5권, 제8권, 제10권 서두 전후를 보면 등장인물들의 대화를 통해 화제의 전환이 이루어지면서 내용상의 구분이 분명하게 포착되고 있기 때문이다. (1) 우선 제2권 서두에서는 1권에서 트라쉬마코스로 부터 해방된 소크라테스의 소회가 언급되자마자 글라우콘의 새롭게 도전적인 문제를 제기함으로써 화제가 전환되고 있다. (2) 그리고 제5권 서두에서는 소크라테스가 정의로운 나라와 개인에 대한 논의를 마무리하고 부정의한 나라와 개인에 대해 이야기하려고 하자, 폴레마르코스가 아테이만토스와 귓속말을 나눈 이후 돌연 이의를 제기함으로써 또 한 번 화제가 새롭게 전환된다. 소크라테스의 이야기를 듣고 있던 세 사람 모두 소크라테스의 이야기에 짚고 넘어가야할 것이 있으니 계획된 논의를 이어가기 전에 일단 그 점부터 답해달라고 요구하고 나선 것이다. 이것이 이른바 소크라테스가 직면한 ‘세 가지 파도’(451c-474c)이다. 그리하여 제5권에서 7권까지 그들의 요구에 답하는 방식으로 <국가>의 핵심적인 사상이자 플라톤 철학의 백미이자 가장 난해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는 철인정치론, 이데아론과 좋음의 이데아 그리고 혼의 전환과 상승, 변증술이 극적으로 제시된다. (3) 그리고 제8권 서두에서는 4권 끝에서 이어가기로 했던 주제로 다시 돌아와 또 한 번 화제가 전환되고 이후 9권까지 부정의한 나라와 개인에 대한 이야기가 이어진다. 그리하여 애초 계획한 대로 정의로운 나라와 개인, 부정의한 나라와 개인 그 어느 쪽이 행복한지가 거론되고 이 정의로운 나라와 개인에 관한 모든 논의가 하늘에 본(paradeigma)으로 바쳐진 것이라고 언급되면서 제9권이 마무리된다. (4) 그리고 제10권에서 시인들과 시의 본질, 영혼 불멸과 정의에 대한 보상을 거론한 후 에르(Er)의 이야기로 대단원의 막을 내린다.

제10권은 608b, c를 경계로 시인 비판과 영혼 불멸 및 정의의 보상 등으로 내용이 분명하게 양분되어 있어 콘퍼드는 이 부분도 둘로 나누어 <국가>를 내용상 모두 여섯 부분으로 구분하고 있지만, 제10권은 내용상 제1권에 상응하여 제시된 하나의 마무리로서 내적 단일성을 갖고 있다고 할 것이다. 다시 말해 제1권이 소크라테스가 앞으로 다룰 도전과 과제이고 제2권에서 9권까지가 그 가운데 넘어서야할 가장 큰 도전으로서 트라쉬마코스가 제기한 문제에 대한 답변이었다면, 제10권은 나머지 도전과제라 할 수 있는 폴레마르코스의 대화에서 제기되었던 시인의 문제와 케팔로스와의 대화에서 제기되었던 선한 사람이 맞이하게 될 사후세계와 보상 문제에 대한 소크라테스의 답변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2) 정의로운 삶과 행복은 폴레마르코스가 생각하듯이 당대 사람들 모두가 삶의 지표로 여기고 있었던 시와 시인들의 가르침에서는 본질상 결코 담보될 수 없는 것이며, 삶의 보상과 사후 세계에서의 혼의 불멸 또한 케팔로스가 생각하고 있는 것처럼 재산에 기대서나 가능한 나름의 생활방식이나 기복신앙을 통해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본론의 내용대로 진실로 참된 덕과 지혜를 수반한 정의로운 삶을 통해서 비로소 가능한 것임을 소크라테스는 마무리 삼아 역설하고 있는 것이다.

이렇게 보면 <국가>의 내용 흐름은 마치 큰 산행을 하는 형세와도 같다. 처음 출발점에서는 산행의 이유와 목적을 점검하고(제1권) 준비를 갖춘 후 이상국가의 건설이라는 목적을 향해 정의로운 나라와 개인의 기본 틀과 덕을 논하며 오르막길을 올라(2권-4권) 정상에 이르러 철학의 기치 아래 이상국가의 핵심이자 백미라고 할 수 있는 철인 정치, 혼의 전환과 상승, 변증술의 토대를 구축하고(5권-7권) 내리막길에 들어서서는 현실의 관점에서 부정의한 나라와 개인을 비판적으로 성찰하면서 도착점을 앞두고 정의의 우월성을 마지막으로 비교 판정한 후(8권-9권) 산을 내려와 몇 가지 남은 과제들을 정리하고 영혼의 불멸을 음미하며(제10권) 산행을 마무리하는 것이다.

 

* <국가>의 권별 기본 구도

요컨대, 앞에서 살핀 화제의 흐름과 전환을 고려하면 <국가>의 권별 기본 구도는 크게 다섯 부분(제1권/제2,3,4권/제5,6,7권/제8,9권/제10권)으로 나누어진다. 그리고 그처럼 크게 다섯 부분으로 구분하는 것에 대해서는 플라톤 연구자들 사이에서 거의 이의가 없다. 그러나 각 부분 별 세부 단락과 그곳에 표제를 다는 방식은 학자들마다 다양하다. 각자 단락을 나누는 기준과 그 내용을 해석하는 관점들이 조금씩 다르기 때문이다. 본 강사가 제시한 권별 기본 구도와 표제 그리고 그 세부 단락과 표제 또한 모종의 일반화된 구분이 아니라 국내외 여러 유수 학자들이 제시한 것들을 토대로 본 강사 나름의 관점에 따라 정리· 종합해서 재구성한 것이다.3)

각주 1) M. Cornford, The Republic of Plato, Oxford, 1941. p. v.

각주 2) 에필로그 제10권이 프롤로그 제1권과 상응관계에 있다는 점은 제1권이 일부 학자들이 주장하듯 별도의 대화편이 아니라, 플라톤의 주도면밀한 전체 기술 계획에 따라 쓰여 졌음을 보여준다.

각주 3) 국내 학자로는 아래 책 참고. 김영균, <국가 : 훌륭한 삶에 대한 근원적 고찰>, 살림, 2008. 김인곤, <플라톤 국가>, <철학사상> 별책 제3권 제8호,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08.

 

Ⅰ. 프롤로그 : 도전과 과제(제1권)

Ⅱ. 정의의 수립: 정의로운 국가와 정의로운 개인(제2권-제4권)

Ⅲ. 정의의 실현 조건 : 철학과 철학자왕(제5권-제7권)

Ⅳ. 부정의와 현실 비판 : 부정의한 국가들과 부정의한 개인들(제8권-제9권)

Ⅴ. 에필로그 (제10권) 

—————

Ⅰ. 프롤로그 : 도전과 과제 – 정의에 관한 견해들 검토(제1권)

Ⅱ. 본론 1 : 정의의 수립 – 이상국가의 건설(제2권-제4권)

     A. 터파기와 준비 : 문제제기, 방법, 국가의 기원

     B. 정의로운 국가와 정의로운 개인

Ⅲ. 본론 2 : 정의의 실현 조건(제5권-제7권)

  1. 난관과 고려사항, 가능성
  2. 정의의 실현조건 – 철학과 철학자 왕
  3. 철인 통치자의 교육 목표와 교과목

Ⅳ. 본론 3 : 부정의와 현실 비판 – 현실국가 분석(제8권-제9권)

  1. 부정의한 국가들와 부정의한 개인들
  2. 정의의 우월성 – 정의와 행복

Ⅴ. 에필로그 : 시의 본질, 혼의 불명, 정의에 대한 보상(제10권)

 

 

7. <국가>의 전체 내용 세부 구분과 해당 쪽수 및 섹션

 

Ⅰ. 프롤로그 : 도전과 과제 정의에 대한 견해들 검토(1)

 

1. 도입부(327a-328b)

2. 케팔로스의 노년과 재산(328b-331d)

   1) 노년의 즐거움과 생활방식(328b-329d)

   2) 자유와 평화, 생활방식 그리고 재산(331c-d)

3. 폴레마르코스의 정의(331b-336a)

   1) 정의는 각자에게 갚을 것(합당한 것)을 갚는 것이다.(331b-332b)

   2) 시모니데스 정의관 비판(332b~334b)

   3) 기능과 훌륭함(덕) – 정의는 사람을 나쁘게 할 수 없다(334c~336a)

4. 트라쉬마코스의 정의(336b-354c)

   1) “정의는 강자(지배계급)의 이익이다” 검토(338a-347e)

  1. 트라쉬마코스의 등장, ‘정의는 강자의 이익이다’(336b~339a) :
  2. 강자의 실수 가능성과 엄밀한 의미의 강자(339b~341a)
  3. 소크라테스의 비판과 트라쉬마코스의 속내(341a~ 344c)
  4. 트라쉬마코스의 현실론 비판과 통치자의 보수(344d~ 347e)

   2) “부정의는 정의보다 강하고 부정의한 삶은 행복한가?” 검토(348a-354c)

  1. 트라쉬마코스 : 정의는 고상한 순진성이고 부정의는 덕과 지혜이다.(348a~350c)
  2. 소크라테스의 비판 : 능가 개념, 정의가 덕과 지혜이다.(349b~350c)
  3. ‘부정의는 강하고 부정의한 삶은 행복하다’라는 주장에 대한 검토(350d~354a)
  4. 마무리와 탄식(354b-354c)

 

Ⅱ. 본론 1 : 정의의 수립 이상국가의 건설(24)

 

A. 터파기와 준비 : 문제제기, 방법, 국가의 기원 (357a-374e)

1. 글라우콘과 아데이만토스의 근본적인 문제 제기(357a-367e)

   1) 글라우콘의 재반론

  1. 좋은 것의 세 가지 종류, 정의는 약자들의 협약(357a-359b)
  2. 귀게스의 반지, 부정의 찬양 (359be-362c)

   2) 아데이만토스의 보완과 요구(362d-367e)

2. 정의를 잘 찾기 위한 방편 : 소문자와 대문자 비유(367e-369a)

3. 국가의 기원과 발달: 원초국가(참된 나라, 돼지들의 나라), 호사스런 나라(369b-374e)

 

B. 정의로운 국가와 정의로운 개인(375a-445e)

1. 정의로운 국가의 수립(375a-434d)

   1) 수호자의 교육(376e-412b)

  1. 시가 교육(376e-403c)

     * 무엇을 말해야할 것인가(376e-392c)

     * 어떻게 말해야할 것인가(392c-398b)

     * 가사, 선법, 리듬(398c-401a)

     * 시가 교육의 목적(401b-403c)

    b. 체육 교육(403c-412b)

   2) 수호자가 갖추어야할 조건들(412b-427c)

  1. 수호자들의 선발과 자격. 건국 신화.(412b-415d)
  2. 수호자들의 생활 방식, 사유재산의 금지.(415d-421c)
  3. 수호자들의 임무(421c-427c)

