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tries by Jin Bosung

플라톤의 <국가> 강해 ㊾ [이정호 교수와 함께하는 플라톤의 『국가』]

플라톤의 <국가> 강해 ㊾   1-3-4 정의로운 국가의 주요 덕목들. 지혜, 용기, 절제, 정의(427d-434c) (1) 지혜와 용기   [427d-428b] *소크라테스는 아데이만토스에게 자네의 나라가 세워졌다고 말한 후에 그 나라에서 정의와 부정의가 어디에 있는지를 찾아보고 행복하게 될 사람은 그중 어떤 것을 갖추어야 하는지를 살펴보자고 말한다.(427d-e) 이를 위해 소크라테스는 먼저 나라가 올바르게ὀρθῶς 세워진다면, 완벽하게τελέως 좋은ἀγαθός 나라이며 그에 따라 […]

2023년 한국철학자연합대회 한철연 세션-한국현대철학분과 발표 “한국현대철학사의 몇 가지 지평들: 전통과 근대, 종교사상, 서구와 식민” 영상 [월례발표회·세미나]

2023년 한국철학자연합대회 한철연 세션   ○ 세션 주제: “한국현대철학사의 몇 가지 지평들: 전통과 근대, 종교사상, 서구와 식민” ○ 세션 주체: (사)한국철학사상연구회 한국현대철학분과 ○ 일시 : 5월 13일(토) 15:00-18:00 ○ 장소: 서울시립대 미래관 33-B111 – 전체 사회: 김정철(한국국학진흥원)   【제1부】 ▶개회사: 박정하(한국철학사상연구회 회장) ▶1발표. (15:00~15:35) 주제: 근대이행기 민(民)에 대한 이해 – 최제우와 나카에 조민 사상을 중심으로 […]

플라톤의 <국가> 강해 ㊽ [이정호 교수와 함께하는 플라톤의 『국가』]

플라톤의 <국가> 강해 ㊽   1-3 통치자가 갖추어야할 조건들(412b-427c)    1-3-3 수호자들의 임무 3(423d- 427c)   [423d-427c] * 소크라테스는 앞서 말한 임무들이 쉽고 사소한 것으로 여겨질 만큼의 크고 충분한ἱκανόν 하나가 있다고 말한 후 그것이 다름 아니라 교육παιδεία과 양육τροφή임을 밝힌다. 만약 수호자들이 교육과 양육을 잘 받아 균형 잡힌μέτριος 사람들이 되면 앞서 말한 정도의 임무들뿐만 아니라 지금 […]

플라톤의 <국가> 강해 ㊼ [이정호 교수와 함께하는 플라톤의 『국가』]

플라톤의 <국가> 강해 ㊼   1-3 통치자가 갖추어야할 조건들(412b-427c)      1-3-3 수호자들의 임무(419a- 427c)   4권 [419b-421c] * 소크라테스가 사유재산 금지를 비롯한 수호자들의 생활 방식과 관련한 언급을 마치자 아데이만토스가 끼어들어 누군가가 그런 생활 방식이 수호자를 행복하게 만드는 것이 아니라고 주장한다면 뭐라고 변론할ἀπολογήσῃ 것인가를 묻는다. 그들은 나라가 자신의 것인데 이 나라 덕택에 누리는 것도 없고 […]

박선 지음, 『카메라 소메티카』(갈무리, 2023) 서평 – 박소연 [철학자의 서재]

신체를 경유해 감각하는 영화 이미지의 시대 – 『카메라 소메티카』 (갈무리, 2023) 서평   박소연(영화연구자, 수원대/성신여대 강사)   영화가 회화의 세계에 접속하는 방식은 다양하겠지만, 『카메라 소메티카』의 분석 대상인 영화가 회화를 참조하는 방식은 조금 특별하다. 이 책은 분명 회화, 화가, 미술관 내/외부, 관람객을 소재로 한 영화를 주요 분석 대상으로 다루고 있지만, 회화 작품이나 미술관을 단지 소재주의적 차원에서 […]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23년 3월 월례발표회 “페미니즘의 탈자연화와 에코 페미니즘의 신유물론적 전환”(발표:황주영) [월례발표회·세미나]