   4) 정의로운 국가의 주요 덕목 : ‘지혜’, ‘용기’, ‘절제’, ‘정의’(427d-434c)

2. 정의로운 개인과 영혼(434d-445e)

   1) 혼의 세 부분(434c-441c)

   2) 정의로운 개인의 주요 덕목 : ‘지혜’, ‘용기’, ‘절제’, ‘정의(441c-445e)

 

Ⅲ. 본론 2 : 정의의 실현 조건 철학과 철학자 왕(7)

 

A. 난관과 고려사항, 가능성 : 3개의 파도(449a-474c)

1. 도입부(449a-451c)

2. 첫 번째 파도 : 남자와 여자 양성에서 동일한 직무와 동일한 교육(451c-457b)

3. 두 번째 파도 : 처자의 공유. 전쟁에 관한 일(457b-471c)

4. 세 번째 파도 : 철학자와 권력(471c-474c)

 

B. 정의의 실현 조건 : 철학과 철학자 왕(474c-502c)

1 .철학자에 대한 정의 : 이데아론에 의거한 규정(474c-480a)

2. 철학자의 자질(484a-487a)

3. 철학이 비난 받는 현실(487b-497a)

   1) 철학이 쓸모없게 되는 이유(487b-488e)

   2) 철학이 타락하는 이유(488e-495b)

   3) 철학이 당하는 수치와 철학자의 현실 도피(495c-497a)

4. 철인 정치의 실현 가능성(497a-502c)

 

C. 철인 통치자의 교육 목표와 교과목(502c-541b)

1. 최상의 배움 : 좋음(善)의 이데아(502c-506b)

2. 좋음의 이데아와 태양의 비유(506b-509b)

3. 선분의 비유(509c-513e)

4. 동굴의 비유(514a-521b)

5. 혼의 전환과 참된 실재에로의 상승을 위한 교과목들(521c-541b)

   1) 예비 교과목(521c-531c)

    * 수와 계산. 지성의 활동(521c-526c)

    * 기하학(526c-527c)

    * 입체 기하학(528a-d)

    * 천문학(527d-528a, 528e-530c)

    * 음악 이론(음계론)(530c-531c)

   2) 본 교과목 : 철학적 문답법(변증술 : 디알렉티케)(531c-535a)

   3) 교과목들의 대상과 부과 방법, 시기와 구체적 프로그램(535a-541b)

 

Ⅳ. 본론 3 : 부정의와 현실 비판현실국가 분석(89)

 

A. 부정의한 국가들과 부정의한 개인들

1. 도입부 : 원래 문제로 복귀. 고찰의 방법과 순서(543a-545c)

2. 최우수자 통치로부터 명예정에로의 체제 변동, 명예정과 명예정적 인간(545c -550c)

3. 과두정과 과두정적인 인간(550c-555b)

4. 민주정과 민주정적인 인간, 필요한 욕구와 불필요한 욕구(555b-562a)

5. 참주정과 참주정적인 인간, 불법한 욕구 (562a-576b)

 

B. 정의로운 삶의 우월성 – 정의와 행복(576b-592b)

1. 부정의한 삶이 아니라 정의로운 삶이 행복하다(576b-588a)

   1) 정치체제와 개인이 상호 대응된다는 것에 대한 증명(576b-580c)

   2) 혼의 세 부분에 기초한 증명(580c-583a)

   3) 참된 쾌락과 거짓 쾌락의 구분에 기초한 증명(583b-583a)

2. 부정의가 아니라 정의야말로 이익이다(588b-592b)

 

Ⅴ. 에필로그 : 시의 본질, 혼의 불멸, 정의에 대한 보상(10)

 

1. 시가·연극의 본질에 관한 고찰(595a-608b)

   1) 흉내(모방)과 진리의 관계(595a-603b)

   2) 시에서의 모방 : 이성이 아닌 감정의 모방(603c-605c)

   3) 시의 모방이 혼에 미치는 영향(605c-608b)

2. 혼의 불멸과 정의에 대한 보상(608c-612a)

   1) 혼의 불멸과 혼의 본래 모습(608c-612a)

   2) 현생에서의 정의에 대한 보상(612a-613e)

3. 저승에서의 정의에 대한 보상, 에르의 이야기(614a-621d)

플라톤의 『국가』 강해 ② [이정호 교수와 함께하는 플라톤의 『국가』] 2

  1. 부제 소개

 

그런데 기원전 1세기 초 알렉산드리아의 문법학자인 트라쉴로스(Trasyllos)는 플라톤의 대화편들을 정리하면서 이 책의 제목을 그냥 <폴리테이아>가 아니라 <폴리테이아, 혹은 정의에 관하여. 정치적 대화편>(politeia ē dikaiou, politikos, Diog. L. III. 60)라고 소개하고 있다. 그러나 아리스토텔레스가 이미 그의 <정치학>에서 플라톤의 그 책을 <폴리테이아>로 언급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트라쉴로스가 뒤에 붙인 <정의에 관하여>라는 제목은 나중에 붙여진 제목이자 일종의 부제로서, <국가>의 내용과 관련하여 원제목이 가지고 있는 부족함을 보충하려는 의도에서 덧붙여진 것이라 하겠다.1) 그러나 플라톤의 <국가>의 기본 주제로 다루어지고 있는 ‘정의’(dikaiosynē)라는 개념 자체가 나중에 밝혀지겠지만 내용상 ‘나랏일에서건 개인의 내적 영혼에서건 그것을 구성하고 있는 상호 의존적인 요소들의 최선의 균형과 조화 그리고 질서를 구현해내는 기능(ergon)이자 덕(aretē)으로서 제시된다는 점에서 최소한 플라톤의 정치철학에서 그 두 가지 제목의 실질적 차이는 생각만큼 그리 크지 않다 할 것이다. 플라톤이 그리는 이상국가의 ‘폴리테이아’ 즉 시민적 생활 방식은 나라일의 측면에서건, 개인의 내적 영혼의 측면에서건 결국 각 기능의 최선의 조화와 공존을 담보하는 덕이자 원리로서 ‘dikaiosynē’에 기초하고 있기 때문이다.2)

참고로 이러한 <국가>의 제목과 부제와 관련한 문제는 일찍이 고대 시절부터 논쟁이 되어 왔는데 프로클로스(Proklos)가 전하고 있는 그 내용을 간략히 소개하면 아래와 같다.

 

* <국가>의 제목과 관련한 프로클로스의 논의

 

앞서 살폈듯이 플라톤의 <국가>의 제목에 ‘정치체제’와 ‘정의’가 병기된 이래 일찍이 기원 후 5세기경부터 그 두 가지 제목 중 어느 쪽이 <국가>의 진정한 주제(ho skopos, ē prothesis)인가에 대해서 고대 학자들 사이에서도 크게 논쟁이 되었다. 5세기의 신플라톤 학파의 철학자 프로클로스(Proclus de Lycie 412년-485년)가 남긴 플라톤의 <국가>에 관한 주석서3)에는 그 양쪽 주장과 프로클로스 자신의 견해가 간명하게 실려 있는데 그 내용은 오늘날 우리가 <국가>의 요체를 이해하는데도 많은 시사점을 안겨 준다.

프로클로스는 우선 <국가>의 주제를 ‘정의’라고 주장하는 사람들의 논점을 다음의 세 가지로 요약하고 있다. (1) 이 대화편 제1권에서 케팔로스나 폴레마르코스, 트라쉬마코스가 처음 제기되고 있는 물음은 “정의란 무엇인가?”이다. (2) 이에 비해 ‘정치체제’에 관한 고찰은 그러한 ‘정의’에 대한 고찰을 보다 더 잘 들여다보기 위해 나중에 도입된 것이다. 즉, ‘정의’와 ‘정치체제’라는 두 개의 논제 가운데, 전자는 목적(ou heneka)이고 후자는 수단(heneka tou)이다. (3) 대화 인물 소크라테스 자신 또한 본래의 문제가 ‘정의’에 대한 것임을 수차례 반복해서 강조하고 있다.(420 b-c, 427d, 434d-435a, 445a-b, 427b, 484a-b, 548d, 588b 참고)

이러한 주장에 대해서 ‘정치체제’가 주제라고 주장하는 사람들의 논거를 프로클로스는 다음과 같이 요약하고 있다. (1) 분명히 문제 제기의 순서는 ‘정의’ 쪽이 앞서 있을지 모르지만, 그러나 그것은 주도적인 문제라서가 아니라 ‘정치제제’에 관한 고찰에 앞서 미리 길을 열어주고 그곳으로 이끄는 예비적 역할을 하기 위해 제기된 것이다. (2) <폴리테이아>라는 제목(ē epigraphē)은 아리스토텔레스와 그 밖의 사람들의 저술에도 인용되어 있듯이 극히 오래된 유래를 갖고 있고, 플라톤 자신이 붙인 제목이다. 그리고 그것은 <파이돈>, <알키비아데스>와 같이 인물 이름에서 따온 것도 아니고 <향연>과 같이 상황으로부터 따온 제목도 아니며, <소피스테스>나 <정치가>와 같이 다루어지는 주요 문제 그 자체를 염두에 두고 붙인 제목이다. 이것은 이 대화편에서 주도적으로 추구되는 문제가 ‘정치체제’에 대한 것임을 아주 분명하게 보여주는 것이다. 그 밖에 (3) <법률>(739b 이하)이나 <티마이오스>(17b 이하)에서 언급되고 있는 내용들도 그 점을 뒷받침해준다.

그러면 이러한 두 개의 입장을 두고 프로클로스 자신은 어떻게 생각하고 있을까? 그는 말하길, “이상과 같은 사안에 대해 이 양자는 각기 다르게 주장하고 있지만, 우리로서는 양쪽 사람들의 주장 모두를 함께 받아들인다. 그리고 이러한 사람들의 견해는 내용의 측면에서 보면 서로 다르지 않은 것이다. 따라서 나는 그 책이 목적으로 하는 주제는 ‘정의’임과 동시에 ‘정치체제’이기도 하다고 나는 생각한다. 다만 이것은 주제가 두 개 있다고 하는 의미가 아니고 이것들 두 개는 서로 동일한 사안이라고 하는 의미이다. 왜냐하면 한 개인의 영혼에 있어서 정의로운 것은 잘 통치된 국가에 있어서 정의로운 정치체제를 가능케 하는 조건이고 정의로운 정치체제 또한 개인의 영혼에 있어서의 정의를 가능케 하는 조건으로서 서로 유기적으로 맞물려 있는 것임에 틀림없기 때문이다.”

프로클로스가 이것을 뒷받침하기 위해서 제시하고 있는 것은 두말할 필요 없이 국가의 3계층과 영혼의 3구분이라고 하는, 국가와 개인 영혼과의 구조상의 대응이다. 그러므로 정의에 대해 말하는 사람은 당연히 ‘정치제제’에 대해서 말하게 되어있고, 제대로 ‘정치제체’에 대해 말하는 사람은 반드시 개인 안에 내재된 politeia로서 ‘정의’에 대해 말하게 될 것이라고 그는 주장한다.

따라서 또 논자들이 문제 삼고 있는 ‘정의’로부터 ‘정치체제’로의 화제 이행에 관한 해석과 관련해서도 “그 이행은 결국 ‘정치체제’의 문제로부터 ‘정치체제’로의 이행 즉, 개인 내부에서 고찰되는 ‘정치체제’로부터 다수 대중에서 고찰되는 ‘정치체제’로의 이행이며, 그리고 ‘정의’의 문제로부터 ‘정의’의 문제로의 이행 즉, 소규모의 ‘정의’로부터 보다 분명한 ‘정의’로의 이행과 다름없다”는 것이다. 거기에는 한 쪽이 주도적(proēgoumenon)이고, 다른 한 쪽이 부수적으로 딸려가는(empipton) 것이라는 구별은 존재하지 않는다. 그런 측면에서 ‘폴리테이아’라는 제목과 ‘정의’에 대한 탐구라고 하는 것은 서로 적절히 합치(ounadein)하는 것이라 할 것이다. 왜냐하면 이 politeia라는 제목에는 분명 ‘정의’의 본질 그 자체가 다름 아닌 ‘올바른 이치에 따라 사는 영혼의 정치체제’라는 것을 함축하고 있기 때문이다. ‘정의’론으로 제목이 붙여지지 않았던 것은 단지 politeia라는 말 쪽이 dikaiosynē(정의)라는 말보다 더 잘 알려져(gnōrimōteron) 친숙하게 여겨졌기 때문에 그리 된 것일 뿐이라고 프로클로스는 결론짓고 있다.

물론 프로클로스의 결론이 플라톤의 생각과 일치하는 것인지는 단정하기 어렵다. 그리고 ‘정의’와 ‘정치체제’라고 하는 두 개의 논제가 서로 유기적인 연관을 갖고 있음은 분명하다고 할지라도, 그 자체로 그것이 곧 양자가 – 나라에서건 개인의 영혼에서건- 서로 동일한 것임(allēlois ta auta)을 말해주는 것도 아니다. <국가>의 진정한 주제가 ‘정의’인가 ‘정치체제’인가에 대한 물음은 영혼과 결부된 그의 정의에 관한 주장이 서로 다른 정치체제들과의 연관 속에서 과연 어떤 의미를 갖느냐에 따라 지속적으로 논쟁거리가 될 수밖에 없다고 할 것이다.

각주 1) 아리스토텔레스의 저술을 보면 “플라톤의 <politeia>”로만 나온다. (<Politica> B1, 1261 a6, B5. 1264b29, E10. 1316a1, Θ7. 1342b32 Δ5. 1293b1, <Rhetorica> Γ 4. 1406b32) 로마 시대에서는 이 politeia를 그대로 로마자로 옮겨 politia라고 부르고 의미상으로는 라틴어의 respublica 및 civitas로 풀었다.(cf. Cicero, De divinitatione I. 29, II. 27). 우리가 오늘날 접하는 영어, 불어권의 제목 ‘The Republic’, ‘La République’은 피치노(Marsilio Picino) 이래 근세 라틴어 역본에서 많이 쓰인 Republica를 그대로 제목으로 사용한 학자들(G. A. F. Ast, G. Stallbaum)에서 유래한 것이다. 또 Civitas로 번역한 학자들(C. E. C. Schneider)도 있었다. 그리고 독일어 역본에서는 Der Staat로 번역하는 경우가 많았다. 우리들이 사용하고 있는 ‘국가’라는 제목도 그런 배경에서 나온 것이다. 또 “공화국”이라는 호칭은 영역본을 보고 번역한 데서 온 것으로서 원제목의 의미와도 책의 내용과도 맞지 않는 제목이라고 해야 할 것이다. 아울루스 겔리우스(Aulus Gellius)의 <앗티카의 밤(Noctes Atticae>(13,3)에서 이 책은 <국가 통치의 최선의 형태에 관하여>(de optimo statu reipublicae divitatisque administrandae)라는 이름으로 “플라톤의 저작”이라고 소개되고 있고, 플라톤 자신도 <법률> V. 739b에서 “첫 번째(이상적인) 국가와 정치제제, 최선의 법률”이라는 말로 이 <국가>에 실린 이론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각주 2) 그런데 우리가 사용할 우리말 텍스트 <국가>를 옮긴 박종현 선생과 일부 연구자들은 이 책의 부제로도 쓰인 ‘정의’ 즉 dikaiosynē가 앞서 살폈듯이, 사회적 관계에서 뿐만 아니라 개인의 내적 영혼과 관련해서도 사용된다는 점에서, dikaiosynē를 사회적 관계에서만 적용되는 우리말 ‘정의’(正義)로 옮기는 것은 부적절하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dikaiosynē는 <국가>에서 나라가 그 고유한 구실을 제대로 수행하게 만드는 기능(ergon)의 의미와 함께 개인이 사람 구실을 제대로 하게 만드는 덕(aretē)과 그 덕이 실현된 훌륭한(agathon) 상태 모두를 아우르고 있다는 점에서도 dikaiosynē는 ‘정의’라는 역어보다는 훌륭한 상태 일반으로서 순수 우리말인 ‘올바름’으로 옮기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이다. 하물며 dikaiosynē는 나라는 물론 강도 집단이 자신들의 고유한 일을 잘 해내게 만드는 경우에도 요구되는 덕목이라는(351c)는 점에서도 정의라고 옮기는 것은 부적절하다고 보는 견해도 있다. 이러한 주장에 잘못된 점이 있다고 판단되지는 않는다. 그러나 <국가>에서 dikaiosynē가 근본적으로 정치생활과 시민생활을 동일시하는 그리스인들의 시민적 덕의 의미를 갖고 있는데다가, dikaios하다고 일컬어지는 개인의 내면적 삶의 방식 또한 근본적으로 사회적 삶과 뗄 수 없는 유기적 관계를 갖는 것으로 제시된다는 점을 고려하면, 그리고 그러한 내적 통일성이야말로 플라톤의 dikaiosynē가 갖는 매우 핵심적이고도 고유한 특징이라고 본다면, ‘올바름’이란 말로 그 특징과 의미를 온전하게 담아내기에는 다소 부족하다고 판단된다. 물론 정의라는 말이 우리말에서는 개인의 내면적 덕성에까지 적용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그 말 또한 일정 부분 모자람이 있으나, 앞서 살폈듯이 플라톤에게 있어 개인의 삶 자체가 사회적 삶과 불가분의 연계를 갖는 한, 개인의 삶의 방식에도 ‘정의’는 말을 사용함으로써 오히려 그것이 갖는 사회적 성격을 적극적으로 담아낼 수 있는 장점도 있다할 것이다. 이런 측면에서 본 강사는 dikaiosynē를 ‘정의’로 옮기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고 판단한다. 강도 집단과 관련해서도, 해당 내용은 기본적으로 ‘어떤 집단이 공동으로 일을 도모할 경우 서로에 대해 부정의한 짓을 저지른다면 결국 ‘합심과 우애’가 무너져 일을 그르친다.’는 것을 드러내기 위한 문맥에서 ‘나라나 군대, 강도단이나 도둑의 무리 또는 다른 어떤 집단(351c)’이란 표현 속에 포함되어 단 한 차례 언급되고 있는데다가, 정의가 갖는 ‘덕’과 ‘지혜’의 측면보다는 집단 구성원에게 요구되는 ‘합심과 우애’(homoia kai philia)의 측면을 드러내기 위한 차원에서 인용되고 있다는 점에서, ‘정의’라는 역어를 배제해야하는 결정적인 근거로까지 여겨지기엔 무리가 있어 보인다. 우리말 ‘의리(義理)’라는 말에도 ‘옳을 의(義)’자는 들어있듯이 아마 플라톤도 트라쉬마코스 부류의 눈높이에 맞추어 설사 강도들이라도 그들이 공동의 일을 도모하는 한, 합심과 우애로서의 최소한의 정의는 필요하다는 차원에서 사례의 하나로 포함시켰을 것이다. 그리고 강도단은 불법적 집단이라서 ‘정의’라는 말이 맞지 않는다는 지적은 ‘올바름’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라 할 것이다. 강도들 또한 올바른 자들은 아니기 때문이다. 요컨대 ‘올바름’이란 말은 나라나 개인 모두에 두루 사용할 수 있고 덕성의 의미를 포함하고 있다는 점에서 큰 장점이 있고 그래서 매우 안전한 선택이기도 하지만, 플라톤의 의도한 dikaiosynē의 사회 통합적 성격을 부각시키지 못한다는 점에서는 어떤 의미에서는 오히려 치명적인 결함을 안고 있다고 할 것이다. 앞에서 ‘폴리테이아’의 의미가 우리말로 온전히 옮기기 힘든 것처럼, dikaiosynē 역시 플라톤이 의도한 바를 우리말로 온전히 담아내기 힘들다면, 그래서 어차피 역어를 선택할 수밖에 없다면, 안전하지만 너무 포괄적인 우리말 ‘올바름’ 보다는 플라톤의 근본 의도를 보다 적극적으로 담아낼 수 있는 ‘정의’라는 역어가 보다 바람직하다고 판단된다. 그리고 학술 연구사적 측면에서도 플라톤의 <국가>가 이른바 ‘정의’, ‘justice’ 관련 문제를 다룬 최고의 고전이자 최초의 고전이라는 점을 고려한다면, 원어 dikaiosynē의 특징적 의미를 살린다는 측면에서뿐만 아니라 학술적 조회를 위한 개념어 차원에서도 ‘정의’라는 역어가 보다 더 가치가 있다고 판단된다. 무엇보다도 dikaiosynē’라는 말에는 전쟁과 정치투쟁으로 점철된 그리스 사회에서 그리스인들이 흘린 피의 냄새가 깊숙이 배어있다. 그러나 본 강사가 보기에 최소한 그것을 절감함에 있어 ‘올바름’이란 역어는 ‘정의’라는 역어에 비할 바가 못 된다. 아무려나 어떤 역어가 더 원래 의미에 가까운가의 문제는 <국가>를 우리말로 옮기는 역자들의 관점과 선택의 문제로 여전히 남아있고, 박종현 선생의 역본 또한 앞으로 나름의 독보적인 관점과 가치를 하나같이 보전하게 될 것임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다만 본 강좌에서는 우리말 텍스트로서 박종현 선생의 <국가>를 선택하여 진행하되 – 천병희 역본은 <국가>의 문학성을 돋보이게 하는 장점이 있고, 박종현 역본은 <국가>의 철학적인 의미를 보다 잘 살려낸 역본으로 판단된다. 정암학당 역본은 그 두 개의 장점을 모두 담아내기를 기대한다. – dikaiosynē’의 역어만은 ‘정의’라는 말을 사용하려고 한다.