2023년 한철연 월례발표회의 중점연구주제 기획은 1. 정치사회철학, 2. 여성철학, 3. 한국근현대철학, 4. 생태철학, 5. 대중교양철학입니다. 2023년 3월 월례발표회는 여성철학을 주제로 진행합니다. 이번 3월 월례발표회에는 발표자 1인, 토론자 2인이 참여합니다.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23년 3월 월례발표회 주 제 : 페미니즘의 탈자연화와 에코 페미니즘의 신유물론적 전환 발표자 : 황주영(서울시립대학교) 토론자 : 이승준(동국대학교), 주현(건국대학교) 일 시 : 2023년 3월 27일 […]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23년 2월 월례발표회 “지성과 공동체: 민주주의와 시민적 집단지성의 가능성”(발표: 한상원) [월례발표회·세미나]

2023년 한철연 월례발표회의 기획은 2022년 9월에 실시한 한철연 회원연구분야 설문조사의 결과를 적극적으로 고려하였습니다. 구체적으로 회원들이 제안해주셨던 한철연 중점연구주제(1. 정치사회철학, 2. 여성철학, 3. 한국근현대철학, 4. 생태철학, 5. 대중교양철학)를 중심으로 진행할 예정입니다. 2023년 월례발표회의 시작은 정치사회철학입니다. 이번 2월 월례발표회에는 발표자 1인, 토론자 2인이 참여합니다.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23년 2월 월례발표회 주 제 : 지성과 공동체: 민주주의와 시민적 집단지성의 가능성 […]

플라톤의 <국가> 강해 ㊻ [이정호 교수와 함께하는 플라톤의 『국가』]

플라톤의 <국가> 강해 ㊻   1-3 통치자가 갖추어야할 조건들(412b-427c)     1-3-2 수호자들의 생활방식, 사유재산의 금지(415d-417b)   [415d-416b] * 소크라테스는 건국 신화에 대한 언급을 마무리한 후 그곳에서 거론된 수호자들이 통치자들의 지도하에ἡγουμένων 어떤 곳에 진을 치고στρατοπεδεύσασθα 어떤 방식으로 생활해야 하는지를 간략히 언급한다. 우선 수호자들이 진을 쳐야 할 곳은 법에 복종하려 하지 않는 내부자들을 최대한 통제하고κατέχω 외부 […]

1. 캐롤 페이트만, 『남과 여, 은폐된 성적 계약』(하) [페미니즘 고전을 찾아서 2] ②

1. 캐롤 페이트만의 『남과 여, 은폐된 성적 계약』을 읽고 하편. ‘시민의 자유와 예속관계는 교환할 수 없었던 것이었다’   유가연(여성과철학 분과)   캐롤 페이트만(Carole Pateman, 1940~)은 사회를 구성하는 기본적인 계약을 남성과 그에 예속되는 여성과의 관계, 여성과 그녀로 인해 자유에 대한 판타지를 가진 남성과의 관계, 그리고 이러한 남녀 간의 자유와 예속으로부터 발생하는 정치적인 성차를 토대로 살펴보았다. 성차의 […]

1. 캐롤 페이트만, 『남과 여, 은폐된 성적 계약』(상) [페미니즘 고전을 찾아서 2] ①

(사)한국철학사상연구회 ‘여성과철학’ 분과에서 2023년 4월부터 11월까지 예정으로 [페미니즘 고전을 찾아서 2]를 기획·연재합니다. 지난 2018년 1월부터 2019년 3월까지 블로그분과진에 연재되었고 동명의 단행본으로 출간되었던 [페미니즘 고전을 찾아서]에 이어 페미니즘 이론과 사상을 발전하고 확대하는 데에 기여한 철학자와 그 저서를 소개하는 코너를 연재합니다. 본격 연재 전 자세한 소개는 「연재의 변」 글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1. 캐롤 페이트만의 『남과 […]