각주 3) Proclos, In Platonis Rempublicam, ed. G. Kroll, vol. I, pp. 7-14

 

 

  1. 집필시기

 

<국가>는 단지 분량만 보아도 버넷(J. Burnet, 1902)판 텍스트로 396쪽, 스테파누스(Stephanus 1578)판 쪽수로 294쪽을 상회하는 장편이고 그 내용의 풍부함, 사상의 힘은 물론 생동감 있는 필치까지 함께 어우러져있다는 점에서 플라톤의 작품들 가운데 가히 최고의 걸작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그런데 이 <국가>가 쓰여 진 시기가 연대 상으로 정확히 몇 년쯤인지 즉 플라톤이 몇 살 때쯤 이 대화편을 저술하였는지에 대해서는 지금까지 다양한 견해가 제시되어 왔다. 또 이 대화편이 장편인 만큼 특정 부분, 특히 제1권의 경우 문체론적으로 전기 대화편의 특색을 나타내고 있을 뿐만 아니라 내용적으로도 전기 대화편을 닮아 있어, 아예 집필 연대가 다른 별개의 독립적인 대화편으로 추정하기도 하고, 혹은 플라톤이 <국가>를 집필하는 과정에서 그것의 일부 내용을 고쳐 <국가>라는 하나의 대화편에 포함시킨 것으로 추정하기도 한다.4)

그러나 이러한 여러 가지 가설들은 오늘날 거의 받아들여지고 있지 않다. 상당한 객관성을 표방하고 있는 오늘날의 연구 성과에 의하면, 우리가 읽고 있는 <국가>는 앞에서 언급했듯이 매우 긴 대화편이어서 당연히 아주 오랜 기간에 걸쳐 집필되었을 것으로 생각되기는 하지만, 그래도 그 저작 연대는 대체로 기원전 377-367년 무렵, 그러니까 플라톤의 나이 50-60세 사이에 집필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5) 그러니까 관례에 따라 플라톤의 저작을 전기, 중기, 후기로 크게 나누면 <국가>는 중기의 저작에 속한다고 하겠다.

<국가>의 집필 시기로 거론되는 이 시기는 플라톤이 이탈리아와 시켈리아 여행에서 아테네에 돌아와 아카데메이아를 창설(기원전 388/7년 경 플라톤 나이 40세 무렵)한 지 10 여년 이상이 경과한 시기이다. 그리고 이 시기는 아테네와 스파르타 양대 세력이 패권을 다투면서도 최소한의 공존을 유지하였던 이전 세기와는 비교가 안 될 정도로, 그리스 사회 전체의 역량이 크게 약화되면서 내부적으로 큰 혼란과 분열로 치닫고 있었던 때였다. 아테네는 기원전 404년 펠로폰네소스 전쟁 패배 이후 장벽과 제해권을 잃었음은 물론 인구 또한 전쟁 이전의 3분의 1수준으로 줄어들어 60여 년 후 338년 멸망에 이르기까지 혼란스런 민주정 치하에서 내분을 거듭하며 재기가 쉽지 않았고, 스파르타 역시 장기간의 전쟁으로 힘이 다 소진되었음에도 과도한 확장욕으로 주변국들과 마찰을 빚어 기원전 395년부터 9년간의 코린토스 전쟁을 치르며 더욱 수렁에 빠져 들었다. 스파르타는 이후 기원전 371년 레욱트라 전투에서 결정적으로 테베에 패배함으로써 결국 지역 군소 국가로 전락,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졌다. 그리고 기원전 377년 제2아테네 동맹(델로스 동맹 100주년) 이후 테베가 새로운 그리스의 맹주로 부상하였으나 기원전 362년 펠레폰네소스 원정 중 에파미논다스가 전사하면서 점차 세력이 위축되고 말았다. 게다가 나라와 세력들마다 궁지에 몰리면 페르시아를 끌어들임으로써 그리스 사회의 내분과 혼란을 부채질하고 있었던 데다가, 결정적으로는 북방의 마케도니아가 신흥 강국으로 떠올라 남진함에 따라 아테네와 스파르타 양대 세력에 의해 유지되던 전통 그리스 사회 전체는 급격하게 해체와 몰락의 길로 접어들게 되었다.

이 절대 절명의 시대에 플라톤은 당면한 아테네의 비극적 현실을 타개하기 위해 앞장서 갑론을박하던 이소크라테스와 데모스테네스와 달리 아카데메이아에 쳐 박혀 교육과 저술에 전념하며 이상 국가를 써 내려 가고 있었다. 왜 그랬을까? 우리는 나중에 그의 대화편에 나타나 있는 사상 내용과 플라톤의 생애를 종합적으로 고려했을 때 플라톤이 왜 아테네와 그리스 사회가 몰락에 접어든 이 절대절명의 시기에 <국가>와 <법률>을 집필하게 되었을까 혹은 집필하지 않으면 안 되었을까를 짐작할 수 있는 정황들과 근거들을 살펴보게 볼 것이다.

각주 4) <국가> 제1권이 <트라쉬마코스>라는 이름을 가진 독립된 대화편으로서 <카르미데스>, <라케스>와 같은 시기에 쓰여 졌다고 보는 학자들은 아래와 같다. K. F. Hermann, F. Dȕmmler, H. von Armin, P. Friedlȁnder 등이 있다. 또 현재 우리가 가지고 있는 <국가>가 나오기 이전에 기원전 388/7년경에 별도의 다른 <국가> 이를테면 <국가>초벌본이 있었다고 추정하는 학자(M. Pohlenz)도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가설들에 대해서 J. Adam, A. E. Taylor, P. Shorey 등은 하나같이 반대 혹은 강한 회의를 표명하고 있다.

각주 5) 젤러(E. Zeller)는 기원전 375년경으로 추정하고 있고 빌라모비츠(Wilamowitz)는 기원전 374년 혹은 그보다 약간 뒤로 추정하고 있다. 테일러(A.E. Taylor)는 <일곱번째 편지>에 철인왕 사상이 표명되었다는 것을 근거로 플라톤이 40세가 된 직후 즉 기원전 383년 전후에 쓰여졌다고 주장하지만 필드(G.C. Field), 로스(W. D. Ross), 디에스(Diés) 모두 받아들이지 않는다. 쇼리(P. Shorey)는 기원전 380-370년 사이에, 디에스는 기원전 375년 전후에, 필드(G.C. Field)와 크로스, 우즐리(R. C. Cross & A. D. Woozley)도 기원전 375년 경 집필했다고 생각하고 있다.

 

 

  1. 대화 상정 시기

 

그런데 플라톤은 이 <국가>를 집필하면서 극중 대화가 이루어지는 시기를 언제로 상정하였을까. 유감스럽게도 이 점에 대한 학자들의 견해는 일치하지 않는다. 우선 19세기 초 베크(A. Boeckh)가 일찌기 <국가>의 대화 상정 연대를 기원전 410년 또는 411년으로 추정한 이래, 죠위트(B. Jowett)와 캠벨(M. Campbell), 아담(J. Adam), 쇼리(P. Schorey) 등 유수 플라톤 학자들이 그에 찬동하면서 410-411년 설은 꽤 유력한 가설로 여겨졌다. 그러나 <국가>에 담겨 있는 시대 관련 언급들, 등장인물들의 역사적 활동 그리고 관련된 기타 전승들이 전하는 내용들이 서로 일치하지 않는 것들이 너무 많아, 그 이후 <국가>의 대화 상정 시기는 기존의 410년 설에서부터 멀리는 430년 설까지 학자들 사이에서 계속 논란이 되고 있다. 사실 <국가>에 담긴 아래와 같은 몇 가지 내용만 보더라도 그 시기를 특정하기가 쉽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를테면 최소한 기원전 429년 아테네에서 역병이 돌던 시기 또는 그 이전에 사망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케팔로스가 아직 생존 인물로 등장한다는 점, 또 플라톤 자신의 언급으로만 보자면 최소한 기원전 425년 이전에 사망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프로타고라스와 프로디코스도 아직 생존인물로 언급되고 있다는 점(600c,d) 그리고 글라우콘과 아데이만토스가 메가라 전투에서 수훈을 세웠다고 하지만 그 메가라 전투가 언제 벌어진 전투인지 특정하기 어렵다는 점, 그리고 무엇보다 소크라테스가 케팔로스에게 ‘자신은 아직 노년에 이르지 않아 앞서 간 사람들한테서 그 길이 어떤 것인지를 알고 싶다’고 말하고 있는데 이 장면(328e)은 본 대화편에 등장하는 소크라테스가 아직 60세에 가까운 고령은 아님을 보여주는 것이라는 점 등 등은 모두 대화상정 시기를 확정하는데 논란의 요소들로 작용하고 있다.

그러나 그 정확한 시기는 확정하기 어렵다 해도 그 대안들이 가리키는 시기는 모두 고대 그리스 사회를 몰락의 길로 접어들게 한 펠로폰네소스 전쟁(431-404) 기간의 한 가운데이었음은 이견의 여지가 없다. 투퀴디데스가 전하는 <펠로폰네소스 전쟁사>는 오랜 기간 그 전쟁이 야기한 그리스 사회의 내분과 혼란상은 물론 전쟁 과정에서 벌어진 이루 형용하기 힘든 가혹하고 잔인하기 짝이 없는 참혹상을 적나라하게 그려내고 있다. 특히 대화상정 시기로 개연성이 높은 410년~420년 전후의 상황 이를테면 기원전 416년 멜로스 시민에 대한 인종 청소급 대학살에 대한 아테네 주변국들의 공포와 불신, 특히 알키비아데스의 선동에 따라 추진되었다가 그의 배반과 민회의 판단 착오로 결국 4만 여명의 병력과 아테네 5년 예산 정도의 재정을 일시에 날려 버린 기원전 413년 시칠리아 원정의 참담한 실패, 그 이후 기원전 412년 아테네 동맹군의 반란, 기원전 411년 일시적인 과두정의 등장과 기원전 406년 아르기누사이 해전 후 벌어진 섣부른 장군들의 처형, 기원전 404년 식량 공급 항로의 차단에 따른 굴욕적인 항복에 이르기까지 근 10 여 년 동안의 기간은 아테네 사람들 모두에게 그 이전까지 결코 경험하지 못했던 극도의 정치사회적 불안과 히스테리, 경제적 피폐함을 안겨다 준 그야말로 가장 엄혹하고도 비참한 시기가 아닐 수 없었다. 플라톤은 그런 시기의 온갖 혼란상을 겪어가며 청년으로 자라났고 또 여전히 내분과 혼란이 거듭되던 중년 시절 그 혼란의 시기를 되돌아보며 그 시기를 배경으로 <국가>를 저술하고 있었던 것이다.

 

<참고> 펠로폰네소스 전쟁 약사(기원전 431~404)

 

* 고대 그리스 도시국가의 양대 세력인 아테네와 스파르타가 서로 패권을 다툰 전쟁으로 그리스 역사에서 가장 비참한 전쟁이자 그리스 사회를 몰락으로 이끈 전쟁.

* 전쟁 발단의 배경 – 페르시아 전쟁 승리(기원전479년) 이후 페리클레스가 아테네를 제국화하며 급속하게 성장과 발전을 거듭하자 이에 위협을 느낀 스파르타의 반발. 특히 아테네의 경제적 성장과 함께 아테네의 민주정이 그리스 전역으로 확산되면서 소수의 귀족들이 다수의 헤일로타이를 억압하는 사회구조를 유지하던 스파르타에게 큰 위협이 됨.

* 아테네 동맹 – 에게 해 동북부 해안 주변 섬나라와 연안 국가로 이루어진 아테네 제국

* 펠로폰네소스 동맹 – 스파르타의 주도하에 결성된 펠로폰네소스 반도와 그리스 중부 내륙지방 강국들의 군사 동맹.

연 도

(BC)

일어난 사건
480 아테네 살라미스 해전에서 페르시아 함대 격파
479 페르시아 전쟁 종결. 479 아테네, 스파르타 연합군 플라타이아 전투에서 승리
475 테미스토클레스 아테네 성벽 재건
470 반스파르타파 데미스토클레스 도편 추방, 친스파르타파 키몬 정권
461 급진 민주주의자 에피알데스 암살, 페리클레스 부상, 키몬 도편추방
465 스파르타, 헤일로타이 반란. 동맹군 소집, 아테네 중장보병 4,000명 파견하였으나 반란 지원 의심하여 귀환조치. 아테네, 도망 헤일로타이 나우팍토스에 정착시킴.
460 아테네에 두려움 느낀 아이기나, 펠로폰네소스 동맹 가입
펠로폰네소스 전쟁 전사(前史) <1차 펠로폰네소스 전쟁>(460-446)
458 아테네 코린토스 지협 봉쇄. 스파르타, 도리스 지원 차 도해(渡海) 했다가 해로 차단당함. 스파르타 방향을 바꾸어 테베의 지원을 받아 보이오티아 지역 타나그라 공격. 타나그라 전트에서 스파르타 승리했으나 큰 피해입고 육로로 철수
457 페리클레스 실권 장악, 아테네 오이노피타 전투 테베 격퇴 후, 테베 제외한 보이오티아 대부분을 아테네 속국화. 아이기나 항복, 아테네와 페이라이에우스 외항 장성 건설, 아테네 공세 강화.
454 460년 이후 진행된 이집트 반란 지원 차 떠난 원정 실패(이집트, 페르시아 지원으로 이미 반란군 진압, 이후 페르시아 군에게 포위당한 후 패배. 델로스 동맹에 충격, 내부 단속.
451 도편추방 당했던 키몬 귀환, 스파르타와 휴전 협정, 페르시아와 전쟁 재개, 키프로스 전쟁 승리, 이후 키몬 전사
447 테베, 재기하여 코로네이아 전투에서 아테네에 승리 후 보이오티아 전체 수복. 이후 에우보이아 반란. 아테네가 진압하려 간 사이 메가라 반란. 코린토 지협 봉쇄 해제. 아테네 에우보이아 철수
446 스파르타 아테네 침탈 후 복귀하자, 페리클레스(495-429), 에우보이아 잔혹 진압.

페리클레스 주도로 아테네와 스파르타와 30년 평화 조약

443 아테네 페리클레스 장군직 임명, 내치에 주력. 이후 12년 아테네 문화적 전성기
440 사모스, 델로스 동맹 반란, 스파르타, 협정에 따라 불개입
436 에피담노스(이오니오스만 서북쪽, 알바니아 두러스)에서 민중파(현재 식민지배 코르퀴라)가 귀족파(식민 건설자인 코린토스파) 추방하자 귀족파 요청으로 코린토스 개입 후 코르퀴라와 코린토스 간 분쟁 일어남.
433 아테네가 전략적 요충에 위치한 코르키라 민중파 지원 -> 코린토스군 철수. 스파르타와 코린토스 등 그 동맹국들은 아테네의 침략 행위를 비난. 아테네 코린토스 식민시 포테이다이아 압박. 포테이다이아, 스파르타에 구원 요청
432 코린토스 펠로폰네소스 동맹국 소집 요구, 페리클레스 양보 거부, 분쟁 해결을 위한 외교적 노력도 모두 실패. 스파르타 대 아테네 전쟁 결의
<펠로폰네소스 전쟁>(431-404)
431 마침내 스파르타의 동맹국 테베, 아테네의 동맹국인 플라타이아이를 공격 전쟁 시작. 플라타이아 아테네 지원 요청하고 결사 항전 했으나 지원이 늦어져 함락, 플라타이아 시민 학살. 아르키다모스가 이끄는 스파르타 동맹군이 아티카를 침공. 페리클레스, 우세한 동맹군과 싸우기를 거부하고, 아테네 시를 굳게 수비하면서 우세한 해군력을 최대한으로 이용하여 적의 해안과 선박을 집요하게 공격. 페리클레스 소개 작전.6) 페리클레스 전몰자 추모 연설.
430 아테네 역병(페스트? 장티푸스?) 발생
429 페리클레스역병으로 사망. 민간인만이 아니라 군인의 대다수도 전염병에 희생.

스파르타 그리스 서부에 있는 아테네의 기지들을 공격 격퇴 당함. 바다에서도 패배.7)

428 아테네의 속국들 반란 진압, 레스보스 섬의 수도 미틸레네를 장악- 남자들을 학살 나머지 사람들은 모두 노예로 만들기로 의결, 이튿날 마음을 돌려 반란 지도자들만 처형
425 아테네 시칠리아 지원군 폭풍으로 스파르타 인근 필로스 정박 후 요새 구축. 스파르타 필로스 탈환 작전 중 정규시민(전체 3500명) 120명 포함 440명 스팍테리아섬에 같힘. 스파르타 위축.8)
424 델리온 전투 브라시다스가 이끄는 스파르타군, 칼키디케에서 중요한 승리. 트라케 지역 아테네 사령관 투퀴디데스 추방 당함, 아테네 속국들 잇따라 반란
422 클레온 트라케 진격, 암피폴리스 전투에서 브라시다스와 아테네의 지도자 클레온 양 강경파 모두 전사. 온건파 니키아스가 평화조약 제안.
421 니키아스 평화조약. 이후에도 양국은 작은 도시국가들을 자기편으로 끌어들이려고 애씀, 그 수 외교적 책략에서 소규모 군사작전. 불안정한 평화
419 아르고스와 스파르타 평화 협정 종료, 아르고스, 만티네이아, 엘리스 등과 스파르타 무력화 시도.
418 아르고스 동맹 만티네이아 전투에서 스파르타에 패배.
416 아테네 멜로스 재공격, 시민 학살.9)
415 * 아테네 시칠리아 원정10) 시켈리아 소도시 세게스타의 구원 요청을 명분 삼아 주전파 알키비아데스 선동.

* 원정 전날 헤르마(헤르메스신을 새겨 넣은 사각 열주) 다수 파괴, 알키비아데스를 음해, 출정 후 궐석재판에서 신성모독죄로 소환. 알키비아데스 스파르타 망명.

* 시라쿠사, 스파르타군의 도움(열등자 모타게스 출신 활약)으로 아테네의 봉쇄 뚫고 전열 정비 반격.

*스파르타 공식적으로 전쟁 선포, 니키아스 평화조약 깨짐

413 아테네 증원된 뒤에도 다시 패배. 라마토스 전사, 해군마저 참패, 후퇴하다가 전멸, 니키아스 포로로 잡혀 처형, 7,000명 포로 노예화(함선 216척, 병력 4만명, 5년 예산 4500달란트 망실), 스파르타 알키비아데스 조언으로 아테네 북방 데켈레이아 요새 구축하여 북방 식량 보급로 제압. 아테네 시민 25,000명에서 9,000명 수준으로 축소, 함선 100척 수준.
412 * 아테네 동맹시들의 반란, 아테네 레스보스, 사모스 반란 진압 식량 보급 해로 유지11) 스파르타 페르시아 지원 받아 로도스 등 동맹시로 편입
411 * 아테네 정치적 혼란, 과두정 쿠데타. 과두 정치체제 온건 정권으로 바뀐 후 실각 민주정 회복.12)

* 아테네 해군 식량보급해로 확보 위해 헬레스폰토스 파견 키노세마 해전, 아비노스 해전 승리, 퀴지코스 해전 승리하여 보급로 확보 성공. 양측 모두 군사적 큰 손실. 퀴지코스 해전 이후 스파르타 평화협정 제안, 아테네 거부. 알키비아데스 귀환,

407 스파르타 뤼산드로스 페르시아 총독 지원을 받아 함대 90척 복구, 총 170척 규모 구축.
406 *스파르타, 노티움 해전에서 아테네 알키비아데스 함대 격파

*스파르타의 칼리크라티다스, 아테네 코논의 70척 함대 격파.

*미틸레네항에 고립된 코논을 구하기 위해 100척 함선 급조하여 총 155척 출동

* 아테네 해군과 스파르타 칼리크라티다스 120척 함대, 아르기누사이 해전. 아테네 대승(25척 상실, 70척 격파).

* 승전 후 시신 수습 방기 사유로 아테네 장군 8명 중 6명 처형(페리클레스 아들 페리클레스 포함) 유능 해군 지휘관 축소. 전의 위축

405 스파르타 뤼산드로스 복귀 후 페르시아 키로스 왕자의 후원을 받아 해군 재건. 헬레스폰토스 해협 해상로 확보, 아테네 식량 보급 해로 확보 위해 아이고스포타모이로 파견 했으나 대패. 165척 함선 상실, 12척만 탈출.
404 아테네, 스파르타 해군의 봉쇄를 뚫지 못하고 멜로스에서 아테네가 자행한 학살 떠올리며 6개월간 공포와 굶주림에 시달리다가 조건 수용 항복. 조건 : 장성 해체, 함대 해체, 제국해체, 이후 30인 과두정 수립, 테베와 코린토스 등 구 동맹국들 스파르타의 전후 아테네 처리에 불만. 아테네 민회참석 자격 시민 15,000명으로 감소, 코린토스 전쟁 이후에도 25,000 정도 복구.(전쟁 이전의 3분의 1정도로 인구 축소)
<전쟁 이후>

스파르타 아테네 제국 흡수하였으나 제국 유지용 공물로 제국 구성 도시로부터 반발 삼. 제국으로부터 들어오는 공물로 내부 계층 분화 가속화

각주 6) 스파르타는 거의 매년 아티카 반도 침공하여 아테네 인근 농지를 유린하고 황폐화시켰다. 그러나 아테네 주작물인 올리브나무와 포도나무는 훼손 되었다 다시 살아나 쉽사리 황폐화되지 않았다. 뿐만 아니라 스파르타의 경우 수적으로 우세한 헤일로타이(스파르타의 국유 노예)가 반란을 일으키지 않도록 감시해야 했기 때문에 아티카에 오래 머물러 있을 수 없었다. 스파르타군의 아티카 원정은 가장 길었을 때도 고작 40일 정도에 불과했다. 한편 아테네의 지도자 페리클레스는 시민들을 설득하여, 스파르타의 공격이 있을 때마다 모든 농민을 아테네 성벽 안으로 피신시키고 대신 델로스 동맹의 함대를 대규모로 동원하여 펠로폰네소스의 해안지역을 유린하기로 하는 전략을 세웠다. 비록 스파르타군이 아테네 주변의 농지를 약탈했지만, 강력한 아테네 해군이 해운을 통한 식량 공급선을 지켜주었고, 또한 항구에서 하역된 식료품은 항구부터 아테네 도심까지 세워진 장벽을 따라 안전하게 운반되었기에 아테네는 스파르타의 초토화 작전에도 큰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었다.

각주 7) 그러나 많은 사람들이 좁은 시내로 몰리자 위생 상태와 영양상태가 모두 악화되어 BC 430년 아테네에 수차례 역병이 발생하여 아테네 주민의 1/3 가까이(7~8만명)가 사망했다. BC 429년에는 지도자 페리클레스마저 역병에 걸려 사망했다. 그러나 아테네는 어려운 상황에서도 BC 429년 나우팍투스 해전에서 대승을 거두는 등, 바다에서는 해상권을 유지하였다. 페리클레스가 죽은 후 아테네는 주전파인 클레온이 실권을 잡아 보다 적극적인 공세를 취하게 된다.

각주 8) 스파르타는 아테네가 질병과 재정 악화에 시달리고 있음에도 BC 427년 플라타이아이 시를 점령한 것을 제외하고는 크게 전세를 뒤집지 못했고 오히려 그 후 몇 년 동안은 아테네인들이 더 공세적이었다.

각주 9) 멜로스는 펠로폰네소스 동맹에 참가하지는 않았으나 주민들이 대부분 도리스인들이어서 종종 스파르타 함대의 출입을 허용하였다. 이에 아테네는 이전 공격의 실패를 교훈 삼아 재차 멜로스를 공격하여 점령 후 시민들 대부분을 죽이고 여성들은 노예로 팔아버렸다. 점령 과정에서 멜로스인들과 아테네인들과의 대화는 정의와 힘의 관계를 보여주는 사례로 유명하다. 멜로스인들은 정의에 의거 항복할 수 없고 시민들에 대한 처리 또한 정의에 따라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하였으나 아테네인들은 ‘정의는 힘 있는 자가 정하는 것’이며, ‘약자는 힘 있는 자가 만든 정의에 순응할 때 행복과 안정을 얻을 수 있다’고 말했다고 전해진다. 아테네는 결국 시민 대부분을 학살하고 나머지는 노예로 팔아 넘겼다.

각주 10) 시칠리아의 작은 도시들은 아테네와 같은 이오니아인들이 세웠지만, 시칠리아의 가장 강력한 도시 시라쿠사는 스파르타와 같은 도리아인이었다. 시라쿠사에게 위협을 받던 작은 시칠리아 도시들은 강력한 아테네를 끌어들여 시라쿠사를 견제하고자 하였고, 아테네에게 있어서도 시라쿠사는 언제든지 스파르타와 연계될 수 있는 잠재적 적국이었기에, 아테네가 전쟁 중에 이곳에 진출할 이유는 충분했다. 뿐만 아니라 시칠리아는 풍부한 자원을 가지고 있었다.

각주 11) 이 와중에 에우보이아와 헬레스폰토스의 도시들까지 반란에 가세했다. 아테네는 전쟁 초기에 자신들의 재산과 가족을 에우보이아로 상당수 이주시켰기 때문에 에우보이아의 반란은 심각하게 받아들여졌다. 그리고 헬레스폰토스 해협은 아테네의 식량보급항로라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요충지였다. 그럼에도 아테네는 심각한 재정난에 빠져 있었다.

각주 12) 아테네 상류층은 아테네에 민주정이 들어선 이후 지난 100년간 민주정에 반감을 가지고 있었는데, 상류층 출신인 페리클레스 사망 이후 하층민 출신들이 정권을 장악하여 부자들의 전쟁 부담금을 급격하게 올리자 결국 불만이 폭발하였다. 쿠데타 후 무보수로 일하는 400명이 권력을 독점하였는데 이는 하층민의 정치 참여를 막으려는 것이었다. 그러나 권력의 집중도를 두고 과두파 내에서 의견 차이가 발생하여, 소수에 의한 통치를 고집하는 급진파와 대중의 정치 참여 확대를 원하는 중도파로 분열되었다. 한편 당시 아테네의 가장 강력한 군사 세력이었던 사모스 섬의 아테네 함대는 쿠데타 소식을 듣자 민주정을 지지하고 스파르타와 계속 전쟁을 수행할 것을 결의하였다. 알키비아데스의 만류로 아테네 함대가 본토로 쳐들어오지는 않았지만, 스파르타를 상대로 연전연승을 거두면서 중도파가 힘을 얻게 되었다. 상황이 불리해지자 급진파는 스파르타에 평화협상을 제안하는 동시에 항구에서 농성을 했는데, 결국 중도파에게 격파되어 추방당했고, 이로 인해 짧았던 400인 과두정은 막을 내렸다. 한편 아테네의 배신자 알키비아데스는 스파르타로 망명하여 과두정 쿠데타를 지원했지만, 쿠데타 이후에는 오히려 민주정을 지지하는 사모스 민중에 영합하여 사모스 함대 사령관이 되어 이후 BC 406년 노티움 해전까지 아테네 함대를 지휘하였다.

 

 

  1. 등장인물

 

소크라테스(Sokratēs)기원전 469-399년)

이 대화편은 소크라테스가 1인칭으로 전날 있었던 대화를 어떤 사람들에게 전해주는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이야기를 전해 듣고 있는 사람이 누구인지는 나타나 있지 않다. 소크라테스가 상대하고 있는 사람을 발언 순서대로 살펴보면 폴레마르코스의 시종, 폴레마르코스, 글라우콘, 아테이만토스, 케팔로스, 트라쉬마코스, 클레이토폰이 있으며 발언은 하지 않지만 대화 자리에 함께 있는 사람으로서는 뤼시아스, 에우튀데모스, 카르만티데스 등이 거론되고 있다(328b)

 

케팔로스(Kephalos)

폴레마르코스, 뤼시아스 및 에우튀데모스의 아버지이다. 시켈리아 섬 시라쿠사이에서 뤼사니아스의 아들로 태어났지만 페리클레스의 상업 장려 정책에 따라 아테네로 이주하여 이후 30년간 부유한 거류외인으로서 페이라이에우스에서 살았다.(cf. Lysias 12. 4) 그의 재산은 반 정도는 상속한 것이고 반 정도는 자신이 벌어들인 것으로 언급되고 있다.(330b) 그는 아테네 굴지의 재산가로 3채의 집을 소유하고 있었고 무기(방패) 제조업을 경영하면서 120명의 종업원을 고용하였다고 전해진다. 이 정도의 고용 규모는 당대 최대 규모로 평가된다.

생존연대에 대해서는 잘 알려진 것은 없지만 기원전 404년에는 이미 고인이었던 게 확실하다. 케팔로스는 대략 기원전 429년 아테네에서 역병이 유행할 때 죽었으며 폴레마르코스 형제가 투리오이로 이주한 것은 그 이후로 추정된다.(Pauli-Wissoa, Realenziclopedie. s.v. Polemarchos) 이 대화편에서 케팔로스는 고령의 인물로서 그의 아들 폴레마르코스의 집에서 소크라테스를 만나 노년에 관해서 함께 대화를 나눈다. 플라톤의 대화편의 등장인물로서 상공인이자 거류외인으로서 케팔로스 만큼 비중 있게 그려진 경우는 찾아볼 수 없다. 당대의 신흥 상업 세력을 대표하는 케팔로스와 소크라테스의 대화는 정의란 무엇인가라는 문제를 유발시켜 <국가> 전체 논의의 주제를 구성하는 실마리가 된다. 이미 고인이 되었음이 분명한 그를 정의라는 주제를 풀어가는 단초를 제공하는 인물로까지 무리해서 등장시킨 까닭이 따로 있는 것일까? 그 또한 우리의 흥미를 끈다.

 

폴레마르코스(Polemarchos)

케팔로스의 장남이자 뤼시아스와 에우튀데모스의 형(328b)이다. 뤼시아스의 생존 연대는 통상(플루타르코스, <10명의 연설가들의 생애> Vitae Decem Oratorium, III Lysias 835c, sqq. 및 Dionys, Halicarn., Lysias 1. 참고) 기원전 459-378년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형인 폴레마르코스가 태어난 해를 기원전 460년 정도로 잡으면 소크라테스보다 나이가 9살 정도 적은 사람이 된다. 그러나 이 뤼시아스의 연대에 관해서는 아주 다른 견해가 있어서(Fr. Blass, Attische Beredsamkeit I, 341 sqq 참고) 그것에 의거하여 폴레마르코스가 태어난 해를 기원전 450년경으로 추정하는 학자도 있다.( Th. Lenscchau, in Pauli-Wissoa, s,v, Polemarchos) 그의 부친 케팔로스는 시켈리아 섬 시라쿠사이 사람이었지만 아테네로 이주하여 아테네 외항 페이라이에우스에 살았다. 거류외인으로서 시민권을 가지고 있지는 않았으나 마침내 큰 부를 이루었기 때문에 폴레마르코스도 윤택한 환경에서 아테네의 훌륭한 청년들의 모임에도 참석하면서 함께 시간을 보냈을 것으로 생각된다. 부친의 사후 동생들과 이탈리아 남부 신흥도시 투리오이로 이주하여 그곳에서 토지와 시민권을 얻어 살았지만 아테네 군의 시켈리아 원정 실패(기원전 413년)로 더 이상 투리오이에 머물기가 어려워 기원전 412년에 아테네로 돌아와 가업을 다시 경영하며 페이라이에우스에서 살게 된다.

그러나 그의 집안이 소유하고 있었던 재산이 안타깝게도 그를 파멸로 이끈다. 기원전 404년 아테네의 패전 후에 들어선 30인 과두 정권이 재정의 궁핍함을 타개하기 위하여 강력한 조치의 일환으로 폴레마르코스를 체포하여 처형한 후 그의 전 재산을 몰수하였다. 이러한 사정은 간신히 생명을 건진 동생 뤼시아스가 노년에 행한 연설(Lysias XII : Contra Eratosthenem 8-19)에 자세히 기술되어 있다.

폴레마르코스가 소크라테스를 잘 따랐다는 것은 <국가> 서두 부분을 봐도 짐작이 된다. 대화 역시 폴레마르코스의 집에서 이루어진다. 그 자신도 아버지 케팔로스의 뒤를 이어받아 소크라테스와 정의에 관해서 대화를 나누고 있고(331e-336a) 그 후 트라쉬마코스와 소크라테스가 서로 논쟁할 때 소크라테스의 입장에 동조하여 트라쉬마코스 편에 서 있는 클레이토폰과 말씨름도 잠깐 벌인다.(340 a-b) 게다가 제5권 도입부에서는(449b) 아데이만토스와 귓속말을 나누면서 논의 주제를 부인과 자식들에 관한 문제로 전환시키는 역할도 한다. 동생 뤼시아스가 연설가로 나오는 <파이드로스>에서는 뤼시아스와 대조를 이루면서 “마침내 철학 쪽에 마음을 두는”(257b) 사람으로 언급되고 있다.

 

트라쉬마코스(Thrasymachos)

흑해 입구에 있는 칼케돈 출신의 연설가이자 소피스트이다. 연대는 뤼시아스와 비슷하다고 언급되고 있지만(Dionysios, Halicarn., Lysias 6) 뤼시아스가 태어난 해가 기원전 459년인지 여부가 확실하지 않고 약간 시대가 아래일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그렇다고 해도 소크라테스보다는 최소한 10살 이상 아래인 것은 분명해 보인다. 아리스토파네스의 작품 가운데 일부만 전해지고 있는 <잔치꾼들>Daitaleis에도 그의 이름이 나오는데 이 작품이 427년 공연되었다는 점을 근거로 학자들은 그가 그 시기 전후에 아테네에서 수사학을 가르쳤음이 분명하다고 믿고 있다. 게다가 당대 연설기술과 관련한 여러 책에서 그의 이름이 인용되는 것으로 보아 그는 당시 그 수사학 분야에서 상당히 명성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연설기술 비판을 주제로 하는 <파이드로스>에서도 비록 비판적이기는 하지만 일단 그를 아테네에서 성공한 연설가라고 언급하고 있고(261c, 266c-d, 269d, 271a), 아리스토텔레스도 <소피스트 논박>에서 그가 수사학 이론의 발전에 중추적인 역할을 한 사람으로 언급하고 있다. 참고로 그 내용을 인용하면 아래와 같다. “수사학의 시초를 발견했던 사람들은 수사학 전체에서 아주 적은 부분만을 발전시키는 데 지나지 않았지만 오늘날의 명성이 자자한 사람들은 그것을 조금씩 발전시켰던 여러 사람들의 계보 말하자면 후계자들로서 오늘날 우리가 보는 그러한 상태에까지 그것을 발전시켰기 때문이다. 즉 최초의 발견자 다음에 티시아스가 오고, 트라쉬마코스는 티시아스 다음에 오고 그리고 테오도로스는 트라쉬마코스 다음에 계속 이어갔지만, 그러면서도 많은 사람들이 수사학에 대해서 각자 많은 기여를 이루었다. 그렇기 때문에 이 지식이 상당한 경지에 이르렀다고 해서 별로 놀랄 일이 못되는 것이다.”(183b 31-32, <소피스트 논박> 김재홍 역, p.239) 그리고 아리스토텔레스는 <수사학>에서도 트라시마코스가 재치 있는 직유법에 능하다고 언급하고 있고(III 11, 1413a5-10), 헤로디코스라는 사람이 그에 대해 ‘이름 그대로(thrasys) 논쟁에서 늘 건방졌다’고 말했다는 내용도 전하고 있다.(II. 23, 1400b17-23) 한편,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치학>에도 아이올리스의 소도시 퀴메(Kymē)에서 민주정을 전복시킨 사람으로 트라쉬마코스라는 이름이 나오지만, 시기 관련한 전후 내용의 맥락상 우리가 말하는 같은 인물로 보이지는 않는다.(V. 1304b-1305a)

이밖에 할리카르나소스의 디오뉘시오스는 트라쉬마코스가 ‘다양한 수사적 기술을 가졌고 순수하고, 섬세하며, 창의적이고, 능력 있는 사람이었다.’고 전하면서도 그가 소책자나 과시용 연설문 외에 후세에 남길만한 어떤 책도 쓰지 않았다는 점에서 ‘예리하고 똑똑한 뤼시아스에는 못 미치는 2급 연설가’라고 평하고 있다.(<peri Isaeos> 20) 그리고 그는 트라시마코스가 아테네의 보수적인 상류층 한 젊은이를 위해 써준 연설문의 서두로 보이는 제법 긴 조각글 하나를 전해 주고 있기도 하다(Fr. 85B1 DK). 그리고 비잔틴의 <수다>(Suda)에는 그가 플라톤과 이소크라테스의 제자였다는 기록도 있으나 이를 받아들이는 사람은 없다. 그런데 이 모든 전승에도 불구하고 그곳 어디에서도 <국가> 제1권에 실린 정의에 관한 그의 대담한 주장과 연관된 내용은 발견되지 않는다. 어쩌면 플라톤은 <국가>에서 자신이 반드시 혁파하지 않으면 안 될 대상의 하나가 소피스트들인 한, 그 대표로서 기원전 5세기 대화상정 시기 전후해서 이름을 날리던 트라쉬마코스를 소환했을지도 모른다.

 

클레이토폰(Kleitophōn)

아리스토뉘모스의 아들이며 아테네 정계에서 활동했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아테네 정치 체제>(Athēnaiōn politeia)에서는 펠로폰네소스 전쟁 말기의 아테네 정치 정황과 관련한 그의 행동에 대해 두세 번 언급되어 있는데 그곳에 나타난 행적으로 미루어 보면 그는 넓은 의미에서 민주파에 속하면서 그 중에서 보수파에 속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국가>에서 그는 트라쉬마코스를 지원하여 소크라테스를 지지하는 폴레마르코스와 맞서고 있다. 트라쉬마코스에 관한 그의 입장은 <클레이토폰>에서도 드러나 있다. 기원전 405년에 상연된 아리스토파네스의 <개구리> 에서 아이스퀼로스와 논전을 벌이던 에우리피데스는 아이스퀼로스와는 대조적으로 자신에게서 섬세하고 정치한 교양을 배우는 “나의 제자”로서 클레이토폰의 이름을 거론하고 있다.

 

글라우콘(Glaukon)

아리스톤의 아들이자 플라톤의 형, 아데이만토스의 남동생이다. 아데이만토스와 함께 본 대화편의 주요한 등 인물로 등장하며 특히 제2권의 처음부터 중요한 문제를 제기한 이래 끝까지 아데이만토스와 교대로 소크라테스의 이야기 상대역을 맡고 있다. 덧붙여 이 두 명의 형제는 <파르메니데스>의 서두 부분에도 나오고, 그들의 의붓 형제(아버지가 다른 남동생) 안티폰을 소개하는 역할도 하고 있다. 글라우콘의 생존 연대에 관해서는 자세한 것은 알려져 있지 않지만, <국가>에서(368a) 그는 아데이만토스와 함께 메가라 전투에서 무훈을 세웠다는 경력이 언급되고 있다. 이 메가라 전투는 투퀴디데스(<역사> 제4권72)에 기록되고 있는 기원전 424년의 전투일 수도 있고 아니면 아담(368a의 주)과 그 밖의 사람들이 말하듯이, 디오드로스(13의 65)에서 언급되고 있는 기원전 409년의 메가라 전투일 수도 있다. 그 어느 경우이건 당시 벌써 병역에 복무하여 무훈을 세울 정도의 나이였다면 글라우콘과 아데이만토스는 기원전 427년에 태어난 막내 동생 플라톤과는 나이 차이가 상당히 컸다고 생각된다. 이 메가라 전투에 대해 기원전 424년 설을 취할 경우 플라톤은 아직 3살 무렵이 되고, 기원전 409년 설을 취할 경우라 해도 플라톤은 18살 정도가 되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글라우콘은 매우 조숙하여 약관의 나이 20세 무렵 친구나 집안사람들의 제지에도 불구하고 나랏일에 참가하여 의회에서 연설을 시도하기도 했다고 한다. 그러다가 소크라테스를 만나 서로 이야기를 나누면서 드디어 생각이 깨이기 시작했다고 한다.(크세노폰 <소크라테스의 추억> 306). <국가>에서도 그는 “만사에 대해 언제나 제일 담대한” 자로 언급되고 있다.(357a), 그 점은 그가 경쟁심(philonikia)이 있다는 점에서 명예정적인 경향에 가깝다는 언급에서도 엿볼 수 있다.(548d) 이 밖에 그의 성격이나 인품에 대한 언급으로서는 글라우콘이 시가에 대해 능히 말할 수 있는(398c) 자라는 부분도 있고, 사랑에 민감한 사람(474d)라는 부분도 있다. 게다가 459a에는 “내가 자네 집에서 사냥개들과 굉장히 많은 혈통 좋은 새들을 보았다”라는 말도 나온다.

3세기에 저술된 디오게네스 라에르티오스의 <유명한 철학자들의 생애와 사상>(2의 124)에는 ‘아테네인 글라우콘’이 9개의 대화편이 실린 한 권의 책과 그 밖에 위작으로 보이는 32개의 대화편을 썼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 인물은 <국가>에 나오는 글라우콘과 동일인물로 보이긴 하지만, 그러나 그 저작(대화편)이나 그 외의 철학적 활동에 대해서는 아무것도 알려진 것이 없다.

 

아데이만토스(Adeimantos)

아리스톤의 아들, 플라톤의 맏형이다. <소크라테스의 변명>에서 소크라테스는 자신을 돕기 위해서 법정에 온 몇 명 가운데 한 명으로서 아데이만토스와 그의 남동생 플라톤을 언급하고 있다.(34a) 아데이만토스는 맏형으로서 아마도 어린 동생 플라톤을 감독하는 역할을 한 것으로 보인다. (아버지 아리스톤은 플라톤이 어린 시절 죽었다.) 글라우콘을 소개할 때 언급했듯이 플라톤과 연령 차이가 상당히 크다.

제1권이 끝남과 동시에 그때까지 활발하게 논의에 참가하고 있던 다른 사람들은 제5권 앞부분 작은 막간 장면에 잠간 등장했다가 이후 모두 조용히 듣기만 하는 사람들로 그려진다. 이에 따라 제2권 이후 소크라테스를 상대하는 사람은 아데이만토스와 글라우콘 뿐이다. 이것은 플라톤이 불필요한 논의 전개를 가능한 한 억제하고, 자신의 주요 사상을 방해받지 않고 전개 해 나가기 위해 소크라테스에게 ‘호의와 격려로 다른 사람들보다 적합한 답변을 해주는’(474a-b) 사람으로서 소크라테스와 친한 이 형제를 대화상대로 특정한 것이라고 볼 수도 있을 것이다. 어쨌든 플라톤 역시 그 자신 어떤 논지를 펼치든 이의를 달지 않고 품어줄 인물로 가족을 염두에 두었고 결과적으로도 이 기념비적 대작을 통해 형들의 이름을 명예롭게 후세에 남길 수 있었다.

 

* 대화 상정 시기를 410년쯤으로 잡으면 소크라테스(469년생)는 59세, 트라쉬마코스(455년생, 459년생?)는 40대 중반, 글라우콘(445년생. 440년생?)은 35, 30세?, 폴레마르코스(최대 460년생, 최소 450년생?) 최대 50세, 최소 40세, 플라톤(427년생)은 17세

 

* 대화 상정시기를 420년으로 잡으면 소크라테스(469년생) 49세, 트라쉬마코스(455년생, 459년생?) 35세, 글라우콘(445년생, 440년생?) 25세, 20세?, 폴레마르코스(최대 460년생, 최소 450년생?) 최대 40세, 최소 30세, 플라톤(427년생) 7세

플라톤의 『국가』 강해 ① [이정호 교수와 함께하는 플라톤의 『국가』] 1

<아래>

  1. 개강일 : 2018년 8월 1일(수요일)부터 매주 수요일 상설 강좌로 진행
  2. 장 소 : 사단법인 정암학당 서울연구실(서초구 방배동 795-25)
  3. 강 사 : 이정호(정암학당 이사장, 방송대 문화교양학과 명예교수)
  4. 대 상 : 학당 회원, 방송대 동문, 일반 시민
  5. 텍스트 : 플라톤의 <국가>, 박종현 역주, 서광사
  6. 방 식 : 텍스트를 천천히 읽어가며 90분 강의한 후 질의응답시간을 갖는다. 정치철학적 문제를 중심으로 강의하되 회원들의 관심사에 맞추어 진행한다.

 

[서 론]

  • 강좌의 취지

철학사를 통해 플라톤 철학만큼 많이 다루어진 철학도 없을 것이다. 그에 따라 철학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이라면 그에 대한 크고 작은 나름의 지식을 가지고 있다. 플라톤의 <국가>와 관련해서는 특히 그러하다. 그러나 그에 대한 지식과 정보가 주어지는 경로를 들여다보면 대부분의 경우 플라톤에 관한 철학사나 해설서 등에 의존해 있고, 직접 플라톤이 쓴 작품 자체를 통해, 있는 그대로의 플라톤을 만나는 경우는 생각보다 그리 많지 않아 보인다.

사실 플라톤의 작품들이 워낙이 방대하고 형식과 내용 또한 체계적이지도 평이하지도 않은데다가 플라톤의 우리말 역본 자체가 얼마 전까지만 해도 대부분 중역본이어서 더욱 그러했을 것이다. 그래서 본 강의는 무엇보다도 플라톤의 텍스트를 천천히 읽어가면서 철학 작품이자 문학 작품이기도 한 그의 텍스트를 인문학적 감수성을 가지고 그 드라마틱한 역동성을 직접 체험해가면서 그의 생각과 목소리를 있는 그대로 직접 만나보고 함께 생각해보는 것을 기본 목적으로 한다. 사실 플라톤 철학 전문 연구자들은 플라톤의 텍스트를 학술적인 관점에서 분석적으로 연구하는 것을 주 임무로 삼고 있지만, 어떤 동기에서건 플라톤 철학을 알고 싶어서 여기 이 자리에 오신 일반 독자 분들로서는 플라톤의 텍스트에 대한 전문적인 연구보다는 플라톤 텍스트를 자기가 느끼고 생각하는 방식으로 직접 읽어가면서 플라톤과 주체적으로 만나보고 그것이 나와 우리의 삶 속에서 어떤 의미를 갖는 것인지를 음미해보는 것이 보다 큰 관심사라고 생각된다. 그리고 어쩌면 독자 분들이 바로 그러한 방식으로 플라톤을 직접 만날 수 있도록 도와 드리는 것이 우리와 같은 플라톤 전문 연구자들이 기여할 수 있는 중요한 역할 가운데 하나가 아닐까 생각한다. 아무려나 우리 모두 연구자들이 힘들여 번역한 플라톤의 우리말 역본을 펼 때마다 “아! 플라톤이 한국말을 배워 나의 상황과 여건과 요구에 맞추어 친절하게 자기 생각을 들려주려 내 곁에 와 있다.”고 상상하면서 그의 음성, 생각, 고민, 표정을 읽어내고 그 속에서 그와 대화를 나누면서 나의 삶과 철학을 근본에서 다시 음미해보는 시간을 가졌으면 한다.

이를 위해 텍스트를 함께 읽어가면서 최대한 있는 그대로의 의미를 찾아가되 동시에 그것을 최대한 자기 생각과 연관 지어 음미해보는 시도도 병행했으면 좋겠다. 본 강사부터도 그런 태도로 텍스트를 읽어가려고 한다. 그러므로 청자들은 강의를 들으며 시각에 따라 달리 해석될 수 있는 플라톤의 생각, 본 강사의 생각을 자유롭게 자기 식으로 이해하고 고민해가면서, 주체적으로 자기 생각의 깊이와 의미를 하나하나 차근차근 형성해 나갔으면 한다. 물론 강좌에 참여하는 분들의 그러한 노력과 기대에 제대로 부응하기에는 강사의 역량이 크게 부족하기는 하지만 어떻게든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고민하고 노력하면서, 처음 설정한 강의의 기본적인 취지를 변함없이 잘 견지해가며 강의를 진행하려 한다. 그리고 방침상 최대한 플라톤 철학 전체에 대한 논의는 줄이고 천천히 텍스트를 읽어가며 세세히 음미하는 방식으로 진행은 하겠지만, 군데군데 플라톤 철학 전체에 대한 이해가 요구될 경우에는 적절히 그와 관련한 설명과 토론도 병행할 것이다. 다만 제목을 비롯하여 집필시기, 대화상정 시기 그리고 그 시기들의 역사적 배경과 등장인물 등에 대해서는 간략하게 나름의 관점에서 먼저 설명을 드리고자 한다.

앞으로 텍스트를 매우 천천히 자세하게 읽어가기 때문에 전체를 빨리 독파하고픈 청자들에게는 답답하고 마음에 들지 않을지도 모른다. 그래서 어쩌면 이 책을 다 읽어내는 데 수년이 걸릴지도 모른다. 그렇지만 청자들과 강사 모두 플라톤의 <국가>를 이러한 공개강좌의 형식으로 처음부터 끝까지 다 읽어내려는 시도가 아마도 처음이기도 한 만큼, 한 번쯤 도전해보는 것도 좋겠다는 긍정적인 생각을 갖고 최대한 즐겁게 함께 읽어 나가기로 하자.

 

  1. 제목 소개

플라톤의 대화편 가운데 통상 우리가 <국가>로 옮기고 있는 책의 그리스어 원제목은 폴리테이아(politeia, πολιτεια)이다. 그런데 흥미롭게도 그 말을 사전에서 찾아보면 제일 먼저 나오는 게 ‘시민적 삶’(civic life), ‘시민의 조건과 권리, 시민권’(the condition and rights of citizen, citizenship)이라는 뜻이다. 또 그 말의 동사적 어원인 politeuō라는 말을 함께 찾아보면 ‘시민으로 살다’(to live as a citizen), ‘나랏일에 참여하다’(to take part in the government)라는 뜻으로 풀이되고 있다. 이것은 ‘폴리테이아’라는 말의 일차적인 의미가 기본적으로 ‘시민생활과 정치생활을 하나로 여긴 고대 그리스인들의 삶의 방식’임을 잘 보여준다. 물론 ‘폴리테이아’라는 말에는 우리말 제목과 역어가 보여주듯이 제도로서의 ‘국가의 정치체제(the constitution of a state), 정부 형태(a form of government), 정치 조직(civic polity)’이라는 뜻도 포함하고 있다. 그럼에도 우리가 플라톤의 <폴리테이아>라는 책의 제목을 소개하면서 ‘삶의 방식’으로서 그 말의 일차적 의미부터 꺼내 드는 것은 ‘폴리테이아’라는 말의 의미를 통상 우리가 생각하듯이 단순히 ‘정치체제’라는 뜻으로만, 특히 오늘날 법률적·제도적 의미에서의 정치체제 같은 것으로 이해할 경우, 플라톤의 <국가>를 제대로 이해하는데 방해가 될 수 있다는 것을 강조하기 위해서이다.

실제로 플라톤은 <국가>에서 ‘폴리테이아’라는 말이 가지고 있는 위와 같은 중층적 의미를 보다 명확하게 드러내기 위해, 아예 ‘폴리테이아’라는 표현 자체를 ‘시민의 사회적 정치적 삶의 방식’과 ‘시민으로서 개인의 내적 삶의 방식’이라는 두 가지 의미로 함께 사용하여, 그것들이 결코 구분될 수 없는 하나의 통일적인 ‘시민의 생활방식’임을 적극적으로 천명하고 있다. 즉 플라톤에게 ‘시민적 삶의 방식’이란 폴리스의 안전과 가치의 구현을 위한 ‘정치적 활동 방식으로서 폴리테이아’임과 동시에, 시민의 일원으로서 자신의 능력과 자질을 극대화하고 그것을 통해 자신의 행복을 보전하기 위한 ‘개인의 내적 삶의 방식으로서 폴리테이아’였던 것이다. 물론 앞에서 언급한 대로 고대 그리스에서는 기본적으로 시민생활이 곧 정치생활이었다는 점에서 폴리테이가가 갖는 복합성은 그 자체만으로도 어느 정도 드러나 있는 것이기는 하지만, 플라톤은 삶의 방식의 두 가지 측면이 갖는 유기적 통일성을 영혼론이라는 자신의 고유한 관점을 토대로 더욱 부각시켜, 그의 정치사상의 요체로서는 물론 <국가>의 논의 전체를 풀어나가는 기본 토대이자 중심축으로 삼고 있었던 것이다. 이 점은 앞으로 책을 읽어가며 자세히 살펴보겠지만 플라톤의 <국가>, 플라톤의 정치철학을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한 관건이자 기반이 된다.

요컨대 플라톤의 <국가>의 원제목으로서 ‘폴리테이아’는 굳이 풀어서 말하자면 ‘나랏일에서건 개인의 내적 영혼에서건 그것을 구성하고 있는 상호 의존적인 요소들을 가장 바람직하고 훌륭한 상태로 조직해내는 원리 내지 활동 방식’을 의미한다. 그리고 그것을 다스림 일반이라는 확장된 의미에서 ‘정치체제’라는 말로 바꿔 말하자면, 플라톤의 폴리테이아는 ‘나라를 다스리는 통일적 운용원리이자 방식으로서 법률적·제도적 정치체제’를 의미할 뿐만 아니라, ‘개인의 내부에 자리하고 있는 다양한 욕망들을 통일적으로 다스리고 운용하는 이른바 영혼 내부의 심리적 정치체제’를 의미하는 것이기도 하다. 그래서 플라톤은 <국가>에서 과두정, 민주정, 참주정 등 개별 폴리테이아를 지시하는 개념들을 가지고 과두정적인 사람ho oligarchikos, 민주정적인 사람ho dēmokatikos, 참주정적인 사람ho tyrannikos 등 개인의 생활방식을 표현하는 말로도 함께 사용하고 있다. 그곳에서 폴리테이아는 개인의 내적 생활방식 즉 개인들 각각의 내적 영혼들 간의 관계를 조직하는 원리 내지 방식의 의미를 가지고 있는 것이다. 플라톤에게 있어 이른바 통치 또는 다스림(archein)이란 나랏일에서건 개인의 영혼에서건 그것을 구성하고 있는 각기 다른 계층 내지 기능들의 ‘최선의 조화와 공존’을 위한 활동인 것이다. 이 두 가지 내적·외적 정치체제는 앞으로 상호 밀접하고도 유기적인 연관관계를 맺으면서 플라톤의 정치철학의 고유한 특색을 더욱 분명하게 드러내 주겠지만, 미리 언급하자면 우리가 플라톤의 정치철학을 ‘영혼의 정치철학’으로 부르고, 또 ‘정치철학이자 도덕 심리학’이라고 부르는 이유도 ‘폴리테이아’라는 말이 가지고 있는 위와 같은 복합성 내지 중층성에서 연유한다고 할 것이다.

 

‘플라톤의 <국가> 강해 ②’에서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